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축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축단은 천문학에서 궤도상에서 중심 천체에 가장 가깝거나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지점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중심 천체에 따라 용어가 달라지며, 태양을 중심으로 할 때는 근일점과 원일점, 지구를 중심으로 할 때는 근지점과 원지점, 달을 중심으로 할 때는 근월점과 원월점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근점과 원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궤도 이심률과 장반경을 사용하여 근지점과 원지점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근일점 통과 시간은 궤도 요소 중 하나로, 섭동이 없는 이체 문제를 사용하여 계산하며, N체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체동역학 - 호만 전이 궤도
    호만 전이 궤도는 우주선을 낮은 원형 궤도에서 높은 원형 궤도로 이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타원 궤도로, 두 번의 엔진 점화를 통해 궤도를 변경하며, 특정 조건 하에서 최소 에너지를 사용하는 궤도 전이 방법이다.
  • 천체동역학 -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
    목성 얼음 위성 탐사선(Juice)은 유럽 우주국(ESA)의 목성 탐사선으로, 목성과 위성들의 대기, 표면, 내부 구조, 자기장을 탐사하며, 특히 가니메데의 해양층과 자기장 상호 작용을 상세히 조사하고, 유로파에서 생명체 관련 화학 물질과 얼음 지각 두께를 측정할 예정이다.
  • 천체역학 - 공전
    공전은 천문학에서 어떤 천체가 다른 천체의 중심 주위를 회전하는 운동을 의미하며, 태양계 행성, 위성, 은하 내 항성 등 다양한 천체에서 관찰되고, 케플러의 법칙에 따라 공전 주기가 결정된다.
  • 천체역학 - 중력
    중력은 질량을 가진 두 물체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으로, 그 크기는 두 물체의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며, 지구에서는 물체를 아래로 떨어뜨리는 힘으로 작용하고, 일반 상대성 이론에서는 시공간의 곡률로 설명되며, 현대 물리학에서는 양자 중력 이론과 중력파 관측을 통해 연구되고 있다.
장축단
천문학적 정보
정의궤도에서 중심 천체로부터 가장 멀거나 가까운 지점
복수apsides (앱시데스)
어원그리스어 ἁψίς (hapsis, '아치, 둥근 천장')
궤도상의 위치
원점궤도에서 중심 천체로부터 가장 먼 지점
근점궤도에서 중심 천체로부터 가장 가까운 지점
중심 천체별 명칭
중심 천체원점 명칭
태양원일점 (aphelion)
항성원성점 (apastron)
지구원지점 (apogee)
원월점 (apolune, apocytherion, apolunation)
목성원목성점 (apojove)
토성원토성점 (apotorno)
중심 천체별 명칭 (계속)
중심 천체근점 명칭
태양근일점 (perihelion)
항성근성점 (periastron)
지구근지점 (perigee)
근월점 (perilune, pericytherion, perilunation)
목성근목성점 (perijove)
토성근토성점 (peritorno)
관련 개념
궤도 요소장반축, 이심률
궤도타원 궤도, 케플러의 법칙

2. 용어

근지점과 원지점을 나타내는 용어는 중심 천체에 따라 달라진다.


  • 태양이 중심일 때는 '''원일점'''(遠日點, aphelion), '''근일점'''(近日點, perihelion)이라고 한다. 현대적인 맥락에서, 태양계의 질량중심이 기준이 될 수 있다.
  • 지구가 중심일 때는 '''원지점'''(遠地點, apogee), '''근지점'''(近地點, perigee)이라고 한다.
  • 이 중심일 때는 '''원월점'''(遠月點, apolune), '''근월점'''(近月點, perilune)이라고 한다.


"근점"과 "원점"이라는 단어가 자주 사용되지만, 기술적인 용어로는 근지점/원지점이 더 선호된다. 주체가 특정되지 않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궤도의 극점을 명명하기 위해 "근점"과 "원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근지점"과 "원지점"(또는 "원지점")은 동등한 대안이지만, 이러한 용어는 궤도체와 모천체 사이의 가장 작고 가장 큰 거리를 나타내는 거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의 경우, 최소 거리에 있는 지점을 perihelion영어이라 하고, 최대 거리에 있는 지점을 aphelion영어이라고 한다. 다른 별 주위의 궤도를 논할 때는 "근성점"과 "원성점"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을 포함한 지구의 위성에 대해 논할 때, 최소 거리에 있는 지점을 perigee영어라고 하고, 최대 거리에 있는 지점을 Gēgrc라고 한다.

