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내버스 (기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남시내버스는 1992년 설립되어 성남시 시내버스를 운행하는 회사이다. 2002년에는 경기교통의 노선을 일부 인수했으며, 2021년에는 4500번, 9507번 노선이 경기도 공공버스로 전환되었다. 현재 성남시와 수도권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도시형버스 및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내버스 계열사 - 성남여객버스
성남여객버스는 2005년 안전교통으로 설립되어 2014년 사명을 변경한 성남시 버스 운송 업체로, 86번, 87번, 88번, 88-1번 노선을 운행하며 자일대우 NEW BS090과 포톤 그린어스 EV를 주요 차종으로 한다. - 199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인천스마트
인천스마트는 1992년 용현운수로 설립되어 2018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된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회사로, 5번, 5-1번, 20번, 21번, 27번, 38번 등의 노선을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으로 운행한다. - 1992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신동아교통
신동아교통은 1992년 설립되어 남구 마을버스에서 시작, 시내버스 노선 확장 후 2002년 선진그룹에 인수되어 현재 간선, 광역,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운영하는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이다. - 중원구 - 은행동 (성남시)
은행동은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1975년 단대동에서 분리되었으며 동명은 은행나무가 있던 '은행정'에서 유래했고, 여러 교육기관과 남한산성, 은행근린공원, 성남시 식물원 등의 주요 시설이 있다. - 중원구 - 성남시중원도서관
성남시중원도서관은 2000년 5월 개관하여 성남도시개발공사에서 운영을 위탁받아 관리하며 전국도서관운영평가에서 여러 차례 수상한 경기도 성남시의 도서관이다.
성남시내버스 (기업)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회사 이름 | 성남시내버스 주식회사 |
원어 이름 | Seongnam Inter City Bus |
종류 | 주식회사 |
창립일 | 1992년 10월 12일 |
본점 주소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774(야탑동) |
사업 지역 | 상대원동 지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순환로 233(상대원동) 상대원동 제2지점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순환로 242(상대원동) |
시장 정보 | 비상장 |
국가 | 대한민국 |
대표 이사 | 김윤태 |
산업 | 운수업 |
제품 | 시내버스 |
자본금 | 500,000,000원 (2020.12) |
매출액 | 57,467,928,263원 (2020) |
영업 이익 | -12,188,040,463원 (2020) |
순이익 | -3,114,789,176원 (2020) |
자산 총액 | 19,263,287,099원 (2020.12) |
계열사 | 성남여객버스 SN테크 닛산코리아 성남모터스 |
주주 | 김윤태: 48.10% 김상혁: 20.00% 김선희: 12.60% 김영숙: 11.70% 기타: 7.60% |
종업원 수 | 947명 (2020.12) |
웹사이트 | 성남시내버스 홈페이지 |
2. 역사
1992년 창업하여 성남시의 시내버스 운행을 시작하였다. 2002년에는 최종 부도 처리된 舊 경기교통(1974년 설립, 성남시 소재)의 노선을 일부 인수하였다.
성남시내버스는 성남시 시민들의 중요한 발이 되어주는 대중교통으로, 다양한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운행 노선은 크게 도시형버스와 직행좌석버스로 구분된다.
3. 운행 노선
도시형버스는 성남시 관내 곳곳을 연결하며 시민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판교신도시, 위례신도시 등 지역 개발과 시민들의 교통 편의 증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선이 신설되거나 개선되고 있다.
