맨위로가기

라르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르사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고대 도시로, 기원전 2000년경부터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이르기까지 번성했다. 우르 제3 왕조 멸망 후 이신-라르사 시대를 거치며 세력을 확장했고, 특히 궁구눔 왕 시기에 독립 왕조를 건설하여 우르를 점령하며 아랍-페르시아 만 무역의 중심지를 차지했다. 이후 이신과의 니푸르 지배권을 둘러싼 갈등, 엘람 계통의 왕조 교체, 바빌론의 함무라비와의 대립을 겪으며 기원전 1763년 함무라비에게 정복당했다. 라르사는 신바빌로니아 시대에도 활동했으며, 고고학적으로 중요한 유적지로서 여러 차례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르사 - 궁구눔
    궁구눔은 기원전 1932년에 라르사의 왕이 되어 바시메, 안샨을 공격하고 우르를 정복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이난나 신전, 루갈키두나 신전을 건설하는 등 라르사의 통치를 안정화하고 말기움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 기원전 20세기 설립 - 이신 (메소포타미아)
    이신은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도시로, 우바이드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이쉬비에라가 이신 제1왕조를 세워 메소포타미아 정치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이후 이신-라르사 시대를 거쳐 카시트 왕조 멸망 후에는 이신 제2왕조가 성립되었다.
라르사
기본 정보
음역 (수메르어)UD.UNUGKI
위치이라크, 카디시야현, Ishan al-Bahriyat
유형거주지
역사
위치
현재 위치Tell as-Senkereh, 디카르주, 이라크
지역메소포타미아
기타
관련 항목수메르

2. 역사

"라르사를 숭배하는 사람", 함무라비를 위해 아무루(Amurru) 신에게 바쳐진 기념 조각상, 기원전 2000년 초기 , 루브르


라르사는 메소포타미아에서 고대 바빌로니아 기(기원전 2000년~1600년)에 처음으로 강성한 도시로 성장하였다.

우르 제3 왕조 붕괴 이후, 이신의 이시비-에라는 우르, 우루크 등 문화적, 상업적으로 중요한 도시들을 되찾았다. 그는 라르사를 포함한 라가시 지역의 패권도 되찾았다. 이신의 왕들은 라가시의 통치자를 임명했는데, 그중 아무르족인 궁구눔이신과의 약속을 깨고 라르사에 독립적인 왕조를 세웠다. 궁구눔우르를 점령하여 이신에게 중요한 아랍-페르시아 만의 무역과 문화의 중심지를 잃게 만들었다.

궁구눔의 뒤를 이은 아비사레(기원전 1905년)와 수무엘(기원 1894년)은 이신이 수로를 이용할 수 없도록 만들었고, 이신은 급속도로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잃게 된다.

라르사는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했으나, 림신(Rim-Sin)왕 (기원전 1822년~1763년) 때 최고조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메소포타미아의 다른 왕조들의 영토에서 멀리 떨어진 10~15개 정도의 도시들을 거느리는 데 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대한 건축물과 대규모 농업 사업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들이 발견된다.

2. 1. 초기 역사 (기원전 3000년기)

라르사(UD.UNUG)는 기원전 4천년 후반 우루크 4기의 원시 설형 문자 어휘 목록에서 발견된다. 이곳에서 몇 개의 원시 설형 문자 점토판도 발견되었다.[4] 이보다 약간 이른 시기의 신석기 시대 점토 토큰 3개도 라르사에서 발견되었다.[5] 라르사는 역사 대부분 동안 주로 신 우투를 위한 숭배지였다. 기원전 2천년기 초, 라가시 제1 왕조는 아마도 2세기 동안 라르사를 주요 강국으로 만들었다. 마지막으로 알려진 점령 시기는 헬레니즘 시대였다.

