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폴리토 데 메디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폴리토 데 메디치는 1511년 우르비노에서 태어난 사생아로, 교황 레오 10세와 교황 클레멘스 7세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했다. 1529년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으며, 아비뇽 대주교를 겸임하며 상당한 수입을 얻었지만, 성직자보다는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기를 원했다. 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대관식에 참석하고, 헝가리에서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기도 했으며, 로마 교황청에서 부총장으로 임명되기도 했다. 1535년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폭정을 비판하려다 이트리에서 말라리아로 사망했으며, 독살설이 제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35년 사망 - 토머스 모어
    토머스 모어는 잉글랜드의 법률가, 사상가, 정치가이자 인문주의자로 헨리 8세 시대에 대법관을 지냈으나 종교 개혁과 이혼에 반대하여 처형되었고, 《유토피아》를 통해 이상 사회를 묘사하여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시조로 여겨지며 가톨릭과 성공회에서 성인으로 추대된다.
  • 1535년 사망 -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
    프란체스코 2세 스포르차는 루도비코 스포르차와 베아트리체 데스테의 아들이자 프랑스 침공으로 망명 생활을 했으며 카를 5세에 의해 밀라노 공작에 임명, 코냑 동맹 전쟁에 가담 후 실패,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제4차 이탈리아 전쟁의 원인이 된 밀라노 공국의 공작이다.
  • 1511년 출생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 1511년 출생 - 이정 (1511년)
    이정은 1511년에 태어나 1583년에 사망한 조선 중기의 인물로, 증 좌의정에 추증되고 덕연부원군에 봉해졌으며, 아들 이순신은 임진왜란에서 순절하여 공신으로 추증되었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토머스 울지
    토머스 울지는 15세기 잉글랜드에서 태어나 헨리 7세와 헨리 8세 시대에 걸쳐 왕실 고위직을 역임하며 권력을 행사했지만, 헨리 8세의 이혼 문제 해결 실패로 몰락한 성직자이자 정치가이다.
  • 16세기 로마 가톨릭 대주교 - 교황 율리오 2세
    율리오 2세는 1503년부터 1513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 세속 권위 견제, 교황령 중앙 집권화, 그리고 르네상스 예술가 후원을 통해 로마를 예술의 중심지로 만드는 데 기여했다.
이폴리토 데 메디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티치아노가 그린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 초상화
티치아노가 그린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 초상화
풀네임이폴리토 데 메디치
가문메디치 가문
아버지줄리아노 데 메디치
어머니파치피카 브란다노
출생일1511년 3월
출생지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사망일1535년 8월 10일
사망지이트리, 나폴리 왕국
국적공화국
정치 경력
직위피렌체의 군주
재임 기간1523년 11월 19일 – 1527년 5월 16일
이전 군주줄리오 데 메디치
다음 군주알레산드로 데 메디치
종교 경력
직함추기경
임명1529년

2. 생애

1511년 우르비노에서 줄리아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태어났다.[22] 1516년 5세의 나이로 아버지와 사별했고, 삼촌인 교황 레오 10세와 종숙부 줄리오 데 메디치(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가 그를 키웠다.

1523년 교황으로 즉위한 클레멘스 7세로부터 사촌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와 함께 피렌체의 지배권을 넘겨받았지만, 실제로는 클레멘스 7세가 임명한 실비오 파세리니 추기경을 통해 로마에서 피렌체를 원격 통치했다. 1527년 로마 약탈 이후 피렌체 시민들의 반란으로 이폴리토를 포함한 메디치 가문 사람들은 추방되었고, 1529년부터 1530년까지 이어진 피렌체 공방전 이후 클레멘스 7세는 이폴리토가 아닌 알레산드로를 피렌체 통치자로 세웠다. 클레멘스 7세는 이폴리토를 아비뇽 대주교를 거쳐 1529년에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1532년에는 교황 특사로 헝가리로 파견했다.[23]

티치아노의 ''헝가리 복장을 한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의 초상''(1532–33)


1529년 8월 12일,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은 볼로냐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대관식에 참여했다.[6][7] 1532년 봄에는 교황 특사로 헝가리로 파견되어 레겐스부르크에서 군사적 재능을 보여주기도 했다.[9][11][12]

조르조 바사리와는 어린 시절부터 친구였으며, 1524년부터 1527년까지 피렌체에 머물렀던 바사리와 교류했다. 1530년 볼로냐에서 열린 황제 대관식에서 바사리를 티치아노 베첼리오에게 소개했고, 1531년에는 로마로 가는 길에 바사리를 불렀으며, 1532년 헝가리 부임 시에는 바사리를 피렌체의 알레산드로에게 보냈다.[25]