직행좌석버스는 성남시와 수원시, 서울특별시 등 인근 대도시를 연결하는 광역 노선으로 운영된다. 특히 일부 노선은 경기도 공공버스로 편입되어 보다 안정적이고 공공성 높은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각 노선에 대한 상세한 운행 정보는 아래의 '도시형버스' 및 '직행좌석버스'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도시형버스
노선 번호 | 기점 | 종점 | 비고 |
---|---|---|---|
33번 | 사기막골 | 요한성당 | [4] |
33-1번 | 한국폴리텍대학 성남지역대학 | 구미동 | [4] |
50번 | 야탑고등학교 | 복정역 | |
50-1번 | 야탑고등학교 | 복정역 | 2017년 12월 15일 신설 (50번 노선과 유사) |
51번 | 사기막골 | 분당서울대병원 1층 로비 | |
52번 | 사송동공영차고지 | 남한산성 | |
55번 | 사송동공영차고지 | 남한산성입구 | 판교역 경유 |
60번 | 야탑고등학교 | 복정역 | 위례신도시 경유, 2021년 12월 24일 복정역 단축 |
100번 | 사기막골 | 가락시장역 | [4] |
200번 | 도촌주택단지 | 스타필드시티 위례 | |
220번 | 사기막골 | 한국학중앙연구원 | |
231번 | 판교제2테크노밸리 | 복정역 | 위례신도시, 거여역 경유, 2018년 11월 26일 신설 |
250번 | 도촌동 | 궁안마을 | |
315번 | 판교제2테크노밸리 기업성장센터 | 복정역 | 2020년 8월 14일 15-1번에서 번호 변경 및 노선 단축 |
330번 | 한국폴리텍대학 성남지역대학 | 운중동 | 출근 시간대 일부 차량 야탑역 ↔ 판교테크노밸리 운행 |
331번 | 모란시장 | 수서역 | 2016년 10월 10일 신설 |
340번 | 사기막골 | 대장지구 | 2021년 6월 4일 노선 연장 |
341번 | 한국학중앙연구원 | 청계산입구역 | 구 340-1번, 2020년 9월 28일 노선 연장 |
342번 | 모란시장 | 청계산 옛골 | 2021년 2월 19일 신설 |
370번 | 사송동공영차고지 | 오리역 | 2017년 9월 4일 신설 |
380번 | 도촌동 | 대장지구 | 2015년 4월 27일 신설, 2021년 6월 11일 노선 변경 |
382번 | 모란시장 | 이노밸리 | |
810번 | 밀알6차빌라 | 수진역 | 성남시민버스 파산 신청으로 2022년 7월 18일 이관 및 일반버스로 전환 |
누리1번 | 영생관리사업소 | 궁안마을·쇳골 | 2019년 5월 3일 신설 |
누리2번 | 새마을연수원 | 청계산 옛골 | 2019년 5월 3일 신설 |
누리3번 | 럭키타운 | 석운동 | 2019년 5월 13일 신설 |
누리4번 | 동원동 | 판교역 | 2020년 6월 1일 신설, 평일만 운행 |
3. 2. 직행좌석버스
- '''4500번''': 사송동공영차고지 ↔ 모란역 ↔ 야탑역 ↔ 차그룹컨소시엄 ↔ 운중도서관 ↔ 용인서울고속도로(서수지TG 경유) ↔ 광교상현IC ↔ 광교역사공원 ↔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 경기도남부경찰청 ↔ 수원월드컵경기장 ↔ 아주대 ↔ 수원시청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2021년 1월 11일 4000번에서 분리 신설 및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
- '''9507번''': 대장지구 ↔ 운중동 ↔ 운중동행정복지센터 ↔ 화랑공원 ↔ 분당수서로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 ↔ 삼성역 ↔ 청담역 ↔ 압구정동 (기존 9407번 분리 신설, 2021년 1월 11일 경기도 공공버스 전환 및 노선 변경, 2021년 6월 4일 노선 연장)
- '''9607번''': 구미동차고지 ↔ 분당서울대병원 ↔ 분당동행정복지센터 ↔ 이매역 ↔ 야탑역 ↔ 모란역 ↔ 분당수서로 ↔ 대모산입구역 ↔ 학여울역 ↔ 삼성역 ↔ 청담역 ↔ 압구정동 (2011년 5월 신설)
4. 이전 보유 노선
