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오리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오리젠은 1972년 허베이성 탕산시 출신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외교관이다. 창사 철도 대학에서 외국어학을 전공하고,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1996년 외교부에 입부하여 파키스탄,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근무했으며, 2019년부터 2023년까지 외교부 대변인으로 활동하며 '전랑 외교'의 대표적인 인물로 꼽혔다. 현재는 외교부 변계해양사무국 부국장으로 재직 중이며, 트위터를 통해 국제 현안에 대한 입장을 적극적으로 밝혀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키스탄에 거주한 중국인 - 미카엘 다부드
미카엘 다부드는 노르웨이로 귀화하여 시민권을 취득했으나 테러 혐의로 체포되어 8년형을 선고받았으며 가석방을 요구하며 소송을 제기했다. - 파키스탄에 거주한 중국인 - 아부 오마르 알투르키스타니
아부 오마르 알투르키스타니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출신의 위구르족으로, 알카에다에 가담하여 아프가니스탄과 시리아에서 활동하다가 2017년 미국 무인기 공습으로 사망했다. - 탕산시 출신 - 무로후시 시게노부
무로후시 시게노부는 "아시아의 철인"으로 불리며 아시안 게임 5연패와 일본 육상 선수권 대회 10연패 등의 업적을 남긴 일본의 해머던지기 선수이자 지도자로, 은퇴 후 주쿄 대학 교수로 재직하며 아들 무로후시 고지를 비롯한 후진을 양성하고 "쓰러짐" 투척폼 개발로 올림픽 금메달 획득에 기여했다. - 탕산시 출신 - 장패륜
청나라 말기 관료 장패륜은 강경한 정치적 견해로 '탄핵대신'이라 불렸지만, 청불 전쟁 패전의 책임을 지고 면직된 후 이홍장의 도움으로 재기했으나 그의 사망 후 복귀하지 못했으며, 그의 손녀는 작가 장아이링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친강
친강은 1966년 톈진에서 태어나 외교부 대변인, 주미 중국 대사를 역임하고 2022년 12월 외교부장에 임명되었으나 7개월 만에 해임된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외교관 - 리바오둥
리바오둥은 베이징 출신의 중국 외교관으로, 다양한 외교 직책을 거쳐 잠비아 대사, 유엔 제네바 사무소 대표, 유엔 주재 중국 대사를 역임했으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의장직을 수행하며 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에 기여했다.
자오리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赵立坚 |
로마자 표기 | Zhao Lijian |
출생일 | 1972년 11월 10일 |
출생지 | 허베이성 롼난현 |
소속 정당 | 중국 공산당 (1996년–현재) |
학력 | 창사 철도 대학 (학사) 한국개발연구원 (공공정책학 석사) |
직책 | |
직책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변경해양사 부사장 |
임기 시작 | 2023년 1월 9일 |
이전 | None |
후임 | None |
책임자 | 훙량 |
직책 |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신문사 부사장 |
임기 시작 | 2019년 8월 |
임기 종료 | 2023년 1월 9일 |
이전 | None |
후임 | None |
책임자 | 화춘잉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자오리젠은 1972년 11월 허베이성 탕산시 루난현에서 태어났다. 루난현 제1중학교에서 공부했다.[3][1]
자오리젠은 1996년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에 입부하여 아시아국에서 외교 경력을 시작했다. 파키스탄과 미국 주재 대사관에서 근무했으며, 2019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외교부 정보국 부국장 겸 대변인을 역임했다. 2023년 1월부터 외교부 변계해양사무국 부국장으로 재직 중이다.[10]
창사 철도 대학 (현재 중난 대학에 통합)에서 외국어학을 전공으로 졸업했다.[4]
2005년 2월부터 12월까지 한국개발연구원에서 공공정책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당시 주미 중화인민공화국 대사관에서 일등 서기관으로 근무하고 있었다.[5]
3. 외교 경력
3. 1. 초기 경력
자오리젠은 1996년 중화인민공화국 외교부 아시아국에서 과원으로 외교 경력을 시작했다.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파키스탄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직원 및 3등 서기관으로, 2009년부터 2013년까지는 미국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근무했다.[5]
2013년 베이징으로 돌아와 2015년까지 외교부 아시아국에서 1등 서기관 및 사무실 주임을 역임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이슬라마바드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특명전권대사급 참사관으로 근무했다.[6]
허베이성 롼난현(란난 현) 출신으로, 창사 철도 학원(현 중난 대학)을 졸업하고 외교부에 들어갔다. 2003년에 파키스탄 주재 근무를 마치고 귀국했다. 2005년 2월부터 12월까지 한국개발연구원에서 유학하여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9년 미국에 부임하여 주미 중국 대사관의 1등 서기관을 지냈고, 2010년 트위터 계정을 개설했다.
