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패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패륜은 청나라 말기의 관료로, 1848년 항저우에서 태어나 1903년 사망했다. 1871년 진사가 된 후 이홍조 등과 함께 청류파에 속했으며, 이홍장과 러시아에 유약한 태도를 보인 숭후 등을 탄핵하여 '탄핵대신'이라는 별칭을 얻었다. 임오군란 직후 일본 토벌론을 상소했으나 이홍장의 반대에 부딪혔다. 청불전쟁에서 복건 군무회판으로 임명되었으나, 프랑스군을 얕보다 마강 해전에서 패배하여 면직되었고, 이후 이홍장의 딸과 결혼했으나 관직 복귀에는 실패했다. 작가 장아이링은 그의 손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탕산시 출신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탕산시 출신 - 자오리젠
자오리젠은 중화인민공화국 외교관으로, 외교부에서 다양한 직책을 거쳐 외교부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전랑 외교'의 대표적 인물로 부상했으나, 논쟁적인 발언으로 국제적 논란을 일으켰다. - 청나라의 총리각국사무아문대신 - 이홍장
청나라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인이었던 이홍장은 태평천국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직례총독으로서 외교를 주도하며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청일 전쟁 패배와 부패 논란 등 역사적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의 삶은 청나라 격변기와 근대화 노력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받는다. - 청나라의 총리각국사무아문대신 - 혁흔
혁흔은 청나라 황족이자 정치가로, 도광제의 아들이자 함풍제의 이복 동생이며, 서구 열강과의 외교에서 활약하고 양무운동을 주도했으나 서태후와의 갈등으로 실각과 복귀를 반복하다가 청불전쟁과 청일전쟁에서 외교와 군사를 총괄하고 1898년에 사망했다.
장패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848년 11월 24일 |
출생지 | 펑룬구, 즈리성 |
사망일 | 1903년 2월 4일 |
사망지 | 상하이, 청나라 |
교육 | 진사 (1871년) |
배우자 | 주지샹 볜추이위 리쥐오 |
2. 생애
1848년 11월 24일 항저우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장인탕(張印塘, 1797–1854)은 중급 관료였으나, 장패륜이 어릴 때 사망하여 가정이 비교적 가난했다. 장패륜은 총명하고 학구적인 아이였다고 전해지며, 23세에 지방 과거 시험에, 24세에 회시에 합격한 후 이홍조의 지도를 받으며 빠르게 두각을 나타냈다.
이후 청류파 활동, 청불전쟁과 마강해전, 이홍장과의 관계, 결혼과 같은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장패륜은 세 번 결혼하여 세 아들과 딸 하나를 두었다. 다음은 장패륜의 가족 관계를 정리한 표이다.
부인 | 자녀 |
---|---|
첫 번째 부인 주즈샹(朱芷薌, 1879년 사망) | |
두 번째 부인 비안추이위(邊粹玉, 1886년 사망) | 없음 |
세 번째 부인 리쥐어우(李菊藕, 1866–1912) |
장패륜의 손녀 장아이링은 20세기의 유명한 중국 작가이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1871년에 진사가 되었고, 조정에서는 이홍조, 반조음, 장지동, 진보침, 보정 등과 함께 ‘청류파’에 속했다. 이홍장과 러시아에 대해 소극적 자세를 취한 숭후 등을 탄핵했기 때문에 ‘탄핵대신’이라는 별명을 얻었다.[5] 1882년, 임오군란 직후 한림원의 장패륜은 장문으로 이루어진 ‘동정론’(일본토벌론)을 상주했다. 이홍장은 시기상조라고 반대했다.[4]
2. 2. 청류파 활동과 탄핵
