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트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트론은 1977년 필립 앨런 샤프와 리처드 J. 로버츠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으며, 199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인트론은 유전자의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는 부분으로, 스플라이싱 과정을 통해 제거되며, 스플라이오좀 인트론, tRNA 인트론, 그룹 I, II, III 인트론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인트론은 유전자 발현 조절, 선택적 스플라이싱, R-루프 형성 억제, 기아에 대한 세포 저항성 촉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획득과 손실 과정을 통해 진화해 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부호화 DNA - 텔로미어
    텔로미어는 진핵세포 염색체 말단에서 염색체 안정성을 유지하고 DNA 손상을 방지하는 반복적인 DNA 서열과 단백질 복합체로, 세포 분열 시 짧아져 노화와 관련되며 텔로머레이스 효소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는 연구로 노벨상을 수상했다.
  • 비부호화 DNA - 비번역 DNA
    비번역 DNA는 단백질을 암호화하지 않지만 유전자 발현 조절, 염색체 구조 유지, 유전체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프로모터, 인핸서, 인트론, 텔로미어, 유사유전자 등의 다양한 종류가 있고 질병 관련 유전자 변이 연구에 활용된다.
  • 스플라이소솜 - 엑손
    엑손은 유전자 내 발현되는 영역으로, 단백질 코딩 유전자에서 단백질 코딩 서열과 비번역 영역을 포함하며,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통해 다양한 단백질 이성질체 생성에 기여하고 새로운 유전자 발견에 활용된다.
  • 스플라이소솜 - 전령 RNA
    전령 RNA(mRNA)는 DNA의 유전 정보를 복사하여 생성되는 RNA의 일종으로, 스플라이싱, 캡핑, RNA 편집, 폴리아데닐화 등의 가공을 거쳐 리보솜에서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며, 유전자 발현 조절과 질병 치료 및 백신 개발에 응용된다.
  • RNA 스플라이싱 - 엑손
    엑손은 유전자 내 발현되는 영역으로, 단백질 코딩 유전자에서 단백질 코딩 서열과 비번역 영역을 포함하며, 선택적 스플라이싱을 통해 다양한 단백질 이성질체 생성에 기여하고 새로운 유전자 발견에 활용된다.
  • RNA 스플라이싱 - 리보자임
    리보자임은 효소처럼 작용하는 RNA 분자 또는 RNA-단백질 복합체로, RNA의 촉매 능력을 밝혀 생명 현상 이해에 기여했으며, 자기 이어맞추기, RNA 분자 절단, 펩타이드 결합 형성 등의 촉매 역할을 수행하여 RNA 세계 가설을 뒷받침하고 유전자 치료 및 바이러스 억제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 연구가 진행 중이다.
인트론

2. 인트론의 발견

1977년 필립 앨런 샤프리처드 J. 로버츠아데노바이러스 연구를 통해 인트론의 존재를 독립적으로 발견하였으며,[7] 이 공로로 199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다.[7] 하지만 이 발견을 이끌어낸 실험을 수행한 연구원 및 협력자인 수잔 버겟과 루이스 차우는 공로에서 제외되었다.[8][9] 미국의 생화학자 월터 길버트가 '인트론(intron)'이라는 용어를 처음 도입했다.[1]

초기에는 아데노바이러스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에서 발견되었으나,[4][5] 이후 전령 RNA리보솜 RNA 유전자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에서도 확인되었다. 현재는 세균,[6] 고세균, 바이러스를 포함한 모든 생물학적 왕국 내의 생물에서 광범위하게 발견된다.

1977년 아데노바이러스의 mRNA를 아데노바이러스 게놈 DNA와 하이브리다이즈시켜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RNA를 포함하지 않는 단일 가닥 DNA 루프(RNA displacement loops)가 형성되는 것이 관찰되었다.[71][72] 이는 해당 mRNA 분자가 몇몇 연속되지 않은 DNA 영역과 상보적임을 나타낸다. 이후 많은 유전자가 분절되어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진핵생물 유전자의 상당수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 유전자를 분절하는 배열이 바로 인트론이다.

3. 인트론의 분류

인트론은 크게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분류된다.


