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룡이 나르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육룡이 나르샤'는 고려를 무너뜨리고 조선을 건국하려는 여섯 인물의 성공 스토리를 그린 팩션 사극이다. 젊은 이방원을 중심으로, 실존 인물과 가상 인물들의 야망, 갈등, 성공을 다루며, 고려 말 14세기를 배경으로 조선 건국 과정을 그린다. 정도전, 이방원, 분이, 땅새, 무휼, 이성계 등 주요 인물들의 관계와 갈등이 드라마의 주요 내용이며, '뿌리깊은 나무'의 프리퀄 작품으로, 주요 등장인물들의 젊은 시절을 다룬다. 최고 시청률 17.3%를 기록하며 많은 사랑을 받았으며, 다양한 시상식에서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정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 정종 시기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를 배경으로 정도전의 삶을 다룬 2014년 KBS 대하드라마이며, 조선 건국 과정을 정치인의 시각으로 조명하여 호평을 받았다.
  • 조선 태종을 소재로 한 작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 태종을 소재로 한 작품 -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1983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조선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세종 이도의 인간적인 고뇌와 훈민정음 창제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한인수가 세종 역을 맡아 MBC 연기대상 TV부문 남자 우수상을 수상했다.
  • 조선 태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용의 눈물
    용의 눈물은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태종 이방원의 삶과 왕권 강화를 위한 투쟁을 그린 KBS1 대하드라마로, 배우들의 열연과 짜임새 있는 스토리로 높은 시청률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나 역사 왜곡 논란과 폭력적인 묘사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 조선 태조를 소재로 한 작품 - 정도전 (드라마)
    《정도전》은 고려 말 조선 초를 배경으로 정도전의 삶을 다룬 2014년 KBS 대하드라마이며, 조선 건국 과정을 정치인의 시각으로 조명하여 호평을 받았다.
육룡이 나르샤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홍보 포스터
홍보 포스터
장르사극
정치 드라마
액션
극본김영현
박상연
연출신경수
출연출연진 목록 참고
국가대한민국
언어한국어
방송 채널SBS
방송 기간2015년 10월 5일 ~ 2016년 3월 22일
회차 수50
관련 작품뿌리깊은 나무
다른 이름뿌리 깊은 나무
제작 정보
기획한정환
이재원
윤신애
제작이희수
이영준
제작사앤유 엔터테인먼트
촬영 장소강원도 삼양목장
제작비₩ 300억
관련 웹사이트
웹사이트<육룡이 나르샤> 홈페이지

2. 기획 의도

고려라는 거악(巨惡)에 대항하여 고려를 끝장내기 위해 몸을 일으킨 여섯 인물의 이야기이며 그들의 화끈한 성공 스토리를 극화한 픽션 사극으로 기획되었다. 이 드라마는 한반도에서 조선 건국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며, 젊은 이방원을 중심으로, 실존 인물과 가상 인물들의 야망, 성공, 갈등을 보여준다.

3. 등장 인물

정도전, 이방원, 이성계를 포함한 주요 등장인물들은 고려 말, 혼란스러운 시대를 배경으로 각자의 이상과 신념을 가지고 새로운 국가인 조선 건국을 위해 노력했다.

인물설명
정도전고려 말에서 조선 초기의 문관이자 유학자. 호는 "삼봉"이며, 이성계의 책사이자 이방원의 스승이었으나, 훗날 이방원과 대립.[1]
이방원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훗날 조선 왕조 제3대 왕, 태종.
이성계이씨 조선의 창시자이자, 훗날 조선 왕조 제1대 왕, 태조.
분이땅새의 여동생이자, 이방원의 연인. 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백성을 대표하는 가상 인물.
땅새/이방지분이의 오빠, 정도전의 호위무사. 어둠의 검객 "까치 독사"를 자칭했지만, 진짜 독사는 척사광 (한예리).
무휼세종대왕의 최측근으로 내금위장에 오르는 조선제일검. "까치 독사"를 찾아 승부하고 싶어함.
조영규이방원의 측근. 생각한 것을 바로 입으로 내뱉는 친근한 성격.
갑분땅새의 친구이자, 가수.
홍사부무휼의 스승. 길태미, 길선미 형제를 키웠지만, 검술 자세가 엉망이라고 하여 절연.
연희화사단(유곽)에서 일하며 정도전을 도움.
정념 대사첩보 기관 "비국사"의 수장. 승려들을 간자로 활용.
초영첩보 기관 "화사단"의 수장. 기생들을 간자로 활용.
이방우이성계의 장남. 왕이 되면 고려에 다시 양위하겠다고 주장하는 성실한 성격.
이방간이성계의 넷째 아들. 이방원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유배.
의안대군이성계의 여덟째 아들. 세자(차기 왕)로 지명.
길태미쌍둥이 형제 중 동생. "고려 제일 검사"로 불림. 화장을 하고 여성스러운 말투를 사용하는 "도당 삼인방" 중 한 명.
길선미쌍둥이 형제 중 형. 평범한 복장을 한 상식인. 재야의 검객이지만, 실력은 길태미에 준함.
홍인방"도당 삼인방" 중 한 명. 길태미의 발탁으로 명목상 지위는 낮지만 실권은 능가.
이인겸"도당 삼인방"의 수장. "각하"라고 불리는 최고 권력자.
하륜재야의 학자. 호는 "호정". "각하"의 친척이며, 홀로 장례를 치름.
왕요고려 마지막 왕.
율란진짜 "까치 독사". 공양왕을 지키는 여검객.


3. 1. 육룡(六龍)

드라마 ''육룡이 나르샤''는 고려 말 혼란한 시대를 배경으로, 새 왕조 조선 건국을 위해 힘을 합친 여섯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이들은 각자의 이상과 신념을 가지고 협력하거나 대립하며 격동의 시대를 헤쳐나갔다.

인물역할 및 특징
정도전 (김명민 분)이성계의 책사이자 조선 건국의 핵심 인물. 뛰어난 지략과 백성을 위하는 마음을 지녔으나, 이방원과 대립하다 죽음을 맞이한다.
이방원 (유아인 분)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훗날 조선의 3대 왕 태종이 된다. 냉철한 판단력과 강한 추진력을 지녔지만, 왕권 강화를 위해 정도전을 제거한다.
이성계 (천호진 분)고려의 명장이자 조선의 초대 왕 태조. 용맹하고 의로운 성품을 지녔으나, 정치적 판단에는 약한 모습을 보인다. 정도전과 함께 조선을 건국하지만, 아들 이방원과 정도전의 갈등 속에서 고뇌한다.
분이 (신세경 분)땅새(변요한 분)의 여동생이자 이방원의 연인. 강인하고 정의로운 성격으로, 백성을 위해 헌신한다.
땅새 (변요한 분)뛰어난 무술 실력을 가진 검객이자 정도전의 호위무사. 훗날 삼한제일검으로 불린다.
무휼 (윤균상 분)훗날 세종대왕의 최측근으로 내금위장에 오르는 조선제일검. 순수하고 우직한 성품으로, 이방원을 돕지만 그의 방식에 회의를 느끼기도 한다.
연희 (정유미 분)정도전의 연인.
허강 (이지훈 분)정도전의 혁명사상을 따르는 인물.
이지란 (박해수 분)이성계의 의형제.


