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귀는 석기 시대부터 사용된 목공 도구로, 도끼와 유사하게 생겼지만 날의 방향이 직각으로 되어 있어 나무를 깎는 데 주로 사용된다. 자귀는 나무를 평평하게 다듬거나 홈을 내는 데 사용되었으며,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고왕조 시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아프리카, 뉴질랜드, 북서 해안 아메리카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목공예, 카누 제작 등에 활용되었다. 현대에는 강철로 제작되어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소방관들이 사용하는 해리건 바와 같은 도구에도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목공 - 천공
    천공은 드릴 비트를 회전시켜 재료에 원형 구멍을 뚫는 가공 공정으로, 잔류 응력 및 균열 발생 방지를 위한 마무리 작업이 필요하며, 다양한 드릴 비트와 특수 목적의 드릴링 공법, 그리고 관련 공정들이 존재한다.
  • 목공 - 마키에
    마키에는 금속 가루를 옻칠로 표면에 입혀 장식하는 일본 전통 칠기 기법이며, 히라마키에, 도기다시마키에, 다카마키에 등의 기법으로 나뉘고, 헤이안 시대에 발전하여 일본 칠기 공예의 독창성을 보여준다.
  • 도구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 도구 - 호루라기
    호루라기는 입으로 불어넣는 공기나 증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내는 도구로, 스포츠 경기, 경비, 교통 정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신호 전달 및 경고 목적으로 활용되며 악기로도 사용된다.
자귀
개요
자귀
현대식 자귀
용도목재 가공 도구
종류손자귀, 발자귀
사용법나무를 깎거나 다듬는 데 사용
명칭 및 어원
영어adze (애즈)
일본어釿 (ちょうな, 쵸나)
한국어자귀
어원 (한국어)'작다'의 어근 '작-' + 연장 도구를 뜻하는 접미사 '-이'의 결합으로 추정
역사 및 문화
기원석기 시대부터 사용
용도 (역사)배 제작, 건축, 조각 등
문화적 의미전통 공예 및 건축에서 중요한 역할
구조 및 재료
강철 또는 돌
머리나무 또는 금속
손잡이나무
재료나무, 돌, 강철
종류
손자귀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자귀
발자귀발로 고정하여 사용하는 자귀
사용법
기본 원리날의 방향과 힘의 방향을 이용하여 나무를 깎아냄
주의사항안전 장비 착용, 올바른 자세 유지
현대적 활용
용도목공예, 가구 제작, 목조 건축
대체 도구전기 대패, 수동 대패
추가 정보
관련 도구도끼, 끌, 대패
참고 문헌(해당 위키 문서의 참고 문헌 섹션 참조)

2. 역사

자귀는 석기 시대 이래 쓰인 목공 도구로 도끼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날의 방향이 직각으로 돌려져 있어 주로 나무를 깎아내는 데 사용한다.[23] 괭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도끼의 일종으로, 도끼로서는 가로도끼로 분류된다. 대패가 보급되기 전에는 목재의 거친 깎기 용도로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었다.

고고학, 민족학 관점에서는, 일반적인 벌채 도끼나 장작 패는 도끼처럼 날과 자루가 평행한 도끼를 "세로 도끼", 자귀처럼 자루와 날이 직각으로 위치하는 도끼를 "가로 도끼"라고 부른다. 고대 이집트는 고왕조 시대의 유물에서 이미 자귀의 모습이 그려진 그림이 보인다.[25] 이집트 고왕조의 자귀는 돌로 된 것이었지만, 이집트의 선사시대에 이미 구리로 된 자귀가 제작되기도 하였다.[26]

구석기 시대 전기의 타제 석기인 석부 "쥐는 도끼"는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자루가 없는 도끼였다. 여기에 자루를 부착함으로써 날과 자루의 위치에 따라 "세로 도끼"와 "가로 도끼"의 구별이 생겨났다.