달 궤도에 있는 물체의 경우, 최소 거리에 있는 지점을 pericynthion영어이라고 하고, 최대 거리에 있는 지점을 apocynthion영어이라고 한다. "근월점" 및 "원월점", 그리고 "근셀레네" 및 "원셀레네"라는 용어도 사용된다. 달에는 자연 위성이 없기 때문에 이는 인공 물체에만 적용된다.

2. 1. 일반적인 경우

중심 천체가 특정되지 않았을 때는 일반적으로 근점(periapsis)과 원점(apoapsi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또는, 지구가 중심일 때는 원지점(apogee)과 근지점(perigee)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2. 2. 특정 천체의 경우

중심 천체에 따라 궤도상 가장 가까운 지점과 가장 먼 지점을 나타내는 용어는 다음과 같다.

  • 태양: 태양이 중심일 때는 원일점(aphelion)과 근일점(perihelion)이라고 한다.[5] 요하네스 케플러가 이 용어를 만들었다.[8] 현대적인 맥락에서, 태양계의 질량중심이 기준이 될 수 있다.
  • 지구: 지구가 중심일 때는 원지점(apogee)과 근지점(perigee)이라고 한다.[9]
  • : 이 중심일 때는 원월점(apolune)과 근월점(perilune)이라고 한다.[7] 아르테미스 계획 동안에는 근달점원달점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10]
  • 항성: 항성이 중심일 때는 근성점(periastron)과 원성점(apastron)이라고 한다.
  • 은하: 은하가 중심일 때는 근은하점(perigalacticon)과 원은하점(apogalacticon)이라고 한다.
  • 블랙홀: 블랙홀이 중심일 때는 근흑점(perimelasma/peribothron/perinigricon)과 원흑점(apomelasma/apobothron/aponigricon)이라고 한다. peribothron은 1976년에 처음 사용되었으며,[11] perimelasma와 apomelasma는 1998년에,[12] perinigricon과 aponigricon은 2002년에 사용되었다.[13]
  • 일반: 주체가 특정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으로 근점(pericenter/perifocus/periapsis)과 원점(apocenter/apofocus/apoapsis)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가까운 지점(근일점)과 가장 먼 지점(원일점)을 가진 물체의 직접적인 궤도에 대한 다이어그램


다음은 태양계 내 천체를 중심으로 하는 궤도에 대한 근점과 원점 명칭이다.

명명된/명명 가능한 근점을 가진 태양계 내 모항 천체
천문학적
모항 천체
접미사이름의
기원
태양-helion헬리오스
수성-hermion헤르메스
금성-cythe키테라
지구-gee가이아
-lune[7],-cynthion,-selene[7]루나, 신시아, 셀레네
화성-areion아레스
세레스-demeter[15]데메테르
목성-jove제우스, 유피테르
토성-chron[7],-kronos,-saturnium,-krone[16]크로노스, 사투르누스
천왕성-uranion우라노스
해왕성-poseideum[17],-poseidion포세이돈



근일점(q)과 원일점(Q)은 태양 주위를 도는 물체의 궤도에서 가장 가깝고 가장 먼 지점이다. 특정 역기점의 오스큘레이팅 요소를 다른 역기점의 오스큘레이팅 요소와 비교하면 차이가 발생하며, 근일점 통과의 정확한 예측에는 수치 적분이 필요하다.[14]

3. 지구의 근일점과 원일점



'''근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며, '''원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다.[38] 여름지구가 근일점에 오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태양북회귀선에 오기 때문이다. 반대로, 태양남회귀선으로 갈 때, 북반구겨울이 된다.[38]

현재 지구는 1월 초, 대략 동지로부터 14일 후에 근일점에 도달하며, 지구 중심은 약 0.98329 천문 단위(AU)이다. 지구는 7월 초, 하지로부터 약 14일 후에 원일점에 도달하며, 지구와 태양 중심 사이의 원일점 거리는 약 1.01671 AU이다.

