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미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장미아과는 장미과에 속하는 아과로, 산딸기족, 양지꽃족, 장미족, 짚신나물족, 콜루리아족, 터리풀족 등으로 분류된다. 이 아과에는 산딸기, 딸기, 장미, 오이풀, 짚신나물, 뱀무, 터리풀 등 다양한 식물들이 속하며, 한국에서도 널리 자생하거나 재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미아과 - 블랙베리
    블랙베리는 2년생 식물로, 늦봄에서 초여름에 꽃을 피우고 열매를 맺으며, 식이 섬유와 비타민을 제공하며 후식, 잼, 와인 등 다양한 식품에 사용된다.
  • 장미아과 - 라즈베리
    라즈베리는 산딸기속에 속하는 여러 식물의 열매를 통칭하며, 유럽 라즈베리, 아메리카 라즈베리, 검은 라즈베리 등이 대표적이고, 생과일, 잼, 양과자, 허브티, 리큐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잎은 허브차로도 사용된다.
  • 1832년 기재된 식물 - 벚나무아과
    벚나무아과는 장미과에 속하며 자두, 복숭아, 사과, 배 등 친숙한 식물과 중요한 과수들을 포함하는 분류군으로, 과거 벚나무아과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나 현재는 사과나무아과, 쉬땅나무아과를 포함하는 넓은 범위로 재분류되었고, 계통 분류는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 1832년 기재된 식물 - 불암초아과
    불암초아과는 아욱과의 하위 분류로 26속 650종을 포함하며, 전 열대 지역, 특히 남아메리카에 분포하고, 라시오페탈룸족, 비트네리아족, 카카오족, 헤르만니아족과 아브로마속, 카카오속, 불암초속 등을 포함한다.
장미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에글랑틴 장미
Rosa rubiginosa, 에글랑틴 장미
학명Rosoideae
명명자Juss. ex Arn.
하위 분류군
하위 분류Colurieae
Potentilleae
Roseae
Rubeae
Sanguisorbeae
Ulmarieae
생물 분류
식물계
문 (계급 없음)속씨식물군
강 (계급 없음)진정쌍떡잎식물군
목 (계급 없음)장미군
장미목
장미과
아과장미아과
로마자 표기Rosoideae
명명년도1832년
명명자Arn.
모식 속장미속

2. 하위 분류

장미아과는 형태적, 유전적 특징에 따라 여러 족(tribe)으로 분류된다.

족(Tribe)속(Genus)
산딸기족(Rubeae)산딸기속(Rubus)
양지꽃족(Potentilleae)검은낭아초속(Comarum), 궐마속(Argentina), 너도양지꽃속(Sibbaldia), 딸기속(Fragaria), 양지꽃속(Potentilla), 좀낭아초속(Chamaerhodos), Alchemilla, Chamaecallis, Dasiphora, Drymocallis, Farinopsis, Potaninia, Sibbaldianthe
장미족(Roseae)장미속(Rosa)
짚신나물족(Agrimonieae)오이풀속(Sanguisorba), 짚신나물속(Agrimonia), Acaena, Aremonia, Bencomia, Cliffortia, Hagenia, Leucosidea, Marcetella, × Margyracaena, Margyricarpus, Polylepis, Sarcopoterium, Spenceria, Tetraglochin
콜루리아족(Colurieae)나도양지꽃속(Waldsteinia), 뱀무속(Geum), Coluria, Fallugia, Sieversia
터리풀족(Ulmarieae)터리풀속(Filipendula)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속들이 장미아과에 속한다.


