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주시의 시내버스는 1960년대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2013년부터 2024년까지 노선 신설, 변경 및 요금 인상 등의 변화를 겪었다. 현재 전주시 시내버스는 시내버스 공동관리위원회에서 5개 업체가, 마을버스는 전주시설관리공단이 운영하며, 간선, 지선, 순환 노선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금은 교통카드 사용 시 할인되며, 환승 체계가 적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주시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전주시의 교통 - 전주역
전주역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한국철도공사의 철도역으로, 1914년 개업 후 두 번의 이전을 거쳐 현재 위치에 있으며, 2011년 KTX 개통 이후 전라선의 주요 거점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2023년부터 선상역사 신축 공사가 진행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군산시의 시내버스
군산시 시내버스는 2002년 노선 개편 후 단일 체계를 유지하며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 새만금 방조제 연결로 신설 노선이 생겼고, 근대관광 활성화를 위한 버스 신설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현재는 인구 변화에 따른 노선 조정 및 스마트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익산시의 시내버스
익산시의 시내버스는 익산시 전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도시순환, 좌석, 간선, 일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드 이용 시 환승이 가능하고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완주군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완주군의 교통 - 신리역
신리역은 1931년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현 역사가 완공되었으나, 2010년 여객 취급이 중지된 전라선에 위치했던 역이다.
전주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 | |
구분 | 시내버스 |
서비스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주군 |
기타 지역 |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김제시, 임실군, 진안군 |
관리 기관 | 전주시청 교통과 완주군청 건설교통과 |
노선 수 | 시내 74, 마을 27 |
인가 대수 | 시내 394, 마을 25 |
지불 수단 | 교통카드, 현금 |
선불 카드 | 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하나로카드, 한페이, 레일플러스전주시에서만 사용가능이고 완주군에서는 사용불가다.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만 사용가능이고 T형은 사용불가다. |
사이트 | 전주시 시내버스 노선 |
2. 역사
2013년 9월 5일, 486번 기점이 낙수정에서 평화동종점으로, 9번 기점이 전주가족랜드에서 호동으로 변경되었다. 163번 노선이 신설되었고, 9번, 49번, 72번, 89번, 121번, 163번, 215번, 235번, 4-1번, 4-2번의 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4] 2014년 2월 15일에는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5] 3월 3일에는 411번, 413번, 414번 종점이 장동리에서 농촌진흥청으로 연장되었다. 72번은 대한지적공사~혁신이노힐아파트 구간 경유지가 변경되었으며, 644번, 684번, 970번 기점이 사단에서 농수산시장으로 변경되었다.[6]
2014년 9월 1일, 71번 노선이 신설되었고, 72번의 첫차와 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7] 2015년 2월 1일에는 전주시와 완주군 간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재개되었다. 2015년 3월 14일, 72번 노선이 행정연수원에서 이서면까지 연장되고 2대 증차되었으며, 88번 및 190번이 1대씩 감차되었다. 71번의 전북혁신도시 중복 구간이 변경되었고, 69번과 70번은 하가지구 및 척동마을 경유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1번, 2번, 72번 등에 저상버스가 투입되었으며, 119, 43.511, 43.513, 43.515.111, 43.522, 535, 43.541.772, 43.543, 551번은 모래내를 무정차 통과하도록 변경되었다.[8]
2015년 5월 23일, 429번 오신 방면 해오름입구 ~ 마당제 구간이 일부 시간에만 운행되도록 변경되었다.[9] 2016년 5월 4일에는 명품버스 1000번 (동물원 - 치명자산)이 신설되었다.[10] 2017년 1월 16일,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 2월 20일에는 시내버스 교통카드 환승 시간이 30분에서 40분으로 확대되고 노선 개편과 함께 완주군 지선버스가 신설되었다.[11] 2017년 3월 15일에는 시내버스 노선 및 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 2019년 1월 1일, 시내버스 고정(책임)배차제가 시행되었다.