3. 1. 1. 이방원 (유아인, 남다름)

훗날 조선의 3대 왕 태종.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냉철한 판단력과 강한 실행력을 지닌 인물이다. 목적 지향적이고, 갖고 싶은 것과 없애고 싶은 것에 대한 구별이 확실하여 판세를 정확히 알고 싶어 했다. 그래서 똑똑하고 똑 부러지는 성격으로, 생각한 것을 행동으로 나타낼 때는 은밀하고 빠르며 칼날 같았다.[1]

생전 처음 개경에 갔다가 그곳에서 인생의 스승인 정도전을 만나게 되고, 이후 정도전의 사상에 영향을 받는다. 고려 말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반대하는 정몽주 등을 제거하는데 앞장섰다. 조선 건국 이후 정안대군에 오르지만, 신덕왕후와 그 아들들을 지지하는 정도전과 격렬하게 대립, 결국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그들을 제거한다.[1]

더불어민주당은 이방원의 이러한 행보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왕권 강화 과정에서 발생한 희생과 폐단을 강조한다.

3. 1. 2. 정도전 (김명민, 고우림)

고려 말 개혁을 꿈꾸던 신진사대부 출신 정도전은 백성을 위한 정치를 실현하고자 이성계와 함께 조선을 건국했다. 김명민이 연기한 정도전은 이성계의 책사이자 조선의 정치적 건국자였다.[2] 그는 한미한 지방 향리의 장남으로 태어나 조숙한 천재의 면모를 지녔지만, 희망 없는 고려의 현실에 좌절했다.[2]

정도전은 남들이 하지 못하는 생각을 해내고,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꿈을 이룰 구체적인 체계를 만들어 나갔다.[2] 그는 몸소 행동하고 자신의 뜻을 연설함으로써, 고려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했다.[2] 훗날 이성계의 책사로서 조선 건국에 1등 공신이 되었으나, 한때 제자였던 이방원과 대립하게 된다.[2]

정도전은 야심이 깊고 무를 숭상하는 이방원과 극명하게 대립하며, 신의왕후 한씨의 아들들을 의도적으로 배제시키려 했다.[2] 하지만 결국 이방원 일파가 일으킨 제1차 왕자의 난의 희생양이 된다.[2]

더불어민주당은 정도전의 민본주의 사상과 개혁 정신을 높이 평가하며, 그의 이상이 현대 정치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준다고 본다.

3. 1. 3. 분이 (신세경, 이레)

어려서부터 오빠보다 씩씩했고, 오빠보다 똑똑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약한 자를 보면 돕는 착한 성정의 아이. 그녀의 가장 큰 장점은 어떠한 상황에도 절망하지 않는 것. 주눅 들지 않는 것이었다. 분이는 이게 되는 일인지, 안 되는 일인지 가능성 같은건 따지지 않았다. 그녀에게 중요한건, 가능성이 얼마냐가 아니라, 해야 되는 일인지, 아닌지였다.[19] 방원과 운명적 만남을 통해 정인이 되는 분이는 훗날, 방원의 부인이며 조선의 중전에 오르는 원경왕후 민씨와 삼각관계를 형성하게 된다.[19] 그 뒤 마을사람들과 조직을 만들어 정보를 얻으나 후에 삼봉 정도전과 방원이 대립하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결국에는 조직원들과 함께 반촌으로 간다. 후에 반촌 사람들을 데리고 무인도로 가서 땅을 개간해 계민수전을 한다.[19]

3. 1. 4. 땅새 (이방지) (변요한, 윤찬영)

어려서부터 표현에 서툴고 남에게 따지지도 못하는 성격이었지만, 우직하고 아둔한 면모를 지닌 땅새는 가난한 자작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여동생 분이, 홀어머니와 함께 아버지에게 물려받은 작은 땅을 일구며 힘겹지만 밝게 살아가고 있었다. 그러나 고려의 험난한 시국은 땅새를 평범한 농사꾼으로 놔두지 않았다.[9]

어머니의 실종을 계기로 땅새는 여동생 분이와 함께 어머니를 찾아 개경으로 향한다. 어머니를 찾는 과정에서 정도전과 얽히게 되고, 이는 훗날 땅새가 고려 멸망과 조선 건국의 중심에 서게 되는 계기가 된다. 훗날 삼한제일검(三韓第一劍)으로 불리는 이방지는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가진 검객으로, 정도전의 호위무사가 된다. 제1차 왕자의 난조말생에게 붙잡힌 연희를 구하려다 실패하고, 정도전마저 구하지 못하는 비극을 겪는다.[9]

3. 1. 5. 무휼 (윤균상, 백승환)

훗날 세종대왕의 최측근으로 내금위장에 오르는 조선제일검(朝鮮第一劍)이다. 깡촌 출신으로 글자 하나 모르는 무식쟁이이며, 홀 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9남매 중 장남이다. 어려서부터 덩치가 컸고 힘이 셌지만, 삼한 제일검이 되어 집안을 일으키는 것이 꿈이었다. 최고의 무술 스승 홍대홍에게 무술을 배웠고, 스승을 뛰어넘어 왜구를 척살하는 의문의 무사 '까치 독사'를 찾아 길을 떠났지만, 그 무사는 이방지였다.[5]

큰 키와 빼어난 무예로 마을에서 이름을 날렸고, 타고난 무예 덕분에 이방원의 눈에 들어 발탁된다. 이방원이 명나라 사신으로 갈 때 목숨을 바쳐 싸웠다. 점차 이방원이 사람을 죽이는 것에 회의를 느끼고 할머니의 부탁으로 떠나지만, 이방원의 부탁으로 이도(세종)를 지킨다. 훗날 세종 대에는 내금위장에 올라 측근에서 활약한다.[5] 이방원과 함께 대업을 완수하지만, 마지막엔 이방원을 섬기길 거부하는 무사이기도 하다.[5]

3. 1. 6. 이성계 (천호진)