2013년 아시아사(아시아국) 처장으로 승진했고, 같은 해 5월 리커창 총리의 파키스탄 방문에 동행했다. 2015년 다시 주 파키스탄 중국 대사관에 부임했다.
3. 2. 외교부 대변인 시절 (2019년~2023년)
2019년 8월 베이징으로 소환된 자오리젠은 2019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외교부 정보국 부국장 겸 외교부 대변인을 역임했다.[7][3] 2020년 2월 24일, 제31대 대변인에 취임했다. 자오리젠은 전랑 외교 외교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8]
2010년 5월부터 트위터를 시작했다. 중국 국내에서는 트위터 열람이 불가능하지만, 자오리젠은 트위터를 통해 중국 정보를 영어로 외국에 지속적으로 발신하고 있다. 2019년에는 미국 내 흑인 차별을 지적하고, 수전 라이스와 설전을 벌여 주목을 받았다. 2023년 1월 현재 그의 트위터 팔로워 수는 199만 명이다.[85]
3. 3. 변계해양사무국 부국장 (2023년~)
자오리젠은 2023년 1월 외교부 변계 해양 사무국(국경해양사무국) 부국장으로 전보되었다.[9][10] 언론은 그의 전보를 중국의 전랑 외교 재고의 일환으로 보도했다.[11][12][13]
4. 논란 및 비판
자오리젠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파키스탄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며 트위터를 통해 미국을 비판하고, 기자 회견을 통해 중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해왔다.[15][16][18][19] 2010년 트위터에 가입하여 중국 외교관 중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2023년 1월 기준 199만 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다.[20][21][85]
2017년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중국이 여러 이슬람 이름을 금지했다는 보도가 나온 후,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사용하던 이름 "무함마드 리젠 자오"에서 "무함마드"를 삭제했다.[14]
2020년 3월, 미국 군대가 우한에 코로나19를 옮겼을 수 있다는 주장을 트위터에 올려 논란이 되었다.[86] 그는 미국에 데이터 공개와 해명을 요구했고,[35][36] 이 발언은 미국 정부의 항의와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 대사의 소환으로 이어졌다.[36][37][88] 2021년 6월에는 우한 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연구로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89]
2020년 11월, 프란치스코 교황이 중국의 위구르족을 박해받는 사람들 목록에 포함시키자, 자오리젠은 교황의 발언에 "사실적 근거가 없다"라고 반박했다.[46]
2021년 4월에는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우키요에 『후가쿠 36경』 중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를 패러디한 그림을 트위터에 올려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처리수 해양 방출 방침을 비판했다.[90][91][92] 이로 인해 일본 외무성과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의 항의를 받고 삭제를 요구받았다.[90][91][92]
2020년 11월 30일에는 우허치린이 제작한, 호주 군인이 아프가니스탄 아이의 목에 칼을 겨누고 있는 이미지를 트위터에 게재하여 스코트 모리슨 호주 총리로부터 "모욕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사과 및 삭제 요구를 받았으나, 중국 정부와 트위터는 이를 거부했다.[51][52][56][57][58]
2020년 11월 19일, 파이브 아이즈가 중국의 홍콩 입법회 의원 실격 조치를 비판하자, "눈이 다섯 개든 열 개든, 중국의 주권을 해치면 눈이 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49][50]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해서는 우크라이나 내 미국의 생물학 연구소에 대한 러시아 측 주장을 되풀이하며 음모론을 제기했고,[72][76] 나토(NATO)의 동진이 러시아를 궁지에 몰아넣었다는 주장을 펼쳤다.[77] 같은 해 7월에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타이완 방문 계획에 대해 "강력한 조치"를 경고했으며,[78] 11월에는 중국의 코로나19 시위에 대해 "불순한 의도를 가진 세력"이 있다고 주장했다.[81]
그의 고압적인 외교 자세는 중국에서 전랑 외교로 불리기도 한다.[95][96]