2. 1. 1960년대 ~ 2000년대
전주시의 시내버스는 1960년대부터 운행을 시작하여 초기 발전을 이루었다.[4][5][6][7][8][9][10][11][12][13] 2010년대에는 여러차례 노선 변경이 있었다. 2013년 9월 5일에는 486번 기점이 낙수정에서 평화동종점으로, 9번 기점이 전주가족랜드에서 호동으로 변경되었고 163번 노선이 신설되었다.[4] 2014년 2월 15일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5] 3월 3일에는 411번, 413번, 414번 종점이 장동리에서 농촌진흥원으로 연장되었다.[6] 2014년 9월 1일 71번 노선이 신설되었고,[7] 2015년 2월 1일 전주시-완주군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재개되었다. 2015년 3월 14일에는 72번 노선이 행정연수원에서 이서면까지 연장되었다.[8] 2016년 5월 4일에는 명품버스 1000번 (동물원 - 치명자산)이 신설되었다.[10]2017년 1월 16일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11] 2019년 1월 1일 시내버스 고정(책임)배차제가 시행되었다. 2020년 1월 1일에는 전 회사 1일 2교대제가 완전 시행되었으며, 7월 1일에는 전주 시내버스 정기권이 출시되었다. 2020년 11월 14일, 2021년 6월 26일, 2022년 2월 19일과 6월 4일, 2023년 8월 21일, 그리고 2024년 2월 27일에 시내버스 노선개편이 있었다.[12][13] 2021년 7월 1일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 2022년 1월 1일 시내버스 정기권 요금이 인상되었다.
2. 2. 2010년대
2013년 9월 5일, 486번 기점이 낙수정에서 평화동종점으로, 9번 기점이 전주가족랜드에서 호동으로 변경되었다. 163번 노선이 신설되었고, 9번, 49번, 72번, 89번, 121번, 163번, 215번, 235번, 4-1번, 4-2번의 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4] 2014년 2월 15일에는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5] 3월 3일에는 411번, 413번, 414번 종점이 장동리에서 농촌진흥청으로 연장되었다. 72번은 대한지적공사~혁신이노힐아파트 구간 경유지가 변경되었으며, 644번, 684번, 970번 기점이 사단에서 농수산시장으로 변경되었다.[6]2014년 9월 1일, 71번 노선이 신설되었고, 72번의 첫차와 막차 시간이 변경되었다.[7] 2015년 2월 1일에는 전주시와 완주군 간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재개되었다. 2015년 3월 14일, 72번 노선이 행정연수원에서 이서면까지 연장되고 2대 증차되었으며, 88번 및 190번이 1대씩 감차되었다. 71번의 전북혁신도시 중복 구간이 변경되었고, 69번과 70번은 하가지구 및 척동마을 경유로 노선이 변경되었다. 1번, 2번, 72번 등에 저상버스가 투입되었으며, 119, 43.511, 43.513, 43.515.111, 43.522, 535, 43.541.772, 43.543, 551번은 모래내를 무정차 통과하도록 변경되었다.[8]
2015년 5월 23일, 429번 오신 방면 해오름입구 ~ 마당제 구간이 일부 시간에만 운행되도록 변경되었다.[9] 2016년 5월 4일에는 명품버스 1000번 (동물원 - 치명자산)이 신설되었다.[10] 2017년 1월 16일,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고, 2월 20일에는 시내버스 교통카드 환승 시간이 30분에서 40분으로 확대되고 노선 개편과 함께 완주군 지선버스가 신설되었다.[11] 2017년 3월 15일에는 시내버스 노선 및 시간표가 일부 변경되었다. 2019년 1월 1일, 시내버스 고정(책임)배차제가 시행되었다.
2. 3. 2020년대
2020년 1월 1일, 전 시내버스 회사는 1일 2교대제를 전면 시행하였다.[12] 2020년 7월 1일에는 시내버스 정기권이 출시되었고,[12] 2020년 11월 14일에는 시내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마을버스 '바로온'이 출범하였다.[12][13]2021년 6월 26일,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서지선이 완주군으로 이관되었다.[12] 2021년 7월 1일에는 시내버스 요금이 인상되었다.[12]
2022년 1월 1일, 시내버스 정기권 요금이 인상되었다.[12] 2022년 2월 19일에는 시내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삼례, 상관, 구이지선이 완주군으로 이관되었다.[12] 2022년 6월 4일, 추가적인 시내버스 노선 개편이 있었다.[12]
2023년 8월 21일, 시내버스 노선이 다시 개편되었고, 마을버스 '바로온'은 2단계 확충 사업을 진행했다.[13]
2024년 2월 27일, 시내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삼례지선이 완주군으로 이관되었다. 또한, 저상버스 의무화가 시행되면서 저상버스 전용 노선은 폐지되었다.