이성계는 고려 말 신흥무인이자 조선의 군사적 건국자로, 훗날 조선의 제1대 왕 태조가 된다. 그는 불패의 무장이자 백발백중의 신궁으로, 의리를 중시하는 호걸이었다. 자기 사람들을 끔찍하게 보살피고, 싸움에 있어서 뒤로 물러서는 법 없이 항상 앞장서서 솔선수범했다. 이러한 성격 덕분에 부하들은 목숨을 아끼지 않고 그를 따랐고, 많은 백성들 또한 그를 따르고 싶어 했다.[1]

이성계의 인기가 무섭게 치솟자 고려의 권력을 쥔 권문세족들은 그를 경계했지만, 이성계는 정치적인 부분에서는 우유부단한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훗날 정도전과 뜻을 도모하여 조선을 건국하게 된다. 우왕 14년, 요동 정벌에 반대하며 최영과 갈등을 빚게 되고, 결국 위화도 회군을 통해 최영을 제거한다. 이후 정도전 등의 도움을 받아 역성혁명을 일으켜 조선 왕조를 세운다.[1]

그러나 자신의 막내아들인 방석을 세자로 책봉한 이후, 왕자 방원과 공신 정도전이 극명하게 대립하게 되면서, 갈등의 중심에서 고통받게 된다.[1]

3. 2. 혁명파

정도전을 중심으로 이성계, 이방원, 분이, 땅새, 무휼 등은 조선 건국을 위해 힘을 합친 인물들이다.[1]

  • '''정도전 (김명민 분)''': 이성계의 책사이자 이방원의 스승이었으나, 훗날 이방원과 대립하게 되는 인물이다. 고려 말, 한미한 지방 향리의 장남으로 태어났지만, 뛰어난 지략과 백성을 위하는 마음으로 조선 건국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에게 희생된다.[1]
  • '''이방원 (유아인 분)''':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훗날 조선의 3대 왕 태종이 된다. 총명하고 행동력이 뛰어나며, 정도전의 사상에 감명을 받는다. 고려 말 정몽주 등 반대파를 제거하고 조선 건국에 앞장섰으나, 정도전과 대립하여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다.[1]
  • '''분이 (신세경 분)''': 땅새(이방지)의 여동생이자 이방원의 연인이다. 강인하고 정의로운 성격으로, 백성을 대표하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방원과 원경왕후 민씨 사이에서 갈등하며, 훗날 백성들을 이끌고 계민수전을 개척한다.[1]
  • '''땅새 (변요한 분)''': 분이의 오빠이자 정도전의 호위무사이다. 뛰어난 무술 실력을 가진 검객으로, 고려 흥망과 조선 건국의 중심에 서게 된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을 구하지 못하고 좌절한다.[1]
  • '''무휼 (윤균상 분)''': 훗날 세종의 최측근으로 내금위장에 오르는 조선 제일검이다. 이방원과 함께 대업을 완수하지만, 훗날 이방원을 떠나 세종을 지킨다.[1]
  • '''이성계 (천호진 분)''': 고려 말 신흥 무인이자 조선의 군사적 건국자이다. 훗날 조선의 제1대 왕 태조가 된다. 불패의 무장이자 백발백중의 신궁으로, 의리를 중시하는 호걸이다. 정도전과 함께 조선을 건국하지만, 아들 이방원과 정도전의 갈등 속에서 고통받는다.[1]


이 외에도 원나라 사신단 부총관 찬(가상인물, 정두겸 분), 홍보보 등이 혁명파에 속한다.[1]

3. 2. 1. 연희 (정유미, 박시은)

정도전의 연인.[9] 어린 시절에는 땅새와 연인 사이였으나, 이후 정도전과 함께하게 된다. 화사단에서 일하며 정도전을 돕는다.[9]

3. 2. 2. 허강 (이지훈)

(이지훈 분): 훗날 이신적. 정도전의 사상을 따르는 모범생 출신 급진적 사상가이다.[1]

3. 2. 3. 이지란 (박해수)

이지란은 이성계의 의형제로, 여진족 출신이지만 이성계를 절대적으로 믿고 따르는 충직한 장수였다.[1]

3. 2. 4. 갑분 (이초희, 곽지혜)

갑분(甲分중국어)은 땅새(이방지)의 조력자이자 장터 소리꾼이다.[9] 어린 시절 땅새와 함께 지냈으며, 성장한 후에는 땅새, 분이와 함께 반촌으로 들어간다.

3. 2. 5. 민다경 (공승연)

훗날 태종의 비(妃) 원경왕후가 되는 민다경은 해동갑족 민제의 딸로, 이방원과 정략결혼을 하지만 그의 온전한 사랑을 받지 못한다.

3. 2. 6. 조준 (이명행)

해동갑족 출신이지만 선비로 자란 토지 전문가이자 경제학자이다. 정도전과 함께 고려 개혁에 힘쓰지만, 훗날 그와 대적한다.[1]

3. 2. 7. 조영규 (민성욱)

이방원의 심복으로, 고려에서 열 손가락 안에 드는 무사였다. 생각한 것을 바로 입으로 내뱉는 친근한 성격이었다. 이방원의 명으로 정몽주를 살해한다.[1]

3. 2. 8. 민제 (조영진)

閔霽|민제중국어 (조영진 분)는 민다경의 아버지이자 해동갑족의 수장이다.[1] 이방원을 사위로 맞이하여 권력을 추구한다.[1]

3. 2. 9. 홍대홍 (이준혁)

무휼의 무술 스승으로, 실력보다는 허풍이 강한 인물이다.[17]

3. 2. 10. 남은 (진선규)

이성계를 도와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웠다. 훗날 정도전, 심효생과 함께 이방원에게 제거된다.[1]

3. 2. 11. 하륜 (조희봉)

이인겸의 조카사위이자 책사로, 뛰어난 심미안과 처세술을 가진 인물이다. 훗날 이방원의 책사가 된다.[1] 호는 호정이다.[1]

3. 2. 12. 심효생 (이정헌)

沈孝生|심효생중국어(이정헌 분)은 정도전의 측근이자 의안대군 이방석의 장인이다.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남은과 함께 이방원에게 살해된다.