4. 1. 미국과의 갈등
2019년 자오리젠은 "워싱턴 D.C.에 있다면 백인들은 절대 남서부 지역에 가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그곳은 흑인과 라틴 아메리카인들을 위한 지역이기 때문이다. '흑인 유입, 백인 유출'이라는 말이 있다"라고 트윗을 올렸다. 이에 버락 오바마 행정부의 국가 안보 보좌관이었던 수전 라이스는 "당신은 인종차별주의자이고 수치스럽게 무지하다"라고 응답했다.[24][25] 자오리젠은 라이스를 "수치스럽고" "충격적으로 무지하다"고 트윗으로 비난했고, 인종차별 혐의에 대해 "수치스럽고 역겹다"고 말했다. 자오리젠은 해당 트윗을 옹호했지만 삭제했다.[26]2020년 3월 5일, 자오리젠은 미국의 TV 진행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에 대해 중국이 "공식적으로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한 것에 대해 "2009년 미국에서 발생한 H1N1 인플루엔자 유행은 214개 국가 및 지역으로 확산되어 그 해에 최소 18,449명의 사망자를 냈다. 미국에 사과를 요구한 사람이 있는가?"라고 반박했다.[28][29]
3월 12일, 자오리젠은 미국 군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중국으로 가져왔을 수도 있다는 음모론을 제기했다.[31][32][30][33][34] 그는 "미국에서 환자 제로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감염된 사람은 얼마나 되는가? 병원 이름은 무엇인가? 우한에 전염병을 가져온 것은 미군일 수도 있다. 투명하게 공개하라! 데이터를 공개하라! 미국은 우리에게 해명을 해야 한다!"라고 트윗했다.[35][36] 이 주장은 2019년 10월 우한에서 열린 2019년 세계 군인 체육 대회에 미국이 참여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33] 이는 보고된 발병보다 두 달 앞선 시기였다.[36] 미국 국무부는 3월 13일 자오리젠의 발언에 항의하기 위해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 대사를 소환했다.[36][37]
2021년 8월 11일, 자오리젠은 SARS-CoV-2 바이러스가 포트 데트릭에서 미국 군대에 의해 개발되었다는 중국의 음모론을 지지하는 트윗을 게시했다.[40]
2022년 3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와중에 자오리젠은 "우크라이나 내 미국의 생물학 연구소가 큰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러시아 언론 보도를 인용하며, 러시아가 미국이 그러한 시설을 "생물 군사 계획"에 사용하고 있음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72][76]
자오리젠은 "우크라이나 사태의 주범이자 주모자인 미국은 1999년 이후 나토가 동쪽으로의 확장을 5차례나 하도록 이끌었으며, 나토 회원국이 거의 두 배로 늘어난 것은 '러시아를 단계적으로 궁지에 몰아넣었다'"고 말했다.[77]
2022년 7월, 자오리젠은 낸시 펠로시가 타이완을 방문해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며, 중국 정부가 그녀의 방문에 "심각하게 대비"할 것이라고 위협했다.[78] 그는 "만약 미국 측이 자기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강력한 조치를 취해 단호하게 대응하고 맞설 것"이며, "어떤 심각한 결과에 대해서도 미국이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78] 2022년 8월 1일, 자오리젠은 펠로시가 타이완을 방문할 경우 중국 군대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위협했다.[79]
4. 2. 위구르족 인권 문제 관련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중국이 여러 이슬람 이름을 금지했다는 보도가 있은 후, 2017년에 자오리젠은 공식 트위터 계정에서 사용하던 이름 "무함마드 리젠 자오"에서 "무함마드"를 뺐다.[14] 그는 트위터를 사용하여 미국의 중동 외교 정책과 같은 주제를 포함, 미국을 비판하는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15][16]중국 공산당은 정보 관리를 매우 중요하게 여기며, 자오리젠은 기자 회견과 트위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하고 중국의 전략적 목표를 달성했다.[18][19]
