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적 (촉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적은 촉한의 인물로, 산양군 출신이며 형주 자사 유표를 섬겼다. 유비와 교류하며 익주를 따라가 유비 휘하에서 종사중랑을 지냈다. 오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손권에게 변론 실력을 인정받았으며, 촉한 건국 후 소문장군으로 승진하여 제갈량 등과 함께 촉의 법률인 촉과를 제정했다. 진수는 이적을 품행이 고결하고 교양이 풍부한 인물로 평가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유비에게 호의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마량, 마속 형제를 추천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표와 주변 인물 - 유비
유비는 후한 말 평민 출신으로 시작하여 관우, 장비와 의형제를 맺고 여러 세력을 거치며 활동하다 제갈량을 영입하여 촉한을 건국하고 초대 황제가 되었으나, 이릉 전투 패배 후 병사하였다. - 유표와 주변 인물 - 관우
관우는 후한 말기 ~ 삼국시대 촉한의 무장이자 정치인으로, 유비, 장비와 도원결의를 맺은 의형제로서 유비를 보좌하며 뛰어난 무예와 충절로 이름을 알렸으나, 손권의 계략으로 최후를 맞이한 후 동아시아에서 신으로 숭배받고 대중문화에서 영웅적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지만, 강직함과 자만심이 정치적 판단력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도 받는 인물이다. - 유비 휘하의 정치인 - 제갈량
제갈량은 삼국 시대 촉한의 정치가이자 전략가로, 유비의 삼고초려로 촉한에 합류하여 승상이 되었고, 섭정으로서 남정을 통해 촉한의 기반을 다졌으며, 북벌을 통해 위나라를 공격했으나 실패했으며, 법치주의와 인재 등용을 중시하고 경제 정책을 통해 국력을 강화했다. - 유비 휘하의 정치인 - 마량
마량은 촉한의 관료이자 유비의 측근으로, 형주에서 등용되어 종사, 시중을 지냈으며 이릉 전투에서 전사했고, 뛰어난 재능을 칭송하는 '백미'라는 별명으로 유명하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이적 (촉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이적 |
원어 이름 | 伊籍 |
자 | 기백 (機伯) |
출생지 | 산둥성주예현 |
직업 | 외교관, 정치인, 작가 |
관직 | |
소속 | 유비 / 유선 |
주요 직책 | 종사중랑 (유비 휘하) 소문장군 |
임관 시기 (종사중랑) | 214년 |
임관 시기 (소문장군) | 221년 |
생애 | |
주요 활동 | 촉한의 외교관 및 관리로 활동 |
2. 생애
이적은 촉한 건국 후 소문장군으로 승진했으며, 제갈량, 법정, 유파, 이엄과 함께 촉의 법률인 촉과를 제정하는데 참여했다.[5]
2. 1. 초기 생애 및 유표와의 만남
산양군 출신인 이적은 고향이 같은 진남장군 유표에게 의지하였다.[8] 이후 유비가 유표에게 의지하면서 유비와 인연을 맺게 되었다.[1] 200년대 초, 유비가 조조의 공격을 피해 유표에게 의탁했을 때, 유표는 유비가 형주 북부의 신야현에 머물도록 허락했다. 이적은 그 무렵 유비를 여러 차례 만나 알게 되었다.[2]208년 유표가 사망한 후, 그의 아들 유총이 뒤를 이었으나 조조에게 항복하였다. 이적은 유비와 함께 유표의 맏아들 유기가 지키던 하구(현재의 후베이성 우한)로 이동하여 유비의 관리가 되었다.[3]
2. 2. 유비를 섬기다
유표와 같은 고향인 산양군 출신으로, 진남장군 유표에게 의지하였다.[8] 유비가 유표에게 의지하면서 유비와 인연을 맺었다. 208년 유표가 죽자 유비를 따라 장강을 건넜다. 유비가 익주를 손에 넣자, 이적은 유비에게서 좌장군 종사중랑(左將軍 從事中郞)이 되었고 간옹, 손건과 버금가는 대우를 받았다.[3]이적이 오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오왕 손권은 그의 말솜씨가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는, 그와의 대화 중에 언어유희로써 그를 굴복시키려고 했다. 마침 이적이 들어와 손권에게 절을 했다.
손권이 "도(道)가 없는 군주(=유비)를 섬기느라 수고하십니다."라고 말하자, 이적은 "한번 절했을 뿐인데 수고한다고 말하기엔 충분하지 못하지요."라고 대답했다.[4] 이처럼 이적은 기지와 민첩함을 보여주었고, 손권은 이적의 사자로서의 기지와 웅대에 감동하여 그를 기이하게 보았다.
2. 3. 촉한에서의 활약
유표가 죽자 유비를 따라 장강을 건넜다. 유비가 익주를 손에 넣자 이적은 유비에게서 좌장군 종사중랑(左將軍 從事中郞)이 되었고 간옹, 손건과 버금가는 대우를 받았다.[3]이적이 오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오왕 손권은 그의 말솜씨가 뛰어나다는 말을 듣고는, 그와의 대화 중에 언어유희로써 그를 굴복시키려고 했다. 마침 이적이 들어와 손권에게 절을 했다. 그를 맞이한 손권이 말했다.
'''"도(道)가 없는 군주(=유비)를 섬기느라 수고하십니다."'''
손권의 의중을 꿰뚫어본 이적이 대답했다.
'''"한번 절했을 뿐인데 수고 한다고 말하기엔 충분하지 못하지요."'''
이적의 기지와 민첩함이 대체로 이와 같아 손권은 이적의 사자로서의 기지와 웅대에 감동하였고, 그를 기이하게 보았다.[4] 뒤에 촉으로 돌아와 소문장군으로 승진했으며, 제갈량, 법정, 유파, 이엄과 함께 촉의 법률인 촉과(蜀科)를 만들었다. 촉과의 체제는 이 다섯 명에 의해 이루어졌다.[5]
3. 평가
진수는 《익지전》에서 이적을 미축, 손건, 간옹과 함께 품행이 고결하고 교양이 풍부하며, 식견이 넓고 예법을 잘 지키는 인물로 평가했다.[6]
4. 《삼국지연의》에서의 이적
유비가 유표에게서 받은 적로를 돌려받았을 때, 이적은 적로의 흉상이 타는 사람에게 해를 준다는 일화를 유비에게 전하지만 유비는 이를 묵살한다. 그 후 유비에게 감동하여 유비의 문객이 되었으며, 채모가 연회에서 유비 암살을 꾀했을 때는 유비에게 이를 알려 도망가게 했다.[1]
유표가 죽고 뒤를 이은 차남 유종이 조조에게 항복하자, 이적은 유비에게 가서 마씨 5상을 천거했고, 후에 관우를 도와 형주를 지켰다. 형주가 여몽의 공격을 받자 마량과 함께 구원 요청을 위해 성도로 갔으나 관우는 이미 여몽에게 참살되어 이적은 그대로 성도에 남았다.[1]
221년 유비에게 다른 신하들과 함께 황제가 되라고 권했으며,[1] 마량, 마속 형제를 추천하기도 했다.[1]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38
[2]
서적
Sanguozhi vol. 38
[3]
서적
Sanguozhi vol. 38
[4]
서적
Sanguozhi vol. 38
[5]
서적
Sanguozhi vol. 38
[6]
서적
Sanguozhi vol. 38
[7]
서적
蜀書
[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