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유 교회는 중세 시대 왈덴스파와 같은 집단에서 시작되어, 급진 종교 개혁 시기 재세례파를 거쳐 메노나이트, 아미쉬, 퀘이커 등으로 이어져 온 기독교 교회의 한 형태이다.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독일 등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며, 미국에서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에 따라 발전했다. 자유 교회는 교파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성공회, 장로교, 감리교, 급진적 경건주의 등 다양한 기독교 교파에서 나타난다. '자유 교회'라는 명칭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등에서 비국교도를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며, 독일, 스웨덴 등 국가별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개신교 - 하나님
하나님은 종교에 따라 세상의 창조주를 지칭하는 말로, 유대교의 유일신 여호와, 개신교의 삼위일체, 한국 이슬람교의 '알라'를 의미하며, '엘로힘'에서 유래하여 '하느님'과 함께 사용되다 현대 한국어에서 '하나님'으로 주로 쓰이지만, 그 사용과 어원에 대한 논쟁이 있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자유 교회 | |
---|---|
개요 | |
유형 | 기독교 교파 |
특징 | 국가로부터 독립된 교회 |
기원 | 19세기 종교 부흥 운동 |
관련 인물 | 페테르 발덴스트룀 |
역사적 배경 | |
기원 | 19세기 유럽과 미국 |
특징 | 기존 국교로부터의 분리, 자치적인 운영 |
강조점 | 개인의 신앙 체험, 성서 중심의 신앙 |
신학적 특징 | |
강조점 | 개인의 자유로운 신앙, 성서의 권위 |
특징 | 교리적 다양성을 인정 |
주요 교단 | |
영국 | 침례교, 회중교회, 감리교, 퀘이커 |
스웨덴 | 스웨덴 자유 교회 |
미국 | 복음주의 자유 교회 |
기타 | |
특징 | 금주 운동과 관련 깊음 |
2. 역사
중세 시대 왈덴스파나 16세기 유럽 급진 종교 개혁 운동 내 재세례파는 사실상 자유 교회였다. 메노나이트, 아미쉬, 퀘이커 등은 현재까지 자유 교회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다.[4][5] 자유 교회는 미국에서 교회와 국가의 분리 원칙에 따라 발전했으며, 유럽에서도 국가 체제 밖에서 설립되었다.[4][5]
2. 1. 유럽의 자유 교회 운동
중세 시대에, 왈덴스파와 같은 집단은 사실상 자유 교회였다. 16세기 유럽의 급진 종교 개혁과 같은 급진 개혁 운동 내에서, 재세례파는 뮌스터 반란과 같은 소수의 예외를 제외하고는 자유 교회였다. 메노나이트, 아미쉬, 퀘이커 및 기타 교회는 현재까지 유럽과 북미에서 자유 교회 정체를 유지하고 있다.[4][5] 자유 교회는 또한 미국에서 교회와 국가의 공식적인 분리에 의해 지원받으며 발전했으며, 유럽의 상당 부분은 종교에 대한 정부의 관여를 유지하고 세금을 통해 교회를 지원하고 목사 및 주교 등을 임명하지만, 자유 교회는 국가 체제 밖에서 유럽에서 설립되었다.[4][5]자유 교회의 직접적인 발상은 스코틀랜드이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존 녹스의 지도 아래 1567년에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이탈했다. 게다가 1740년 분리 교회가 형성되었고, 1843년에 토마스 찰머스를 지도자로 하여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가 탄생했다.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는 1834년에 분열되었다.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할데인이 1816년 제네바에 자유 교회 운동을 전했으며, 앙리 메를 도비네를 지도자로 하여 제네바에서는 1834년에 국교회에서 이탈했다. 뇌샤텔에서는 프리데리크 고데의 지도 아래 1873년에 성립되었다. 독일에서는 1835년에 엘버펠트시에서 헤르만 프리드리히 콜브뤼게가 이끄는 개혁파 교회 그룹이 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2. 2. 미국의 자유 교회
미국에서는 수정헌법 제1조가 정부의 종교 설립을 금지하기 때문에 모든 교회는 정의상 자유 교회이다. 그러나 미국의 많은 교회는 내국세입법 501(c)(3)조에 따라 면세 지위를 요청해 왔다. 이는 교회가 면세를 유지하기 위해 특정 추가 규정을 준수하도록 한다.[1] 501(c)(3)에 따라 구조화된 교회는 정치적 발언 분야에서 제한을 받는데, 교회 활동의 실질적인 부분이 선전 활동을 수행하거나 입법에 영향을 미치려는 시도로 구성될 수 없다.[1] 또한 501(c)(3) 단체는 정치 후보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정치 캠페인에 참여하거나 개입하는 것이 제한된다.[1]- 루터 자유 교회 (Lutheran Free Church), 1897년~1963년[1]
- 자유 루터교회 연합회 (Association of Free Lutheran Congregations), 1962년~현재[1]
- 복음주의 언약 교회 (Evangelical Covenant Church)[1]
- 미국 복음주의 자유 교회 (Evangelical Free Church of America)[1]
3. 교파별 자유 교회
잉글랜드에서 성공회 전통을 따르는 잉글랜드 자유 교회는 '자유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650년 존 기포드는 잉글랜드 베드포드에 자유 교회를 설립했다.[6]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의 일부 장로교 분파 교회들은 '자유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해 왔다. 현재까지 존속하는 가장 중요한 곳은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이다. 주류인 스코틀랜드 교회는 장로교이며 전 세계 장로교의 모교회이지만, "자유 교회"에 속하지 않는다.
