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수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수흥은 조선 시대의 문신으로, 인조 26년(1648) 사마시에 급제하고 효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현종 때 영의정에 올랐으나 자의대비 복제 문제로 남인에게 몰려 파직되었으며, 예송 논쟁과 기사환국 등 당쟁에 휘말려 유배 생활을 하다가 사망했다. 송시열을 스승으로 존경하며 그의 사상을 따랐으며, 저서로는 《퇴우당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90년 사망 - 숭선군
숭선군은 조선 인조의 아들로, 1639년에 태어나 숭선군에 봉해졌으며, 귀인 조씨의 역모 혐의로 유배되었다가 풀려난 뒤 보사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효경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1690년 사망 - 이상진 (1614년)
이상진은 조선 후기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승지와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형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숙종 때 우의정에 이르렀으나 기사환국으로 귀양, 갑술환국 이후 복권되었으며 시호는 충정으로, 서인의 영수로서 당쟁에 관여하고 갑술환국 이후 복권은 남인 세력의 재기를 위한 시도로 해석되기도 한다. - 1626년 출생 - 빌럼 2세 판 오라녜
빌럼 2세 판 오라녜는 프레데리크 헨드릭의 장남으로, 1647년 오라녜 공위와 6개 주 총독직을 계승하고 찰스 1세의 딸과 결혼하여 친영 정책을 펼쳤으나, 1650년 급사했으며 그의 아들은 훗날 잉글랜드의 윌리엄 3세가 되었다. - 1626년 출생 - 리처드 크롬웰
올리버 크롬웰의 아들인 리처드 크롬웰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호국경으로 재임했으나, 짧은 통치 후 사임하여 크롬웰 정권 붕괴를 가속화시킨 17세기 잉글랜드의 정치인이자 군인이다. - 한국사 인물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한국사 인물 - 윤증
윤증은 조선 중기 문신이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까지 역임한 정치가였으며, 성리학적·정치적 갈등으로 스승 송시열과 결별하고 탕평책을 지지했으나 당쟁 속에서 뜻을 이루지 못했으며, 실천적 삶을 강조한 무실학을 추구하며 조선 후기 정치와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수흥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61년 1월 8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전라북도 고창군 |
학력 | 고창초등학교 졸업 고창중학교 졸업 고창고등학교 졸업 전북대학교 법학과 학사 전북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석사 |
정치 활동 | |
소속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역구 | 전라북도 고창군·부안군 |
당선 횟수 | 21대 |
경력 | |
주요 경력 |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윤리특별위원회 위원 국회 운영위원회 위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부의장 더불어민주당 전라북도당 위원장 민변 회원 전라북도 고문변호사 |
외부 링크 | |
공식 사이트 | 김수흥 블로그 |
유튜브 채널 | 김수흥TV |
2. 생애
김수흥은 인조 26년(1648) 23세에 과거 시험에 합격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효종과 현종 대에 걸쳐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으며, 1674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그러나 자의대비 복제 문제와 인선왕후 장씨의 죽음을 둘러싼 예송 논쟁에 휘말려 남인의 공격을 받고 벼슬에서 물러나 춘천으로 유배되었다. 이후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집권하면서 복권되었으나, 기사환국으로 다시 남인이 집권하자 장기현으로 유배되어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였다.[1]
김수흥은 송시열을 스승으로 존경하며 그의 뜻을 따랐고, 백성을 위한 정치를 펼치고자 노력하였으나,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희생되었다.[1]
2. 1. 관직 생활
1648년(인조 26년) 23세에 식년 사마시에 1등 5위로 급제한 후, 1655년(효종 6년) 춘당대에서 치른 문과에 병과 2위로 급제하였다. 이듬해 1656년 문과 중시에도 병과 3위로 급제하여 세 번에 걸친 과거시험에서 그 실력을 인정받았다.1656년(효종 7년) 5월 28일 겸설서, 같은 해 10월 6일 설서, 1657년(효종 8년) 10월 4일 부수찬, 1658년(효종 9년) 1월 9일 수찬, 같은 해 4월 11일 헌납으로 충청도 어사로 임명되었다가 같은 해 5월 13일 어사 책무를 마치고 귀임하였다.
같은 해 6월 5일 교리, 같은 해 12월 21일 이조좌랑, 1659년(현종 즉위년) 12월 2일 이조정랑, 1660년(현종 1년) 5월 21일 겸문추, 1661년(현종 2년) 5월 6일 응교, 같은 해 6월 9일 광주 부윤, 1663년(현종 4년) 4월 18일 대사간, 같은 해 9월 18일 동부승지를 역임하였다.
1664년(현종 5년) 2월 28일 대사간, 같은 해 7월 8일 병조참지, 같은 해 7월 23일 승지, 같은 해 12월 21일 경기감찰사를 지냈다.
1666년(현종 7년) 1월 24일 도승지, 7월 23일 대사성, 같은 해 8월 11일 호조판서, 1668년(현종 9년) 2월 23일 좌참찬, 1670년(현종 11년) 5월 17일 우참찬, 같은 날 한성판윤에 임명되었다.
1670년(현종 11년) 6월 2일 총융사, 같은 해 8월 23일 강화유수, 같은 해 6월 13일 호조판서, 같은 해 8월 17일 승문원제조를 겸직하고, 같은 해 11월 4일 총융사를 역임하였다.
1672년(현종 13년) 2월 24일 지경연을 겸직, 1673년(현종 14년) 2월 9일 판의금부사, 같은 해 4월 24일 우의정에 제수되었다.