근일점과 원일점의 날짜는 밀란코비치 주기라고 알려진 순환적 패턴을 따르는 세차 운동 및 기타 궤도 요인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날짜는 해마다 최대 2일까지 변동될 수 있다.[20] 이러한 상당한 변화는 의 존재 때문이다. 지구-달 질량 중심은 태양 주위를 안정적인 궤도로 이동하는 반면, 지구 중심의 위치는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태양과 지구 중심 간의 실제 가장 가까운 접근 시점에 영향을 미친다.[21]

원일점에서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복사 에너지의 93.55%만이 근일점과 동일한 지구 표면의 특정 영역에 떨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계절을 설명하지 않으며, 계절은 대신 지구 궤도면에 수직에서 23.4° 떨어진 자전축 기울기에서 비롯된다.[22] 실제로 근일점과 원일점 모두 한 반구에서는 여름이고 다른 반구에서는 겨울이다.

북반구에서는 여름이 원일점과 동시에 발생하며, 이때 태양 복사가 가장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반구의 여름은 남반구보다 평균 2.3°C 더 따뜻한데, 북반구가 바다보다 더 쉽게 가열되는 더 큰 육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23]

근일점과 원일점은 계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구의 궤도 속도는 원일점에서 최소이고 근일점에서 최대이기 때문에, 행성은 6월 하지부터 9월 추분까지 궤도를 도는 데 12월 동지부터 3월 춘분까지 궤도를 도는 것보다 더 오래 걸린다. 따라서 북반구의 여름은 남반구의 여름(89일)보다 약간 더 오래 지속된다(93일).[24]

천문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근일점의 시기를 날짜와 시간으로 표현하는 대신 황도 좌표에서 각도로 표현한다. 이는 이른바 근점의 경도이다. 지구의 궤도에서 이것을 '근일점의 경도'라고 하며, 2000년에는 약 282.895°였다. 2010년까지 이 값은 약 283.067°로 약간 증가했다.[25]

태양 주위의 지구 궤도의 경우, 앱시스의 시간은 계절과 관련된 시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지구의 궤도 이심률과 다른 궤도 요소는 일정하지 않지만 태양계의 행성 및 기타 물체의 섭동 효과(밀란코비치 주기)로 인해 천천히 변한다.

매우 긴 시간 척도에서 근일점과 원일점의 날짜는 계절을 거쳐 이동하며, 22,000년에서 26,000년 사이에 한 번의 완전한 주기를 이룬다. 지구에서 보이는 별의 위치에 해당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이를 앱시스 세차 운동이라고 한다.

2007년부터 2029년까지의 근일점 및 원일점 날짜와 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26]

년도근일점원일점
날짜UTC날짜UTC
2007년1월 3일19:437월 6일23:53
2008년1월 2일23:517월 4일07:41
2009년1월 4일15:307월 4일01:40
2010년1월 3일00:097월 6일11:30
2011년1월 3일18:327월 4일14:54
2012년1월 5일00:327월 5일03:32
2013년1월 2일04:387월 5일14:44
2014년1월 4일11:597월 4일00:13
2015년1월 4일06:367월 6일19:40
2016년1월 2일22:497월 4일16:24
2017년1월 4일14:187월 3일20:11
2018년1월 3일05:357월 6일16:47
2019년1월 3일05:207월 4일22:11
2020년1월 5일07:487월 4일11:35
20211월 2일13:517월 5일22:27
20221월 4일06:557월 4일07:11
20231월 4일16:177월 6일20:07
20241월 3일00:397월 5일05:06
20251월 4일13:287월 3일19:55
20261월 3일17:167월 6일17:31
20271월 3일02:337월 5일05:06
20281월 5일12:287월 3일22:18
20291월 2일18:137월 6일05:12


3. 1. 지구 근일점/원일점 날짜와 시간 (2007년 ~ 2020년, 2021년 ~ 2029년)

'''근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가까워지는 지점이며, '''원일점'''은 태양 주변을 도는 천체가 태양과 가장 멀어지는 지점이다.[38] 여름지구가 근일점에 오는 것으로 착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는 태양북회귀선에 오기 때문이다. 반대로, 태양남회귀선으로 갈 때, 북반구겨울이 된다.[38]

현재 지구는 1월 초, 대략 동지로부터 14일 후에 근일점에 도달하며, 지구 중심은 약 0.98329 천문 단위(AU)이다. 지구는 7월 초, 하지로부터 약 14일 후에 원일점에 도달하며, 지구와 태양 중심 사이의 원일점 거리는 약 1.01671 AU이다.

