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량은 촉한의 인물로, 유비가 형주 자사로 추대될 무렵 종사로 등용되었다. 그는 제갈량과 친분이 있었으며, 손권과의 외교 임무를 수행하고 시중을 역임했다. 이릉 대전에서 전사했지만, 재능 있는 형제들 중 가장 뛰어난 인물로 평가받았으며, '백미'라는 별칭으로 불렸다. 진수는 마량을 훌륭한 인재로 평가했고,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참모 역할과 외교적 면모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년 출생 - 조비
조비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초대 황제로, 조조 사후 위왕과 승상 자리를 이어받아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위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즉위하여 구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내정을 정비했으나 오나라 정벌에 실패하고 요절했으며, 문학적 재능이 뛰어나 문장경국 사상을 내세우기도 했다. - 촉한의 시중 - 관흥
관흥은 삼국시대 촉한의 장수로 관우의 아들이며, 아버지 사후 한수정후 작위를 계승하고 제갈량에게 재능을 인정받아 시중·중감군에 임명되었으나 젊은 나이에 사망한 인물이다. - 촉한의 시중 - 제갈첨
제갈첨은 제갈량의 아들이자 촉한의 장군 겸 정치가로, 무향후 작위를 계승하고 조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263년 위나라의 침공에 맞서 싸우다 아들과 함께 전사하여 충신으로 칭송받고 백성들에게 인기가 높았다. - 222년 사망 - 엘라가발루스
엘라가발루스는 시리아 출신으로 태양신 헬리오가발루스의 사제였으며, 로마 황제가 된 후 엘라가발 신앙을 전파하고 파격적인 행보를 보이다 살해당한 인물로, 그의 통치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지만 긍정적인 재평가도 존재한다. - 222년 사망 - 장남 (촉한)
장남은 삼국 시대 촉한의 무관으로, 유비 휘하에서 복무하며 이릉 전투에서 촉 군대의 선봉으로 참전했다가 육손의 공격으로 전사했다.
마량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마량 |
본명 | 마량 |
자 (字) | 계상(季常) |
별명 | 백미(白眉) |
출생 | 187년 |
출생지 | 형주양양군 의성 |
사망 | 222년 (36세) |
사망지 | 형주의도군이릉 또는 창양현, 후베이성 |
국적 | 후한 → 촉나라 |
가족 관계 | |
형제 | 마속 포함 4명의 형제 |
자녀 | 마빙 |
관직 | |
초기 임관 | 종사 (從事) |
승진 | 좌장군연 (左將軍掾) |
최종 관직 | 시중 (侍中) |
주요 섬긴 군주 | 유비 |
2. 생애
209년(건안 14년) 유비가 형주목으로 추대될 무렵 종사(從事)로 등용되었다. 서촉 공방전에 참여한 제갈량과 편지를 주고받을 정도로 친분이 있었다. 익주가 평정된 후 성도(成都)로 불려가 좌장군연(左將軍掾)이 되었고 손권과의 친선을 위한 사신 임무를 맡기도 하였다.[3][4]
마량은 유비의 동맹인 손권을 만나기 위해 사신으로 임명되었다. 오나라로 떠나기 전 제갈량에게 자신을 손권에게 소개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제갈량은 마량에게 직접 소개글을 써보라고 권했다. 마량은 다음과 같이 자신을 소개하는 글을 작성했다.
> "저희 현명하신 군주께서는 저 마량을 보내 존경을 표하고, 선물을 가져다 우정을 증진하여 곤오(昆吾)와 시위(豕韋)의 칭찬받을 유산을 이어가도록 하였습니다. 저는 형초 지역의 재능 있는 행운의 사나이입니다. 드물게도 저는 행동에 경솔하지만, 일을 끝까지 처리하는 미덕을 가지고 있습니다. 평온한 마음으로 당신을 향해 머리를 돌려 당신이 저를 받아들여 제 사명을 완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시기를 바랍니다."