줄리아 곤차가와 친구였으며, 연인 관계였을 가능성도 있다.[16] 카테리나 데 메디치와 서로 사랑했지만, 프랑수아 1세의 차남 앙리 왕자(훗날 앙리 2세)와 결혼시키려는 클레멘스 7세에 의해 헤어졌다.[26]

1534년 클레멘스 7세가 죽자, 피렌체를 다스리던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와 대립하여 망명했다. 1535년 카를 5세의 피렌체 대사를 맡았지만, 같은 해 알레산드로의 폭정을 황제에게 호소하던 중 말라리아이트리에서 급사했다. 알레산드로에게 독살되었다는 소문이 퍼졌다.[24]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511년 우르비노에서 줄리아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태어났다.[22] 아버지는 그가 겨우 5살(1516년) 때 사망했고, 그 후 그의 삼촌인 교황 레오 10세와 사촌인 줄리오 데 메디치(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에 의해 길러졌다.

1523년 줄리오 데 메디치가 교황 클레멘스 7세로 선출되자 1524년부터 1527년까지 그를 대신하여 피렌체를 통치했다. 하지만 너무 어렸기 때문에 후견인이자 교황 대사였던 (1469~1529) 추기경이 대신 통치했다.[27][28]

조르조 바사리와는 어린 시절부터 학우였으며, 이폴리토가 피렌체의 참주였을 당시 1524년부터 1527년까지 바사리는 피렌체에 머물며 알레산드로와 함께 이폴리토와 친교를 맺었다.

2. 2. 피렌체 통치와 망명

1523년에 줄리오 데 메디치가 교황 클레멘스 7세로 선출되어 로마로 떠나면서, 이폴리토가 그를 대신해 피렌체를 통치했다.[27][28] 하지만 사실상 나이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후견인이자 교황 대사였던 (1469~1529) 추기경이 대신 통치했다.[27][28]

1527년 5월에 벌어진 로마 약탈로 정국이 혼란해지자 피렌체의 공화주의자들이 봉기하였고, 이폴리토를 포함한 메디치 일원들은 국외로 망명하였다.

2. 3. 추기경 임명과 교회 내 활동

클레멘스 7세는 자신을 돕고 후계자로 양성하기 위하여 1529년 1월 10일 이폴리토를 추기경으로 만들었고, 같은 날 그를 아비뇽의 초대 대주교로 임명하여 상당한 수입을 가져다주었다.[29] 겨우 열여덟 살이었기 때문에 교황의 특별허가 없이는 주교로 봉직될 수도 없고 심지어 교구의 관리인이 될 수도 없었다.[2] 이폴리토는 산타 프라세데의 추기경으로 임명되었지만, 그가 사제로 임명되거나 주교로 봉헌되었다는 증거는 없다.[3]

이폴리토는 성직자보다는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는 것을 원했고, 그의 친척이자 초대 피렌체 공작인 알레산드로를 퇴위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1529년 5월 3일, 이폴리토 추기경은 페루자교황 특사로 명명되었다.[5]

1529년 8월 12일,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은 볼로냐에서 황제 대관식을 거행할 목적으로 제노바에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를 만난 세 명의 추기경 중 한 명이었다.[6] 또한 볼로냐에서 거행된 대관식에 참가하였다.[7]

1530년 2월 15일, 교황 클레멘스는 이폴리토 추기경에게 일생 동안 키우시의 마을과 영토에서 나오는 연간 교황 수입에서 ⅓ 몫을 주었다.[8]

이탈리아 문학가 피에트로 아레티노의 일기에 따르면 이폴리토는 1532년 교황대사로 임명되어 헝가리로 보내졌다.[9] 그는 8월 12일까지 레겐스부르크에 있었다.[11] 그곳에서 그는 군 지휘관으로서의 재능을 나타냈다.[12] 이듬해 초 황제와 함께 이탈리아로 귀국했다.[13]

1532년 7월 3일, 이폴리토 추기경은 로마 교황청에서 가장 수익성이 높은 사무소인 신성 로마 교회 부총장으로 임명되었다.[14] 그 후 다마소의 산 로렌초의 티툴라 교회로 전근되었다.[15]

2. 4. 외교 활동

1511년 우르비노에서 태어난 이폴리토 데 메디치는 1516년 5세의 나이로 아버지와 사별했다.[22] 그를 키운 것은 삼촌인 교황 레오 10세와 종숙부 줄리오 데 메디치(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였다.