1674년(현종 15년) 4월 26일 영의정에 올랐으나 자의대비 복제문제로 남인에게 몰려 처벌 받을 뻔 하였고, 같은 해 7월 효종의 정비 인선왕후 장씨가 승하하자 남인과 제2차 예송 논쟁에 참여해 대공설(9개월 복상)을 주장하였고, 남인은 기년설(1년 복상)을 주장하였다. 벼슬에서 파직되어, 그해 8월 현종이 죽자 춘천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양주로 돌아가 살다가, 1680년(숙종 6년)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하자 영중추부사가 되고 1680년(숙종 6년) 보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688년(숙종 14년) 12월 7일 다시 영의정에 임명되었다.
1689년 숙종이 희빈 장씨가 낳은 왕자 이균을 총애하여 왕세자에 책봉하려 하자 송나라 철종의 고사를 들며 반대한 송시열과 함께 왕자 균의 세자 책봉은 시기상조라고 반대하였다.[1] 이에 기사환국으로 다시 남인이 집권하자 그는 장기현에 유배, 그 다음 해(1690년) 유배지에서 죽었다.
2. 2. 예송 논쟁과 유배
현종 15년(1674) 자의대비 복제문제로 남인에게 몰려 곤장을 맞을 뻔 하였고, 같은 해 7월 효종의 정비 인선왕후 장씨가 승하하자 남인과 제2차 예송 논쟁에 참여해 9개월 복상을 주장하였다. 남인은 1년 복상을 주장하였으며, 결국 벼슬에서 파직되었다. 그해 8월 현종이 죽자 춘천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 양주로 돌아가 살았다.[1]1680년 경신대출척으로 서인이 다시 집권하자 영중추부사가 되고 1680년 보사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다. 1689년 숙종이 희빈 장씨(昭儀張氏)가 낳은 왕자 균을 총애하여 왕세자에 책봉하려 하자 송나라 철종의 고사를 들며 반대한 송시열과 함께 왕자 균의 세자 책봉은 시기상조라고 반대하였다.[1]
이에 기사환국으로 다시 남인이 집권하자 그는 장기현에 유배, 그 다음 해(1690년) 유배지에서 죽었다.[1]
2. 3. 사상과 평가
김수흥은 우암(尤庵) 송시열을 마음의 스승으로 존경하고 그의 뜻에 잘 따랐다. 『주자대전(朱子大全)』, 『어류(語類)』 등을 탐독하고, 역대 왕에게 시폐소(時弊疏)를 올려 백성의 편에서 정치를 하고 정치 혁신을 여러 번 건의하여 민생에 도움을 주고 복지 향상에 힘쓰고자 하였으나, 반대 당의 노골적인 반대로 한 번도 그 뜻을 이루지 못하고 정쟁의 소용돌이에서 희생되고 말았다.[1]1689년 숙종이 희빈 장씨(昭儀張氏)가 낳은 왕자 이균(李昀)을 왕세자에 책봉하려 하자 송나라 철종의 고사를 들며 반대한 송시열과 함께 왕자 균의 세자 책봉은 시기상조라고 반대하였다.[1]
3. 저작
《퇴우당집》 5권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
고조부 | 김생해(金生海) |
증조부 | 김대효(金大孝) |
할아버지 | 김상헌(金尙憲) |
아버지 | 김광찬(金光燦) |
형님 | 김수증(金壽增) |
조카 | 김창국(金昌國) |
종손 | 김치겸(金致謙) (생부 : 김창흡) |
조카 | 김창숙(金昌肅) |
종손 | 김호겸(金好謙) (생부 : 김창집) |
조카 | 김창직(金昌直) |
동생 | 김수항(金壽恒) |
조카 | 김창집(金昌集) |
종손 | 김제겸(金濟謙) |
조카 | 김창협(金昌協) |
종손 | 김숭겸(金崇謙) |
종손 | 김양겸(金亮謙) |
부인 | 윤형각의 딸 |
장남 | 김창렬(金昌烈) |
차남 | 김창열(金昌說) |
자부 | 오두인의 딸 |
손자 | 김원겸(金元謙) |
손자 | 김형겸(金亨謙) |
손자 | 김이겸(金利謙) |
손자 | 김정겸(金貞謙) |
손녀 | 이매신에게 출가 |
손녀 | 권원에게 출가 |
손녀 | 신세동에게 출가 |
장녀 | 홍택보에게 출가 |
외손자 | 홍득수 |
외손자 | 홍득복 |
외손녀 | 조명빈에게 출가 |
외손녀 | 서명륜에게 출가 |
외손녀 | 윤홍에게 출가 |
차녀 | 송광속에게 출가 |
외손자 | 송징남 |
외손자 | 송징리 |
외손자 | 송징계 |
외손녀 | 박필우에게 출가 |
외손녀 | 이우하에게 출가 |
외손녀 | 이도선에게 출가 |
삼녀 | 이희조에게 출가 |
외손자 | 이양신 |
외손녀 | 김진악에게 출가 |
외손녀 | 김동현에게 출가 |
사녀 | 이만성에게 출가 |
외손자 | 이구 |
외손녀 | 김성택에게 출가 |
오녀 | 이성좌에게 출가 |
외손녀 | 서명원에게 출가 |
외손녀 | 안석헌에게 출가 |
외손녀 | 구경훈에게 출가 |
외손녀 | 심박에게 출가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