  • 단백질에 의해 잘려지는 인트론: 뉴클레아제에 의해 잘려진다. 고세균과 진핵생물의 tRNA, rRNA에서 주로 발견된다.
  • 스플라이소좀에 의해 스플라이싱되는 스플라이소솜형 인트론: 진핵생물의 유전자에서 발견된다.
  • 그룹 I 인트론: 자기 스플라이싱형 인트론으로, 제한 효소를 코딩하는 영역이 있어 전이 현상을 일으킨다. 테트라히메나의 rRNA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단백질 인자 없이 RNA만으로 스플라이싱 반응을 촉매할 수 있는 리보자임의 첫 번째 예가 되었다. 진정세균과 진핵생물의 엽록체 및 미토콘드리아에서 주로 발견되며, 진핵생물의 핵 유전자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rRNA만).
  • 그룹 II 인트론: 자기 스플라이싱형 인트론으로, 역전사 효소를 코딩하는 영역이 있으며 전이 현상을 일으킨다. 주 스플라이소솜형 인트론과 유사한 반응 양식을 가지며 조상이 동일하다고 생각된다. 진핵생물의 엽록체와 미토콘드리아, 진정세균에서 발견된다. 고세균에서는 드물다.
  • 그룹 III 인트론: 아직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유글레나(미크로세포)의 엽록체 등에서 발견되었다.


pre-mRNA에서 mRNA 절단 과정 도식


I 그룹과 II 그룹 인트론은 스스로 잘려지는 인트론이며, 전사된 primary RNA 절단을 촉매하는 리보자임으로 불린다.

3. 1. 스플라이소좀 인트론 (Spliceosomal introns)

핵 내 pre-mRNA 인트론(스플라이소좀 인트론)은 인트론과 엑손의 경계에 위치한 특정 인트론 염기 서열로 특징지어진다.[19] 이러한 서열은 스플라이소좀 RNA 분자에 의해 인식된다.[20] 또한 스플라이싱 과정에서 인트론의 5' 말단과 공유 결합을 형성하여 가지 형태의 인트론을 생성하는 분지점, 즉 인트론의 3' 말단 근처에 있는 특정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포함한다. 이 세 가지 짧은 보존 요소 외에, 핵 내 pre-mRNA 인트론 서열은 매우 가변적이다. 핵 내 pre-mRNA 인트론은 주변의 엑손보다 훨씬 더 긴 경우가 많다.

스플라이소좀형 인트론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5' 말단에 GT, 3' 말단에 AG를 가지며, 이는 GT-AG 규칙(GU-AG 규칙)이라고 불린다.[73] 길이는 다양하며 긴 것은 수백 kb까지 알려져 있으며, 평균 길이는 생물종에 따라 다르다. 한편 최단 길이는 약 20 nt 정도이며 (포유류에서는 60 nt 정도), 이는 인트론으로서 기능을 하기 위해 스플라이싱 인자와의 상호작용에 입체 구조상의 제한 등이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예시 (배열은 가상의 것. 대문자는 엑손을, 소문자는 인트론을 나타낸다.)

: pre-mRNA

:: 5' AAAAUGUCAUCAGAUAUCUGGAGguaaguuuuacguauuauucgauucgaaaugcuaucguuucagGCCCGUUACGGGGGCUAUCAG 3'

: 스플라이싱 후

:: 5' AAAAUGUCAUCAGAUAUCUGGAGGCCCGUUACGGGGGCUAUCAG 3'

3. 2. tRNA 인트론

단백질에 의존하여 제거되는 전령 RNA(tRNA) 인트론은 스플라이싱되지 않은 tRNA 전구체의 안티코돈 루프 내 특정 위치에서 발생하며, tRNA 스플라이싱 엔도뉴클레아제에 의해 제거된다. 그런 다음 엑손은 tRNA 스플라이싱 연결효소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21] 자기 스플라이싱 인트론도 때때로 tRNA 유전자 내에서 발견된다.[22]

3. 3. 그룹 I 인트론 (Group I introns)

그룹 I 인트론은 자기 스플라이싱(self-splicing)형 인트론으로, 제한 효소를 코딩하는 영역이 있어 전이 현상을 일으킨다. 테트라히메나의 rRNA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단백질 인자 없이 RNA만으로 스플라이싱 반응을 촉매할 수 있는 리보자임의 첫 번째 예가 되었다.[23][24] 주로 진정세균과 진핵생물의 엽록체 및 미토콘드리아에서 발견되며, 진핵생물의 핵 유전자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rRNA 한정).