1529년 8월 12일, 이폴리토 데 메디치 추기경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를 제노바에서 만나 볼로냐에서 황제 대관식을 거행하기 위해 그를 수행한 세 명의 추기경 특사 중 한 명이었다.[6] 볼로냐에서 그는 대관식에 참여했다.[7]

1532년 봄, 이폴리토는 교황 특사로 헝가리로 보내졌으며,[9] 이탈리아 문인 피에트로 아레티노의 일기에 따르면 7월 8일 로마를 출발했다.[10] 그는 8월 12일까지 레겐스부르크에 도착했다.[11] 그곳에서 그는 군사적 재능을 보여주어[12] 8,000명의 헝가리 군인을 이끌고 오스만 투르크에 맞섰지만, 술탄 술레이만 1세는 너무 늦은 시기에 움직이려 하지 않았고, 황제 카를 5세는 공격이 아닌 방어에 충분한 병력만 보유하고 있었다. 황제가 이듬해 초 이탈리아로 돌아오자 이폴리토 추기경도 그를 따라갔다.[13]

1534년 클레멘스 7세가 죽자, 피렌체를 단독으로 지배하게 된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와 대립하여 망명했으며, 1535년 신성 로마 황제스페인왕카를 5세의 피렌체 대사를 맡았지만, 같은 해 알레산드로의 폭정을 황제에게 호소하는 여행 도중 말라리아에 걸려 라치오 남부 이트리에서 급사했다. 그를 험담하던 알레산드로에 의해 독살되었다는 소문이 널리 퍼졌다.[24]

2. 5. 갈등과 죽음

이폴리토는 성직자보다는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기를 원했으며, 사촌이자 초대 피렌체 공작인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를 몰아내기 위해 노력했다.[4] 1535년,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영향력에서 벗어난 이폴리토는 피렌체의 대사로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에게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폭정을 상세히 전달하기도 했다.[18]

그는 폰디 백작부인 줄리아 곤차가와 친구였으며, 어쩌면 연인 관계였을 수도 있다.[16] 카테리나 데 메디치와 서로 사랑했지만,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가 한때 그와 카테리나가 은밀하게 포옹하는 것을 목격하기도 했다. 추기경으로 파견된 후, 그들은 더 이상 서로를 만날 수 없었다. 클레멘스 7세가 이폴리토를 추기경으로 만든 이유가 그와 카테리나를 떼어놓기 위해서였다는 주장이 있다.[26] 결국 1531년 4월 24일, 카테리나는 프랑스 왕 프랑수아 1세의 아들 앙리 왕자와 결혼하기로 하는 계약이 체결되었다.[17]

1534년 9월 25일, 이폴리토의 사촌 교황 클레멘스 7세가 사망했다. 콘클라베는 10월 12일 알레산드로 파르네세를 선출했고, 그는 교황 바오로 3세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1535년, 이폴리토는 8일 동안 앓았던 열병으로 라치오 남부의 이트리에서 말라리아로 사망했다.[18]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19] 또는 교황 바오로 3세[20]에게 독살되었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3. 가계도

이폴리토 데 메디치 가계도

4. 유산과 평가

이폴리토 데 메디치는 1511년 우르비노에서 줄리아노의 사생아로 태어나 5세에 아버지를 여의었다.[22] 삼촌 레오 10세와 종숙부 클레멘스 7세의 손에 자랐으며, 클레멘스 7세에 의해 사촌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와 함께 피렌체의 지배권을 받았으나, 실질적인 통치는 클레멘스 7세가 임명한 추기경을 통해 이루어졌다.[23]

1527년 로마 약탈 이후 피렌체에서 추방되었고, 1529년부터 1530년까지 이어진 피렌체 공방전 이후 클레멘스 7세는 알레산드로를 편애하게 되었으며, 이폴리토는 1529년 추기경으로 임명되어 1532년 교황 특사로 헝가리에 파견되었다.[23]

1534년 클레멘스 7세 사후, 알레산드로와의 대립으로 망명길에 올랐으며, 1535년 카를 5세에게 알레산드로의 폭정을 호소하려다 말라리아로 이토리에서 급사했다. 알레산드로에 의한 독살설이 널리 퍼졌다.[24]

이폴리토는 조르조 바사리와 어린 시절부터 친분을 쌓았으며, 티치아노 베첼리오에게 바사리를 소개하는 등 예술가들을 후원했다.[25] 또한 미켈란젤로 부오나로티와도 교류했다.[25] 그는 카테리나 데 메디치와 사랑하는 사이였으나, 클레멘스 7세에 의해 좌절되었다.[26]