  • ''아케나''(Acaena)
  • ''애그리모니아속''(Agrimonia)
  • ''알케밀라속''(Alchemilla)
  • ''아파네스속''(Aphanes)
  • ''아레모니아속''(Aremonia)
  • ''아르헨티나속''(Argentina)
  • ''벤코미아속''(Bencomia)
  • ''카메로도스속''(Chamaerhodos)
  • ''클리포르티아속''(Cliffortia)
  • ''콜루리아속''(Coluria)
  • ''코마룸속''(Comarum)
  • ''다시포라속''(Dasiphora)
  • ''덴드리오포테리움속''(Dendriopoterium)
  • ''드라이모칼리스속''(Drymocallis)
  • ''팔루기아속''(Fallugia)
  • ''필리펜둘라속''(Filipendula)
  • ''딸기속''(Fragaria)
  • ''게움속''(Geum)
  • ''하게니아속''(Hagenia)
  • ''레우코시데아속''(Leucosidea)
  • ''마르세텔라속''(Marcetella)
  • ''마르기리카르푸스속''(Margyricarpus)
  • ''폴리레피스속''(Polylepis)
  • ''포타니니아속''(Potaninia)
  • ''짚풀속''(Potentilla)
  • ''포테리디움속''(Poteridium)
  • ''포테리움속''(Poterium)
  • ''푸르푸시아속''(Purpusia)
  • ''장미속''(Rosa)
  • ''나무딸기속''(Rubus)
  • ''사위질빵속''(Sanguisorba)
  • ''사르코포테리움속''(Sarcopoterium)
  • ''시발디아속''(Sibbaldia)
  • ''시발디안테속''(Sibbaldianthe)
  • ''시발디오시스속''(Sibbaldiopsis)
  • ''지에베르시아속''(Sieversia)
  • ''스펜세리아속''(Spenceria)
  • ''테트라글로킨속''(Tetraglochin)
  • ''발트슈타이니아속''(Waldsteinia)
  • 짚신나물속 ''Agrimonia''
  • 알케미아속 ''Alchemilla'' - 알케미아
  • 에조츠루킨바이속 ''Argentina''
  • 코마룸속 ''Comarum''
  • 황금매자나무속 ''Dasiphora''
  • 조팝나무속 ''Filipendula'' - 오니시모츠케
  • 딸기속 (딸기속, 플라가리아속) ''Fragaria'' - 노우고우이치고
  • 쥐손이풀속 ''Geum''
  • 오이풀속 ''Potentilla'' - 오이풀, 뱀딸기
  • 장미속 ''Rosa'' - 찔레, 해당화
  • 산딸기속 ''Rubus'' - 곰딸기
  • 오이풀속 ''Sanguisorba'' - 오이풀, 짚신나물
  • 타테야마킨바이속 ''Sibbaldia''
  • 와르트슈타이니아속 ''Waldsteinia''

2. 1. 산딸기족 (Rubeae)

산딸기족(Rubeae)은 산딸기속을 포함하는 족이다.[7] 한국에는 산딸기, 곰딸기, 복분자딸기 등 다양한 산딸기속 식물이 자생하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2. 1. 1. 산딸기속 (Rubus)

산딸기족(Rubeae)에 속하는 이다.[7]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한국에는 여러 종이 자생한다.

2. 2. 양지꽃족 (Potentilleae)

양지꽃족(Potentilleae)은 장미아과에 속하는 족으로, 검은낭아초속(Comarum), 궐마속(Argentina), 너도양지꽃속(Sibbaldia), 딸기속(Fragaria), 양지꽃속(Potentilla), 좀낭아초속(Chamaerhodos) 등을 포함한다.[8] 이 외에도 ''Alchemilla'', ''Chamaecallis'', ''Dasiphora'', ''Drymocallis'', ''Farinopsis'', ''Potaninia'', ''Sibbaldianthe'' 등의 속이 있다.[8]

2. 2. 1. 검은낭아초속 (Comarum)

양지꽃족에 속하는 속이다.[8]

2. 2. 2. 궐마속 (Argentina)

양지꽃족에 속하는 속이다.[8]

2. 2. 3. 너도양지꽃속 (Sibbaldia)

양지꽃족에 속하는 속이다.[8]

학명
Sibbaldia L.


2. 2. 4. 딸기속 (Fragaria)

양지꽃족(Potentilleae Sweet) 딸기속(''Fragaria'' L.)은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딸기를 포함하며, 한국에서도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8]

2. 2. 5. 양지꽃속 (Potentilla)

양지꽃속(''Potentilla'' L.)은 장미과의 한 속으로, 한국에 널리 분포하며 약용으로 사용되는 종도 있다.[8] 오이풀, 뱀딸기 등이 이 속에 속한다.

