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재 (168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는 1680년에 태어난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이다. 김창협의 문인으로, 숙종의 처조카이자 노론의 중심 인물로 활동했으며, 인물성동이논쟁에서 이간의 학설을 지지했다. 1702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갔고, 영조 때 이조참판을 지냈다. 저서로는 《도암집》이 있으며, 용인시에 이재 선생 묘가 향토유적으로 지정되었다.

2. 생애

이재는 김창협의 문인으로 숙종의 처조카이자 노론을 대표하는 핵심 인물들의 가까운 친인척으로서 노론의 중심인물로 활동했다. 여흥부원군 민유중의 외손자이며 민진후, 민진원, 인현왕후의 친조카이고, 오두인의 사위이다. 작은 어머니인 안동 김씨는 김수흥의 딸이며, 아내 해주 오씨는 김창협의 사위인 오진주의 누이이기도 하다.

숙종 28년(1702년) 알성문과에 급제하여 관계에 진출하였으며, 《단종실록(端宗實錄)》 편찬에 참여했다. 숙종 42년에 승지에 이르러 ‘가례원류(家禮源流)’시비가 일어나자 노론 측에 가담하여 소론을 통박했고, 숙종 45년 영남균전사(嶺南均田使)로 나가 토지정책을 논하다가 파직당한 적도 있었다. 신임사화(辛壬士禍) 직후 관직을 버리고 인제에 들어가 성리학 연구에 전심하다가 영조 1년에 이조참판을 지냈다. 영조 17년에는 예문관 제학, 영조 19년에는 우참찬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3. 평가

그는 조선 후기 성리학계의 대가로서 인물성동이논쟁(人物性同異論爭)에서 이간의 학설을 지지하여, 한원진 등의 호론(湖論)을 반박하고 낙론(洛論)의 대표적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그는 낙론을 지지하면서도 유기설(唯氣說)에는 반대하며, “마음을 말함에 기(氣)만을 가지고 단언할 수는 없으며 기가 이보다 승(勝)하면 난(亂)하고 이가 기보다 승하면 치(治)하니, 성현의 말씀의 진실은 ‘이위기주(理爲氣主)’의 네 글자밖에 없다”고 하였다. 즉 그는 기일원론(氣一元論)이 독단에 빠질 위험성을 경고하고, 율곡의 본의에 따라 온건론을 취하여 주리파와의 절충·타협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 사상

그는 조선 후기 성리학계의 대가로서 인물성동이논쟁(人物性同異論爭)에서 이간의 학설을 지지하여 한원진 등의 호론(湖論)을 반박하고 낙론(洛論)의 대표적인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낙론을 지지하면서도 유기설(唯氣說)에는 반대하였다. 그는 “마음을 말함에 기(氣)만을 가지고 단언할 수는 없으며 기가 이보다 승(勝)하면 난(亂)하고 이가 기보다 승하면 치(治)하니” 성현의 말씀의 진실은 ‘이위기주(理爲氣主)’의 네 글자밖에 없다고 하였다. 즉 그는 기일원론(氣一元論)이 독단에 빠질 위험성을 경고하고, 율곡의 본의에 따라 온건론을 취하고 주리파와의 절충·타협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4. 1. 인물성동이논쟁(人物性同異論爭)

그는 조선 후기 성리학계의 대가로서 인물성동이논쟁(人物性同異論爭)에 있어 이간의 학설을 지지하여, 한원진 등의 호론(湖論)을 반박, 낙론(洛論)의 대표적 이론가로 알려져 있다. 낙론을 지지하면서도 유기설(唯氣說)에는 반대하고, “마음을 말함에 기(氣)만을 가지고 단언할 수는 없으며 기가 이보다 승(勝)하면 난(亂)하고 이가 기보다 승하면 치(治)하니” 성현의 말씀의 진실은 ‘이위기주(理爲氣主)’의 네 글자밖에 없다고 하였다. 즉 그는 기일원론(氣一元論)이 독단에 빠질 위험성을 경고하고, 율곡의 본의에 따라 온건론을 취하고 주리파와의 절충·타협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던 것이다.

5. 저서

《율곡전서》를 산정(刪定)했으며, 저서로 《도암집》, 편서(編書)로 《근사심원》, 《존양록》, 《주자어류초절》 등이 있다.