역사적인 "라르사"는 기원전 2500년에서 2400년경 초기 왕조 시대 라가시 통치자 에안나툼의 치세에 이미 존재했으며, 그는 라르사를 자신의 제국에 병합했다. 기르수에서 발견된 대규모 승리비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 에안나툼은 매우 영리하여 두 마리의 비둘기의 눈에 을 칠하고 머리를 삼나무 (수지)로 장식했다. 라르사의 에-바바르에서 식물의 지배자인 신 우투를 위해 그들을 희생 제물로 바쳤다."[6]

에안나툼의 조카 엔테메나는 인근 바드-티비라에서 발견된 기초 원통에 라르사 시민들의 빚을 탕감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는 우루크, 라르사, 파-티비라 시민들의 [의무]를 탕감했다... 그는 (두 번째 것을) 라르사에서 신 우투의 지배로 복원했다...".[6] 라르사는 아카드 제국 시기 사르곤의 딸 엔헤두안나의 ''사원 찬가''에서 증명된다.

"... 당신의 주인은 솟아오르는 햇빛, 통치자... 의로운 목소리입니다. 그는 지평선을 밝히고, 하늘의 정점을 밝힙니다. 빛나는 집의 주인인 우투는 당신의 거룩한 궁정에, 라르사의 집에 집을 짓고 당신의 왕좌에 앉았습니다."[7]

우르 3왕조 시대의 첫 번째 통치자인 우르-남무는 라르사에서 발견된 벽돌 비문에 그곳의 우투 신전인 에-바바르를 재건했다고 기록했다.[8]

2. 2. 이신-라르사 시대 (기원전 2000년기)



나보니두스의 점토 실린더의 세부 사항으로, 라르사의 샤마쉬 신전에 대한 복원 작업을 기록하고 있다. 기원전 555–539년으로 추정. 아마도 이라크 라르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대영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라르사는 메소포타미아에서 고대 바빌로니아 기(기원전 2000년~1600년)에 처음으로 강성한 도시로 성장하였다.

우르 제3 왕조가 붕괴된 이후, 이시비-에라(Ishbi-Erra)가 이신으로 수도를 옮기고 우르 제3 왕조의 부흥을 도모했다. 그는 문화적, 상업적으로 중요한 우르, 우루크 등의 도시를 되찾는 것을 도왔다.[9]

이시비-에라는 라르사를 포함한 라가시 지역의 패권도 되찾았다. 그의 뒤를 이어 이신을 다스린 왕들은 라가시의 통치자를 임명했는데, 그 중 하나가 아무르족인 궁구눔(Gungunum)이었다. 그는 이신과의 약속을 깨고 라르사에 독립적인 왕조를 세웠다. 궁구눔은 지배권을 다지고, 이신에 대적하기 위해서 도시 우르를 점령하여, 아랍-페르시아 만의 무역과 문화의 중심지를 잃게 만들었다.[9]

궁구눔을 이은 아비사레(Abisare)(기원전 1905년)와 수무엘(기원 1894년)은 이신이 수로를 이용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이후 이신은 급속도로 정치적, 경제적 기반을 잃게 된다.[9]

라르사는 강력한 세력으로 성장하였으나, 많은 영토를 차지하지는 못했다. 림신(Rim-Sin)왕 때(기원전 1822년~1763년)에 최고조에 달한 라르사는 메소포타미아의 다른 왕조들의 영토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10~15개 정도의 도시들을 거느리는데 그쳤다. 그러나 거대한 건축물과 대규모 농업 사업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들이 발견된다.[9][10]