차이나 케이블이 ''뉴욕 타임스''를 통해 유출된 이후, 중국 정부는 신장 수용소(2017년 이후)에서 위구르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해 서방 언론과 정부의 비판을 받았다. 이는 투르키스탄 이슬람당이 주도하는 신장의 이슬람 테러에 맞서기 위한 수단으로 여겨졌다.[42] 자오리젠은 언론 성명과 트위터를 통해 소수 민족에 대한 베이징의 처우를 옹호했다.[43] AP 통신은 중국 당국이 위구르족에게 강제적인 산아 제한을 시행하는 동시에 한족의 대가족을 장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44] 자오리젠은 AP 통신의 조사 결과를 "근거 없는" 것이며 "불순한 의도"를 드러낸다고 일축했다.[45] 그는 언론에 다시 초점을 맞춰 언론이 "신장 관련 문제에 대한 허위 정보를 조작하고 있다"라고 비난했다.[45]
2020년 11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중국의 위구르족 소수 민족을 세계의 박해받는 사람들 목록에 포함시켰다. 자오리젠은 교황의 발언이 "사실적 근거가 없다"라고 반박했다.[46] 2021년 1월, 자오리젠은 기자 회견에서 위구르족 집단 학살에 대한 질문에 "중국에는 집단 학살이 없다. 중국에는 집단 학살이 없다. 중국에는 집단 학살이 없다."라고 답했다.[47][48]
4. 3. 오스트레일리아와의 갈등
2020년 11월 30일, 자오리젠은 자신의 트위터 계정에 "호주 군인들의 아프간 민간인과 포로 살해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며, 그들의 책임을 묻기를 촉구합니다"라는 글과 함께 피 묻은 칼로 아프가니스탄 아이의 목을 겨누고 있는 호주 군인의 이미지를 첨부했다.[51][52] 이 이미지는 중국 인터넷 정치 만화가 우허치린(Wuheqilin, 乌合麒麟)이 제작한 것으로, 브레레톤 보고서를 참고한 것으로 보인다. 브레레톤 보고서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의 아프가니스탄 전쟁 기간 동안 호주 국방군이 저지른 전쟁 범죄를 상세히 담고 있다.[53][54][55]스코트 모리슨 호주 총리는 이 이미지를 "모욕적"이고 "정말로 혐오스러운" 것이라고 칭하며, 중국 정부의 공식 사과를 요구하고 트위터에 해당 트윗을 삭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56] 그러나 중국은 다음 날 사과 요구를 거부했고,[57] 트위터 역시 자오리젠의 트윗 삭제 요청을 거부했다.[58] 결국, 모리슨은 이 사건의 추가 확산을 막고, 화해를 모색할 것을 촉구했다.[60][61][62]
이 사건으로 호주 정치인들은 당파를 초월하여 중국을 규탄하는 데 일치된 목소리를 냈으며, 브레레톤 보고서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54] 또한 호주와 중국 간의 관계 악화의 신호로 여겨졌다.[63]
뉴질랜드와 프랑스 정부는 호주 정부를 지지하며 자오리젠의 트위터 게시물을 비판했다.[64][65][66] 반면 러시아 정부는 "상황이 호주 당국이 그러한 범죄를 저지른 모든 군인에게 실제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진정한 능력이 있는지 진정으로 의심하게 만든다"고 밝혔다.[67]
4. 4. 파이브 아이즈 비판
2020년 11월 19일, 파이브 아이즈 정보 공유 그룹은 중국이 홍콩 입법회에서 선출된 의원을 실격시키는 새로운 규칙을 강요한 것은 비판을 침묵시키려는 캠페인의 일부인 것으로 보이며, 베이징에 입장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49] 이에 대해 자오리젠은 "그들이 눈이 다섯 개든 열 개든, 중국의 주권, 안보, 발전 이익을 감히 해친다면, 눈알이 찔리고 멀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다.[50]4. 5. 일본과의 관계
2021년 4월, 자오리젠은 중국의 한 일러스트레이터가 가츠시카 호쿠사이의 우키요에 『후가쿠 36경』 중 하나인 「가나가와 해변의 높은 파도」를 패러디하여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제1원자력 발전소 처리수 해양 방출 방침을 비판한 그림을 자신의 트위터에 게재하면서 "호쿠사이가 살아있었다면 매우 걱정했을 것이다"라는 문구를 덧붙였다.[90][91][92]。이에 일본 외무성과 모테기 도시미쓰 외무상은 중국 측에 엄중 항의하며 해당 게시물의 삭제를 요구했다.[90][91][92]。4. 6. 기타 논란
자오리젠은 2015년부터 2019년까지 파키스탄 주재 중국 대사관에서 근무하며 트위터를 통해 미국을 비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5][16] 그는 기자 회견과 트위터를 통해 중국의 입장을 적극적으로 대변했다.[18][19] 2010년에 트위터에 가입하여, 중국 외교관 중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선구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20][21] 2023년 1월 기준으로 그의 트위터 팔로워 수는 199만 명에 달한다.[85]2020년 3월, 자오리젠은 미국 군대가 우한에 코로나19를 옮겼을 수 있다는 주장을 트위터에 올려 논란이 되었다.[86] 그는 "미국은 투명하게 데이터를 공개하고 해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35][36] 이러한 발언은 미국 정부의 항의를 받았으며,[88] 추이톈카이 주미 중국 대사가 미국 국무부에 소환되기도 했다.[36][37]