이폴리토 데 메디치는 르네상스 시대의 복잡한 정치, 종교, 예술의 관계를 보여주는 인물이다. 그의 삶은 권력 투쟁과 예술 후원의 양면성을 드러내며, 현대 한국의 관점, 특히 더불어민주당의 시각에서 볼 때 권력과 예술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인물로 평가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EDICI, Ippolito de' in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73" https://www.treccani[...] 2022-06-25
[2] 서적 Gallia christiana https://archive.org/[...] Imprimerie royale 1715
[3]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www2.fiu.edu/[...] 2016-10-09
[4] 문서 Thomsen, p. 417.
[5] 간행물 Eubel, III, p. 20, n.7. L. Fiumi, "La legazione del Cardinale Ippolito de' Medici nell' Umbria", Bollettino della regia deputazione di storia patria per l'Umbria, 5 (1899), pp. 481–587.
[6] 문서 Giordani, p. 4.
[7] 서적 Il ferro e l'oro: Carlo V a Bologna (1529-30) https://books.google[...] Editrice Compositori
[8] 문서 Eubel, III, p. 20, n.7.
[9] 서적 The life of Giorgio Vasari: a study of the later renaissance in Italy https://archive.org/[...] H. Holt
[10] 간행물 Baronio, Annales ecclesiastici Tomus 32, under the year 1532, § 24, p. 236.
[11] 문서 Pastor, X, p. 200.
[12] 문서 Cardella, IV, p. 109.
[13] 문서 Cardella, p. 109.
[14]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naissance and Reformation, Volumes 1-3, A-Z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5] 간행물 Cardinal Ippolito's predecessor as Vice-Chancellor, Cardinal Pompeo Colonna, had been Cardinal Priest of San Lorenzo in Damaso and Archbishop of Mondovi in Sicily. Ippolito was succeeding Colonna in all three posts. He could only be Administrator of Mondovi, however, since he was not a bishop. Eubel, III, pp. 64, 250.
[16] 서적 Catherine de'Medici Routledge
[17] 문서 Knecht, p. 21.
[18] 문서 Crews, p. 109.
[19] 서적 Eminent Literary and Scientific Men of Italy, Spain, and Portugal ...: Dante. Petrarch. Boccaccio. Lorenzo de' Medici [etc.] Bojardo. Berni. Ariosto. Machiavelli https://books.google[...] Longman, Rees, Orme, Brown, Green, & Longman
[20] 서적 Contemporaries of Erasmus: A Biographical register of the reinaissance and reformation volume 1-3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1] 서적 Zoo culture: The book about watching people watch animal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2] 문서 森田、P224。
[23] 문서 森田、P240、P244、P255、スピーニ、P80、P128、モレ、P35 - P36、P56。
[24] 문서 森田、P255 - P256、スピーニ、P98 - P99、松本、P171。
[25] 문서 スピーニ、P99、モレ、P36 - P38、P49 - P56、P62 - P68、松本、P51 - P52。
[26] 문서 森田、P247。
[27] 문서 1519년에 피렌체의 통치자였던 로넨초 2세가 사망하자 줄리오(훗날 교황 클레멘스 7세) 추기경이 메디치 가문의 일원으로 피렌체를 통치했었다. 알레산드로와 이폴리토는 교황 클레멘스 7세가 1523년에 교황에 선출된 후에 피렌체를 통치하기 시작했으나 13살,12살로 어린나이였기에 실비오 파세리니 추기경이 후견인겸 섭정이 되어 사실상 통치하였다. 이때 많은 권력을 휘두르면서 많은 재산을 모았다.
[28] 문서 그의 부친은 1494년 메디치가문이 추방되었을 때 반 메디치 세력에 의해 투옥될정도로 메디치의 열성당원이였다. 실비오는 어려서부터 메디치의 식솔이 되어 메디치 궁에서 성장하였고 로렌초의 차남 조반니(1475-1521)와 매우 친하게 지냈으며 같이 동문수학했다. 캉브레 동맹전쟁(1508-16)중인 1511년에 조반니 추기경과 함께 대 프랑스 전쟁의 최전선에 참전했다가 함께 포로로 잡히기도 했다. 1513년 조반니가 레오 10세 교황이 된후 추기경이 되었고 아울러 고향인 코르토나의 주교,피렌체와 아레초의 대교구장이 되었다.
[29] 간행물 Saint Marthe, Denis (1716). Gallia christiana (Tomus primus ed.). Paris: Imprimerie royale. p. 831. Eubel, Conradus (ed.); Gulik, Guilelmus (1923). Hierarchia catholica, Tomus 3 (second ed.). Münster: Libreria Regensbergiana. pp. 20, 126–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