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두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두인은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의 17세손으로, 조선 시대의 문신이다. 1648년 진사시에 장원, 1649년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사헌부 지평, 장령, 헌납, 사간, 집의, 부교리 등을 역임했다. 1679년 공조참판으로 청나라에 사은사로 다녀왔으며, 아들 오태주가 숙종의 여동생 명안공주의 부마가 되었다. 이후 좌부승지, 광주목사, 병조참의, 호조참판, 도승지, 경기도 관찰사, 공조판서를 거쳐 명성왕후 상중에 감동한 공로로 정헌대부, 한성부 판윤, 평안도 관찰사를 지냈다. 형조판서 재직 중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자 유배 도중 사망했으나 복관되었고,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충정의 시호를 받았다. 저서로는 《양곡집》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24년 출생 - 메이쇼 천황
메이쇼 천황은 1629년 즉위하여 1643년 퇴위한 일본의 109대 천황으로, 도쿠가와 막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진, 조선 사절 방문, 시마바라의 난 등의 사건을 겪었고, 1696년 사망했다. - 1624년 출생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1689년 사망 - 김수항
김수항은 서인 및 노론의 중진으로 예송 논쟁에서 서인 측 입장을 대변하고 영의정을 역임했으나 기사환국으로 유배되어 사사된 조선 시대 문신이다. - 1689년 사망 - 효의인황후
효의인황후는 청나라 강희제의 황후이자 옹정제의 양모로, 귀비에서 황귀비를 거쳐 황후가 되었으나 자녀는 없었고 옹정제 교육에 힘썼으며, 옹정제 즉위 후 시호를 받고 태묘에 배향되었다. - 조선 현종 - 심재
심재는 조선 중기 문신으로, 좌의정 심희수의 후손이며, 문과 급제 후 여러 요직을 거쳐 경기도 관찰사, 이조판서, 대사헌 등을 역임했으나 갑술환국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 조선 현종 - 명성왕후
명성왕후는 조선 현종의 계비이자 숙종의 생모로, 왕대비로서 조정 정치에 적극 개입하여 남인 세력을 견제하는 등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무속 신앙에 심취하다 사망하여 그녀의 행보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오두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오두인 |
원어명 | 吳斗寅 |
자 | 원징(元徵) |
호 | 양곡(陽谷) |
시호 | 충정(忠貞) |
출생일 | 1624년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양성현(陽城縣) |
사망일 | 1689년 (향년 66세) |
사망지 | 조선 경기도 파주 |
본관 | 해주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관계 | |
부 | 오상(吳翔) |
모 | 고성 이씨 부인(固城 李氏 夫人) |
배우자 | 초배 여흥 민씨 부인(驪興 閔氏 夫人) 계배 원주 김씨 부인(原州 金氏 夫人)삼취 상주 황씨 부인(尙州 黃氏 夫人) |
자녀 | 5남 6녀 |
장인 | 민성휘(閔聖徽) 장인 김숭문(金崇文) 장인 황연(黃埏) |
외조부 | 이성길(李成吉) |
며느리 | 명안공주(明安公主) |
손자 | 오원(吳瑗) |
학력 | |
학력 | 1649년 문과 장원 급제 |
경력 | |
경력 | 문관 겸 정치인 출신 경기도 관찰사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공조 판서 형조 판서 |
정치 경력 | |
임기 시작 | 1686년 2월 15일 |
임기 종료 | 1689년 2월 15일 |
직책 | 조선국 평안도 관찰사(朝鮮國 平安道 觀察使) |
군주 | 조선 숙종 이순 |
정당 | 무소속 |
2. 생애
오두인은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의 17세손으로, 차분하고 중후한 성품을 지녔으며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문장에 뛰어났다. 숙부 오숙에게 입양되어 황해도 해주에서 성장했다.[2] 10살 때 명나라 사신 부총(副摠) 정용(程龍)에게 비범함을 인정받아 시를 지어 《황화집》에 실리고 중국에까지 명성을 알렸다.[2]