3. 4. 그룹 II 인트론 (Group II introns)

그룹 II 인트론은 자기 스플라이싱형 인트론으로, 역전사 효소를 코딩하는 영역이 있으며 전이 현상을 일으킨다.[23][24] 그룹 I 인트론과 마찬가지로 리보자임의 일종이다. 주 스플라이소솜형 인트론과 유사한 반응 양식을 가지며, 진화적 기원이 같을 것으로 추정된다. 진핵생물의 엽록체미토콘드리아, 진정세균에서 발견되며, 고세균에서는 드물게 발견된다.

3. 5. 그룹 III 인트론 (Group III introns)

자기 스플라이싱형이다. 자세한 기작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유글레나(미크로세포)의 엽록체 등에서 발견되었다.[1]

4. 스플라이싱의 정확성

스플라이소좀은 최대 100개의 단백질과 5개의 서로 다른 RNA를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구조이다. 스플라이소좀에 의해 촉매되는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은 수천 개의 뉴클레오티드 거리에 있을 수 있는 부위들을 함께 가져오는 것을 필요로 한다.[25][26] 모든 생화학 반응에는 오류율이 존재하며, 반응이 복잡할수록 오류율은 높아진다. 따라서 스플라이소좀의 스플라이싱 반응은 숨은 스플라이스 부위의 우발적인 절단을 억제하는 부속 인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한 오류율을 가질 수 있다.[27]

이상적인 상황에서 스플라이싱 반응은 99.999%의 정확도를 가지며(오류율 10−5), 올바른 엑손이 연결되고 올바른 인트론이 삭제된다.[28] 그러나 이러한 이상적인 조건은 최상의 스플라이스 부위 서열과 매우 가깝게 일치하고, 인트론 내에 경쟁하는 숨은 스플라이스 부위 서열이 없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은 40킬로베이스 쌍 이상을 커버할 수 있는 대형 진핵 유전자에서는 거의 충족되지 않는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실제 오류율은 이보다 훨씬 높을 수 있으며 유전자당 2% 또는 3%의 오류(오류율 2 또는 3 x 10−2)에 이를 수 있다.[29][30][31] 추가 연구에 따르면 오류율은 인트론당 0.1% 이상이다.[32][33] 이렇게 비교적 높은 수준의 스플라이싱 오류는 대부분의 스플라이스 변이체가 넌센스 매개 분해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는 이유를 설명한다.[34][35]

유전자 내에 부정확한 결합 부위가 존재하면 스플라이싱 오류가 발생한다. 이러한 부위의 지속성에 대한 주장은 정크 DNA에 대한 주장과 유사하다.[2][36] 결합 부위를 생성하거나 파괴하는 돌연변이는 약간 해로울 수 있지만, 가능한 돌연변이의 수가 많기 때문에 일부는 개체군에서 고정될 수밖에 없다. 이것은 인간과 같이 장기적인 유효 개체군 크기가 비교적 작은 종에서 특히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인간 게놈은 비정상적인 전사체 이소형의 생성을 유발하는 최적 이하의 서열을 상당량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2]

촉매 반응은 대부분의 경우 효과적인 처리에 충분할 정도로 정확할 수 있지만, 전사 오류는 숨은 스플라이스 부위를 생성하는 돌연변이를 도입하므로 전체 오류율은 전사의 충실도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10−5 – 10−6의 전사 오류율은 25,000개의 전사된 엑손 중 하나에서 스플라이스 부위에 삽입 오류가 발생하여 인트론 건너뛰기 또는 엑손 건너뛰기가 발생할 정도로 높다. 거의 모든 다중 엑손 유전자는 잘못 스플라이싱된 전사체를 생성하겠지만, 이러한 배경 잡음의 빈도는 유전자의 크기, 인트론의 수, 스플라이스 부위 서열의 품질에 따라 달라진다.[2]