이 도시에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수메르 시대부터였지만, 그 중요성이 커진 것은 우르 제3왕조 멸망 이후인 기원전 2000년기였다. 우르 제3왕조의 멸망부터 함무라비 왕에 의한 메소포타미아 통일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를 '''이신-라르사 시대'''라고 부른다. 라르사 왕조는 아무르 계 사람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역대 왕들 중 즉위가 실제로 확인된 것은 4대 왕 자바이야부터이다. 이 시대에는 이신 제1왕조의 패권 하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 군구눔은 이신과 싸워 이를 격퇴하고, 라르사를 독립 세력으로 만들었다. 우르시를 획득하는 등 이신에 대해 우위를 점하며 라르사의 기반을 다졌다. 라르사와 이신은 이후 니푸르시의 지배권을 놓고 장기간 항쟁을 벌였다. 니푸르시는 수메르의 종교적 중심지였고, 우르 제3왕조의 후계자를 자처한 두 왕조에게 정치적으로 중요한 도시였기 때문이다. 쿠두르-마부크와 아들 와라드-신, 림-신 1세 시대를 거치며, 남부 메소포타미아 유수의 강대국이 되었다. 다만, 라르사 왕조의 왕들은 '''아무르의 아버지'''를 칭하고 있지만, 쿠두르-마부크 등은 엘람 계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기원전 18세기에 메소포타미아에서 패권을 획득하려던 바빌론함무라비 왕은 라르사와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림-신 1세는 함무라비의 라이벌 중 한 명이었지만, 기원전 1763년, 함무라비의 공격을 받아 반년에 걸친 포위 공격 끝에 라르사시는 함락되어 바빌론에 정복되었다. 그 후 일시적으로 독립을 회복했지만, 더 이상 유력한 국가는 될 수 없었다.[11]

2. 3. 바빌론의 지배와 멸망

라르사는 신바빌로니아 시대, 아케메네스 제국 시대, 헬레니즘 시대에 건축 벽돌 비문과 우루크에서 발견된 샤마쉬 라르사 사원의 설형 문자 텍스트를 통해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14][15] 우투/샤마쉬의 E-babbar는 기원전 2세기에 화재로 파괴되었고, 그 지역은 부실하게 지어진 사유 주택으로 재사용되었다.[16] 이 지역 전체는 기원전 1세기에 버려졌다.[17]

이 도시에 인간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수메르 시대부터였지만, 그 중요성이 커진 것은 우르 제3왕조 멸망 이후인 기원전 2000년기였다. 우르 제3왕조의 멸망부터 함무라비 왕에 의한 메소포타미아 통일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를 '''이신-라르사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대의 다른 많은 나라와 마찬가지로, 라르사 왕조는 아무르 계로 보이는 사람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역대 왕들 중 즉위가 실제로 확인된 것은 4대 왕 자바이야부터이다. 이 시대에는 이신 제1왕조의 패권 하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 후계자 군구눔은 이신과 싸워 이를 격퇴하고, 라르사를 독립 세력으로 만들었다. 게다가 우르시를 획득하는 등 이신에 대해 우위를 점하며 라르사의 기반을 다졌다. 라르사와 이신은 이후 계속해서 니푸르시의 지배권을 놓고 장기간에 걸친 항쟁을 벌였다. 이는 니푸르시가 수메르의 종교적 중심지였고, 우르 제3왕조의 후계자를 자처한 두 왕조에게 정치적으로 중요한 도시였기 때문이다. 그 후, 왕조를 찬탈한 쿠두르-마부크와 아들 와라드-신, 림-신 1세 시대를 거치며, 남부 메소포타미아 유수의 강대국이 되었다. 다만, 라르사 왕조의 왕들은 '''아무르의 아버지'''를 칭하고 있지만, 쿠두르-마부크 등은 실제로는 엘람 계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기원전 18세기 바빌론함무라비 왕은 메소포타미아에서 패권을 획득하려 하였고, 유력 국가로 번성한 라르사는 함무라비 왕과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림-신 1세는 함무라비의 라이벌 중 한 명이었지만, 기원전 1763년 함무라비의 공격을 받아 반년에 걸친 포위 공격 끝에 라르사시는 함락되어 바빌론에 정복되었다. 그 후 일시적으로 독립을 회복했지만, 더 이상 유력한 국가는 될 수 없었다.