성남시내버스가 과거에 운행했지만, 노선 폐지, 대원고속 등 타 회사로의 매각, 다른 노선과의 통합, 번호 변경, 성남여객버스 등으로의 양도, 마을버스 전환 등 여러 사정으로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 노선들이다.[4][5][6]
4. 1. 도시형버스
노선 번호 | 운행 구간 | 비고 |
---|---|---|
2번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폴리텍대학 성남지역대학 | 2017년 9월 4일 폐지[4] |
2-1번 | 한국폴리텍대학 성남지역대학 ↔ 오리역 | 2017년 9월 4일 폐지[4] |
9번 | 모란역 ↔ 남한산성 | 2003년 광주시 소재 대원고속에 매각[4] |
15번 | 새마을연수원 ↔ 궁안마을 | 2019년 5월 3일 폐선, 누리1번으로 대체 |
15-1번 | 서현역 ↔ 성남영어마을 | 2011년 10월 15번에 노선 통합 (315번으로 변경된 15-1번과는 다른 노선) |
82번 | 모란역 ↔ 통계청·태평역 | 사기막골 경유, 출근 시간대 급행버스. 382번으로 변경 |
88번 | 사기막골 ↔ 사기막골 (모란역 경유) | 성남 구시가지 순환 노선. 2019년 9월 21일 성남시 소재 성남여객버스로 양도 |
88-1번 | 사기막골 ↔ 사기막골 (모란역 경유) | 안전교통에 매각 후 마을버스로 전환. 88번의 역순환 노선 및 성남 구시가지 순환 노선 |
90번 | 선경아파트 ↔ 복정고등학교 | 2013년 3월 15번과 통합 |
110번 | 사기막골 ↔ 가락시장역 | 407번 성남 단축 구간 대체 노선. 60번에 통합 (2015년 3월 2일~2016년 1월 15일) |
210번 | 사기막골 ↔ 도촌동 | 2011년 10월 노선 폐선 |
220-1번 | 운중동 ↔ 국가정보대학원 | 2011년 10월 330번에 노선 통합 |
223번 | 사기막골 ↔ 국가정보대학원 | 2010년 4월 5일 폐선. 이후 운중동 ↔ 국가정보대학원 구간을 대체할 220-1번 노선 신설 |
230번 | 도촌동 ↔ 오리역 | 2011년 10월 노선 폐선 |
232번 | 복정역 ↔ 복정역 (거여역, 위례신도시 경유) | 2018년 11월 26일 신설, 2019년 6월 14일 231번으로 통합 |
250-1번 | 럭키타운아파트 ↔ 성남영생관리사업소 | 2012년 10월 252번, 성남시 소재 안전교통 251번 마을버스로 분리되면서 폐선 |
252번 | 성남영생관리사업소 ↔ 경남아너스빌 | 2015년 4월 27일 380번 개통과 동시에 폐선 |
260번 | 성남영생관리사업소 ↔ 새마을연수원 | 2017년 12월 18일 신설, 2019년 5월 3일 누리1번 및 누리2번으로 대체 |
340-1번 | 사기막골 ↔ 경남아너스빌 | 2019년 12월 5일 야탑역~사기막골 구간 단축과 동시에 341번으로 번호 변경 |
360번 | 기업성장센터 ↔ 레이크포레4단지 | 2021년 6월 25일 신설, 2022년 12월 31일 폐선 |
442번 | 상대원동 ↔ 삼성역 | 동성교통의 舊 4420번 대체 개통 (2007년 1월 20일~?)[5][6] |
812번 | 테크노파크 ↔ 판교역 | 2022년 12월 30일 분당마을버스로 이관, 82번으로 번호 변경 |
4. 2. 직행좌석버스
5. 보유 차종
성남시내버스는 다양한 제조사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으며, 전기버스 등 친환경 차량 도입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6. 본점 및 지점 현황
wikitext
참조
[1]
문서
상법 상 본점 주소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로 774(야탑동)이다
[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sn-motors[...]
2016-04-22
[3]
간행물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4]
문서
경기교통 출신 노선
[5]
웹사이트
서울 노선버스 1부 폐지
https://archive.toda[...]
성남시청
[6]
웹사이트
442번 버스 노선 변경 안내
https://archive.tod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