근일점과 원일점의 날짜는 밀란코비치 주기라고 알려진 순환적 패턴을 따르는 세차 운동 및 기타 궤도 요인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단기적으로 이러한 날짜는 해마다 최대 2일까지 변동될 수 있다.[20] 이러한 상당한 변화는 의 존재 때문이다. 지구-달 질량 중심은 태양 주위를 안정적인 궤도로 이동하는 반면, 지구 중심의 위치는 모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태양과 지구 중심 간의 실제 가장 가까운 접근 시점에 영향을 미친다.[21]

원일점에서 거리가 증가하기 때문에 태양으로부터의 복사 에너지의 93.55%만이 근일점과 동일한 지구 표면의 특정 영역에 떨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계절을 설명하지 않으며, 계절은 대신 지구 궤도면에 수직에서 23.4° 떨어진 자전축 기울기에서 비롯된다.[22] 실제로 근일점과 원일점 모두 한 반구에서는 여름이고 다른 반구에서는 겨울이다.

북반구에서는 여름이 원일점과 동시에 발생하며, 이때 태양 복사가 가장 낮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반구의 여름은 남반구보다 평균 2.3°C 더 따뜻한데, 북반구가 바다보다 더 쉽게 가열되는 더 큰 육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23]

근일점과 원일점은 계절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지구의 궤도 속도는 원일점에서 최소이고 근일점에서 최대이기 때문에, 행성은 6월 하지부터 9월 추분까지 궤도를 도는 데 12월 동지부터 3월 춘분까지 궤도를 도는 것보다 더 오래 걸린다. 따라서 북반구의 여름은 남반구의 여름(89일)보다 약간 더 오래 지속된다(93일).[24]

천문학자들은 일반적으로 근일점의 시기를 날짜와 시간으로 표현하는 대신 황도 좌표에서 각도로 표현한다. 이는 이른바 근점의 경도이다. 지구의 궤도에서 이것을 '근일점의 경도'라고 하며, 2000년에는 약 282.895°였다. 2010년까지 이 값은 약 283.067°로 약간 증가했다.[25]

태양 주위의 지구 궤도의 경우, 앱시스의 시간은 계절과 관련된 시간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지구의 궤도 이심률과 다른 궤도 요소는 일정하지 않지만 태양계의 행성 및 기타 물체의 섭동 효과(밀란코비치 주기)로 인해 천천히 변한다.

매우 긴 시간 척도에서 근일점과 원일점의 날짜는 계절을 거쳐 이동하며, 22,000년에서 26,000년 사이에 한 번의 완전한 주기를 이룬다. 지구에서 보이는 별의 위치에 해당하는 움직임이 있으며, 이를 앱시스 세차 운동이라고 한다.

2007년부터 2029년까지의 근일점 및 원일점 날짜와 시간은 아래 표와 같다.[26]

년도근일점원일점
날짜UTC날짜UTC
2007년1월 3일19:437월 6일23:53
2008년1월 2일23:517월 4일07:41
2009년1월 4일15:307월 4일01:40
2010년1월 3일00:097월 6일11:30
2011년1월 3일18:327월 4일14:54
2012년1월 5일00:327월 5일03:32
2013년1월 2일04:387월 5일14:44
2014년1월 4일11:597월 4일00:13
2015년1월 4일06:367월 6일19:40
2016년1월 2일22:497월 4일16:24
2017년1월 4일14:187월 3일20:11
2018년1월 3일05:357월 6일16:47
2019년1월 3일05:207월 4일22:11
2020년1월 5일07:487월 4일11:35
20211월 2일13:517월 5일22:27
20221월 4일06:557월 4일07:11
20231월 4일16:177월 6일20:07
20241월 3일00:397월 5일05:06
20251월 4일13:287월 3일19:55
20261월 3일17:167월 6일17:31
20271월 3일02:337월 5일05:06
20281월 5일12:287월 3일22:18
20291월 2일18:137월 6일05:12