2. 4. 신바빌로니아 시대 이후

라르사는 신바빌로니아, 아케메네스 제국, 헬레니즘 시대에 건축 벽돌 비문과 우루크에서 발견된 샤마쉬 라르사 사원의 설형 문자 텍스트를 통해 활동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3][14][15] 우투/샤마쉬의 E-babbar는 기원전 2세기에 화재로 파괴되었고, 그 지역은 부실하게 지어진 사유 주택으로 재사용되었다.[16] 이 지역 전체는 기원전 1세기에 버려졌다.[17]

3. 고고학

19세기에 발견된 이래, 라르사 유적(현재의 '''텔 센케레''')은 수차례에 걸쳐 발굴 조사가 진행되었다.

1850년 윌리엄 로프터스는 한 달도 안 되는 기간 동안 텔 에스-센케레 유적을 처음 발굴했다.[20] 그는 신바빌로니아 제국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사용한 건축 벽돌을 발견하여 이 유적이 고대 도시 라르사임을 확인했다. 로프터스는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재건한 샤마쉬 신전을 집중적으로 조사했고, 바빌론의 카시트 왕조의 부르나-부리아쉬 2세와 제1 바빌론 왕조의 함무라비의 비문도 발견했다.

1903년 발터 안드레가 라르사를 짧게 발굴했고, 1905년 에드가 제임스 뱅크스가 현장을 조사하면서 현지인들에 의한 광범위한 약탈이 벌어지고 있음을 발견했다.[21]

1933년 앙드레 파로가 최초의 현대적이고 과학적인 발굴을 시작했고,[22][23] 1967년에도 다시 작업했다.[24][25] 1969년과 1970년에는 장-클로드 마르게론이 라르사를 발굴했다.[26][27] 1976년부터 1991년까지 J-L. 후오가 이끄는 프랑스 이라크 고고학 대표단이 텔 에스-세네레에서 13시즌 동안 발굴 작업을 진행했다.[28][29][30][31] 발굴단은 우투/샤마쉬의 신바빌로니아 E-바바르 신전을 주로 조사했고, 바닥과 벽 수리를 통해 헬레니즘 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가장 초기의 헬레니즘 시대 바닥에서 발견된 점토판은 필리포스 3세 (기원전 320년) 통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신바빌로니아 신전이 이전 카시트 시대 및 그 이전 신전의 평면을 따랐다는 것을 밝혀냈다.[32] 우르-남무부터 함무라비, 네부카드네자르 2세에 이르기까지 여러 통치자들의 통치 기간을 나타내는 수많은 비문과 설형 문자 점토판이 발견되었다.[33][34]

2019년 발굴이 재개되었고, 첫 번째 시즌에는 드론과 지표 조사를 통해 지형 측량을 실시하여 초기 발굴 지도를 수정하고 보완했다. E-바바르 신전 북쪽에 건설된 헬레니즘 시대의 대규모 구조물에 대한 발굴이 진행되었다.[35][36] 자력계 조사도 포함되었다.[37] 2021년과 2022년에는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에 티그리스강유프라테스강과 연결된 매우 큰 내부 운하 시스템과 항구 지역을 추적했다. 재상 거주지의 파괴된 층에서는 궁구눔과 아비사레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59개의 설형 문자 점토판, 파편, 봉투가 발견되었다. 라르사를 둘러싸고 있는 폭 10m~20m의 성벽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연구가 계속 진행되었으며, 6개의 주요 관문이 있었다.[38]

라르사 유적은 약 200헥타르에 걸쳐 있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약 21.34m 정도이다. 우루크에서 남동쪽으로 약 20km 지점에 위치하며, 도시의 유구와 지구라트, 왕궁이 확인되었다.

4. 라르사의 왕들

라르사는 우르 제3왕조가 멸망한 후 기원전 2000년경부터 중요성이 커진 도시이다. 우르 제3왕조 멸망부터 함무라비 왕에 의한 메소포타미아 통일에 이르기까지의 시대를 '''이신-라르사 시대'''라고 부른다. 라르사 왕조는 아무르인 계통의 사람들에 의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 역대 왕들 중 즉위가 실제로 확인된 것은 4대 왕 자바이야부터이다. 이 시대에는 이신 제1왕조의 패권 하에 있었다는 설도 있다.