자유 감리 교회(Free Methodist Church)는 노예제 폐지, 교회 좌석 무료 제공, 예배에서 성령의 자유 추구, 프리메이슨과 같은 비밀 결사로부터의 자유를 추구했기 때문에 "자유"라는 명칭이 붙었다.
국제 자유 복음주의 교회 연맹에 속한 교단들은 급진적 경건주의 운동에 뿌리를 두고 있다.[8] 급진적 경건주의자들은 유럽에서 국교 지위를 유지하던 루터교회에서 분리되었다.[8]
3. 1. 성공회
잉글랜드의 한 성공회 전통 교회는 '자유 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했으며, 이는 잉글랜드 자유 교회로 알려져 있다.[6] 1650년 존 기포드는 잉글랜드 베드포드에 자유 교회를 설립했다.[6]3. 2. 장로교
장로교 전통이 강한 스코틀랜드와 북아일랜드의 많은 교회들이 '자유 교회'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이 교회들은 주로 장로교 분파에서 갈라져 나왔으며, 현재까지 존속하는 가장 중요한 교회는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이다. 주류인 스코틀랜드 교회는 장로교이며 전 세계 장로교의 모교회이지만, "자유 교회"에는 속하지 않는다.3. 3. 감리교
감리교회 중 "자유" 교회를 칭하는 것은 정부와의 특별한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자유 감리 교회(Free Methodist Church)는 참조 출처에 따라 세 가지 또는 네 가지 이유로 그렇게 불린다. "자유"라는 단어는 새로운 교회가 노예제 폐지 교회(당시 노예제는 문제였다)였고, 교회 내 좌석을 판매하거나 임대하는 대신 모든 사람에게 무료로 제공하며, 새로운 교회가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성령의 자유를 예배에서 누리기를 바랐기 때문에 제안되고 채택되었다. 그러나 월드북 백과사전에 따르면 세 번째 원칙은 비밀 결사 및 서약에 얽매인 사회(특히 프리메이슨)로부터의 "자유"였다.3. 4. 급진적 경건주의
국제 자유 복음주의 교회 연맹에 속한 교단들은 급진적 경건주의 운동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8] 급진적 경건주의자들은 유럽에서 국교 지위를 유지하고 있던 루터교회에서 분리되었다.[8]4. 국가별 자유 교회
독일에서는 독일 개신교회 외의 개신교 교회를 "자유 교회"(Freikirchende) 또는 "개신교 자유 교회"(Evangelische Freikirchende)라고 통칭한다. 여기에는 침례교, 감리교 등 비교적 새로운 교파와 메노파, 복음주의 루터교 자유 교회(독일) 같은 오래된 교파도 포함된다.[10]
퓨 리서치 센터는 2010년대 초 중국에 3,500만 명의 독립 개신교 신자(주로 가정교회)와 330만 명의 지하 가톨릭교 신자가 있다고 추정했다.[10]
스웨덴에서 "자유 교회" (frikyrkasv)라는 용어는 2000년 1월 1일까지 국교회였던 스웨덴 교회에 속하지 않는 모든 기독교 개신교 교파를 의미하며, 침례교, 오순절교회, 감리교 등이 포함된다.[11]
자유 교회의 직접적인 발상은 스코틀랜드이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존 녹스의 지도 아래 1567년에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1740년 분리 교회가 형성되었고, 1843년에는 토마스 찰머스를 지도자로 하여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가 탄생했다.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는 1834년에 분열되었다. 로버트 할데인이 1816년 제네바에 자유 교회 운동을 전했으며, 앙리 메를 도비네를 지도자로 하여 1834년에 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뇌샤텔에서는 프리데리크 고데의 지도 아래 1873년에 성립되었다. 독일에서는 1835년에 엘버펠트시에서 헤르만 프리드리히 콜브뤼게가 이끄는 개혁파 교회 그룹이 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4. 1. 독일
독일에서 독일 개신교회 외의 개신교 교회들은 "자유 교회"(Freikirchende) 또는 "개신교 자유 교회"(Evangelische Freikirchende)라는 공통된 명칭으로 불린다. 여기에는 침례교, 감리교와 같은 비교적 새로운 교파뿐만 아니라 메노파와 복음주의 루터교 자유 교회(독일)와 같은 오래된 교파도 포함된다.- 복음주의 루터 자유 교회 (독일)
- 독립 복음주의 루터 교회
- 독일 복음주의 자유 교회 연합
- 알트아포스톨리셰 교회(Altapostolische Kirche)(구 사도 교회 참조)
자유 교회의 직접적인 발상은 스코틀랜드이다. 스코틀랜드 교회는 존 녹스의 지도 아래 1567년에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이탈했다. 1740년 분리 교회가 형성되었고, 1843년에 토마스 찰머스를 지도자로 하여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가 탄생했다.