4. 행성의 근일점과 원일점

이 표는 행성과 왜소행성의 근일점과 원일점의 거리 표다.[39]

구분이름태양과 근일점 거리태양과 원일점 거리
행성수성46001009 km69817445 km
금성107476170 km108942780 km
지구147098291 km152098233 km
화성206655215 km249232432 km
목성740679835 km816001807 km
토성1349823615 km1503509229 km
천왕성2734998229 km3006318143 km
해왕성4459753056 km4537039826 km
왜소행성세레스380951528 km446428973 km
명왕성4436756954 km7376124302 km
마케마케5671928586 km7894762625 km
하우메아5157623774 km7706399149 km
에리스5765732799 km14594512904 km



공전 궤도에서 궤도 노드와 근일점(q)과 원일점(Q)의 위치를 보여주는 위의 이미지들은 황도의 북극 위에서 본 태양계 행성들의 모습이며, 이는 공면적이다.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며, 각 행성의 궤도에서 파란색 부분은 황도면의 북쪽, 분홍색 부분은 남쪽으로 이동하며, 점은 근일점(녹색)과 원일점(주황색)을 나타낸다. 첫 번째 이미지(왼쪽)는 내행성들을 보여주며, ''기준'' 지구 궤도는 노란색으로 기준 궤도면을 나타낸다. 춘분 시점에 지구는 그림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두 번째 이미지(오른쪽)는 외행성들을 보여준다. 궤도 노드는 행성의 기울어진 궤도가 기준면과 교차하는 "노드 선"의 두 끝점이다.[19]

4. 1. 행성 및 왜소행성의 근일점/원일점 거리

이 표는 행성과 왜소행성의 근일점과 원일점의 거리 표다.[39]

구분이름태양과 근일점 거리태양과 원일점 거리
행성수성46001009 km69817445 km
금성107476170 km108942780 km
지구147098291 km152098233 km
화성206655215 km249232432 km
목성740679835 km816001807 km
토성1349823615 km1503509229 km
천왕성2734998229 km3006318143 km
해왕성4459753056 km4537039826 km
왜소행성세레스380951528 km446428973 km
명왕성4436756954 km7376124302 km
마케마케5671928586 km7894762625 km
하우메아5157623774 km7706399149 km
에리스5765732799 km14594512904 km



공전 궤도에서 궤도 노드와 근일점(q)과 원일점(Q)의 위치를 보여주는 위의 이미지들은 황도의 북극 위에서 본 태양계 행성들의 모습이며, 이는 공면적이다.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며, 각 행성의 궤도에서 파란색 부분은 황도면의 북쪽, 분홍색 부분은 남쪽으로 이동하며, 점은 근일점(녹색)과 원일점(주황색)을 나타낸다. 첫 번째 이미지(왼쪽)는 내행성들을 보여주며, ''기준'' 지구 궤도는 노란색으로 기준 궤도면을 나타낸다. 춘분 시점에 지구는 그림의 아래쪽에 위치한다. 두 번째 이미지(오른쪽)는 외행성들을 보여준다. 궤도 노드는 행성의 기울어진 궤도가 기준면과 교차하는 "노드 선"의 두 끝점이다.[19]

5. 근지점과 원지점의 계산

근지점과 원지점은 궤도 이심률과 장반경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근지점 거리: (1 - e)a, 원지점 거리: (1 + e)a

다음은 궤도의 근지점과 원지점을 특징짓는 수식이다.


  • 근지점: 최대 속도, v_\text{per} = \sqrt{ \frac{(1 + e)\mu}{(1 - e)a} } \,
  • 원지점: 최소 속도, v_\text{ap} = \sqrt{\frac{(1 - e)\mu}{(1 + e)a} } \,


케플러의 행성 운동 법칙(각운동량 보존에 기반함) 과 에너지 보존에 따라, 비상대 각운동량과 비 궤도 에너지는 주어진 궤도에 대해 일정하다.