궁구눔왕은 이신과 싸워 격퇴하고, 라르사를 독립 세력으로 만들었다. 게다가 우르시를 획득하는 등 이신에 대해 우위를 점하며 라르사의 기반을 다졌다. 라르사와 이신은 이후 계속해서 니푸르시의 지배권을 놓고 장기간에 걸친 항쟁을 벌였다. 이는 니푸르시가 수메르의 종교적 중심지였고, 우르 제3왕조의 후계자를 자처한 두 왕조에게 정치적으로 중요한 도시였기 때문이다.

쿠두르-마부크와 그의 아들 와라드-신, 림-신 1세 시대를 거치며, 라르사는 남부 메소포타미아의 유력한 강대국이 되었다. 다만, 라르사 왕조의 왕들은 '''아무르의 아버지'''를 칭하고 있지만, 쿠두르-마부크 등은 실제로는 엘람 계통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바빌론함무라비 왕은 메소포타미아에서 패권을 획득하려던 라르사와 치열한 싸움을 벌였다. 림-신 1세는 함무라비의 라이벌 중 한 명이었지만, 기원전 1763년, 함무라비의 공격을 받아 반년에 걸친 포위 공격 끝에 라르사시는 함락되어 바빌론에 정복되었다. 그 후 일시적으로 독립을 회복했지만, 더 이상 유력한 국가는 될 수 없었다.

#초상 또는 비문통치자통치 기간비고
우르 제3왕조
1
나플라눔기원전 2025년 ~ 기원전 2004년
이신-라르사 시대
2에미숨기원전 2004년 ~ 기원전 1976년
3사미움기원전 1976년 ~ 기원전 1941년
4자바야기원전 1941년 ~ 기원전 1932년
5궁구눔기원전 1932년 ~ 기원전 1905년
6아비사레기원전 1905년 ~ 기원전 1894년
7
수무엘의 이름으로 된 헌신적인 개. 루브르 박물관 AO4349
수무엘기원전 1894년 ~ 기원전 1865년
8누르-아다드기원전 1865년 ~ 기원전 1849년
9
신-이디남기원전 1849년 ~ 기원전 1842년
10신-에리밤기원전 1842년 ~ 기원전 1840년
11신-이키샴기원전 1840년 ~ 기원전 1835년
12실리-아다드기원전 1835년 ~ 기원전 1834년
colspan="5" |
13
쿠두르-마부크기원전 1835년 ~ 기원전 1834년
14
와라드-신기원전 1834년 ~ 기원전 1822년
15
림-신 1세기원전 1822년 ~ 기원전 1763년
colspan="5" |
#초상 또는 비문통치자통치 기간비고
고 바빌로니아 시대
바빌론 최초 왕조
함무라비기원전 1763년 ~ 기원전 1750년
삼수-일루나기원전 1750년 ~ 기원전 1742년
colspan="5" |
16림-신 2세기원전 1742년 ~ 기원전 1736년