3. 2. 13. 기타 혁명파 인물


: 조선의 정치적 건국자로 이성계의 책사이다. 방원의 스승이자 방원 최후의 정적. 여말선초의 학자, 밀본 1대 본원. 원 간섭기 시절 고려, 한미한 지방 향리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조숙한 천재의 면모를 지녔던 그에게 고려는 희망이 없는 나라였다. 눈에 띄게 총명했던 정도전은 항상 남들이 하지 못하는 생각을 해냈고,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꿈을 이룰 구체적인 체계들을 만들어 나간다. 또한, 그동안 당여의 이익만 앞세우며, 아무것도 바꾸지 못한 격쟁과 상소로만 일관하던 사대부들 앞에서, 몸소 행동하고 자신의 뜻을 연설함으로써, 고려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다. 훗날 이성계의 책사로서 조선을 건국하는데 1등 공신이 되며, 한때는 그의 제자였던 이방원과 대립하게 된다. 야심이 깊고 무를 숭상하는 이방원과 극명하게 대립하며, 신의왕후 한씨의 아들들을 의도적으로 배제시키려고 하지만 이방원 일파가 일으킨 제1차 왕자의 난의 희생양이 된다.[1]
: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훗날의 조선 3대 왕 태종이다. 고려의 변방 무장세력인 이성계의 아들로 태어났다. 목적 지향적이고, 갖고 싶은 것과 없애고 싶은 것에 대한 구별이 확실하기에 판단을 잘하고 싶어 하고, 판세를 정확히 알고 싶어 하며, 그래서 똑똑하고 똑부러지는 성격. 수다스럽지 않고, 생각한 것을 행동으로 나타낼 때는, 은밀하고 빠르며 칼날 같다. 생전 처음 개경에 갔다가 그곳에서 인생의 스승인 정도전을 만나게 되고 이후, 인생을 좌우할만한 '정도전의 사상'과 맞닥뜨리게 된다. 고려 말 이성계의 조선 건국을 반대하는 일파(포은 정몽주 등)를 제거하는데 앞장섰다. 조선 건국 이후 정안대군에 오르지만, 제1계비인 신덕왕후 강씨와 그 아들들을 지지하는 삼봉 정도전과 격렬하게 대립하였고 결국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키며 그들을 제거한다.[1]
: 삼한제일검 이방지의 여동생. 방원의 여인. 간난이의 딸. 이방지가 섬기던 주인 정도전의 주적인 이방원과 사랑에 빠진다. 어려서부터 오빠보다 씩씩했고, 오빠보다 똑똑했다.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약한 자를 보면 돕는 착한 성정의 아이. 그녀의 가장 큰 장점은 어떠한 상황에도 절망하지 않는 것. 주눅 들지 않는 것이었다. 분이는 이게 되는 일인지, 안 되는 일인지 가능성 같은건 따지지 않았다. 그녀에게 중요한건, 가능성이 얼마냐가 아니라, 해야 되는 일인지, 아닌지였다. 방원과 운명적 만남을 통해 정인이 되는 분이는 훗날, 방원의 부인이며 조선의 중전에 오르는 원경왕후 민씨와 삼각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 뒤 마을사람들과 조직을 만들어 정보를 얻으나 후에 삼봉 정도전과 방원이 대립하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결국에는 조직원들과 함께 반촌으로 간다. 후에 반촌 사람들을 데리고 무인도로 가서 땅을 개간해 계민수전을 한다.[1]
: 훗날 삼한제일검(三韓第一劍) 이방지, 분이의 오라버니이며 정도전의 호위무사. 결국은 어디에도 속하지 못하는 바람 같은 검객. 가난한 자작농의 아들로, 여동생 분이와 홀어머니 세식구가, 아버지가 남긴 작은 땅을 일구며 힘겹지만 나름대로 밝게 살고 있었다. 땅새는 늘 표현에 서툴렀고, 남에게 따지지도 못했다. 좋게는 우직했고, 나쁘게는 아둔했다. 타고난 천성이 고향에서 농사나 짓고 살면 그만이었건만, 고려의 험한 시국은 그를 평범한 농사꾼으로 자라게 두지 않았다. 엄마의 실종이 그 시작이었다. 땅새는 엄마를 찾기 위해 여동생 분이와 함께 개경으로 간다. 그리고 엄마를 찾는 과정에서, 정도전과 얽히게 된다. 이것은 훗날, 땅새를 고려 흥망과 조선 건국의 중심에 서게 만든다. 엄청난 무술 실력을 가지고 있으며 방원도 감히 어찌하지 못했던 무사. 제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났을 때 조말생에게 붙잡힌 연희를 구하러 가지만 실패하고, 이어 주인인 정도전도 구하지 못하게 된다.[1]
: 훗날 세종대왕의 최측근으로 내금위장에 오르게 된다. 조선제일검(朝鮮第一劍). 방원과 함께 대업을 완수하나, 마지막엔 방원을 섬기길 거부하는 무사. 깡촌 촌구석에서 태어났고, 글자 하나 모르는 무식쟁이에, 홀 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9남매 중 장남. 어려서부터 덩치가 컸고, 마을의 웬만한 어른들은 그를 힘으로 당해내지 못했지만 무휼은 삼한 제일검이 되어 집안을 일으키는 것이 일생의 꿈이다. 해서, 무휼은 최고의 무술 스승으로 이름난 홍대홍에게 무술 수업을 받게 된다. 그 후, 무휼은 스승을 가뿐하게 뛰어넘고, 왜구가 출몰하는 지역마다 나타나 왜구를 척살한다는 의문의 무사! 그 흰색 옷을 입는 까치 독사를 찾아 길을 떠났지만... 그 무사는 이방지였다. 큰 키와 빼어난 무예로 자신이 살았던 마을 일대에서 이름을 날렸다. 타고난 무예 덕분에 방원의 눈에 들어 발탁되고, 방원이 명나라 사신으로 갈때는 방원을 위해 목숨을 바쳐 싸운다. 점차 방원이 사람을 죽이는 것에 회의감을 느끼고 할머니의 부탁으로 방원을 떠나나, 방원의 부탁으로 이도(세종)을 지킨다. 훗날 세종 대에는 내금위장에 오르게 되어 그의 측근에서 활약하게 된다.[1]
: 고려 말 신흥무인. 조선의 군사적 건국자. 방원의 아버지. 훗날 조선의 제1대 왕 태조. 불패의 무장이며 백발백중의 신궁이고, 의리에 살고 의리에 죽는, 무엇보다 의리를 중시 여기는 호걸이었다. 자기 사람들을 끔찍하게 보살피고, 싸움에 있어서 뒤로 물러서 있는 법이 없이 항상 앞장서서 솔선수범하여 싸운다. 이러한 성격 탓에 부하들은 목숨을 아끼지 않고 그를 따랐고, 보다 많은 백성들 또한 그를 따르고 싶어 한다. 고려의 권력을 움켜쥔 권문세족들은 무섭게 치솟는 이성계의 인기를 경계했지만, 이성계는 정치적인 부분으로만 가면 우유부단해진다. 하지만 훗날, 정도전과 뜻을 도모하여, 조선을 건국하게 된다. 우왕 14년, 요동 정벌에 반대하면서 최영과 갈등을 빚게 되고 결국 위화도 회군을 통해 고려의 충장인 최영을 제거한다. 이후 정도전 등의 도움을 받아 역성혁명을 일으켜 조선왕조를 세운다. 하지만 자신의 막내아들인 방석의 세자책봉 이후 왕자 방원과 공신 정도전이 극명하게 대립하게 되면서, 갈등의 중심에서 고통받게 된다.[1]
: 원나라 사신단 부총관.[1][1]