네덜란드 개혁파 교회는 1834년에 분열되었다. 스코틀랜드의 로버트 할데인이 1816년 제네바에 자유 교회 운동을 전했으며, 앙리 메를 도비네를 지도자로 하여 제네바에서는 1834년에 국교회에서 이탈했다. 뇌샤텔에서는 프리데리크 고데의 지도 아래 1873년에 성립되었다. 독일에서는 1835년에 엘버펠트시에서 헤르만 프리드리히 콜브뤼게가 이끄는 개혁파 교회 그룹이 국교회에서 분리되었다.
4. 2. 중국
퓨 리서치 센터는 2010년대 초 중국에 3,500만 명의 독립 개신교 신자(주로 가정교회)와 330만 명의 지하 가톨릭교 신자가 있다고 추정했다.[10]- 중국 자유복음주의교회(홍콩 소재)
4. 3. 스웨덴
스웨덴에서 "자유 교회" (frikyrkasv)라는 용어는 종종 2000년 1월 1일까지 스웨덴의 국교회였던 스웨덴 교회에 속하지 않는 모든 기독교 개신교 교파를 의미한다. 여기에는 침례교, 오순절교회, 감리교 등이 포함된다.[11]- 스웨덴 연합 교회
- 스웨덴 오순절 운동
- 스웨덴 복음 자유 교회
- 스웨덴 복음 선교회
5. '자유 교회' 명칭을 사용하는 교단 목록
교단명 |
---|
캐나다 복음 자유 교회 |
복음주의 루터교 자유 교회 |
잉글랜드 자유 교회 |
복음주의 루터 자유 교회 (독일) |
독립 복음주의 루터 교회 |
독일 복음주의 자유 교회 연합 |
알트아포스톨리셰 교회(구 사도 교회 참조) |
중국 자유복음주의교회(홍콩 소재) |
레이캬비크 자유 교회 |
하프나르피외르두르 자유 교회 |
일본 자유복음교회 |
말레이시아 복음자유교회 |
얼스터 자유 장로교 |
노르웨이 복음주의 루터 자유 교회 |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1843–1900) |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1900년 이후) |
스코틀랜드 자유 장로 교회(1893년 이후) |
스코틀랜드 자유 교회(계속) |
싱가포르 복음자유교회 |
새사도교회 |
구사도교회 |
스웨덴 연합 교회 |
스웨덴 오순절 운동 |
스웨덴 복음 자유 교회 |
스웨덴 복음 선교회 |
제네바 복음자유교회 |
우크라이나의 침례교 |
우크라이나 복음주의 침례교 연합 |
슈툰디스트 |
루터 자유 교회 (1897년~1963년) |
자유 루터교회 연합회 (1962년~현재) |
복음주의 언약 교회 |
미국 복음주의 자유 교회 |
참조
[1]
서적
The Swedish-American Historical Quarterly
The Society
1986
[2]
서적
The Diamond Jubilee Story of the Evangelical Free Church of America
Free Church Publications
1959
[3]
서적
An Episcopal Dictionary of the Church: A User-Friendly Reference for Episcopalians
Church Publishing
2000-01-01
[4]
웹사이트
Project Canterbury: The Free Church Movement
http://anglicanhisto[...]
[5]
웹사이트
What "Free Church" means and Why Churches should be Free
http://anglicanhisto[...]
1857
[6]
서적
The Pilgrim"s Progress by John Bunyan
HarperCollins
[7]
서적
The Victorian Church, Part One: 1829–1859
Owen Chadwick
1966
[8]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2nd Edition [6 volumes]
ABC-CLIO
2010
[9]
서적
Churches, Temples, and Financial Crimes
https://books.google[...]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15-03-28
[10]
간행물
Global Christianity – A Report on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the World's Christian Population
http://www.pewforum.[...]
Pew Research Center
2018-02-05
[11]
웹사이트
frikyrka – Uppslagsverk – NE.se
https://www.ne.se/up[...]
2022-01-16
[12]
서적
スコットランドにおける教会と国家
トマス・ブラウン、すぐ書房
[13]
서적
日本開国とプロテスタント宣教150年
日本伝道会議、いのちのことば社
[14]
서적
스코틀랜드의 교회와 국가
토머스 브라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