2. 2. 6. 좀낭아초속 (Chamaerhodos)

양지꽃족에 속하는 속이다.[8]

2. 2. 7. 알케밀라속 (Alchemilla)

2. 2. 8. 카메칼리스속 (Chamaecallis)

''Chamaecallis'' Smedmark[8]

2. 2. 9. 다시포라속 (Dasiphora)

''Dasiphora'' Raf.[8]

2. 2. 10. 드리모칼리스속 (Drymocallis)

''Drymocallis'' Fourr. ex Rydb.

2. 2. 11. 파리놉시스속 (Farinopsis)

''Farinopsis'' Chrtek & Soják[8]

2. 2. 12. 포타니니아속 (Potaninia)

''Potaninia'' Maxim.[8]

2. 2. 13. 시발디안테속 (Sibbaldianthe)

''Sibbaldianthe'' Juz.[8]

2. 3. 장미족 (Roseae)

장미속(''Rosa'' L.)은 장미족에 속하는 식물이다.[9] 한국에는 찔레꽃, 해당화 등 다양한 야생 장미가 자생하며, 관상용으로도 널리 재배된다.

2. 3. 1. 장미속 (Rosa)

장미속(''Rosa'' L.)은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관상용 식물이며, 한국에서도 다양한 품종이 재배된다.[9]

2. 4. 짚신나물족 (Agrimonieae)

장미과 장미아과에 속하는 이다.[10] 오이풀속(''Sanguisorba'' L.), 짚신나물속(''Agrimonia'' L.) 등을 포함한다. 한국에는 오이풀, 짚신나물 등이 자생하며, 약용으로 널리 이용된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속들이 짚신나물족에 속한다.

  • ''Acaena'' Mutis ex L.
  • ''Aremonia'' Neck. ex Nestl.
  • ''Bencomia'' Webb & Berthel.
  • ''Cliffortia'' L.
  • ''Hagenia'' J.F.Gmel.
  • ''Leucosidea'' Eckl. & Zeyh.
  • ''Marcetella'' Svent.
  • × ''Margyracaena'' Bitter
  • ''Margyricarpus'' Ruiz & Pav.
  • ''Polylepis'' Ruiz & Pav.
  • ''Sarcopoterium'' Spach
  • ''Spenceria'' Trimen
  • ''Tetraglochin'' Poepp.

2. 4. 1. 오이풀속 (Sanguisorba)

오이풀속(''Sanguisorba'' L.)은 장미과 장미아과의 한 속이다. 짚신나물족에 속한다.[10] 한국에서는 오이풀, 긴오이풀, 가는오이풀 등이 자생하며, 약용으로 사용된다.

2. 4. 2. 짚신나물속 (Agrimonia)

짚신나물속(''Agrimonia'' L.)은 한국에 자생하며, 약용으로 사용된다.[10]

2. 4. 3. 아카에나속 (Acaena)

''Acaena'' Mutis ex L.[10]

2. 4. 4. 아레모니아속 (Aremonia)


  • ''Aremonia'' Aremonia|Neck. ex Nestl.la

2. 4. 5. 벤코미아속 (Bencomia)

''Bencomia'' Webb & Berthel.[10]

2. 4. 6. 클리포르티아속 (Cliffortia)

''Cliffortia'' L.[10]

2. 4. 7. 하게니아속 (Hagenia)

''Hagenia'' J.F.Gmel.[10]

2. 4. 8. 레우코시데아속 (Leucosidea)


  • ''레우코시데아속(Leucosidea)'' Eckl. & Zeyh.[10]

2. 4. 9. 마르세텔라속 (Marcetella)

''Marcetella'' Svent.[10]

2. 4. 10. 마르기라카에나속 (× Margyracaena)

× ''Margyracaena'' Bitter[10]

2. 4. 11. 마르기리카르푸스속 (Margyricarpus)


  • ''Margyricarpus'' Ruiz & Pav.[10]