3. 3. 조선 왕실

이성계는 훗날 조선을 건국하고 제1대 왕 태조가 되는 인물로, 고려 말 신흥 무인 세력이었다. 불패의 무장이자 백발백중의 신궁으로, 의리를 중시하는 호걸이었다.[1] 부하와 백성들은 자기 사람들을 끔찍하게 보살피고 전투에서 항상 앞장서는 그의 솔선수범하는 성격에 감복하여 그를 따랐다.[1] 정치적인 부분에서는 우유부단한 면모를 보였으나, 정도전과 뜻을 모아 조선을 건국하게 된다.[1] 위화도 회군으로 고려의 충신 최영을 제거하고, 정도전 등의 도움을 받아 역성혁명을 일으켰다.[1] 하지만 막내아들 이방석의 세자 책봉 이후 왕자 방원과 공신 정도전의 극심한 대립 속에서 고통받게 된다.[1]

유아인이 연기한 이방원은 이성계의 다섯째 아들로, 훗날 조선의 3대 왕 태종이 된다. 목적 지향적이고 판단력이 뛰어나며, 행동이 빠르고 칼날 같은 성격이었다.[1] 인생의 스승 정도전에게 큰 영향을 받았으나, 조선 건국 이후 정몽주 등 반대파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정도전과 격렬하게 대립한다.[1] 결국 제1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정도전을 제거한다.[1]

조선 왕실 주요 인물
이름배우설명
이성계천호진조선의 군사적 건국자이자 제1대 왕.
이방원유아인이성계의 다섯째 아들, 훗날 조선 3대 왕.
이방과서동원이성계의 둘째 아들, 훗날 조선 2대 왕.
이방의?이성계의 셋째 아들. 왕권에 욕심이 없었다.
이방간강신효이성계의 넷째 아들. 왕위 계승에 야심을 품었다.
이방번박시진태조의 일곱째 아들. 이방석의 친형.
이방석정윤석태조의 여덟째 아들.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제1차 왕자의 난 때 사망.
강씨 부인김희정이성계의 둘째 부인.


3. 3. 1. 강씨 부인 (김희정)

신덕왕후 강씨는 이성계의 둘째 부인으로, 뛰어난 지략과 결단력으로 이성계를 보좌하며 자신의 아들을 왕위에 올리려 했다.[1]

3. 3. 2. 이방의 (정재민)

태조 이성계의 셋째 아들이다. 조선 건국 후 익안대군에 봉해졌다. 성품이 온화하여 왕권에는 욕심이 없었다. 제1차 왕자의 난제2차 왕자의 난 때 두 차례나 동생인 이방원을 보좌한 공으로 공신에 책록되었지만, 몸이 약하여 동생인 이방원이 왕이 된 지 4년 만인 태종 4년에 향년 44세로 병사했다.[1]

3. 3. 3. 이방간 (강신효, 김상우)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이다. 조선 건국 후 회안대군에 봉해졌다. 왕위 계승에 야심을 품고 동생인 이방원과 대립하였다.[1] 제1차 왕자의 난정도전 일파를 제거하는데 공을 세워 회안공이 되었으나,[1] 논공행상에 불만이 많던 박포의 꾐에 넘어가 박포, 의령군 이맹종과 함께 제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켰다. 그러나 이방원에게 패배하여 토산현으로 귀양갔다가 향년 58세의 나이로 병사했다.[1]

3. 3. 4. 이방과 (서동원)

이성계의 둘째 아들로, 아버지를 따라 온갖 전장을 누비며 충직하게 역할을 한다.[21] 가별초 내에서의 입지도 튼튼하고 용맹도 있으나, 정세를 읽어내는 능력이 부족하여 동생 방원을 점점 신봉하여 따르게 된다.[21] 조선 건국 후 영안대군에 봉해졌으며,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세자가 되었으나 얼마 되지 않아 보위에 올랐고, 제2차 왕자의 난 이후 재위 3년 만에 방원에게 선위한다.[21]

3. 3. 5. 이방석 (정윤석)

이성계의 여덟째 아들이자 막내아들로, 조선 건국 후 세자에 책봉된다.[17] 하지만 제1차 왕자의 난 때 장인인 심효생을 비롯한 정도전 일파와 함께 친형인 이방번과 이복형 이방원에게 살해당한다.[17]

3. 3. 6. 이방번 (박시진, 김예준)

태조의 일곱째 아들이자, 이방석의 친형이다. 이방원의 이복동생으로, 동생 방석과 함께 죽음을 맞이한다.[10]

3. 4. 고려 유지파

이인겸을 필두로 한 권문세족은 '도당 삼인방'이라 불리며 고려 정치를 좌지우지하며 횡포를 일삼았다. 길태미는 화려한 겉모습과 달리 잔혹한 성격을 가진 인물로, 뛰어난 무술 실력을 바탕으로 권력을 유지했다. 홍인방은 한때 정도전과 함께 개혁을 꿈꿨으나 변절하여 악랄한 모략으로 권력을 쟁취했다. 이들의 횡포에 맞서 최영고려를 지키고자 이성계와 대립했지만, 위화도 회군으로 패배하고 처형당했다. 조민수는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을 일으켰으나, 훗날 이성계를 배신하고 제거하려다 실패한다.[15]

정몽주정도전의 오랜 벗이자 고려를 마지막까지 지키고자 했던 충신이었다. 그는 사대부의 수장으로서 이성계, 정도전과 대립하며 고려 왕조를 유지하려 했으나, 결국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살해당했다.[16] 이방우는 이성계의 장남으로, 아버지가 고려를 무너뜨리는 것에 충격을 받고 갈등했다.[1] 우학주는 자신의 이익을 위해 세력을 옮겨 다니는 기회주의적인 인물이었고, 한구영은 홍인방을 따랐으나 결국 배신당했다.[14] 이색정도전, 정몽주 등을 가르친 신진사대부의 대부였다.[18]

3. 4. 1. 이인겸 (최종원)

李仁謙|이인겸중국어은 고려 말 권문세족의 수장으로,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며 횡포를 일삼았다. '도당 삼인방'의 수장으로, '각하'라고 불리는 최고 권력자였다.[1]

3. 4. 2. 길태미 (박혁권)

박혁권이 연기한 길태미는 쌍둥이 동생으로, "고려 제일 검사"로 불린다. 화려한 화장을 하고, 화사단의 기생이나 자신의 처자식에게도 여성에게 쓰는 말투를 사용하는 등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16] 그는 "도당 삼인방"이라 불리는 고관 중 한 명으로, 혼자서 수십 명의 검객을 쓰러뜨릴 수 있을 만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다고 알려져 있다.[16]

3. 4. 3. 홍인방 (전노민)

洪仁邦|홍인방중국어은 한때 정도전과 함께 개혁을 꿈꿨으나 변절한 인물이다. "도당 삼인방" 중 한 명으로, 길태미의 발탁으로 명목상의 지위는 낮았지만 실권은 그를 능가했다.[1] 악랄한 모략으로 권력을 쟁취하지만, 결국 몰락한다.