2021년 6월, 그는 우한 연구팀이 코로나바이러스 연구로 노벨상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89]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관련하여, 자오리젠은 우크라이나 내 미국의 생물학 연구소에 대한 러시아 측 주장을 되풀이하며 음모론을 제기했다.[72][76] 또한, 나토(NATO)의 동진이 러시아를 궁지에 몰아넣었다고 주장하며 미국을 비판했다.[77]
2022년 7월, 낸시 펠로시 미국 하원의장의 타이완 방문 계획에 대해 "중국은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78]
2022년 11월, 중국의 코로나19 시위에 대해서는 "불순한 의도를 가진 세력이 있다"고 주장했다.[81]
2020년 4월에는 일본의 전직 AV 배우 아오이 소라를 팔로우한 사실이 알려졌으나, 중국 외교관은 해외 SNS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이 있어 문제가 되지 않았다.[93][94]
5. 사생활
자오리젠은 탕톈루와 결혼했다.[82][83] 탕톈루는 중국이 엄격한 여행 제한을 시행하던 시기에 독일로 여행을 떠나 소셜 미디어에서 논란을 일으켰다.[83] 2022년 12월, 탕톈루는 자오리젠이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였지만 약을 구할 수 없었다고 게시했다.[83]
2020년 4월, 자오리젠이 일본의 전직 AV 배우 아오이 소라를 트위터에서 팔로우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러나 관영 매체의 기자나 외무성 관료, 대변인은 자유롭게 해외 SNS를 사용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았다.[93][94]
자오리젠의 아내는 실업가로,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에서 무역 회사와 가구 제조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Luannan ren chule yiwei yinghe waijiaoguan, sanjuhua ling Meiguo yakouwuyan
https://www.thepaper[...]
2020-11-30
[2]
웹사이트
CV of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Zhao Lijian
https://www.fmprc.go[...]
2020-12-01
[3]
뉴스
Waijiaobu xinren fayanren Zhao Lijian liangxiang xi zishen waijiaoguan lüli fengfu
http://www.chinanews[...]
2020-03-05
[4]
웹사이트
热烈庆祝中南大学合并组建12 周年
https://xcb.csu.edu.[...]
2022-08-19
[5]
웹사이트
CV of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Zhao Lijian
https://www.fmprc.go[...]
2020-12-01
[6]
웹사이트
外交部新任发言人赵立坚亮相--国际--人民网
http://world.people.[...]
2023-11-04
[7]
뉴스
Zhao Lijian churen Waijiaobu xinwensi fusizhang
https://www.thepaper[...]
2020-03-05
[8]
서적
China's Rising Foreign Ministry: Practices and Representations of Assertive Diplomacy
Stanford University Press
[9]
웹사이트
The Department of Boundary and Ocean Affairs
https://www.fmprc.go[...]
2023-07-27
[10]
뉴스
China 'wolf warrior' diplomatic spokesperson Zhao moves to new role
https://www.reuters.[...]
2023-01-09
[11]
뉴스
Controversial China Diplomat Zhao Shifted From High-Profile Role
https://www.bloomber[...]
2023-01-09
[12]
뉴스
China demotes 'Wolf Warrior' diplomat
https://www.independ[...]
2023-01-10
[13]
뉴스
Prominent Chinese 'wolf warrior' diplomat moved to obscure role
https://www.ft.com/c[...]
2023-01-09
[14]
뉴스
A Chinese diplomat had a fight about race in D.C. with Susan Rice on Twitter. Then he deleted the tweets.
https://www.washingt[...]