2. 4. 12. 폴리레피스속 (Polylepis)

''Polylepis'' Ruiz & Pav.[10]

2. 4. 13. 사르코포테리움속 (Sarcopoterium)


  • ''Sarcopoterium'' Spach[10]

2. 4. 14. 스펜세리아속 (Spenceria)


  • ''Spenceria'' Trimen|트리멘영어[10]

2. 4. 15. 테트라글로킨속 (Tetraglochin)

Tetraglochinla Poepp.[10]

2. 5. 콜루리아족 (Colurieae)

콜루리아족(Colurieae Rydb.)[11]는 나도양지꽃속, 뱀무속 등을 포함한다.

나도양지꽃속(Waldsteinia Willd.)
뱀무속(Geum L.)
Coluria R.Br.
Fallugia Endl.
Sieversia Willd.


2. 5. 1. 나도양지꽃속 (Waldsteinia)

Waldsteiniala Willd.[11]

  • 와르트슈타이니아속 ''Waldsteinia'' (쥐손이풀속 ''Geum''에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2. 5. 2. 뱀무속 (Geum)

한국에는 큰뱀무, 산뱀무 등이 자생한다.[11] 뱀무속(''Geum'' L.)은 콜루리아족에 속한다.[11]

2. 5. 3. 콜루리아속 (Coluria)


  • 나도양지꽃속( ''Waldsteinia'' Willd.)[11]
  • 뱀무속( ''Geum'' L.)[11]
  • ''Coluria'' R.Br.[11]
  • ''Fallugia'' Endl.[11]
  • ''Sieversia'' Willd.[11]

2. 5. 4. 팔루기아속 (Fallugia)

콜루리아족에 속하는 ''Fallugia'' Endl.|엔들.la이다.[11]

2. 5. 5. 시에베르시아속 (Sieversia)

콜루리아족(Colurieae Rydb.)에 속한다.[11]

  • ''Sieversia'' Willd.

2. 6. 터리풀족 (Ulmarieae)

터리풀속( ''Filipendula'' Mill.)을 포함하는 족이다.[12] 한국에는 터리풀이 자생한다.

2. 6. 1. 터리풀속 (Filipendula)

터리풀속( ''Filipendula'' Mill.)은 한국에 자생한다.

3. 계통 분류

2017년 장 등(Zhang et al)의 연구에 따르면, 장미과 내에서 장미아과는 벚나무아과, 담자리꽃나무아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13]

3. 1. 계통수

다음은 2017년 장 등(Zhang ''et al'')의 연구에 의한 계통 분류이다.[13]

장미아과 내 계통
style="text-align:left;" |



장미아과는 벚나무아과, 담자리꽃나무아과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 장미아과 내에서는 장미상족, 콜루리아족, 터리풀족이 자매군을 형성한다.

참조

[1] 논문 The phylogeny of Rosoideae (Rosaceae) based on sequences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of nuclear ribosomal DNA and the ''trnL/F'' region of chloroplast DNA http://biology.duke.[...]
[2] 논문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Rosaceae http://biology.umain[...]
[3] 웹사이트 Dendriopoterium Svent.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12-15
[4] 웹사이트 Purpusia Brandegee {{!}} Plants of the World Online {{!}} Kew Science https://powo.science[...] 2021-12-15
[5] 서적 『改訂新版 日本の野生植物3』p.23-24
[6] 문서 Encyclopedia Britannica (ed. 7) 107 1832
[7] 문서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39 1829
[8] 문서 The British Flower Garden, ... 2: sub pl. 124 1825
[9] 문서 Synopsis Plantarum in Flora Gallica Descriptarum 331 1806
[10] 문서 Synopsis Plantarum in Flora Gallica Descriptarum 333 1806
[11] 문서 In: Britton, Nathaniel Lord. North American Flora 22(3): 240 1908
[12] 문서 Synopsis Plantarum in Flora Gallica Descriptarum 338 1806
[13] 간행물 Diversification of Rosaceae since the Late Cretaceous based on plastid phylogenomics http://online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