일본에서는 무로마치 시대에 대륙에서 대형 종톱·오가(大鋸)가 전래되기 전까지, 삼나무나 히노키처럼 나뭇결이 곧게 뻗어 쪼개기 쉬운 침엽수가 건재로 선호되었고, 대형 판재는 매우 고가였다. 무로마치 시대 이후에는 옹이가 많은 재료나 느티나무와 같이 나뭇결이 복잡하게 얽힌 재료라도 켜서 각재나 판재로 가공할 수 있게 되었고, 목재는 크게 원가 절감되었다. 하지만 그 이후에도 정은 각재의 거친 깎기 등에 계속 사용되었다. 메이지 초기에 일본을 방문한 미국의 동물학자 에드워드 S. 모스는 일본 전통 목수 일을 견학하고, 정을 다루는 목수들을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15]

현재, 실제 건축이나 제재 현장에서 정이 실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한편, 에도 시대에 건축된 고민가를 해체할 때 나오는 고재는, 표면에 떠오른 정의 깎인 자국이 독특한 의장으로 여겨져 귀중하게 여겨지고 있다. 정 자국을 흉내 내어 마무리하는 대패도 존재하며, 일본식 음식점 등에서 벽재로 사용되어, 민가의 이미지를 내는 경우도 있다.

실험고고학에서 유럽의 선상문 토기 문화에서 사용된 자귀의 사용감을 확인하는 모습

2. 1. 한국

한국에서는 삼한 시대 이전부터 자귀가 사용되었다.[24] 광주 동림동 저습지 유적에서 삼한 시대 이전의 자귀가 출토되었다.[23]

2. 2. 아프리카

철기 시대 기술이 고대 이집트인들의 이주와 함께 아프리카 남부로 이동하면서,[6] 그들은 자귀를 포함한 기술을 함께 가져갔다. 오늘날까지 철 자귀는 아프리카 전역의 시골에서 구덩이 변기 파기, 장작 패기, 옥수수, 커피, 차, 제충국, 콩, 수수, 참마 또는 기타 여러 현금 및 자급 작물의 밭을 가는 다양한 목적에 사용된다.

2. 3. 뉴질랜드

마오리 초기 시대 북섬에서 발견된 자귀는 모투타푸 섬의 사암 또는 코로만델 반도의 오피토 만에서 채취한 현무암으로 만들어졌으며, 이는 다른 태평양 섬에서 제작된 자귀와 유사했다.[7] 노스랜드 지방에서 발견된 초기 시대의 홈이 파인 자귀는 주로 말버러 지방넬슨 지역 주변에서 채석된 점판암으로 만들어졌다.[8] 백인 도달 이전 오세아니아에서는 세로 도끼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대부분 지역에서 가로 도끼가 사용되었다.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는 카우리 등의 큰 나무를 연옥으로 만든 자귀로 조각하여 카누를 만들고, 정교한 조각으로 장식한 건축물을 만들었다.

2. 4. 북서 해안 아메리카

미국 북서 해안 원주민들은 전통적으로 기능적 구조물(그릇에서 카누까지)과 예술(가면에서 토템 기둥까지) 모두에 자귀를 사용했다. 북서 해안 자귀는 손잡이와 D자형 손잡이의 두 가지 형태를 가진다. 손잡이 형태는 약 60% 각도를 이루는 자연스러운 굽은 나뭇가지로 손잡이를 구성하여 유럽식 자귀와 형태가 유사하다. 얇은 끝은 손잡이로 사용하고, 두꺼운 끝은 납작하게 만들고 홈을 내어 자귀 쇠를 묶을 수 있도록 한다. 현대식 손잡이는 때때로 굽은 부분의 강도를 위해 도웰을 추가하여 톱질된 판재로 제작된다. 두 번째 형태는 D자형 손잡이 자귀로, 기본적으로 손잡이가 직접 부착된 자귀 쇠이다. 따라서 D자형 손잡이는 기계적 지렛대를 제공하지 않는다. 북서 해안 자귀는 종종 크기와 쇠 모양, 역할에 따라 분류된다. 유럽식 자귀와 마찬가지로 쇠 모양에는 직선형, 홈형, 립형이 있다. 더 큰 북서 해안 자귀는 유럽 자귀와 크기가 비슷하지만, 작은 자귀는 일반적으로 훨씬 가벼워 인물 조각에 필요한 섬세한 매끄럽게 하기, 모양내기, 표면 질감을 내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최종 표면 처리는 때때로 굽은 칼로 수행된다.