  • 비상대 각운동량: h = \sqrt{\left(1 - e^2\right)\mu a}
  • 비 궤도 에너지: \varepsilon = -\frac{\mu}{2a}


여기서,

  • ''a''는 장반경: a = \frac{r_\text{per} + r_\text{ap}}{2}
  • ''μ''는 표준 중력 매개변수
  • ''e''는 이심률: e = \frac{r_\text{ap} - r_\text{per}}{r_\text{ap} + r_\text{per}} = 1 - \frac{2}{\frac{r_\text{ap}}{r_\text{per}} + 1}


두 극한 거리의 산술 평균은 장반경 ''a''의 길이이다. 두 거리의 기하 평균은 단반경 ''b''의 길이이다.

두 극한 속도의 기하 평균은

:\sqrt{-2\varepsilon} = \sqrt{\frac{\mu}{a}}

이고, 이는 반지름이 a인 원 궤도에 있는 물체의 속도이다.

6. 근일점 통과 시간

근일점 통과 시간은 궤도 요소 중 하나이며, 섭동이 없는 이체 문제를 사용하여 선택된 역기점에서 정의된다. 이는 N체 문제를 고려하지 않은 값이다.[28][29] 정확한 근일점 통과 시간을 얻으려면 근일점 통과에 가까운 역기점을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1996년의 역기점을 사용하면 헤일-밥 혜성의 근일점은 1997년 4월 1일로 나타나지만,[28] 2008년의 역기점을 사용하면 1997년 3월 30일로 덜 정확한 근일점 날짜를 보여준다.[29] 단주기 혜성은 선택된 역기점에 더욱 민감할 수 있다. 2005년의 역기점을 사용하면 101P/Chernykh가 2005년 12월 25일에 근일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30] 2012년의 역기점을 사용하면 2006년 1월 20일로 덜 정확한 섭동이 없는 근일점 날짜가 생성된다.[31]

12P/Pons–Brooks의 경우, 이체 문제 해와 N체 문제 해를 비교하면 근일점 통과 시간에 차이가 발생한다.[32]

이체 문제 해와 N체 문제 해 비교, 12P/Pons–Brooks 근일점 통과 시간
역기점근일점 날짜 (tp)
20102024-Apr-19.892
N체 문제[32]2024-Apr-21.139
20182024-Apr-23.069



수치 적분에 따르면 왜행성 에리스는 2257년 12월경에 근일점에 도달할 것이다.[33] 236년이나 앞선 2021년의 역기점을 사용하면 에리스가 2260년에 근일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덜 정확하게 나타난다.[34]

4 베스타는 2021년 12월 26일에 근일점에 도달했지만,[35] 2021년 7월의 역기점에서 이체 문제 해를 사용하면 베스타가 2021년 12월 25일에 근일점에 도달하는 것으로 덜 정확하게 나타난다.[36]

해왕성 바깥 천체가 태양으로부터 80AU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발견되었을 때, 배경 별에 대해 매우 느리게 움직이기 때문에 궤도를 잘 제한하기 위해서는 수년에 걸쳐 수십 번의 관측이 필요하다. 관측 호가 짧은 천체의 경우 근일점 날짜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 호가 1년 동안 8번의 관측만 이루어진 2015 TH367은 근일점 날짜에 77년 이상의 불확실성을 가질 수 있다.[37]

