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천스마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스마트는 1992년 7월 11일 용현운수로 설립되어, 인천 지역의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해오고 있는 회사이다. 1990년대 초 마을버스 운행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 인천 시내버스 적자 노선을 인수하며 사업을 확장했다. 이후 노선 조정과 매각, 회사명 변경 등을 거쳐 현재 간선버스 5, 5-1, 20, 21, 27, 38번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성남시내버스 (기업)
    성남시내버스는 1992년 창업하여 성남시에서 시내버스 운행을 시작한 기업으로, 2002년 경기교통 부도 당시 일부 노선을 인수했으며, 2021년 1월 기준 29개 노선과 367대의 차량을 운영하며 현대 그린시티,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등의 차종으로 직행좌석 버스와 도시형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 199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동아교통
    신동아교통은 1992년 설립되어 남구 마을버스에서 시작, 시내버스 노선 확장 후 2002년 선진그룹에 인수되어 현재 간선, 광역,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한국비알티자동차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본사를 둔 한국비알티자동차는 간선, 심야 버스 노선을 운행하며, 과거에는 순환, 맞춤 버스 노선도 운영했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 차파트너스 - 도원교통 (서울)
    도원교통은 1957년 설립되어 서울 성북구 정릉동에 본사를 둔 시내버스 회사로, 간선, 지선, 심야버스 등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며 2023년 성원여객 노선 양수 및 전기버스 도입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 적극적이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인천스마트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인천스마트 합자회사
원어Incheon Smart Transport LP.
21번 버스
21번 버스
국가대한민국
장소인천광역시 중구 축항대로86번길 135 (항동7가)
창립1992년 7월 11일
경영
인물한강수 (대표사원)
주주스마트미추홀모빌리티: 100%
모기업스마트미추홀모빌리티
산업 정보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자본금550,000,000원
영어
영어 이름Incheon Smart

2. 주요 연혁

인천스마트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시기주요 내용
1992년 7월 11일용현운수 설립[1]
1992년남구 1번 마을버스(인하대학교 - 주안역) 운행 노선 낙찰[1]
1993년남구 2번 마을버스(인하대학교 - 제물포역) 신설 개통[1]
1995년남구 6번 마을버스(병무청 - 신기촌 - 주안역) 신설 개통[1]
1997년남구 6번 마을버스를 신동아교통에 매각[1]
2000년인천시내버스 2차 적자 노선인 9, 20, 27, 49, 67, 99번 노선 배정[1]
2000년 12월20번 시내버스(연수구 동춘동 - 인천터미널) 폐선, 소래 - 백운역 간 20번 시내버스 재개통[1]
2001년 5월9번(연수구 동춘동 - 동인천역), 49번(원창동 - 만의골), 99번(소암 - 독정이) 노선 폐선[1]
2001년 10월영종운수로부터 5번 시내버스(前 가좌주공아파트-제물포역-인천역-제물포역-주안역-인하대학교) 인수[1]
2001년 11월대진운수로부터 38번 시내버스 인수[1]
2002년 1월67번 시내버스를 부일운수에 매각[1]
2002년강인여객으로부터 22번 시내버스 인수, 용현운수로 간선버스 진출[1]
2002년마을버스 남구 1번과 남구 2번 노선을 511번과 512번으로 변경[1]
2002년 12월제물포버스로부터 21번 시내버스 인수[1]
2003년남동공단 순환버스 사업자 선정, 751번, 752번, 753번 버스 운행[1]
2003년22번 시내버스와 인천버스를 스위트버스(現 원진운수)에 매각, 용현운수 노선 재정비[1]
2004년지선버스 511번에 인천광역시 최초로 대형버스 도입[1]
2004년강인여객으로부터 710번 노선 인수, 2005년 다시 강인여객에 재매각[1]
2005년 5월남동공단 순환버스를 부평버스에 매각[1]
2006년 1월5번 시내버스를 5번(前 가좌주공아파트 - 제물포역 - 인천역 - 제물포역 - 주안역)과 5-1번(인하대학교 - 신기촌 - 주안역)으로 분리[1]
2006년경기도 시흥 월곶포구 시내버스 노선 연장으로 21-1번 시내버스 노선 신설[1]
2009년 1월 30일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 5번 시내버스(前 가좌주공아파트-제물포역-인천역-주안역) 노선 폐선[1]
2012년 4월 3일511번, 512번 노선 성민버스에 매각, 754번, 754-1번 노선 하이버스에 매각[1]
2013년 4월 1일38-1번 노선(서창2지구 - 선학역 - 인천터미널 - 인천시청) 신설.
2013년 7월 22일5번 시내버스 (인하대병원 - 인하대학교 - 학익동 - 인천터미널 - 도림동 - 서창지구) 신설, 21번 시내버스 노선 일부 변경, 38-1번 시내버스 폐선.
2015년 3월 18일20번 시내버스 부평4거리-백운역-2001아울렛-부원중학교-부평역-진선미예식장-부평시장으로 연장.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21일인천여객 4번 시내버스 공동 배차.
2016년 7월 30일인천시내버스 개편, 5번, 5-1번, 20번, 21번, 38번 노선 변경, 27번 노선 연장, 21-1번 시내버스 폐선.
2017년 7월 22일27번 노선 연안부두 국제여객터미널-인하대병원으로 단축.
2018년 2월 19일회사명 용현운수 합자회사에서 인천스마트 합자회사로 변경, 이인철 대표사원 퇴사, 안종태 대표사원 취임.
2018년 12월 1일5번 시내버스 노선 운연역-신천역으로 변경 및 연장.
2019년 6월 11일안종태 대표사원 퇴사, 민경덕 대표사원 취임.
2020년 1월 2일본점 이전(인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서구 보도진로54번길).
2020년 12월 31일인천시내버스 개편, 20번 종점 변경, 27번, 38번 기점 및 종점 변경.
2021년 2월 24일본점 이전(인천 서구 보도진로54번길→중구 축항대로86번길).