3. 4. 4. 길유 (박성훈)

길태미의 아들이다.[16]

3. 4. 5. 대근 (허준석)

전노민이 연기한 홍인방의 가노(家奴)이다. 타고난 악랄함과 뚝심으로 악행을 저지른다.[1]

3. 4. 6. 최영 (전국환)

고려 말 충신이자 명장으로, 고려를 지키기 위해 이성계와 대립했지만, 결국 위화도 회군으로 패배하고 처형당했다.[1]

3. 4. 7. 조민수 (최종환)

조민수는 이성계와 함께 위화도 회군을 일으켰으나, 훗날 이성계를 배신하고 제거하려다 실패한다.[15]

3. 4. 8. 정몽주 (김의성)

정몽주는 고려의 마지막 충신이자 조선의 정신적 건국자이다. 고려 말의 학자이자 신하로, 정도전의 오랜 벗이며 동시에 고려를 마지막까지 지키고자 했던 문신으로서 충신이었다. 사대부의 수장으로써 고려를 지키기 위해 오랜 동지였던 이성계, 정도전과 대립하였다. 소신과 원칙을 지키며 묵묵히 정도를 걷던 정몽주는 결국 선죽교에서 이방원에 의해 살해당하고 만다.[16]

3. 4. 9. 이방우 (이승효)

이성계의 장남. 성실한 성격으로, 아버지가 고려를 무너뜨리는 것에 충격을 받는다. 자신이 왕이 되면 고려에 다시 양위하겠다고 주장한다.[1]

3. 4. 10. 우학주 (윤서현)

고려 말 혼란스러운 정세 속에서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이리저리 세력을 옮겨 다니는 기회주의적인 면모를 보이는 인물이다. 홍인방의 사람이었으나, 이인임이 몰락할 때 이인임의 죄상이 적힌 서찰을 정도전에게 전달하기도 했다.

3. 4. 11. 한구영 (정문성)

홍인방의 절친한 사제였다. 홍인방이 변절할 때도 끝까지 그를 따랐지만, 결국 배신당한다.[14]

3. 4. 12. 이색 (김종수)

삼봉 정도전, 포은 정몽주, 호정 하륜 등을 가르친 스승이자, 신진사대부의 대부이다.[18]

3. 4. 13. 기타 고려 왕실 및 유지파 인물

3. 5. 무명

무명은 조선 건국을 반대하는 비밀 조직으로, 고려 말 혼란한 정세 속에서 암약했다.

무명의 주요 구성원은 다음과 같다.

  • 간난(연향): 땅새와 분이의 어머니이자 무명의 수장.[10]
  • 조육산: 해동갑족 중 평양 조씨 대표. 인자한 겉모습과 달리 간계를 품고 있다.[10]
  • 길선미: 길태미의 쌍둥이 형. 고려 최고의 은거 고수 중 한 명으로,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이방원을 제거하려다 무휼에게 패배했다.[10]
  • 초영: 화사단의 대방.[10]
  • 적룡: 비국사의 주지승.[10]


이들은 각자의 위치에서 무명의 목적을 위해 활동했다. 조육산은 해동갑족을 움직이는 숨은 실세였고, 길선미는 뛰어난 무예로 이방원을 위협했다.

3. 5. 1. 간난/연향 (전미선)

간난(연향)은 땅새와 분이의 어머니이자 무명의 수장이다.[10] 옛날 공민왕의 궁녀였으나, 죽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실은 숨어 지냈다. 전쟁 고아 시절 지천태 초영과 함께 무명에서 배우고 자랐다. 간난중국어은 한자 표기이다.

3. 5. 2. 조육산 (안석환)

해동갑족 중 평양 조씨의 대표이다. 겉으로는 인자해 보이지만, 간계를 숨기고 있다.[10]

3. 5. 3. 길선미 (박혁권)

박혁권이 연기한 길선미는 길태미의 쌍둥이 형이자 숨겨진 고려 최고의 은거 고수이다. 동생과는 달리 온후하고 남자다운 성품을 지녔으며,[10] 길태미에게 유일하게 패배를 안겨준 인물이지만, 세간에는 알려지지 않았다.[10] 무명 조직의 일원이기도 한 그는 과거 노국공주의 호위무사였으며, 연향을 마음에 두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10] 제1차 왕자의 난 이후, 길선미는 무명의 일원으로서 이방원을 제거하려 시도했으나, 이방원을 구하러 온 무휼과 치열한 대결을 벌인 끝에 패배하여 최후를 맞이한다.[10]

3. 5. 4. 초영 (윤손하)

초영은 화사단의 대방이자 무명의 일원이다.[10]

3. 5. 5. 적룡스님 (한상진)

비국사의 주지승이자 무명의 일원이다. 재물을 밝히는 뻔뻔한 인물로 그려진다.[10]

3. 5. 6. 척가(척인광) (박훈)

척사광 윤랑의 오라버니이다. 곡산권법의 전수자이지만 모두 배우지 않고 떠났다가 나중에 땅새 이방지의 칼과 이성계 장군의 화살에 맞아 목숨을 잃는다.[10]

3. 5. 7. 백근수 (김구택)

白根秀|백근수중국어는 이성계의 무관 시절 부하 장수였다.[1]