3. 요금과 환승 체계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간선노선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200 | 1,15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50 | 700 | |
마을버스 | (나이, 결제수단 무관) | 500 |
교통카드로 결제했을 때 버스 요금이 50원 할인된다. 교통카드로 버스요금을 결제했을 경우 1회에 한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단, 완주군 지선 노선, 또는 전주시나 완주군에서 운영하는 마을버스에서 그외의 시내버스로 환승할 경우 2회까지 가능하다. (마을/지선버스->시내버스->시내버스, 혹은 그 역순의 경우만 환승으로 인정함.) 마을버스의 요금이 500원이므로, 마을버스에서 간선 또는 일반노선으로 환승할 경우, 마을버스와 일반버스의 요금의 차액만큼만 추가로 결제된다.[15]
전주시 경계 외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노선에 대해서는 구간요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었으나, 같은 정류장에 멈추는 노선이라도 방향에 따라 요금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삼례읍, 봉동읍 등 전주시 근교 주민들의 불만이 있었다.[16]
이러한 불만을 받아들여, 완주군을 통과하는 노선에 대해서 2009년 10월 12일에 구간요금 제도가 폐지되고 단일화되었다.[17] 다만 시민여객에서 관리하는 완주 군내 노선('''300번''')과, 완주군 외의 지역을 운행하는 노선에서는 이 제도가 적용되지 않는다. (\[\[2015년]] 2월 이후 완주 300번 노선에도 무료 환승 적용) 2010년 2월 중순부터는 티머니 카드로도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이 완주군 주민의 반대로 무산되면서 2013년 7월 말에 6개 면(고산, 경천, 화산, 비봉, 동상, 운주)의 요금 단일화가 중단되었으며,[18], 2013년 9월 29일부터는 7개 읍·면까지 모두 단일화를 중단하였으나, 불과 1년여 만인 2015년 2월 1일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재개되었다. 구간요금 제도가 실시된 동안(2013.9.~2015.1.)의 운임 체계는 1km당 107.84원이었다.[19]
- [https://www.jeonju.go.kr/planweb/board/view.9is?dataUid=9be517a8796608200179f3c5d5634e94&&contentUid=ff8080818990c349018b041ad4833c2d&boardUid=ff8080818bad9295018bb265651d1205&page=1&subPath= 전주시내버스 구간요금표]
2021년 7월 1일 기준으로, 전주-완주 경계 외 지역 구간요금은 1km당 131.82원이다. 노선이 완주군을 거쳐 다른 지역으로 향하더라도, 구간요금은 전주시 경계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3. 1. 요금
2021년 7월 1일 기준 전주시 시내버스의 요금 체계는 다음과 같다.[14]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
간선노선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200 | 1,15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750 | 700 | |
마을버스 | (나이, 결제수단 무관) | 500 |
교통카드로 결제했을 때 버스 요금이 50원 할인된다. 교통카드로 버스요금을 결제했을 경우 1회에 한해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단, 완주군 지선 노선, 또는 전주시나 완주군에서 운영하는 마을버스에서 그외의 시내버스로 환승할 경우 2회까지 가능하다. (마을/지선버스->시내버스->시내버스, 혹은 그 역순의 경우만 환승으로 인정함.) 마을버스의 요금이 500원이므로, 마을버스에서 간선 또는 일반노선으로 환승할 경우, 마을버스와 일반버스의 요금의 차액만큼만 추가로 결제된다.[15]
전주시 경계 외 지역으로 빠져나가는 노선에 대해서는 구간요금 제도가 시행되고 있다. 2021년 7월 1일 기준으로, 전주-완주 경계 외 지역 구간요금은 1km당 131.82원이다. 노선이 완주군을 거쳐 다른 지역으로 향하더라도, 구간요금은 전주시 경계를 기준으로 계산된다. 과거에는 1km당 92.55원의 구간 요금이 적용되었으나, 삼례읍, 봉동읍 등 전주시 근교 주민들의 불만으로 인해[16] 2009년 10월 12일에 완주군을 통과하는 노선에 대해서는 구간요금 제도가 폐지되고 단일화되었다.[17] 그러나 2013년 7월 완주군 일부 지역에 대해 요금 단일화가 중단되었고,[18] 같은 해 9월 29일부터는 모든 지역에서 단일화가 중단되었다. 이후 2015년 2월 1일 전주-완주 시내버스 요금 단일화가 재개되었다. 구간요금 제도가 실시된 동안(2013.9.~2015.1.)의 운임 체계는 1km당 107.84원이었다.[19]
3. 2. 시내버스 정기권
2020년 7월 1일 부로 전주시내버스 정기권이 출시되었으며, 권종에 따라 정해진 기간 동안 전주시내버스를 무제한으로 탑승할 수 있다.[20] 구매 후 단순 변심에 의한 환불은 불가능하다. 또한 요금 단일화 지역인 전주시와 완주군 지역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타 지역에서의 사용은 불가능하다.[20]정기권은 플라스틱 카드형과 모바일 충전형으로 나뉜다. 플라스틱 카드형은 전주와 완주의 GS25 편의점에서 현금으로만 구매할 수 있다. 모바일 충전형은 안드로이드 OS에서만 설치 가능하며, 계좌이체 및 신용카드로도 구매할 수 있다. 플라스틱 카드와 모바일 모두, 충전을 통한 기간 연장이 가능하다.