어떤 경우에는 유전자(DNA)의 돌연변이에 의해 스플라이스 변이체가 생성될 것이다. 이러한 돌연변이는 숨은 스플라이스 부위를 생성하거나 기능 부위를 돌연변이시키는 단일염기 다형성(SNP)일 수 있다. 또한 특정 조직이나 세포주에서 스플라이싱에 영향을 미치는 체세포 돌연변이일 수도 있다.[37][38][39]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가 이형 접합 상태에 있으면 기능적인 것과 비기능적인 것, 두 가지의 풍부한 스플라이스 변이체가 생성된다. 동형 접합 상태에서 돌연변이 대립 유전자는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에서 발견된 혈우병과 같은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혈액 응고 인자 유전자의 인트론 중 하나의 돌연변이가 숨은 3' 스플라이스 부위를 생성하여 비정상적인 스플라이싱을 초래한다.[40] 질병으로 인한 인간 사망의 상당한 부분은 정상적인 스플라이싱을 방해하는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숨은 스플라이스 부위가 생성되기 때문이다.[41][2]

잘못 스플라이싱된 전사체는 쉽게 감지될 수 있으며, 그 서열은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 입력된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대체 스플라이싱된" 전사체로 설명되는데, 이는 실제 생물학적으로 관련된 대체 스플라이싱과 스플라이싱 오류로 인한 처리 잡음을 구별하지 못하기 때문에 혼란스러울 수 있다. 대체 스플라이싱 분야의 핵심 문제는 이 두 가지 가능성 간의 차이점을 파악하는 것이다. 많은 과학자들은 귀무 가설이 스플라이싱 잡음이어야 하며, 생물학적으로 관련된 대체 스플라이싱을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증명 책임을 부과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이러한 과학자들에 따르면, 기능에 대한 주장은 동일한 유전자에서 여러 기능성 산물이 생성된다는 설득력 있는 증거와 함께 제시되어야 한다.[42][43]

5. 인트론의 진화

인트론의 진화적 기원에 대해서는 초기 인트론 모델과 후기 인트론 모델이 대립하고 있다. 초기 인트론 모델은 조상의 유전자가 많은 수의 인트론을 포함했으나 진화를 거치고 종이 분화되면서 소실되거나 달라졌다고 주장한다. 후기 모델은 새로운 인트론의 도입을 위해 어떠한 사전 조치를 한다고 가정하고 이 때문에 특정 유전자 변이의 같은 장소에서 유사한 인트론이 나타난다고 주장한다. 전혀 다른 2개의 종에서 같은 인트론 유형을 나타나는 수렴 진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12]

다양한 생물체의 게놈 내에서 인트론의 빈도는 광범위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관찰된다. 예를 들어,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거의 항상 여러 개의 인트론을 포함하는 턱구조 척추동물(예: 인간, 생쥐, 복어)의 핵 게놈 내에서 인트론은 매우 흔하지만, 일부 진핵 미생물의 핵 유전자 내에서는 인트론이 드물다.[12] 빵/맥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가 그 예이다. 반대로, 척추동물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인트론이 전혀 없지만, 진핵 미생물의 미토콘드리아 게놈은 많은 인트론을 포함할 수 있다.[13]

특히 극단적인 예는 3.6 메가베이스(Mb) 이상의 인트론을 포함하는 초파리 dhc7 유전자이며, 전사하는 데 약 3일이 걸린다.[14][15] 반면, 2015년 연구에 따르면 가장 짧은 것으로 알려진 후생동물 인트론 길이는 인간 MST1L 유전자에 속하는 30개의 염기쌍(bp)이다.[16] 가장 짧은 것으로 알려진 인트론은 대부분의 인트론(> 95%)이 15 또는 16 bp인 Stentor coeruleus와 같은 이모류 섬모충에 속한다.[17]

6. 인트론의 기능



인트론은 유전자의 대체삽입(alternative splicing)을 허용하여 한 유전자에서 여러 가지 단백질을 생산하도록 한다. mRNA 절단은 다양한 신호분자에 의해 수행된다.[61] 인트론은 영양 감지 경로의 리보솜 단백질 유전자 억제를 통해 기아에 대한 세포 저항성을 촉진하는 기능도 한다.