원주민 알래스카 보트 제작자가 자귀를 사용


아메리카 대륙의 북태평양 연안은 일본 해류의 영향으로 온난한 기후와 강수량의 혜택을 받아 황금 편백이나 미송 등의 침엽수로 덮여 있다. 이 지역에 사는 아메리카 원주민하이다족콰키우틀족은 풍부한 산림 자원을 활용하여 대규모 건축물, 카누, 식기, 토템 기둥 등을 만들어 왔는데, 그들이 사용하는 자귀는 60도의 각도로 꺾인 가지를 자루로 한 것으로, 유럽의 전통적인 자귀와 매우 유사하다.

2. 5. 뉴기니와 멜라네시아

서뉴기니(인도네시아), 파푸아뉴기니, 그리고 멜라네시아미크로네시아의 일부 작은 섬들에서 다양한 사람들이 갈아 만든 돌 도끼를 사용했다.[10] 단단한 돌은 원하는 모양이 나올 때까지 물을 이용하여 강가의 돌에 갈아 만들었다. 그런 다음 수지(레진)와 식물 섬유를 사용하여 자연적으로 자란 각진 나무에 고정했다. 다양한 광물이 사용되었다. 이제는 뉴기니의 가장 외딴 지역에서조차 수입된 강철 도끼나 마체테가 수십 년 동안 이러한 도구들을 완전히 대체했다.[11] 실제로, 최초의 외국 선교사나 식민지 관리들이 뉴기니 고원에 도착하기 전에도, 주민들은 이웃과의 무역을 통해 이미 강철 도구를 얻었다.[11] 돌 도구는 때때로 관광객들에게 기념품으로 판매하기 위해 제조된다.[12]

뉴기니의 현대식 돌 도끼


20세기 중반까지 석기 시대와 다름없는 생활을 했던 뉴기니의 고지인들에게는 세로 도끼만을 사용하는 부족과 가로 도끼만을 사용하는 부족이 있었다. 모니족과 라니족은 세로 도끼만을 사용하지만, 세픽 강의 지류역에 사는 헤브족이나, 북동부의 경작지에 거주하는 쿠쿠쿠쿠족은 가로 도끼만을 사용하는 부족이다. 큰 나무를 벌채할 때는 머리 위로 가로 도끼를 크게 휘두르며, 괭이를 내리치는 요령으로 줄기 측면을 벗겨낸다. 쿠쿠쿠쿠족을 포함한 뉴기니 고지인들에게 돌도끼는 도구인 동시에 재산이기도 하여, 결혼할 때는 약혼으로 신랑 측이 신부 측에 거대한 장식 돌도끼를 선물했다. 철기 전래 이후 이 풍습도 사라지고, 대신 철기나 돼지를 선물한다.

멜라네시아에는 환초의 섬 등 석기 소재에 적합한 돌을 생산하지 않는 지역도 많다. 그러한 곳에서는 대합의 두꺼운 껍질을 갈아 만든 "조개 도끼" 자귀를 사용하는 지역도 많다. 조개 도끼는 끈기가 있어 부서지기 어렵기 때문에, 현무암 등 석기에 적합한 암석을 생산하는 지역에서도 사용되었다.

2. 6. 유럽

석기 시대 이래 쓰인 목공 도구인 자귀는 도끼와 생김새가 비슷하지만 날의 방향이 직각으로 돌려져 있어 주로 나무를 깎아내는 데 사용한다.[23] 괭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도끼의 일종으로, 도끼로서는 가로도끼로 분류된다. 대패가 보급되기 전에는 목재의 거친 깎기 용도로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었다.

고고학, 민족학 관점에서는, 일반적인 벌채 도끼나 장작 패는 도끼처럼 날과 자루가 평행한 도끼를 "세로 도끼", 자귀처럼 자루와 날이 직각으로 위치하는 도끼를 "가로 도끼"라고 부른다. 구석기 시대 전기의 타제 석기인 석부 "쥐는 도끼"는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자루가 없는 도끼였다. 여기에 자루를 부착함으로써 날과 자루의 위치에 따라 "세로 도끼"와 "가로 도끼"의 구별이 생겨났다.

