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안대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익안대군은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서자이며, 조선 개국 후 여러 왕자를 군으로 봉할 때 익안군에 봉해졌다. 개국공신 1등에 추록되었으며, 익안공 중군 절제사, 정사 일등 공신을 거쳐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올랐고, 익안부원대군에 봉해졌다. 사후 마한 공정공에 추봉되었으며, 경기도 개풍군에 장사지내고 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드라마 《용의 눈물》, 《육룡이 나르샤》, 《태종 이방원》에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의 공작 - 회안대군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인 회안대군 이방간은 조선 건국 공신으로 회안군에 봉해졌으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유배 생활을 하다 병사했고, 사후 고종 때 신원 회복되어 시호를 받았다. - 조선의 공작 - 태종 (조선)
태종은 조선의 제3대 왕으로, 왕자의 난을 통해 즉위하여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 체제 확립에 힘썼으나, 공신과 외척을 숙청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1404년 사망 - 교황 보니파시오 9세
교황 보니파시오 9세는 서방 교회 대분열 시대에 1389년부터 1404년까지 재임한 로마 교황으로, 교황령에 대한 세속적 통치권 확립과 재건에 힘썼으나 아비뇽의 대립교황과 대립하고 성직 매매 등으로 비판받았다. - 1404년 사망 - 정빈 김씨
정빈 김씨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서모이며, 환조의 여종 출신으로 의안대군 이화를 낳았고, 태조의 예우를 받았으며 정안옹주로 봉해졌다가 고종 때 정빈으로 추증되었다. - 1360년 출생 - 맹사성
맹사성은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청렴하고 검소한 삶과 뛰어난 정치적 능력으로 명성을 떨친 문신이자 명재상으로, 조선 개국 후 태조, 태종, 세종 3대에 걸쳐 요직을 두루 역임하며 조선 초기 정치와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 1360년 출생 - 바예지드 1세
바예지드 1세는 1389년부터 1402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술탄으로 발칸 반도를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앙카라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사망했다.
익안대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이방의 (李芳毅) |
작위 | 공(公) 군(君) 대군(大君) |
별칭 | 마한 안양공(馬韓 安襄公) 익안부원대군(益安府院大君) |
생애 | |
출생일 | 고려 1360년 |
사망일 | 1404년 11월 7일 (양력) (향년 45세) |
사망 원인 | 알 수 없음 |
매장지 | 알 수 없음 |
거주지 | 고려 개성 조선 한성 |
가족 관계 | |
부모 | 조선 태조 신의왕후 한씨 |
배우자 |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철원 최씨 측실: 고성 이씨 |
자녀 | 2남 2녀 |
자녀 정보 | 익평부원군(益平府院君) 이석근(李石根) 선혜옹주(善惠翁主) 한가경의 처 영가정(永可正) 이승(李昇) |
형제 | 진안대군(동복형) 정종 (조선)(동복형) 회안대군(동복동생) 조선 태종(동복동생) 덕안대군(동복동생) 무안대군(이복동생) 의안대군(이복동생) |
기타 정보 | |
왕가 | 전주 이씨 |
왕조 | 조선(朝鮮) |
종교 | 유교(儒人) |
2. 생애
1392년 (태조 1년) 8월 25일 (음력 8월 7일) 조선 개국 이후 여러 왕자들을 군으로 봉할 때 익안군에 봉해졌다.[2] 이어서 개국공신 1등에 추가로 기록되었다. 1398년 (태조 15년) 10월 10일 (음력 9월 1일) 익안공 중군 절제사에 봉해졌다.[3] 같은 해 11월 9일 (음력 10월 1일) 정사 일등 공신에 책봉되었다.[4] 같은 해 음력 12월 15일 (양력 1399년 1월 22일) 개국 일등 공신의 예에 따라 포상을 받았다.[5]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올랐다. 1401년 (태종 1년) 2월 8일 (음력 1월 25일) 익안부원대군에 봉해졌다.[6]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성질이 온화하고 따뜻하며 화려하고 아름다운 것을 일삼지 않았고, 손님이 이르면 술자리를 베풀어 취하더라도 시사(時事)는 말하지 않았다”고 한다. 사후 마한 공정공(馬韓 恭靖公)에 추봉되었다.
경기도 개풍군 흥교면 사곡리 백암동 해좌 언덕에 장사지냈고, 정종 사후 정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후일 묘소는 풍덕군 동면 백암리 해좌로 이장되었다.[1] 부인 삼한국대부인 철원최씨의 묘는 경기도 파주군 천현면 삼방리(현, 파주시 법원읍)에 있다.[1] 1864년(고종 1년) 영종정경부사에 추증되었다.[1]
wiki
3. 사후
4. 가족 관계
구분 관계 성명 조부 환조 조모 의혜왕후 외조부 증 문하부사 안변 한씨 한경 아버지 태조 이성계 어머니 신의왕후 형 진안대군 이방우 형 영안대군 이방과 동생 회안대군 이방간 동생 정안대군 이방원 동생 덕안대군 이방연 동생 경신공주 동생 경선공주 배우자 정부인 삼한국대부인 동주 최씨(정경옹주) 첩부인 부부인 고성 이씨 자녀 장남 익평부원군 안량공 이석근 첫째 며느리 진한국대부인 화숙옹주 경주김씨 손자 신의군 이인 (당숙 순녕군 이덕근(진안대군의 아들)에게 입양) 손자 원윤 증 신성군 첫째 며느리 진한국대부인 김씨 손자 반남도정 이례 손자 종남도정 이지 손자 양진정 이신 손자 대림도정 이강 손자 백파도정 이상 장녀 회인현주(사후 선혜옹주로 추증) 첫째 사위 광산 김씨 첨총제 김한 외손자 김유돈, 김유장(직장) 외손녀 김경재의 처, 정철반의 처 차녀 미상 둘째 사위 한가경 외손자 한선 차남 영가정 이승
5. 등장 작품
익안대군이 등장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5. 1. 드라마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2]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3]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4]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5]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6]
서적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태백산사고본, 영인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