손권은 마량을 정중하게 대접했다.[8]
221년, 유비가 황제에 즉위하여 촉한을 건국하자 마량은 시중(侍中)에 임명되었다.[19] 같은 해 7월, 유비가 오나라를 공격할 때 마량도 종군하였다. 222년(장무 2년), 무릉군 5계[32]의 이민족을 회유하여 아군으로 삼는 데 성공하였으나, 이릉 대전에서 촉한군이 대패하면서 전사하였다. 향년 36세였다.[20] 유비는 그의 아들 마병(馬秉)에게 기도위를 주었다.[21]
2. 1. 초기 생애와 유비와의 만남
마량은 현재의 후베이성 이청 시인 의성현(宜城縣), 샹양시에서 태어났다. 형제로는 마속 등이 있었는데, 마량은 그 중에서도 가장 재능 있는 사람으로 존경받았다. 그는 눈썹에 흰 머리카락이 있어 고향에서 "마씨 가문의 오상(五常) 중 백미(白眉)가 가장 '량(良)'하다."라는 말이 있을 정도였다.[32] 여기서 유래하여 같은 종류 중에서도 특히 뛰어난 사람이나 물건을 백미라고 부르게 되었다.209년, 유비가 형주(현재의 후베이성과 후난성을 포함)를 장악하면서 마량을 종사(從事)로 등용했다. 마량은 제갈량과 친한 친구였으며, 의형제였다.[3][4]
마량은 익주에 있던 제갈량에게 편지를 써서 그를 칭찬하고 격려하기도 했다. 편지에서 마량은 제갈량을 "존경하는 형님"이라고 불렀으며, 제갈량의 업적을 높이 평가했다. 제갈량은 마량의 편지를 받고 기뻐하며, 그들과의 친밀한 유대감을 소중히 여겼다.[6]
유비의 익주 점령 이후, 마량은 좌장군(左將軍)부의 원(掾)으로 승진했다.
자의 "계(季)"에서 마량은 넷째 아들로 추측된다(백중숙계). 마속 외의 형제들의 성명이나 사적에 대해서는 불명이다.
유비가 형주를 지배하게 되자, 마량은 마속과 함께 종사로 임명되었다.[15] 유비는 입촉 시에 마속을 수행하게 하고 마량을 형주에 머물게 했다. 이후 제갈량도 유비를 수행하기 위해 형주를 떠났지만, 그 때도 마량은 계속 형주에 머물렀다.
2. 2. 촉한에서의 활동과 외교적 역할
209년(건안 14년), 유비가 형주목으로 추대될 무렵 마량은 종사(從事)로 등용되었다. 서촉 공방전에 참여한 제갈량과 편지 교류를 할 정도로 친분이 있었다. 익주가 평정된 후 성도(成都)로 불려가 좌장군연(左將軍掾)이 되었고, 손권과의 친선을 위한 사신 임무를 맡기도 하였다.[3][4]마량은 유비의 익주 점령 이후 좌장군부의 원(掾)으로 승진했다. 그는 유비의 동맹인 손권을 만나기 위한 사신으로 임명되었다. 오나라로 떠나기 전, 마량은 제갈량에게 "이제 저는 두 국가 간의 조화와 우정을 가져오라는 국가의 사명을 받았습니다. 당신을 통해 손권 장군에게 소개될 기회를 가질 수 있겠습니까?"라고 말했고, 제갈량은 "당신이 직접 무언가를 써보는 것이 좋겠소."라고 답했다. 마량은 다음과 같은 초안을 썼다.