2020-06-20
[15]
뉴스
Meet The Chinese Diplomat Who Got Promoted For Trolling The US On Twitter
https://www.buzzfeed[...]
2020-04-05
[16]
뉴스
Chinese diplomat Zhao Lijian, known for his Twitter outbursts, is given senior foreign ministry post
https://www.scmp.com[...]
2020-03-05
[17]
뉴스
Australia Livid as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Tweets Offensive Image
https://thediplomat.[...]
2020-12-11
[18]
뉴스
For China, the 'USA Virus' Is a Geopolitical Ploy
https://www.theatlan[...]
2020-12-10
[19]
뉴스
Tweet storm shows China aims to project power through provocation
https://www.aspistra[...]
2020-12-10
[20]
뉴스
China blocks Twitter, Flickr, YouTube and Hotmail ahead of Tiananmen anniversary
http://www.theguardi[...]
2020-12-10
[21]
뉴스
Twitter has become a new battleground for China's wolf-warrior diplomats {{!}} Jing Zeng
http://www.theguardi[...]
2020-12-10
[22]
뉴스
Chinese 'Wolf Warrior' Diplomat Enrages Australia With Twitter Post
https://www.wsj.com/[...]
2020-12-10
[23]
뉴스
China looks for the diplomatic 'sweet spot' between panda and wolf
https://www.aljazeer[...]
2023-12-27
[24]
뉴스
China's envoys try out Trump-style Twitter diplomacy
http://www.theguardi[...]
2020-11-30
[25]
뉴스
Chinese officials discover Twitter. What could possibly go wrong?
https://www.scmp.com[...]
2020-11-30
[26]
뉴스
A Chinese diplomat had a fight about race in D.C. with Susan Rice on Twitter. Then he deleted the tweets.
https://www.washingt[...]
2020-06-20
[27]
뉴스
In China, a young diplomat rises as aggressive foreign policy takes root
https://www.reuters.[...]
2020-03-31
[28]
뉴스
Coronavirus conspiracy theory that Covid-19 originated in US spreading in China
https://www.independ[...]
2020-04-08
[29]
뉴스
China Destroyed Incriminating Documents on Gross Mishandling of Wuhan Virus
https://japan-forwar[...]
2021-03-21
[30]
뉴스
Chinese Diplomats Are Pushing Conspiracy Theories That The Coronavirus Didn't Originate In China
https://www.buzzfeed[...]
2020-04-05
[31]
뉴스
Chinese diplomat promotes conspiracy theory that US military brought coronavirus to Wuhan
https://edition.cnn.[...]
2020-03-24
[32]
뉴스
Why China's 'Wolf Warrior Diplomacy' Will Backfire
https://japan-forwar[...]
2021-03-18
[33]
뉴스
Chinese foreign ministry spokesman tweets claim US military brought coronavirus to Wuhan
https://www.scmp.com[...]
2020-11-30
[34]
뉴스
False claims about sources of coronavirus cause spat between the US, China
https://abcnews.go.c[...]
2020-11-30
[35]
뉴스
China sidesteps spokesman's claim of U.S. role in coronavirus outbreak
https://www.reuters.[...]
2020-04-08
[36]
뉴스
China Spins Tale That the U.S. Army Started the Coronavirus Epidemic
https://www.nytimes.[...]
2020-03-13
[37]
뉴스
Coronavirus barbs help nobody, China's Washington ambassador says after 'US army' tweets
https://www.scmp.com[...]
2020-03-23
[38]
뉴스
China Spokesman Defends Virus Tweets Criticized by Trump
https://www.bloomber[...]
2020-04-07
[39]
뉴스
China Rejects WHO Call for More Transparency on Origins Probe
https://thediplomat.[...]
The Diplomat
2021-07-01
[40]
뉴스
Wuhan lab leak theory: How Fort Detrick became a centre for Chinese conspiracies
https://www.bbc.com/[...]
2021-08-23
[41]
뉴스
Why Don't We Care About China's Uighur Muslims?
https://theintercept[...]
2019-12-29
[42]
웹사이트
Understanding China's 'preventive repression' in Xinjiang
https://www.brooking[...]
2020-03-04
[43]
뉴스
China's envoys try out Trump-style Twitter diplomacy
http://www.theguardi[...]
2019-07-17
[44]
뉴스
China cuts Uighur births with IUDs, abortion, sterilization
https://apnews.com/a[...]