유럽 북부에서는 1만 년 - 8천 년 전의 중석기 시대 전반기에 해당하는 마글레모세 문화 유적에서 부싯돌을 떼어내어 만든 타제석기가 다수 발견되었다. 그 내역은, 암괴를 떼어내고 남은 덩어리를 다듬은 '경핵 석부(礫核石斧)'의 가로날 도끼가 가장 많고, 암석 조각을 다듬은 '박편 석부(剝片石斧)'나 세로날 도끼의 수를 압도하고 있다. 같은 시대의 북유럽에서는 골부(뼈로 만든 도끼)도 가로날 도끼가 우세하다. 그러나 8천 - 7천 년 전의 에아테베르 문화기에 이르러 세로날 도끼가 우세해지고, 그 형태도 대형화된다. 이는 기후 변화로 식생이 소나무, 자작나무에서 활엽수로 바뀌었기 때문에, 강인하고 끈기 있는 참나무 등의 나무를 벌채하기 위해 고안한 결과로 보인다.

신석기 시대의 세로날 도끼와 가로날 도끼는 각섬암이나 현무암, 등을 갈아내어 성형한 마제석기로, 후의 켈트에 이르는 선대문 토기 문화나 Rossen culture|로센 문화영어의 출토물에서 그 흔적을 볼 수 있다.

유럽에서 시베리아에 이르는 유라시아 북부의 도끼는 '가로날 도끼'로 시작했지만, 중석기 시대 후기에 세로날 도끼 우세로 변화했으며, 이는 청동기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는다.

2. 7. 오세아니아

백인이 도달하기 전 오세아니아에서는 세로 도끼가 거의 사용되지 않았고, 대부분 가로 도끼가 사용되었다. 뉴질랜드의 원주민인 마오리는 카우리 등의 큰 나무를 연옥으로 만든 자귀로 조각하여 카누를 만들고, 정교한 조각으로 장식한 건축물을 만들었다.

20세기 중반까지 석기 시대와 다름없는 생활을 했던 뉴기니의 고지인들에게는 세로 도끼만을 사용하는 부족과 가로 도끼만을 사용하는 부족이 있었다. 모니족과 라니족은 세로 도끼만을 사용하지만, 세픽 강의 지류역에 사는 헤브족이나, 북동부의 경작지에 거주하는 쿠쿠쿠쿠족은 가로 도끼만을 사용하였다. 큰 나무를 벌채할 때는 머리 위로 가로 도끼를 크게 휘두르며, 괭이를 내리치는 요령으로 줄기 측면을 벗겨냈다. 쿠쿠쿠쿠족을 포함한 뉴기니 고지인들에게 돌도끼는 도구인 동시에 재산이기도 하여, 결혼할 때 약혼으로 신랑 측이 신부 측에 거대한 장식 돌도끼를 선물했다. 철기 전래 이후 이 풍습도 사라지고, 대신 철기나 돼지를 선물한다.

멜라네시아폴리네시아에는 환초의 섬 등 석기 소재에 적합한 돌을 생산하지 않는 지역도 많았다. 그러한 곳에서는 대합의 두꺼운 껍질을 갈아 만든 "조개 도끼" 자귀를 사용하는 지역도 많았다. 조개 도끼는 끈기가 있어 부서지기 어렵기 때문에, 현무암 등 석기에 적합한 암석을 생산하는 지역에서도 사용되었다.

2. 8. 북아메리카

미국 아칸소주에서 미주리주에 걸쳐 번성했던 고대 문화 "달튼 문화" 유적에서 발굴된 돌도끼는 통나무배 제작이나 집 건축에 사용된 "가로 도끼"로 추정된다.