2. 1. 설립 초기 (1992년 ~ 1999년)

龍峴運輸중국어로 1992년 7월 11일에 설립되었다.[1] 그해 인하대학교 - 주안역 간 남구 1번 마을버스 운행 노선 낙찰을 받았다.[1] 1993년에는 인하대학교 - 제물포역 간 남구 2번 마을버스를 신설 개통하였다.[1] 1995년에는 병무청 - 신기촌 - 주안역 간 남구 6번 마을버스를 신설 개통하였으나,[1] 1997년에 신동아교통에 매각하였다.[1]

2. 2. 시내버스 사업 확장 (2000년 ~ 2009년)

2000년, 인천스마트(당시 인천버스)는 인천시내버스 2차 적자 노선인 9, 20, 27, 49, 67, 99번 노선을 배정받았다.[1] 같은 해 12월, 20번 시내버스(당시 연수구 동춘동 - 인천터미널) 노선을 폐선하고 소래 - 백운역 간 20번 시내버스를 재개통하였다.[1]

2001년 5월, 9번(연수구 동춘동 - 동인천역), 49번(원창동 - 만의골), 99번(소암 - 독정이) 노선을 폐선하였다.[1] 같은 해 10월, 영종운수로부터 5번 시내버스(前 가좌주공아파트-제물포역-인천역-제물포역-주안역-인하대학교)를 인수받아 운행하였고,[1] 11월에는 대진운수로부터 38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1]

2002년 1월, 67번 시내버스를 부일운수에 매각하였다.[1] 같은 해, 강인여객으로부터 22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용현운수라는 사명으로 간선버스 사업에 진출하였다.[1] 또한 마을버스 남구 1번과 남구 2번 노선을 511번과 512번으로 변경하여 운행하였다.[1] 12월에는 제물포버스로부터 21번 시내버스를 인수받아 운행하였다.[1]

2003년, 남동공단 순환버스 사업자로 선정되어 751번, 752번, 753번 버스를 운행하였다.[1] 같은 해, 22번 시내버스와 인천버스를 스위트버스(現 원진운수)에 매각하고, 용현운수 노선을 재정비하였다.[1]

2004년, 지선버스 511번에 인천광역시 최초로 대형버스를 도입하여 운행하였다.[1] 같은 해, 강인여객으로부터 710번 노선을 인수하였으나, 2005년 다시 강인여객에 재매각하였다.[1]

2005년 5월, 남동공단 순환버스를 부평버스에 매각하였다.[1]

2006년 1월, 5번 시내버스를 5번(前 가좌주공아파트 - 제물포역 - 인천역 - 제물포역 - 주안역)과 5-1번(인하대학교 - 신기촌 - 주안역)으로 분리하여 운행하였다.[1] 같은 해, 경기도 시흥 월곶포구 시내버스 노선 연장으로 21-1번 시내버스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1]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과 함께 5번 시내버스(前 가좌주공아파트-제물포역-인천역-주안역) 노선을 폐선하였다.[1]

2. 3. 노선 조정 및 변화 (2010년 ~ 현재)

2010년부터 현재까지 인천스마트의 노선 조정 및 변화는 다음과 같다.