1648년(인조 26년) 진사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649년(인조 27년) 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했다.[2] 1650년(효종 1) 사헌부 지평을 시작으로 1656년 장령, 1661년(현종 2) 헌납·사간, 1665년 사헌부 집의, 1667년 부교리·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1668년 좌부승지, 1672년 광주목사를 거쳐 1673년 병조참의가 되었다. 1679년(숙종 5) 공조참판으로서 사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으며,[3] 아들 오태주가 숙종의 여동생 명안공주의 부마가 되었다. 1680년 호조 참판, 1681년 도승지, 1682년 경기도 관찰사를 거쳐,[4] 1683년 공조 판서에 올랐다.[5] 명성왕후의 상 때 감동(監董)한 공로로 정헌대부로 승진, 한성 판윤에 제수되었고, 1686년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6]
1689년 형조판서 재직 중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자 지의금부사에 세 번이나 임명되었으나 모두 나아가지 않아 삭직당하였다. 그해 5월, 인현왕후 민씨가 폐위되자 이세화, 박태보와 함께 반대 상소를 올렸다가 국문을 받고 의주로 유배 도중 파주에서 사망하였으나, 그 해에 복관되었다.
1694년 의정부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충정(忠貞)이라는 시호를 하사받았다. 고향인 경기도 양성(陽城: 현 경기도 안성시 양성면)의 덕봉서원에 제향되었다.[7]
2. 1. 어린 시절과 과거 급제
오두인은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의 17세손이다. 차분하고 중후한 성품을 지녔으며,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문장에 뛰어났다. 숙부인 오숙에게 입양되어 황해도 해주에서 성장하였다.[2]10살 때 명나라 사신 부총(副摠) 정용(程龍)이 오두인을 보고 비범하게 여겨 시를 짓게 하였다. 오두인이 즉석에서 ‘한정(漢程)’이라는 글자를 써서 알지 못하게 비유하자, 정용은 크게 감탄하며 진귀한 선물을 주었다. 오두인은 사양하고 부채 하나만 받았는데, 정용은 이를 더욱 귀하게 여기며 훗날 크게 될 인물이라 칭찬하고 그 시를 《황화집》에 실었다. 이로 인해 오두인의 명성이 중국에까지 알려지게 되었다.[2]
1648년(인조 26년) 진사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649년(인조 27년) 별시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2]
2. 2. 관료 생활
오두인은 해주 오씨 시조 오인유(吳仁裕)의 17세손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문장이 있었고, 숙부인 오숙(吳䎘)에게 입양되어 황해도 해주에서 성장하였다. 10살 때 명나라 사신 정용(程龍)이 오두인의 비범함을 알아보고 지은 시가 《황화집(皇華集)》에 실려 중국에까지 명성을 알렸다.[2]1648년(인조 26년) 진사시에 장원으로 합격하고, 1649년(인조 27년) 별시 문과에 장원 급제하여 1650년(효종 1) 사헌부 지평을 거쳐 1656년 장령, 1661년(현종 2) 헌납·사간, 1665년 사헌부 집의(執義), 1667년 부교리(副校理)·사간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1668년 좌부승지를 했고 1672년 광주목사를 거쳐서 1673년 병조참의가 되었다.
1679년(숙종 5) 공조참판으로서 사은부사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고,[3] 아들인 오태주가 숙종의 여동생인 명안공주(明安公主)의 부마가 되었다.
1680년 호조 참판, 1681년 도승지, 1682년 경기도 관찰사를 거쳐,[4] 1683년 공조 판서에 올랐다.[5]
명성왕후(明聖王后)의 상 때에 감동(監董)한 공로로 정헌대부(正憲大夫)로 승진되었고, 한성 판윤에 제수되었으며, 1686년 평안도 관찰사가 되었다.[6]
1689년 형조판서로 재직 중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자 지의금부사에 세번이나 임명되고도 나가지 아니하여 삭직당하였다. 이해 사직(司直)을 지내고, 5월에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閔氏)가 폐위되자 이세화(李世華)·박태보(朴泰輔)와 함께 이에 반대하는 소를 올려 국문을 받고 의주로 유배 도중 파주에서 객사 하였으나, 그 해에 복관되었다.