아메리카 대륙 북태평양 연안은 일본 해류의 영향으로 온난한 기후와 강수량의 혜택을 받아 황금 편백이나 미송 등의 침엽수로 덮여 있다. 이 지역에 사는 아메리카 원주민하이다족콰키우틀족은 풍부한 산림 자원을 활용하여 대규모 건축물, 카누, 식기, 토템 기둥 등을 만들었는데, 이들이 사용한 자귀는 60도 각도로 꺾인 가지를 자루로 한 것으로, 유럽의 전통적인 자귀와 매우 유사하다.

3. 현대의 자귀

현대식 자귀는 강철로 제작되며 나무 자루를 가지고 있고,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반산업 지역에서 때때로 사용되지만, 특히 미국 버지니아의 콜로니얼 윌리엄스버그 문화 센터와 같은 "부흥주의자"들에 의해 사용된다. 그러나 전통적인 자귀는 적어도 산업화된 문화권에서는 제재소와 동력 대패에 의해 대부분 대체되었다. 일부 전문적인 공예 (예: 통 제조업자)에서 여전히 사용된다. 북서부 아메리카 원주민과 캐나다 원주민 조각가들이 토템 기둥, 부족 가면 및 그릇을 조각할 때도 현재 사용되고 있다.[15]

3. 1. 종류

일본식 자귀의 자루는 주로 회화나무 재질을 굽은 형태로 만들며, 그 끝에 처럼 날을 꽂는다. 한편, 서양식 자귀는 괭이나 mattock|매톡영어(곡괭이의 일종)와 마찬가지로, 직선적인 자루에 직각으로 날을 끼운다. 구미에서의 자귀는 목재 가공 외에 노후 주택의 해체에도 사용되며, 단독 도구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용도로 사용된다.[15]

괭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진 도끼의 일종으로, 도끼로서는 가로도끼로 분류된다. 대패가 보급되기 전에는 목재의 거친 깎기 용도로 세계 각국에서 사용되었다. 석기 시대부터 존재하는 역사가 깊은 도구이다.

사용 시에는 사용자가 재료 위에 서서, 발 밑으로 자귀를 내리치면서 뒷걸음질하여 목재를 거칠게 깎는다. 또한, 큰 나무를 파내어 절구, 반죽 그릇, 통나무배 등을 만들 때에도 사용된다. 절구나 통나무배 제작에 사용되는 자귀는 "절구 조각칼", "모타" 등으로 불리며, 목재 깎기 용도보다 자루가 짧아 한 손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쿠퍼의 손도끼


목공 기술자, 마차 제작자, 의자 제작자, 그리고 그릇과 통 제작자들은 특수한 종류의 짧은 자루 손도끼를 사용한다. 이 손도끼들 중 많은 수가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 자루가 짧고, 짧은 절삭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머리에 더 많은 곡선이 있다.

현대에도 일부 조각가나 궁궐 대목장, 목기장, 절구 제작 장인이 작업 현장에서 釿(ちょうな, 징)을 사용하는 예가 있다.

경찰관이나 소방관 등이 실내 진입에 사용하는 Halligan bar|해리건 바영어는 釿(ちょうな, 징)의 날과 직각으로 스파이크, 자루 반대쪽에 평 빠루를 부착한 형태의 도구이다.

휴대하기 쉬운 짧은 해리건 바


20세기 초 이후, 방화대를 만드는 산불 대책 소방관들은 도끼와 釿(ちょうな, 징)을 조합한 Pulaski (tool)|플라스키영어를 사용한다.[21]