5. 주요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The Lament for Nibru http://etcsl.orinst.[...] ETCSL 2010-12-19
[2] 웹사이트 The Temple Hymns http://etcsl.orinst.[...] ETCSL 2010-12-19
[3] 논문 Words and Pictures: New Light on Plimpton 322 https://www.maa.org/[...] The American Mathematical Monthly 2002
[4] 서적 From King to God: The NAMEŠDA Title in Archaic Ur Penn State University Press 2012
[5] 서적 The Neolithic Clay Tokens Gorgias Press 2019
[6] 서적 Laga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8
[7] 서적 The Temple Hymns Yale University Press 2023
[8] 서적 Ur-Nammu E3/2.1.1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97
[9] 서적 A History of Mashkan-shapir and Its Role in the Kingdom of Larsa Eisenbrauns 2004
[10] 간행물 The City of Mashkan-Shabir and The Kingdom of Larsa Annals of the Faculty of Arts, Ain Shams University 2022
[11] 학술지 The Home of the First Sealand Dynasty 1974
[12] 학술지 Neo-Babylonian Larsa: A Preliminary Study 1991
[13] 서적 The ilku and Related Fiscal Obligations in Sixth Century Larsa Wiesbaden 2021
[14] 서적 A Finger in Every Pie: The Institutional Connections of a Family of Entrepreneurs in Neo-Babylonian Larsa Leiden 2000
[15] 서적 Les débuts de l’époque hellénistique à Larsa Paris 2001
[16] 서적 Stratigraphical analysis and ceramic assemblages of the 4th–1st centuries B. C. E.Babbar of Larsa Tübingen 1993
[17] 학술지 The Graeco-Babyloniaca Once Again 2007
[18] 학술지 Zabaya, an Early King of the Larsa Dynasty 1989
[19] 학술지 “King” Kudur-Mabuk. A Study on the Identity of a Mesopotamian Ruler Without a Crown 2020
[20] 웹사이트 Travels and researches in Chaldæa and Susiana; with an account of excavations at Warka, the Erech of Nimrod, and Shúsh, Shushan the Palace of Esther, in 1849–52 https://archive.org/[...] J. Nisbet and Co. 1857
[21] 웹사이트 Senkereh, the Ruins of Ancient Larsa https://www.journals[...] The Biblical World 1905
[22] 서적 Villes enfouies. Trois campagnes de fouilles en Mésopotamie 1935
[23] 학술지 Les fouilles de Tello et de. Senkereh-Larsa, campagne 1932–1933 1933
[24] 학술지 Les fouilles de Larsa 1968
[25] 학술지 Les Fouilles de Larsa. Deuxième et Troisième Campagnes (1967) 1968
[26] 학술지 Larsa, rapport preliminaire sur la quatrieme campagne 1970
[27] 학술지 Larsa, rapport preliminaire sur la cinquieme campagne 1971
[28] 학술지 Larsa, Preliminary Report on the Sixth Campaign 1978
[29] 학술지 Larsa, rapport preliminaire sur la septieme campagne Larsa et la premiere campagne Tell el 'Oueili (1976) 1978
[30] 서적 Larsa et 'Oueili, travaux de 1978–1981 Editions Recherche sur les civilisations 1983
[31] 서적 Larsa, Travaux de 1985 Editions Recherche sur les civilisations 1989
[32] 서적 Larsa (10e campagne, 1983) et Oueili: Rapport preliminaire Editions Recherche sur les civilisations 1987
[33] 학술지 French Archaeological Mission in Iraq. A Catalogue of the Cuneiform Tablets and Inscribed Objects Found during the 6th Season in Tell Senkereh/Larsa 1978
[34] 서적 L’E. babbar de Larsa aux IIe et Ier millénaires (fouilles de 1974 à 1985) Beyrouth 2014
[35] 웹사이트 La découverte des remparts de Larsa (Iraq) par la géophysique https://www.cairn.in[...] XXIIIe colloque du GMPCA : Archéométrie 2022, May 2022, Chambéry, France 2022-05
[36] 논문 "Preliminary Report on the XIVth and XVth Campaigns at Larsa" https://hal.science/[...] Sumer LXVI 2020
[37] 논문 "Magnetic signatures of urban structures: Case study from Larsa (Iraq, 6th–1st Millennium BC)" https://journals.ope[...] ArcheoSciences, Revue d'archéométrie 45-1 2021
[38] 간행물 "Larsa-'Uwaili Annual Report 2021-2022: Preliminary Report on the Results of the XVIth & XVIIth Campaigns at Larsa and the Xth Campaign at Tell el ‘Uwaili" https://hal.science/[...] State Board of Antiquities and Heritage of Iraq 20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