인트론의 대부분 서열은 알려진 기능이 없는 쓰레기 DNA로 여겨졌지만, 짧은 염기서열 반복이 효과적인 mRNA 절단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인트론 절단 향상(intronic splicing enhancers)의 정확한 과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전사 과정에서 스플라이오솜(spliceosome)을 안정화시키며 단백질과 결합하는 부위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7. 인트론의 획득 및 손실 기작

인트론은 진화 과정에서 획득되거나 손실될 수 있다. 인트론 손실은 역전사 효소 매개 인트론 손실(RTMIL)과 유전체 결실을 통해 일어난다. 인트론 획득은 인트론 전위, 전이 인자 삽입, 직렬 유전체 중복, 인트론 전달, 이중 가닥 파괴 복구(DSBR) 중 인트론 획득, 그룹 II 인트론 삽입, 인트론화 등 다양한 기작을 통해 일어날 수 있다.[7] 인트론의 진화적 기원에 대해서는 초기 인트론 모델과 후기 인트론 모델, 두 가지 주요 가설이 있다.[7] 초기 인트론 모델은 조상 유전자에 많은 수의 인트론이 존재했지만 진화 과정에서 종 분화에 따라 소실되거나 달라졌다고 주장한다.[7] 반면, 후기 인트론 모델은 새로운 인트론 도입을 위한 사전 조치가 있어 특정 유전자 변이의 같은 위치에서 유사한 인트론이 나타난다고 주장하며, 서로 다른 종에서 같은 인트론 유형이 나타나는 수렴 진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한다.[7] 인트론-엑손 구조 변화는 점진적이고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코딩 서열의 진화와는 독립적으로 일어난다.[7]