6.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증조부이유겸(李有謙, 1586~1663)장례원판결사, 호조참의
증조모파평 윤씨(坡平尹氏)윤홍유(尹弘裕)의 딸
조부이숙(李䎘, 1626~1688)우의정, 시호 충헌(忠獻)
조모반남 박씨(潘南朴氏)첨지중추부사 박호(朴濠, 1586~?)의 딸
이만창(李晩昌, 1654~?)1675년 진사
여흥 민씨(驪興閔氏)민유중(閔維重, 1630~1687)의 딸, 민진후(閔鎭厚, 1659~1720)의 동복누나, 인현왕후의 동복언니
전부인해주 오씨(海州吳氏)오두인(吳斗寅, 1624~1689)의 딸, 오태주(吳泰周, 1668~1716)의 부친
후부인남양 홍씨(南陽洪氏)상의원첨정 홍우현(洪禹賢, 1654~?)의 딸
장남이석백(李錫百)8세에 요절
차남이제원(李濟遠, 1709~1752)1736년 문과, 사간원대사간
자부풍산 홍씨(豐山洪氏)동지돈녕부사 홍중복(洪重福, 1670~?)의 딸, 홍주원(洪柱元, 1606~1672)의 손녀
손자(1)이목(李木)
손부안동 김씨(安東金氏)김문행(金文行, 1701~1754)의 딸
증손자(양자)이광헌(李光憲, 1764~?)1795년 생원, 1814년 문과, 이조참판. 생부는 이화(李禾)
증손부은진 송씨(恩津宋氏)현감 송치연(宋致淵)의 딸, 송준길(宋浚吉) 5세손
손자(2)이화(李禾)상주목사
손부동래 정씨(東萊鄭氏)정홍상(鄭弘祥, 1700~1729)의 딸
평산 신씨(平山申氏)신광휴(申光休)의 딸
안동 김씨(安東金氏)김정규(金鼎揆)의 딸
경주 최씨(慶州崔氏)최항진(崔恒鎭, 1738~?)의 딸
증손자(양자)이휘정(李輝正, 1780~1850)초명 이광정(李光正). 생부는 이채(李采)
증손부임천 조씨(林川趙氏)조학운(趙學雲)의 딸
손자(3)이뢰(李耒, 1733~1756)명릉참봉, 이조참판 증직, 이명빈(李命彬)의 양자
손부해평 윤씨(海平尹氏, 1732~1809)홍문관교리 윤득경(尹得敬, 1702~1742)의 딸
남양 홍씨(南陽洪氏)홍계함(洪啓涵)의 딸
증손자(양자)이광유(李光裕, 1761~1800)초명 이광은(李光殷), 1783년 진사, 이조 판서 증직
증손부안동 김씨(安東金氏)김이인(金履仁)의 딸
손자(4)이래(李來, 1739~?)1768년 진사
손부남양 홍씨(南陽洪氏)홍익철(洪益喆, 1723~?)의 딸
증손자(양자)이휘승(李輝承, 1771~?)본명 이광승(李光承), 능주목사. 생부는 이숭(李崧)
증손부청풍 김씨(淸風金氏)교리 김종선(金鍾善, 1741~?)의 딸
증손서조길철(趙吉喆)감찰
증손서유상주(兪常柱)현령
손자(5)이채(李采, 1745~1820)1774년 진사, 동지중추부사, 의정부좌찬성 증직, 시호 문경(文敬)
손부양주 조씨(楊州趙氏)이조참판 조영순(趙榮順, 1725~1775)의 딸
증손자이광문(李光文, 1778~1838)1801년 진사, 1807년 문과, 이조판서, 시호 문간(文簡)
증손부창원 황씨(昌原黃氏)연천현감 황재정(黃載鼎)의 딸
증손자이광헌(李光憲)이목(李木)의 양자
증손서황기찬(黃基瓚, 1775~?)1801년 진사
증손서박제현(朴齊賢)
증손서김병규(金炳珪)
증손자(서자)이광시(李光始)
증손자(서자)이광세(李光世)
증손서(서녀)김예순(金藝淳)
손녀사위서익수(徐翼修)
외손자서유곡(徐有穀)
손녀사위김건주(金健柱)산청현감, 노직 첨추
외손자김노선(金魯善)
외손자김노송(金魯頌)
외손자김노종(金魯鍾, 1764)1804년 진사, 현령
손녀사위김두남(金斗南)무육(無育)
손녀사위남일구(南一耉, 1740~?)1768년 진사
외손자남종헌(南宗獻)
외손서송정래(宋鼎來)
손녀사위조병진(趙秉鎭)
외손자조정(趙瀞)
손녀사위정원수(鄭元綏)
외손자정세우(鄭世祐, 1762~1802)1798년 진사
외손자정세정(鄭世禎)
외손서홍낙선(洪樂宣)감역
손녀사위김치광(金致廣)
사위유언흠(兪彥欽)참봉


7. 관련 문화재

이재 선생 묘는 용인시의 향토유적 제35호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