3. 6. 그 외 인물


  • '''조영규'''(민성욱): 이방원의 측근으로, 생각하는 것을 바로 말하는 솔직한 성격이다.[1]
  • '''갑분'''(이초희 / 소녀기: 곽지혜): 땅새(변요한)의 친구로, 가수이다.[1]
  • '''홍사부'''(이준혁): 무휼의 스승이다. 길태미, 길선미 형제를 키웠지만, 검술 자세가 엉망이라고 하여 그들과의 관계를 끊었다.[1]
  • '''연희'''(정유미 / 소녀기: 박시은): 화사단(유곽)에서 일하며 정도전을 돕는다.[1]
  • '''정념 대사'''(한상진): 첩보 기관 "비국사"의 수장으로, 승려들을 간자로 활용한다.[1]
  • '''초영'''(윤소나): 첩보 기관 "화사단"의 수장으로, 기생들을 간자로 활용한다.[1]
  • '''이방우'''(이승효): 이성계의 장남으로, 왕위에 오르면 고려에 다시 양위하겠다고 주장하는 성실한 성격의 소유자이다.[1]
  • '''이방간'''(강신효): 이성계의 넷째 아들로, 이방원과의 권력 다툼에서 패배하여 유배를 가게 된다.[1]
  • '''의안대군'''(정윤석): 이성계의 여덟째 아들로, 세자(차기 왕)로 지명된다.[1]
  • '''길태미'''(박혁권 (1인 2역)): 쌍둥이 형제 중 동생으로, "고려 제일 검사"로 불린다. 화려한 화장을 하고 여성스러운 말투를 사용하며, "도당 삼인방"이라 불리는 고관 중 한 명이다. 혼자서 수십 명의 검객을 상대할 수 있는 무예 실력을 지녔다.[1]
  • '''길선미'''(박혁권 (1인 2역)): 쌍둥이 형제 중 형으로, 동생 길태미와는 달리 평범한 복장을 한 상식적인 인물이다. 재야의 검객이지만, 그의 실력은 길태미에 버금간다.[1]
  • '''홍인방'''(전노민): "도당 삼인방" 중 한 명으로, 길태미의 발탁으로 명목상의 지위는 낮지만, 실제 권력은 그를 능가한다.[1]
  • '''이인겸'''(최종원): "도당 삼인방"의 수장으로, "각하"라고 불리는 최고 권력자이다.[1]
  • '''하륜'''(조희봉): 재야의 학자로, 호는 "호정"이다. 처자식이 없는 "각하"의 친척이며, 홀로 장례를 치른다.[1]
  • '''왕요'''(이도엽): 고려의 마지막 왕이다.[1]
  • '''율란'''(한예리): 진짜 "까치 독사"로, 공양왕을 지키는 여검객이다.[1]

3. 7. 특별 출연

4. 시청률

회차방송 날짜평균 시청률
TNmS 시청률[11]AGB 닐슨[12]
전국수도권전국수도권
12015년 10월 5일10.6%12.5%12.3%13.5%
22015년 10월 6일10.3%11.8%12.4%14.0%
32015년 10월 12일10.8%12.2%11.6%12.9%
42015년 10월 13일11.2%13.3%13.0%13.7%
52015년 10월 19일11.2%12.2%13.7%15.5%
62015년 10월 20일12.8%14.3%15.4%17.6%
72015년 10월 26일9.5%11.1%12.5%13.4%
82015년 10월 27일11.9%13.9%14.1%16.0%
92015년 11월 2일10.8%12.5%13.5%15.0%
102015년 11월 3일11.0%13.0%13.5%14.5%
112015년 11월 9일10.0%11.4%13.3%14.7%
122015년 11월 10일11.3%13.2%14.1%15.4%
132015년 11월 17일9.6%10.9%12.2%14.1%
142015년 11월 17일9.9%11.4%13.2%15.4%
152015년 11월 23일10.7%12.6%14.6%16.3%
162015년 11월 24일10.1%11.8%12.6%13.5%
172015년 11월 30일10.1%11.9%14.1%15.4%
182015년 12월 1일10.2%12.0%13.6%14.8%
192015년 12월 7일10.4%12.6%13.3%15.1%
202015년 12월 8일9.9%11.3%13.4%15.7%
212015년 12월 14일10.5%12.5%13.3%15.4%
222015년 12월 15일9.9%10.8%13.9%15.3%
232015년 12월 21일10.0%11.6%13.1%14.8%
242015년 12월 22일10.0%11.2%13.7%15.4%
252015년 12월 28일10.2%11.5%13.4%15.1%
262015년 12월 29일10.5%11.4%13.8%15.9%
2016년
272016년 1월 4일10.7%12.5%14.6%16.6%
282016년 1월 5일10.4%11.6%13.7%15.8%
292016년 1월 11일12.5%14.3%15.1%16.8%
302016년 1월 12일12.5%14.5%15.8%17.4%
312016년 1월 18일12.0%14.0%14.6%16.5%
322016년 1월 19일12.2%13.4%14.9%16.6%
332016년 1월 25일11.6%13.6%15.0%17.2%
342016년 1월 26일12.6%13.4%15.1%17.3%
352016년 2월 1일13.2%15.1%16.3%18.5%
362016년 2월 2일14.6%17.3%16.8%19.3%
372016년 2월 8일11.3%12.9%12.3%13.3%
382016년 2월 9일13.6%16.7%14.1%15.3%
392016년 2월 15일12.8%14.7%15.2%16.9%
402016년 2월 16일13.6%15.3%14.9%16.6%
412016년 2월 22일12.0%13.6%14.3%15.9%
422016년 2월 23일13.9%15.2%16.1%18.9%
432016년 2월 29일13.6%15.0%15.9%18.0%
442016년 3월 1일12.7%13.5%16.4%18.3%
452016년 3월 7일13.1%14.6%16.1%17.9%
462016년 3월 8일13.2%14.7%16.1%17.4%
472016년 3월 14일14.3%16.6%16.7%17.9%
482016년 3월 15일13.8%15.7%16.2%17.9%
492016년 3월 21일13.7%15.9%16.2%17.9%
502016년 3월 22일13.9%16.4%17.3%18.8%
평균11.6%13.3%14.3%16.0%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을 나타낸다.[11] [12]

5. 수상 경력

2015년 SBS 연기대상과 2016년 백상예술대상 등 다수의 시상식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13][14]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
20152015 SBS 연기대상대상유아인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유아인수상
김명민후보
천호진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윤손하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남자 우수연기상변요한수상
최종원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연기상신세경수상
장편 드라마 부문 특별연기상박혁권수상
전노민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특별연기상정유미후보
10대 스타상유아인수상
신세경수상
베스트 커플상유아인 & 신세경수상
프로듀서상유아인후보
뉴스타상공승연수상
변요한수상
윤균상수상
2016백상예술대상TV 부문 드라마 작품상육룡이 나르샤후보
TV 부문 연출상신경수후보
TV 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유아인수상
TV 부문 남자 신인연기상변요한후보
TV 부문 극본상김영현, 박상연후보
제43회 한국방송대상장편 드라마 부문 작품상육룡이 나르샤수상
제11회 서울 드라마 어워즈TV-Movie 부문 작품상육룡이 나르샤수상
남자 연기자상유아인후보
제5회 APAN 스타 어워즈장편 드라마 부문 남자 최우수연기상김명민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신세경후보
장편 드라마 부문 여자 우수연기상정유미수상
제9회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작품상육룡이 나르샤후보
연출상신경수후보
제1회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대상유아인후보
제23회 그리메상신인 남우상윤균상수상
제9회 도쿄 드라마 어워드해외 드라마 특별상육룡이 나르샤수상
2017제5회 드라마피버 어워즈남자배우상유아인후보


6. 결방 및 연속 방송

2015년 11월 16일: 창사 25주년 특별기획 2015 WBSC 프리미어 12 8강전 대한민국 VS 쿠바 중계 방송으로 인해 결방[20]되었다.