  • 2012년 4월 3일: 511번, 512번 노선을 성민버스에 매각하고, 754번, 754-1번 노선도 하이버스에 매각하였다.[1]
  • 2013년 4월 1일: 서창2지구 - 선학역 - 인천터미널 - 인천시청 구간을 운행하는 38-1번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13년 7월 22일: 5번 시내버스 (인하대병원 - 인하대학교 - 학익동 - 인천터미널 - 도림동 - 서창지구) 노선이 신설되고, 21번 시내버스 노선이 일부 변경되었으며, 38-1번 시내버스는 폐선되었다.
  • 2015년 3월 18일: 20번 시내버스를 부평4거리에서 백운역 - 2001아울렛 - 부원중학교 - 부평역 - 진선미예식장 - 부평시장으로 연장하였다.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2월 21일: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4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하였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5번, 5-1번, 20번, 21번, 38번 노선이 변경되고, 27번 노선이 연장되었으며, 21-1번 시내버스는 폐선되었다.
  • 2017년 7월 22일: 시내버스 노선 재개편으로 27번 노선이 연안부두 국제여객터미널에서 인하대병원으로 단축되었다.
  • 2018년 2월 19일: 회사명을 '''용현운수 합자회사'''에서 '''인천스마트 합자회사'''로 변경하고, 이인철 대표사원이 퇴사, 안종태 대표사원이 취임하였다.
  • 2018년 12월 1일: 5번 시내버스 노선이 운연역에서 서해선 통근 전철과의 환승 연계를 위해 신천역으로 변경 및 연장되었다.
  • 2019년 6월 11일: 안종태 대표사원이 퇴사하고, 민경덕 대표사원이 취임하였다.
  • 2020년 1월 2일: 본점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아암대로287번길에서 서구 보도진로54번길로 이전하였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20번 종점이 변경되고, 27번, 38번은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다.
  • 2021년 2월 24일: 본점을 인천광역시 서구 보도진로54번길에서 중구 축항대로86번길로 이전하였다.

3. 운행 노선

인천스마트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노선 경로
5시흥시 신명아파트 - 신천역 - 운연역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인하대역 - 인하대학교 - 인하대병원 [2]
5-1용현초등학교 - 인하대역 - 주안역
20소래포구역 - 소래포구 - 백운역 (2020년 12월 31일 노선 연장)
21서창공영차고지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예술회관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동인천역
27항동7가버스차고지 - 인하대후문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38서창공영차고지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주안역 - 인하대역


3. 1. 간선버스

인천 시내버스 5번

  • 5번: 시흥시 신명아파트 - 신천역 (신천사거리) - 운연역 - 서창도서관입구 - 구월아시아드아파트 - 남인천세무서 - 인천종합버스터미널(롯데백화점) - 인하대역, 홈플러스 - 인하대학교 - 옹진군청 - 인하대병원 - 용현초등학교 (2009년 1월 30일 폐선된 5번과는 관련 없음)[2]
  • 5-1번: 용현초등학교 - 토지금고 - 백운주택 - 금호2차 아파트 - 옹진군청 - 윤성아파트 - 신창아파트 - 동부대우전자 - 인하대역, 홈플러스 - 인하대학교 - 장미아파트, 인하공업전문대학 - 학익4거리 - 학익시장 - 학익2동 주민센터 - 주안3동 주민센터 - 주안7동 주민센터 - 로얄아파트 - 신기4거리 - 제흥시장 - 귀빈예식장 - 시민공원 (교보빌딩) - 주안역 버스 환승센터
  • 20번: 소래포구역 - 소래포구 - 소래포구입구 - 논현지구 - 논현초등학교 - 신영지웰아파트 903동 - 청능로 4거리 - 논현 7단지 - 5단지 - 1, 2단지 - 도림고등학교 - 도림지구 - 남촌동 - 풍림아파트 - 예절원 - 소구월사거리 - 모래내시장 - 태화아파트 - 묘지앞 - 부평4거리 - 신촌현대A - 부평역 - 한남프라자 - 백운역 - 부평현대아파트 - 인평자동차고 - 문화교회 (2020년 12월 31일 노선 연장)
  • 21번: 서창공영차고지 - 서창1.2지구 - 구월아시아드아파트 - 남인천세무서 - 인천종합버스터미널(롯데백화점) - 예술회관역 - 석바위 - 시민공원 - 주안역 - 제물포역 - 송현동 - 동인천역 - 화평동 - 화도진공원 - 만석비치타운
  • 27번: 항동7가버스차고지 - 연안부두 - 인하대후문 - 주안7동행정복지센터 -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 구월아시아드6단지 - 작은구월사거리 - 남동구청 - 남동중학교 - 도림주공 - 청릉로사거리 - 논현초등학교 - 소래포구입구 - 월곶풍림아파트3차
  • 38번: 서창공영차고지 - 서창1지구 - 도림동 - 논현지구 - 청능로사거리 - 남촌풍림아파트 - 롯데백화점(인천터미널) - 석바위시장 - 주안역 - (구)시민회관사거리 - 독정이고개 - 인하대역(3번출구) - 옹진군청 - 유원아파트 - 미추홀퍼스트3단지 - 유원아파트

4. 차량 현황

전 차량이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운행한다.

참조

[1] 문서 인수가 아니고 운영은 용현운수, 차량관리는 강인여객에서 했음
[2] 뉴스 2018. 12. 1일자 인천시내버스 노선조정(일부) 안내 http://www.incheon.g[...] 2018-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