2. 3. 기사환국과 죽음
1689년 형조 판서로 재직 중 기사환국으로 서인이 실각하자 지의금부사(知義禁府事)에 세 번이나 임명되었으나 모두 응하지 않아 삭직당하였다.[7] 그해 5월, 인현왕후 민씨(仁顯王后閔氏)가 폐위되자 이세화(李世華)·박태보(朴泰輔)와 함께 이에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다가 국문을 받고 의주로 유배되었다. 유배 도중 파주에서 사망하였으나, 그 해에 복관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오사겸(吳士謙) | |
조모 | 전주 이씨(全州李氏) | 세종의 6대손, 한성 서윤(漢城庶尹) 이시중(李時中)의 딸 |
아버지 | 오상(吳翔) | |
어머니 | 좌랑(佐郞) 이효길(李孝吉)의 딸 | |
처부 | 민성휘(閔聖徽) | |
부인 | 정경부인(貞敬夫人) 여흥 민씨(驪興閔氏) | 판서(判書) 민성휘(閔聖徽)의 딸 |
장자 | 오관주(吳觀周) | |
장녀 사위 | 남택하(南宅夏, 1643년 ~ 1718년) | 군수(郡守) |
처부 | 김숭문(金崇文) | |
부인 | 정경부인(貞敬夫人) 원주 김씨(原州金氏) | |
차자 | 오정주(吳鼎周) | 직장(直長) |
차녀 | ||
처부 | 황연(黃埏) | |
부인 | 정경부인(貞敬夫人) 상주 황씨(尙州黃氏) | 부사(府使) 황연(黃埏)의 딸 |
3남 | 오태주(吳泰周, 1668년 ∼ 1716년) | |
며느리 | 명안공주(明安公主, 1667년 ~ 1687년) | 제18대 현종대왕(1641~1674, 재위 1660~1674)의 딸, 제19대 숙종대왕(1661~1720, 재위 1674~1720)의 여동생 |
4남 | 오진주(吳晉周) | |
며느리 | 김운 | 김창협의 삼녀 |
손자 | 오원(吳瑗, 1700년 ~ 1740년) | 문목공(文穆公), 오태주와 명안공주의 양자로 입적 |
5남 | 오이주(吳履周) | |
며느리 | 이숙의 딸 | 인현왕후의 형부인 이만창의 누이로 6녀 사위인 이재의 고모 |
3녀 사위 | 김창설(金昌說) | 현감 |
4녀 사위 | 최창대(崔昌大) | 수찬 |
5녀 사위 | 김영행(金令行) | |
6녀 사위 | 이재(李縡) | 인현왕후의 이질 |
4. 저서
- 양곡집
5. 기타
참조
[1]
역사기록
《숙종실록》 8권, 5년(1679 기미 / 청 강희(康熙) 18년) 10월 4일(을축)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2]
서적
《국조인물고》 권66
[3]
역사기록
《숙종실록》 8권, 5년(1679 기미 / 청 강희(康熙) 18년) 7월 20일(임자)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역사기록
《숙종실록》 13권, 8년(1682 임술 / 청 강희(康熙) 21년) 7월 17일(임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역사기록
《숙종실록》 14권, 9년(1683 계해 / 청 강희(康熙) 22년) 10월 13일(경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역사기록
《숙종실록》 17권, 12년(1686 병인 / 청 강희(康熙) 25년) 10월 21일(임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역사기록
《숙종실록》 31권, 23년(1697 정축 / 청 강희(康熙) 36년) 4월 23일(임신) 7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