1871년에 진사가 되었고, 조정에서는 이홍조, 반조음, 장지동, 진보침, 보정 등과 함께 ‘청류당(청류黨)’에 속했다. 이들은 이홍장과 그의 지지자들이 옹호하는 온건한 입장에 반대하며, 1880년대 초 프랑스와의 전쟁을 감수하더라도 북부 베트남에서 프랑스의 침략에 저항할 것을 촉구했다. 장패륜은 이홍장이나 러시아에 대해 유약한 자세를 취한 숭후 등을 탄핵했기 때문에 ‘탄핵대신’이라는 별명을 얻었다.[4] 1882년 임오군란 직후 한림원의 장패륜은 장문으로 이루어진 ‘동정론’(일본토벌론)을 상주했으나, 이홍장은 시기상조라고 반대했다.[5]2. 3. 청불전쟁과 마강해전
1884년부터 1885년까지 벌어진 청불전쟁 때 장패륜은 복건 군무회판(軍務會辦)이 되었다. 그러나 첨천우 등의 경고를 무시하고 프랑스군을 가볍게 여겨 마강해전에서 복건 해군이 전멸하는 결과를 초래했다.[1] 게다가, 패전 후 하여장과 함께 도주하여 면직되고 군무에 복종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사람들은 장패륜이 평소에 군사를 즐겨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군사를 지휘할 때는 군대를 버리고 달아났기 때문에 ‘마속’이라고 비난했다.청불 전쟁 발발 직전, 장패륜은 복건성 방어를 책임지는 흠차대신으로 임명되었다. 그의 푸젠 함대는 1884년 8월 23일 마강 해전에서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지휘하는 프랑스 극동 함대에 의해 거의 전멸했다.[1]
장패륜은 푸젠 함대의 저항을 제대로 조율하지 않았고, 1884년 9월 19일 서태후에 의해 강등되었으며, 복건성 방어 사령관 자리는 노련한 장군 좌종당에게 넘어갔다.[2]
2. 4. 이홍장과의 관계와 결혼
이홍장은 장패륜의 재능을 높이 평가하여 그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밀었고, 자신의 딸과 장패륜을 결혼시켰다. 하지만 이홍장은 측근을 위해 이익을 도모한다는 의혹을 피하기 위해 일부러 장패륜을 천거하지는 않았다.[5] 이홍장은 장패륜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그의 장녀인 리쥐어우(李菊藕, 1866–1912)와 결혼할 것을 권했다고 한다. 리쥐어우의 어머니는 이 결혼에 반대했지만, 이홍장은 이를 밀어붙였다.[3]결혼 후, 장패륜은 가족과 함께 난징으로 이사했고, 아내의 도움을 받아 망명 시절에 쓰기 시작한 다양한 작품을 편집하기 시작했다. 부부는 요리책과 무협 소설을 공동 집필하기도 했다.
2. 5. 말년과 죽음
군역을 마친 장패륜에게 구원의 손길을 내민 것은 과거의 정적이었던 이홍장이었다. 그는 장패륜의 재능을 높이 평가해 자신의 딸을 시집보냈다. 하지만 이홍장은 일신의 이익을 꾀한다는 의심을 피하기 위해 굳이 장패륜을 추천하지는 않았다.[5] 1888년 베이징/톈진으로 돌아온 장패륜은 이홍장의 비서로 일자리를 얻었다. 이홍장은 장패륜에게 깊은 인상을 받아 그의 장녀인 리쥐어우(李菊藕, 1866–1912)에게 장패륜과 결혼할 것을 권했다고 한다. 리쥐어우의 어머니는 이 결혼에 반대했지만, 이홍장은 이를 밀어붙였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홍장은 장패륜이 다시 공직에 진출하는 것을 돕는 것을 거부했고, 장패륜은 대신 문학적 야망에 몰두했다. 그는 결혼 후 가족과 함께 난징으로 이사했고, 아내의 도움을 받아 망명 시절에 쓰기 시작한 다양한 작품을 편집하기 시작했다. 부부는 결국 요리책과 무협 소설을 공동 집필했다.
1901년, 이홍장이 사망하면서 장패륜이 관직에 복귀할 희망은 사라졌고, 1903년, 서인으로 살다가 56세의 나이에 난징에서 밝혀지지 않은 간 질환으로 사망했다. 그의 아내는 9년 후에 사망했고, 그들은 함께 묻혔다. 50년 후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그들의 무덤은 발굴되어 훼손되었다. 작가 장아이링은 그의 손녀이다.
3. 가족 관계
배우자 | 자녀 |
---|---|
주즈샹 (朱芷薌, 1879년 사망) | |
비안추이위 (邊粹玉, 1886년 사망) | 없음 |
리쥐어우 (李菊藕, 1888년 결혼) |
장즈이의 딸(이자 장패륜의 손녀)인 장아이링은 20세기 중국의 저명한 작가이다.
참조
[1]
문서
Lung Chang
[2]
문서
Lung Chang
[3]
ECCP
Chang P'ei-lun
[4]
문서
岡崎(2009)
[5]
문서
岡崎(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