2020-06-29
[45]
뉴스
China forcing birth control on Uighurs to suppress population, report says
https://www.bbc.com/[...]
2020-06-29
[46]
뉴스
China dismisses Pope Francis's comments about persecution of Uighurs
https://www.theguard[...]
2020-11-25
[47]
뉴스
China Fires Back at Blinken's Condemnation Regarding Uighurs: 'No Genocide – Period'
https://www.usnews.c[...]
2021-01-28
[48]
뉴스
U.S.-China meeting in Alaska to test Biden's balancing act with Beijing
https://www.washingt[...]
2021-03-10
[49]
뉴스
'Five Eyes' alliance urges China to end crackdown on Hong Kong legislators
https://www.reuters.[...]
2020-12-19
[50]
뉴스
China says Five Eyes alliance will be 'poked and blinded' over Hong Kong stance
https://www.theguard[...]
2020-12-20
[51]
뉴스
China's WeChat blocks Australian PM in doctored image dispute
https://www.reuters.[...]
2020-12-02
[52]
뉴스
Chinese artist behind doctored image of Australian soldier says he's ready to make more
https://www.abc.net.[...]
2020-12-01
[53]
뉴스
China and Australia are in a nasty diplomatic spat over a fake tweet — and real war crimes
https://www.vox.com/[...]
2020-12-02
[54]
뉴스
Australian MPs unite to condemn 'grossly insulting' Chinese government tweet
https://www.theguard[...]
2020-11-30
[55]
뉴스
How China Trolled Australia Into Publicizing Its Own War Crimes
https://slate.com/ne[...]
2020-12-01
[56]
뉴스
Australia demands apology from China after fake image posted on social media
https://www.reuters.[...]
2020-11-30
[57]
뉴스
China rejects Australian PM's call to apologise for 'repugnant' tweet
https://www.theguard[...]
2020-11-30
[58]
뉴스
Twitter rejects call to remove Chinese official's fake Australian troops tweet
https://www.france24[...]
2020-12-01
[59]
뉴스
China doubles down on criticising Australia over actions in Afghanistan
https://www.scmp.com[...]
2020-12-01
[60]
뉴스
'No further amplification' of shocking China tweet, PM urges
https://thenewdaily.[...]
2020-12-01
[61]
뉴스
Don't fuel China anger: ScoMo
https://www.perthnow[...]
2020-12-01
[62]
뉴스
Australia seeks conciliation with China after dispute over graphic tweet
https://www.latimes.[...]
2020-12-03
[63]
뉴스
Australia demands apology after Chinese official tweets 'falsified image' of soldier threatening child
https://www.cnn.com/[...]
2020-11-30
[64]
뉴스
New Zealand registers concern with China over official's 'unfactual' tweet
https://www.rnz.co.n[...]
2020-12-01
[65]
뉴스
France and New Zealand join Australia's criticism of Chinese government tweet
https://www.theguard[...]
2020-12-01
[66]
뉴스
Editorial: Use of Fake Photo vs Australia Brings China Diplomacy to New Low
https://japan-forwar[...]
2020-12-07
[67]
뉴스
Russia accused of 'hypocrisy' after attacking Australia over Afghanistan war crimes report
https://www.abc.net.[...]
2020-11-30
[68]
뉴스
US and France weigh in on bitter China-Australia tweet row over Afghanistan image but Beijing holds firm
https://www.scmp.com[...]
SCMP
2020-12-02
[69]
뉴스
China's WeChat blocks Australian PM in doctored image dispute
https://www.reuters.[...]
2020-12-02
[70]
뉴스
Likely fake accounts propel China tweet that enraged Australia
https://www.aljazeer[...]
2020-12-05
[71]
뉴스
China tweet that enraged Australia propelled by 'unusual' accounts, say experts
https://www.reuters.[...]
2020-12-05
[72]
웹사이트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Zhao Lijian's Regular Press Conference on March 8, 2022
https://www.fmprc.go[...]
2022-03-08
[73]
뉴스
Are There Pentagon-Controlled Biological Laboratories In Ukraine?
https://mythdetector[...]
2022-03-01
[74]
뉴스
False Claims of U.S. Biowarfare Labs in Ukraine Grip QAnon
https://foreignpolic[...]
2022-03-02
[75]
웹사이트
Fact Sheet: The Nunn-Lugar Cooperative Threat Reduction Program
https://armscontrolc[...]