손권은 마량을 받아들여 매우 존경스럽게 대했다.[8]
221년, 동한 왕조가 붕괴된 후 유비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촉한을 건국했다. 마량은 촉한의 시중(侍中)으로 임명되었다.[19] 그해 말, 유비는 손권에 대항하는 원정을 시작했고, 이릉 전투가 벌어졌다. 마량은 무릉군(武陵; 현재의 후난성 창더 시, 우링 구 주변)의 부족들을 설득하여 유비에 가담하도록 하는 임무를 맡았고, 그는 임무에 성공했다.[9] 군대는 이도(宜都)의 샤오팅(Xiaoting)에 도착할 때까지 진군했고, 그곳에서 유비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된 자신의 진영을 확장했다. 마량은 무릉으로 가는 길을 따라 유비를 따라갔고, 이전에 유비에 합류했던 이(夷)와 만(蠻) 부족들의 일을 감독하고 관리하도록 추가로 파견되었다.[10] 222년 이릉 전투에서 유비는 육손에게 대패했고, 마량은 전투 중 사망했다.[11] 이후 백제성(현재의 충칭시 펑제 현)으로 안전하게 후퇴한 후, 유비는 마량의 아들 마병(馬秉)을 기도위(騎都尉)로 임명했다.[21]
2. 3. 이릉 전투와 죽음
209년(건안 14년), 유비가 형주목으로 추대될 때 종사(從事)로 등용되었다. 221년 유비가 황제에 즉위하자 시중(侍中)에 임명되었다. 222년(장무 2년), 유비가 오나라를 공격할 때 종군하여 무릉군 5계[32]의 이민족을 회유하는 임무를 맡아 성공하였다. 그러나 이릉 대전에서 촉한군이 크게 패하면서 전사하였다. 당시 그의 나이는 36세였다. 유비는 그의 아들 마병(馬秉)에게 기도위를 주었다.[11]3. 평가
진수는 마량을 지조 있고 성실하며 훌륭한 선비라고 평하였다.[33] 양희 역시 비슷하게 썼다.[34] 고향에서는 마량 5형제가 모두 재주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마량이 특출하다고 하였다. 여기서 백미라는 고사가 유래하였다.[35]
배잠은 마량은 형주 지방 최고의 명사였으며 유비군에 합류하여 내정과 외교에서 뛰어난 재주를 발휘하면서 이후 유비가 형주와 익주, 한중까지 얻을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진수는 《삼국지》에서 마량의 전기를 쓰면서 "마량은 청렴하고 정직하며 훌륭한 인재로 칭찬받았다. 그는 '령사'(令士; 덕망 있는 학자)라 불릴 만했다... 그는 동화, 유파, 진진, 동윤과 함께 촉한의 훌륭한 신하 중 한 명이었다."라고 평가했다.[12] 진수는 마량을 성실하고 촉의 훌륭한 신하라고 칭찬했다.[22]
양희가 지은 계한보신찬에서는, 마량의 성실함을 칭찬하며, 널리 뜻을 펼치고 형초의 뛰어난 인물이었다고 평했다.
4. 가계
- -|]]
- 동생: 마속
5.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마량은 이적의 천거로 유비에게 출사하여, 형주 남부의 4군(무릉, 장사, 영릉, 계양) 정벌을 제안한다.[23] 익주로 가지 않고 형주에서 관우를 계속 보좌한다. 관우가 화타에게 수술받을 때 바둑을 두는 상대로 설정되었다.[25] 관우가 여몽에게 습격당하자 이적과 함께 성도에 원군을 요청한다.[26] 이릉 전투에서는 유비의 진지 구축에 의문을 품고 조언을 구하러 제갈량에게 달려간다. 제갈량의 남정 무렵 병사한다.[30]
6. 관련 작품
참조
[1]
서적
Sanguozhi vol. 39
[2]
서적
Sanguozhi vol. 39
[3]
서적
Sanguozhi vol. 39
[4]
서적
Sanguozhi vol. 39
[5]
서적
Sanguozhi vol. 39
[6]
서적
Xiangyang Ji vol. 02
[7]
서적
Sanguozhi vol. 39
[8]
서적
Sanguozhi vol. 39
[9]
서적
Sanguozhi vol. 39
[10]
서적
Huayang Guo Zhi vol. 6
[11]
서적
Sanguozhi vol. 39
[12]
서적
Sanguozhi vol. 39
[13]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14]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15]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16]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17]
문서
益陽市史
[18]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19]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20]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21]
wikisource
삼국지/권39#마량
[22]
wikisource
삼국지/권39#【評】
[23]
wikisource
삼국연의/제052회
[24]
wikisource
삼국연의/제063회
[25]
wikisource
삼국연의/제075회
[26]
wikisource
삼국연의/제076회
[27]
wikisource
삼국연의/제083회
[28]
wikisource
삼국연의/제084회
[29]
서적
三国志演義 (支那文学評釈叢書 ; 第1巻)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30]
wikisource
삼국연의/제087회
[31]
서적
삼국지
[32]
서적
수경주
[33]
서적
삼국지
[34]
서적
삼국지
[35]
문서
마량전(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