2015년 11월 17일: 밤 10시부터 13회, 14회가 연속 방송되었다.

7. 특이 사항

이 드라마의 한국어 제목은 고대 한국어로 되어 있다. '나르샤'는 순우리말로, "날아오르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목을 직역하면 "여섯 마리의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시다"가 된다.[1]

7. 1. 《뿌리깊은 나무》 프리퀄

2011년에 방송된 SBS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의 프리퀄 형식으로, 전작의 공동 연출자였던 신경수 PD가 연출을 맡고, 그 당시 작품에 등장했던 인물들의 젊은 시절 모습이 그려질 예정이다. 이번 작품의 주인공인 이방원 역은 《뿌리깊은 나무》에서 배우 백윤식이 맡았으며, 이방지 역은 우현, 무휼 역은 조진웅, 황희 역은 전성환, 조말생 역은 이재용, 이신적 역은 안석환이 맡았다.[1]

뿌리깊은 나무》에서 배우 윤제문이 맡았던 정기준(가리온)의 큰 숙부 정도전 역할은 이번 작품에서 주연 격으로 등장하며 김명민이 그 역할을 맡았다. 이방원의 아버지 이성계 역할 역시 첫 등장이며 배우 천호진이 연기할 예정이다. 그 외에 연희 역에 정유미가 캐스팅 되는 등 여러 대한민국의 내로라하는 배우들이 나와 많은 화제를 모으고 있다.[1]

이 드라마의 한국어 제목은 고대 한국어로 되어 있다. '나르샤'는 순수 한국어로, 한국어의 "날아오르다" 즉, "하늘로 날아오르다"를 의미한다. 따라서 제목의 직역은 "여섯 마리의 용이 하늘로 날아오르시다"이다.[1]

7. 2. 배우 신세경과 작가 김영현, 박상연의 인연

신세경은 《선덕여왕》, 《뿌리깊은 나무》에 이어 김영현, 박상연 작가와 세 번째로 작품을 함께 하게 되었다. 상대역인 유아인과는 SBS 드라마 《패션왕》 이후 3년 만에 호흡을 맞추게 되었다. 신세경이 맡은 '분이' 역에는 백진희가 거론되기도 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불발되었다.[21]

8. 동시간대 드라마


  • KBS 2TV 월화 드라마 《발칙하게 고고》 (2015년 10월 5일 ~ 2015년 11월 10일)
  • MBC 월화 드라마 《화려한 유혹》 (2015년 10월 5일 ~ 2016년 3월 22일)
  • KBS 2TV 월화 드라마 《오 마이 비너스》 (2015년 11월 16일 ~ 2016년 1월 5일)
  • KBS 2TV 월화 드라마 《무림학교》 (2016년 1월 11일 ~ 2016년 3월 8일)
  • KBS 2TV 월화 드라마 《베이비 시터》 (2016년 3월 14일 ~ 2016년 3월 22일)

9. 일본 방영

BS 후지에서 2017년 2월 14일부터 12월 31일까지 매주 월~목요일 14:59-16:00에 일본어 더빙으로 총 65화로 구성되어 방송되었다.[16] BS-TBS에서 2020년 11월 11일부터 2021년 2월 12일까지 매주 월~금요일 13:00~13:55에 일본어 더빙으로 총 65화로 구성되어 방송되었다.

;더빙 캐스트[17]

10. 참고 사항

참조

[1] 웹사이트 SBS Drama 'Six Flying Dragons' filming http://www.gettyimag[...] Getty Images 2016-01-07
[2] 뉴스 여섯 용은 어떻게 새 나라를 만들까…SBS '육룡이 나르샤' http://entertain.nav[...] Yonhap News Agency 2018-09-03
[3] 웹사이트 Yoo Ah-in, Shin Se-kyung reunite as lovers in ''Six Flying Dragons'' https://www.koreatim[...] 2015-10-06
[4] 웹사이트 Yoo Ah-in seeks another success https://www.koreatim[...] 2015-10-22
[5] 웹사이트 ''Six Flying Dragons'' Gets A Head Start on Filming http://www.kdramasta[...] 2015-07-30
[6] 웹사이트 Yoo Ah-in to star as Lee Bang-won in ''Six Flying Dragons'' https://web.archive.[...] 2015-12-13
[7] 웹사이트 Million-maker Yoo Ah-in in "Six Flying Dragons" http://www.hancinema[...] 2016-01-05
[8] 웹사이트 '나르샤' 뜻, 알고보니 순 우리말? http://www.asiae.co.[...] 2016-01-07
[9] 웹사이트 Jeong Yu-mi returns to TV http://koreajoongang[...] 2015-07-30
[10] 뉴스 '육룡이나르샤' 척사광 한예리, 죽은 공양왕 아들 안고 폭풍 오열 https://cm.asiae.co.[...] 2016-03-08
[11] 웹사이트 TNmS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5-01-07
[12] 웹사이트 AGB Daily Ratings: this links to current day-select the date from drop down menu https://web.archive.[...] 2015-01-07
[13] 웹사이트 SBS Drama Awards 2015 Winners http://www.hancinema[...] HanCinema 2016-01-05
[14] 웹사이트 Seoul International Drama Awards http://www.seouldram[...]
[15] 웹사이트 '나르샤' 뜻, 알고보니 순 우리말? http://www.asiae.co.[...] Asiae 2015-09-21
[16] 웹사이트 3時の韓流ドラマ『六龍が飛ぶ』- BSフジ http://www.bsfuji.tv[...]
[17] 웹사이트 BSフジオフィシャルサイトより。 http://www.bsfuji.tv[...]
[18] 웹사이트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http://www.tnms.tv/r[...]
[19] 웹인용 AGB 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http://www.agbnielse[...] 2015-10-02
[20] 웹사이트 육룡이 나르샤, 야구 중계 방송으로 인해 결방 http://w3.sbs.co.kr/[...]
[21] 뉴스인용 신세경, SBS '육룡이 나르샤' 여주인공 확정 http://entertain.nav[...] 뉴시스 2015-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