참조

[1] Dictionary apsis
[2]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apsis
[3] 웹사이트 Happy Aphelion Day! Earth is at its farthest from the sun for 2023 today https://www.space.co[...] 2024-04-22
[4] 웹사이트 Earth-Moon Barycenter - SkyMarvels.com https://www.skymarve[...] 2024-04-23
[5] 웹사이트 A Key to the Classical Pronunciation of Greek, Latin, and Scripture Proper Names https://play.google.[...] Townsend Young 1859
[6] EB1911 Perigee
[7] 웹사이트 Basics of Space Flight https://solarsystem.[...] NASA 2017-05-30
[8] 서적 A Comprehensive Etymological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rchive.org/[...] Elsevier, Amsterdam 1965
[9] 웹사이트 Apollo 15 Mission Report https://history.nasa[...] 2009-10-16
[10] conference NASA Lunar Exploration – Gateway's Power and Propulsion Element Communications Links https://ntrs.nasa.go[...] 2022-07-18
[11] journal Effects of massive black holes on dense stellar systems. 1976-09-01
[12] 웹사이트 Perimelasma http://www.infinityp[...] Infinity Plus 1998-01-01
[13] journal A star in a 15.2-year orbit around the supermassive black hole at the centre of the Milky Way 2002-10-17
[14] 웹사이트 MAVEN » Science Orbit http://lasp.colorado[...] 2018-11-07
[15] 웹사이트 Dawn Journal: 11 Years in Space http://www.planetary[...] 2018-10-24
[16] journal Goniopolarimetric study of the revolution 29 perikrone using the Cassini Radio and Plasma Wave Science instrument high-frequency radio receiver https://ui.adsabs.ha[...] 2019-12-09
[17] journal An L-class Multirole Observatory and Science Platform for Neptune 2021-06-18
[18] 웹사이트 the definition of apsis http://dictionary.re[...] 2015-11-28
[19] encyclopedia line of nodes http://www.daviddarl[...] 2007-05-17
[20] 웹사이트 Perihelion, Aphelion and the Solstices https://www.timeandd[...] timeanddate.com 2018-01-10
[21] 웹사이트 Variation in Times of Perihelion and Aphelion http://aa.usno.navy.[...] Astronomical Applications Department of the U.S. Naval Observatory 2018-01-10
[22] 웹사이트 Solar System Exploration: Science & Technology: Science Features: Weather, Weather, Everywhere? http://www.nasa.gov/[...] NASA 2015-09-19
[23] 웹사이트 Earth at Aphelion http://spaceweather.[...] Space Weather 2015-07-07
[24] 웹사이트 How much does aphelion affect our weather? We're at aphelion in the summer. Would our summers be warmer if we were at perihelion, instead? https://usm.maine.ed[...] University of Southern Maine 2020-07-04
[25] 웹사이트 Data.GISS: Earth's Orbital Parameters http://data.giss.nas[...]
[26] 웹사이트 Earth at Perihelion and Aphelion: 2001 to 2100 http://astropixels.c[...] 2021-06-24
[27] 웹사이트 NASA planetary comparison chart https://ssd.jpl.nasa[...] 2016-08-04
[28] 웹사이트 JPL SBDB: Hale-Bopp (Epoch 1996) https://ssd.jpl.nasa[...] 2020-07-16
[29] 웹사이트 JPL SBDB: Hale-Bopp https://ssd.jpl.nasa[...] 2020-07-16
[30] 웹사이트 101P/Chernykh – A (NK 1293) by Syuichi Nakano http://www.oaa.gr.jp[...] 2020-07-17
[31] 웹사이트 JPL SBDB: 101P/Chernykh (Epoch 2012) https://web.archive.[...]
[32] Perihelion occurs when rdot flips from negative to positive Horizons Batch for 12P/Pons-Brooks (90000223) at 2024-Apr-21 03:20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3-02-11
[33] Perihelion occurs when rdot flips from negative to positive. The JPL SBDB generically (incorrectly) lists an unperturbed two-body perihelion date in 2260 Horizons Batch for Eris at perihelion around 7 December 2257 ±2 weeks https://ssd.jpl.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2021-09-13
[34] 웹사이트 JPL SBDB: Eris (Epoch 2021) https://ssd.jpl.nasa[...] 2021-01-05
[35] Perihelion occurs when rdot flips from negative to positive Horizons Batch for 4 Vesta on 2021-Dec-26 https://ssd.jpl.nasa[...] JPL Horizons 2021-09-26
[36] 웹사이트 JPL SBDB: 4 Vesta (Epoch 2021) https://web.archive.[...]
[37] 웹사이트 JPL SBDB: 2015 TH367 https://ssd.jpl.nasa[...] 2021-09-23
[38] 서적 2013역서 한국천문연구원
[39] 웹사이트 NASA planetary comparison chart http://solarsystem.n[...] 2016-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