발 자귀는 주로 조선소 또는 목수의 자귀로 알려져 있다. 크기는 00에서 5까지 다양하며, 무게는 3to(-)이고 날의 너비는 3to(-)이다.[13] 현대의 강철 자귀는 매끄럽게 다듬는 작업에 사용되는 평평한 날부터 그릇, 홈통, 카누와 같은 움푹한 곳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매우 둥근 날까지 다양하다. 자귀의 어깨 또는 측면은 홈을 내는 데 사용되는 "립 자귀"라고 불리는 곡선형일 수 있다. 날에서 떨어진 끝은 폴이라고 불리며, 일반적으로 평평하거나 "핀 폴"과 같은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 목수 자귀: 매우 가파른 곡선과 매우 무딘 폴이 있는 무거운 자귀. 이 자귀의 무게 때문에 지속적인 머리 위 자귀질에는 적합하지 않다.
  • 철도 자귀: 철도 침목(레일 침목)을 만들 때 손잡이 파손을 제한하기 위해 비트가 연장된 목수 자귀. 뉴잉글랜드에서 초기 예가 대략 1840년대에서 1850년대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초기 프로토타입은 연장부가 부착된 용접 부분을 분명히 보여주었다.
  • 조선공 자귀: 목수 자귀보다 가볍고 다재다능한 자귀. 이 자귀는 머리 위뿐만 아니라 허리 및 가슴 높이 앞에서도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 립 조선공 자귀: 조선공 자귀의 변형. 일반적인 것보다 넓은 비트를 특징으로 하며, 외부 가장자리가 날카롭게 위로 구부러져 있어서 자귀를 비트에서 아이까지 똑바로 내려다보면 날이 매우 넓고 종종 매우 평평한 U 자 모양을 닮았다. 이 자귀는 주로 판재를 연결하는 것과 같이 나뭇결을 가로질러 모양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 D자형 손잡이 자귀: 손이 비트에 가까운 D자형 손잡이를 감쌀 수 있다. 이 자귀는 비트나 이빨이 머리처럼 손잡이를 감싸지 않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형태를 따른다.
  • 아이스 액스의 머리: 일반적으로 얼음에 거친 계단을 자르는 데 사용되는 자귀를 가지고 있다.
  • 홀리건 바라고 불리는 소방관 도구: 바의 한쪽 끝에 무딘 자귀를 가지고 있다. 이 바는 한쪽 끝에 갈고리 모양의 쇠지렛대가 있고 다른 쪽 끝에 자귀와 스파이크가 있는 강제 진입 및 파괴를 위한 다목적 도구이며, 자귀 끝이라고 불린다.
  • 파괴 자귀: 무딘 날을 가지고 있으며 오래된 건물의 파괴 또는 구조 작업에서 재료를 분리하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Routledge
[2]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https://archive.org/[...] Routledge
[3] 서적 Wörterbuch der ägyptischen Sprache [Dictionary of the Egyptian language] JC Hinrichs
[4] 서적 The quick and the dead: biomedical theory in ancient Egypt Brill
[5] 서적 The cannibal hymn: a cultural and literary study Liverpool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Africa in the Iron Age: C. 500 BC–1400 A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10-29
[7] 간행물 Addressing models of Maori interaction and regional variation in New Zealand: an analysis of stone adzes from the Auckland (Tamaki) region https://onlinelibrar[...] 2021-01-14
[8] 문서 Q58629011
[9] 서적 Guns, Germs, and Steel Norton
[10] 간행물 Simple and Significant: Stone Tool Production in Highland New Guinea https://www.jstor.or[...] 1995
[11] 간행물 The hunt for authenticity: Stone Age Stories Out of Context http://www.tandfonli[...] 2004-06
[12] 간행물 Gogodala Canoe Festivals, Customary Ways and Cultural Tourism in Papua New Guinea https://onlinelibrar[...] 2013-07
[13] 문서 Dictionary of tools used in the woodworking and allied trades, c. 1700–1970 Scribner
[14] AV media Building a tiny house https://www.youtube.[...] 2023-04-23
[15] 뉴스 This Old Recyclable House http://www.nytimes.c[...] 2008-09-29
[16]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Routledge
[17]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Routledge
[18] 웹사이트 ペトリ博物館のウェブサイト http://www.petrie.uc[...]
[19] 서적 The quick and the dead: biomedical theory in ancient Egypt Brill
[20] 서적 The cannibal hymn: a cultural and literary study Liverpool University Press
[21] 웹사이트 The True Story of the Pulaski Fire Tool https://wildfiretoda[...] Wildfire Today 2019-08-19
[22] 문서 표준국어대사전
[23] 간행물 전통건축에 사용된 자귀의 형태 변화에 대한 고찰 2011-06
[24] 서적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 김영사
[25] 서적 Who's who in ancient Egypt Routledge
[26]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haeology of ancient Egypt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