2014-06-01
[76]
뉴스
China Pushes Conspiracy Theory About U.S. Labs in Ukraine
https://www.bloomber[...]
2022-03-08
[77]
뉴스
China resists tougher Russia response at 'frank' summit with EU
https://www.aljazeer[...]
2022-04-02
[78]
뉴스
China confirms warnings to U.S. on Pelosi's possible Taiwan visit
https://www.reuters.[...]
2022-07-25
[79]
웹사이트
Singapore says stable US-China ties crucial as Pelosi keeps mum over Taiwan stop
https://www.scmp.com[...]
2022-08-01
[80]
뉴스
U.S. Warns China Not to Turn Pelosi's Expected Trip to Taiwan Into a 'Crisis'
https://www.nytimes.[...]
2022-08-01
[81]
뉴스
China blames 'forces with ulterior motives' for linking Urumqi fire to Covid curbs
https://www.lemonde.[...]
2022-11-28
[82]
뉴스
【翻车现场】她在德国明着乐,老公在中国偷着乐,两口子赢麻了
https://chinadigital[...]
2022-11-28
[83]
웹사이트
Policy shift to wife's social media posts: Why China demoted 'wolf warrior' foreign ministry diplomat Zhao Lijian
https://www.firstpos[...]
2023-01-11
[84]
웹사이트
外交部新闻司原副司长赵立坚已任边界与海洋事务司副司长
https://www.thepaper[...]
2023-01-09
[85]
서적
フォロワー199万人「戦狼外交」の中国報道官 静かなる退場のわけ:朝日新聞デジタル
https://www.asahi.co[...]
2023-01-10
[86]
Twitter
2020年3月12日午後11:37のツイート
https://twitter.com/[...]
[87]
서적
中国報道官、米軍関与説を提起 ウイルス起源、ツイッターで主張―新型コロナ
https://web.archive.[...]
2020-03-13
[88]
웹사이트
米国務省、中国大使に抗議 米軍による新型コロナ関与説めぐり
https://www.cnn.co.j[...]
CNN
2020-03-15
[89]
서적
中国外務省「武漢の研究チームにノーベル賞を」
https://news.tv-asah[...]
[90]
서적
中国報道官が北斎浮世絵で処理水揶揄 外務省が抗議
https://www.sankei.c[...]
産業経済新聞社
2021-04-27
[91]
뉴스
中国、浮世絵で処理水を皮肉る 報道官が北斎の模倣絵投稿
https://web.archive.[...]
2021-04-27
[92]
서적
原発処理水「北斎も心配」 中国外務省幹部がツイート
https://www.asahi.co[...]
朝日新聞社
2021-04-27
[93]
뉴스
特権社会・中国ではポルノを見るのも一部の特権
https://www.newsweek[...]
[94]
뉴스
中国外交部の“コワモテ報道官” 実は蒼井そらファンだった
https://www.nikkan-g[...]
[95]
뉴스
中国「戦狼外交」を槍玉に盛り上がる反中勢力の誤解。日本やインドと関係悪化は望んでいない
https://www.business[...]
[96]
CNN
中国が打ち出す対外政策の新機軸、「戦狼外交」の実態とは - (1/3)
https://www.cnn.co.j[...]
[97]
웹사이트
下午察:“坚婶”和网民的舆论战
https://www.zaobao.c[...]
2022-12-01
[98]
뉴스
Waijiaobu xinren fayanren Zhao Lijian liangxiang xi zishen waijiaoguan lüli fengfu
http://www.chinanews[...]
2020-02-24
[99]
뉴스
Chinese diplomat Zhao Lijian, known for his Twitter outbursts, is given senior foreign ministry post
https://www.scmp.com[...]
2019-08-24
[100]
뉴스
Chinese diplomat promotes conspiracy theory that US military brought coronavirus to Wuhan
https://edition.cnn.[...]
2020-03-14
[101]
뉴스
China's 'Wolf Warrior' Diplomats Are Ready to Fight
https://www.wsj.com/[...]
2020-05-19
[102]
웹인용
Why China's 'Wolf Warrior Diplomacy' Will Backfire
https://japan-forwar[...]
2020-05-13
[103]
웹인용
CV of Foreign Ministry Spokesperson Zhao Lijian
https://www.fmprc.go[...]
2020-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