참조

[1] 논문 Why genes in pieces? 1978-02-00
[2] 논문 The precursor of mouse beta-globin messenger RNA contains two intervening RNA sequences 1978-07-00
[3] 서적 Genes Wiley 1987-00-00
[4] 논문 An amazing sequence arrangement at the 5' ends of adenovirus 2 messenger RNA 1977-09-00
[5] 논문 Spliced segments at the 5' terminus of adenovirus 2 late mRNA 1977-08-00
[6] 논문 Processing of the intron-containing thymidylate synthase (td) gene of phage T4 is at the RNA level 1985-06-00
[7]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ology or Medicine 1993 https://www.nobelpri[...]
[8] 논문 The Women Who Discovered RNA Splicing https://www.american[...] 2024-01-12
[9] 뉴스 Nobel Prize in medicine brews resentment, envy https://www.newspape[...] 1993-11-08
[10] 논문 Sequence of a mouse germ-line gene for a variable region of an immunoglobulin light chain 1978-03-00
[11] 논문 Intervening sequence of DNA identified in the structural portion of a mouse beta-globin gene 1978-02-00
[12] 논문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of fungal genomes reveals intron-rich ancestors
[13] 논문 The mitochondrial genome: structure, transcription, translation and replication 1999-02-00
[14] 논문 RNA processing marches on 2000-11-00
[15] 논문 Mega-introns in the dynein gene DhDhc7(Y) on the heterochromatic Y chromosome give rise to the giant threads loops in primary spermatocytes of Drosophila hydei 2000-02-00
[16] 논문 Identification of minimal eukaryotic introns through GeneBase, a user-friendly tool for parsing the NCBI Gene databank 2015-12-00
[17] 논문 The Macronuclear Genome of Stentor coeruleus Reveals Tiny Introns in a Giant Cell 2017-02-00
[18] 논문 Group II and group III introns of twintrons: potential relationships with nuclear pre-mRNA introns 1993-12-00
[19] 논문 Splicing of messenger RNA precursors
[20] 논문 Spliceosomal snRNAs
[21] 논문 Mechanism of action of a yeast RNA ligase in tRNA splicing 1983-02-00
[22] 논문 Self-splicing introns in tRNA genes of widely divergent bacteria 1992-05-00
[23] 논문 Self-splicing of group I introns
[24] 논문 Structure and activities of group II introns
[25] 논문 How is precursor messenger RNA spliced by the spliceosome? 2020-00-00
[26] 논문 RNA splicing by the spliceosome 2020-00-00
[27] 논문 Coupling of spliceosome complexity to intron diversity 2021-00-00
[28] 논문 Spliceosomes walk the line: splicing errors and their impact on cellular function 2009-00-00
[29] 논문 Stochastic noise in splicing machinery 2009-00-00
[30] 논문 Splice-site pairing is an intrinsically high fidelity process 2009-00-00
[31] 논문 Widespread alternative and aberrant splicing revealed by lariat sequencing 2015-00-00
[32] 논문 Noisy splicing drives mRNA isoform diversity in human cells 2010-00-00
[33] 논문 Estimation of the minimum mRNA splicing error rate in vertebrates 2016-00-00
[34] 논문 Noisy splicing, more than expression regulation, explains why some exons are subject to nonsense-mediated mRNA decay 2009-00-00
[35] 논문 Widespread exon skipping triggers degradation by nuclear RNA surveillance in fission yeast 2015-00-00
[36] 논문 The fitness cost of mis-splicing is the main determinant of alternative splicing patterns 2017-01-01
[37] 논문 RNA mis-splicing in disease 2016-01-01
[38] 논문 Pan-cancer repository of validated natural and cryptic mRNA splicing mutations 2019-01-01
[39] 논문 Expression changes confirm genomic variants predicted to result in allele-specific, alternative mRNA splicing 2020-01-01
[40] 논문 Genotype analysis identifies the cause of the "royal disease" 2009-01-01
[41] 논문 Rate, molecular spectrum, and consequences of human mutation 2010-01-01
[42] 논문 The state of play in higher eukaryote gene annotation 2016-01-01
[43] 논문 Systematic evaluation of isoform function in literature reports of alternative splicing 2018-01-01
[44] 논문 Critical association of ncRNA with introns 2011-03-01
[45] 논문 Introns in UTRs: why we should stop ignoring them 2012-12-01
[46] 논문 Genome analysis reveals interplay between 5'UTR introns and nuclear mRNA export for secretory and mitochondrial genes 2011-04-01
[47] 논문 An overview of the introns-first theory 2009-11-01
[48] 논문 Intron phylogeny: a new hypothesis 1991-01-01
[49] 논문 The origins of introns 1991-01-01
[50] 논문 "Five easy pieces."(role of RNA catalysis in cellular processes) 1991-01-01
[51] 논문 Origin of spliceosomal introns and alternative splicing. 2014-01-01
[52] 논문 Origins and evolution of spliceosomal introns 2006-01-01
[53] 논문 Eukaryotic intron loss 2003-05-01
[54] 논문 The evolution of spliceosomal introns: patterns, puzzles and progress 2006-03-01
[55] 논문 The emergence of a synthetic theory of intron evolution 2003-07-01
[56] 논문 Intron evolution as a population-genetic process 2002-04-01
[57] 논문 The biology of intron gain and loss 2006-01-01
[58] 논문 Rapidly regulated genes are intron poor 2008-08-01
[59] 논문 Selection for short introns in highly expressed genes https://zenodo.org/r[...] 2002-08-01
[60] 논문 Introns Protect Eukaryotic Genomes from Transcription-Associated Genetic Instability 2017-08-01
[61] 논문 Introns are mediators of cell response to starvation 2019-01-01
[62] 논문 Origin and evolution of spliceosomal introns 2012-04-01
[63] 논문 A role for reverse transcripts in gene conversion https://zenodo.org/r[...] 1993-01-01
[64] 논문 Identifying the mechanisms of intron gain: progress and trends 2012-09-01
[65] 논문 Transposable elements drive intron gain in diverse eukaryotes 2022-11-01
[66] 논문 Transposable elements drive intron gain in diverse eukaryotes 2022-11-01
[67] 논문 Nuclear expression of a group II intron is consistent with spliceosomal intron ancestry 2010-04-01
[68] 논문 The generality of self-splicing RNA: relationship to nuclear mRNA splicing 1986-01-01
[69] 논문 Retrotransposition of a yeast group II intron occurs by reverse splicing directly into ectopic DNA sites 2001-11-01
[70] 논문 A segmental genomic duplication generates a functional intron 2011-08-01
[71] 논문 Spliced segments at the 5' terminus of adenovirus 2 late mRNA
[72] 논문 An amazing sequence arrangement at the 5' ends of adenovirus 2 messenger RNA
[73] 서적 分子生物学イラストレイテッド 羊土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