요금은 2022년 1월 1일 기준이며 카드발급비용 3천원이 포함된 금액이다.[20]
권종 | 요금 | 성인 기준 |
---|---|---|
1일권 | 8,500 | 4회 |
2일권 | 13,000 | 7회 |
30일권 | 49,000 | 32회 |
4. 운수 업체
전주시의 시내버스는 시내버스 공동관리위원회에서 운행하며, 5개의 버스 회사가 참여하고 있다.
전주시의 마을버스는 전주시시설관리공단에서 직영으로 운행한다.
4. 1. 시내버스 공동관리위원회 소속 업체
전주시의 시내버스는 5개의 버스 회사가 참여한 시내버스 공동관리위원회에서 운행한다.4. 2. 마을버스
전주시시설관리공단에서 직영으로 운행한다.5. 시내버스 노선
전주시의 시내버스 노선 체계는 다음과 같다.
- 한 자리 수 번호 노선(3-1, 3-2, 6, 9, 8-1, 8-2, 220)은 전주시내를 순환한다.
- 두 자리, 세 자리 수 번호 노선은 도심 구석구석을 운행하는 일반 노선이다. (노선번호판 빨간색)
- 네 자리 수 번호 노선은 전주시의 주요 도로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간선 노선이다. (노선번호판 파란색)
- 300번대보다 숫자가 큰 번호의 노선은 경유하는 시외 지역에 따라 우측의 지도에 표시된 앞자리 번호를 부여받는다. 이는 실제 종점의 위치와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폐지된 310번 노선은 종점이 500번대인 봉동 방면이지만, 전주 시내를 빠져나와 제일 먼저 경유하는 지점이 삼례읍이기 때문에 300번대의 노선 번호를 가진다.
- 2024년 2월 27일 기준이다.
- 2024년부터 노후차량 대폐차시 저상버스 의무화가 시행되어, 2024년 2월 27일부터는 저상버스 전용 노선은 폐지된다.
5. 1. 노선 체계
전주시의 시내버스 노선 체계는 다음과 같다.- 한 자리 수 번호 노선(3-1, 3-2, 6, 9, 8-1, 8-2, 220)은 전주시내를 순환한다.
- 두 자리, 세 자리 수 번호 노선은 도심 구석구석을 운행하는 일반 노선이다. (노선번호판 빨간색)
- 네 자리 수 번호 노선은 전주시의 주요 도로를 직선으로 연결하는 간선 노선이다. (노선번호판 파란색)
- 300번대보다 숫자가 큰 번호의 노선은 경유하는 시외 지역에 따라 우측의 지도에 표시된 앞자리 번호를 부여받는다. 이는 실제 종점의 위치와는 무관하다. 예를 들어 폐지된 310번 노선은 종점이 500번대인 봉동 방면이지만, 전주 시내를 빠져나와 제일 먼저 경유하는 지점이 삼례읍이기 때문에 300번대의 노선 번호를 가진다.
- 2024년 2월 27일 기준이다.
- 2024년부터 노후차량 대폐차시 저상버스 의무화가 시행되어, 2024년 2월 27일부터는 저상버스 전용 노선은 폐지된다.
5. 2. 순환 노선 목록
번호업체
대수
간격
(분)
한옥마을 종착 2회
주말 8회 감회
전북대학교 종착 2회
주말 8회 감회
전주역 KTX 운행시간에 맞추어 운행시간표가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