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덕구는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 출신으로, 국제 정치 외교 안보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이다. 1997년 외환 위기 당시 IMF와 뉴욕 외채협상 수석대표를 맡았으며, 재정경제부 차관과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북경대학교 초빙 교수를 거쳐 제17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현재는 동북아시아 연구기관인 NEAR재단의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 - 김관영
김관영은 전라북도 군산시 출신의 대한민국 정치인으로, 공인회계사, 행정고시, 사법고시 합격 후 제19대, 20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현재는 더불어민주당 소속 전라북도지사이다. - 대한민국의 공인회계사 - 유동수
유동수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공인회계사, 공직 및 당직을 거쳐 제20대, 21대, 22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 계양구 갑)으로 당선되어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정무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활발한 의정활동을 펼치고 있는 대한민국 정치인이다. - 당진시 출신 - 인명진
인명진은 대한민국의 목사, 시민운동가, 정치인으로, 노동운동과 민주화운동에 참여하고 한나라당 윤리위원장, 새누리당 및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당진시 출신 - 김원기 (1924년)
김원기는 1924년 충남 당진 출생으로 고려대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을 역임한 인물이다. - 하동 정씨 - 정청래
정청래는 1965년생으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며, 17·19·21·22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더불어민주당 수석최고위원을 역임했으며, 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 하동 정씨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 정덕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인물 정보 | |
2. 생애
대한민국의 경제 관료이자 국제 정치 외교 안보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학자(Think Tanker)이다. 본관은 하동(河東)이며, 충청남도 당진 출신이다.
고려대학교 상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제4회 공인회계사 시험과 제10회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국세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으며, 이후 재무부에서 국제금융 및 경제협력 분야의 국장을 지냈다.
1997년 외환위기 당시 재정경제원 차관보로서 IMF와의 협상 및 뉴욕 외채협상에서 수석대표를 맡아 위기 극복 과정을 총괄 지휘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김대중 정부 출범 후 제1대 재정경제부 차관, 제2대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공직 퇴임 후에는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및 국제금융연구센터 소장, 중국 북경대 초빙교수를 지냈으며, 제17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의정 활동을 하기도 했다.
2007년부터는 동북아시아 전문 연구기관인 NEAR 재단의 이사장직을 맡아 학자로서 활동하고 있다. NEAR 재단은 동북아시아의 정치, 경제, 문화 협력 관계와 한-미-중 관계, 국내 사회 문제 등을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순수 민간 독립 싱크탱크로 평가받는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2. 2. 경제 관료 경력
제4회 공인회계사 시험과 제10회 행정고시에 합격한 후 국세청에서 공직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재무부로 자리를 옮겨 경제협력국과 국제금융국의 국장을 역임했다.1997년 외환위기 당시에는 재정경제원 차관보로서 IMF와의 협상 및 뉴욕 외채협상에서 수석대표를 맡아 위기 극복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재정경제원에서는 대외경제국 국장,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준비기획단 사업추진본부장, 기획관리실장을 거쳤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제1대 재정경제부 차관으로 임명되었으며, 금융통화위원회 위원과 제2기 노사정위원회 실무위원을 겸임했다. 이후 제2대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
퇴임 후에는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한국이사로 활동하기도 했다.
주요 경제 관료 경력은 다음과 같다.
- 제4회 공인회계사 합격
- 제10회 행정고시 합격
- 국세청 근무
- 재무부 경제협력국 국장
- 재무부 국제금융국 국장
- IMF 외환위기 당시 IMF 뉴욕 외채협상 수석대표
- 재정경제원 대외경제국 국장
- 재정경제원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준비기획단 사업추진본부장
- 재정경제원 기획관리실 실장
- 제1대 재정경제부 차관
-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 제2기 노사정위원회 실무위원
- 제2대 산업자원부 장관
-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한국이사
2. 3. 산업자원부 장관 및 정치 경력
김대중 정부 시절인 1999년 5월부터 2000년 1월까지 제2대 산업자원부 장관을 역임했다.장관 퇴임 후에는 정치 활동에도 참여했다. 민주당 총재경제특별보좌역을 맡았고, 이후 열린우리당에 합류하여 민생경제특별본부장과 재정경제안정정책책진위원을 지냈다.
제17대 국회의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했으며, 국회 임기 전반기와 후반기 모두 재정경제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국회의원 시절에는 국회 연구모임인 '시장경제와 사회안전망 포럼'의 대표를 맡기도 했다. 이후 대통합민주신당에서는 국제금융행정교육특임고문을 역임했다.
정계 활동 후반기에는 한나라당에서 산업행정연구위원을 지내기도 했다.
2. 4. 학자 및 NEAR 재단 이사장
장관 퇴임 후 학자의 길을 걸으며 지난 20년간 수많은 저서를 발간했다. 2007년부터는 동북아시아 전문 연구기관인 NEAR 재단의 이사장직을 맡고 있다. NEAR 재단은 동북아시아의 정치, 경제, 문화 협력 관계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순수, 민간, 독립 싱크탱크이다.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연구, 국제 정세 연구, 한-미-중 미래 관계 연구, 동북아 3국(대한민국, 중국, 일본)의 화해·공존·공영 등이다. 재단은 "세계 질서에 관한 NEAR 글로벌 프로젝트", "NEAR 한중일 서울 프로세스", "국적있는 중국 연구"와 같은 국제적인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내 사회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 "시장경제와 사회 안전망 포럼", "한국 외교안보 전략연구 포럼" 등을 운영하고 있다.
3. 경력
- 제4회 공인회계사 합격
- 제10회 행정고시 합격
- 국세청 근무
- 재무부 경제협력국, 국제금융국 국장
- IMF 뉴욕 외채협상 수석대표
- 재정경제원 대외경제국 국장 (이사관)
- 재정경제원 ASEM준비기획단 사업추진본부장 (관리관)
- 재정경제원 기획관리실 실장 (관리관)
- 제1대 재정경제부 차관
- 금융통화위원회 위원
- 제2기 노사정위원회 실무위원
- 제2대 산업자원부 장관
- 민주당 총재경제특별보좌역
-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초빙교수
-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국제금융연구센터 소장
- 중국 북경대학교 초빙교수
- 열린우리당 민생경제특별본부장
- 열린우리당 재정경제안정정책책진위원
- 대통합민주신당 국제금융행정교육특임고문
- 국회 연구모임 '시장경제와 사회안전망 포럼' 대표
- 제17대 국회 전·후반기 기획재정위원회 위원
- 중국 인민대학교 재정금융학원 초빙교수
-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원 초빙교수
- 한나라당 산업행정연구위원
- 국제회계기준재단(IFRS) 한국이사
- 중국사회과학원(CASS) 정책고문
- 니어재단 이사장 (2007년 ~ 현재)
4. 학력
- 배재고등학교 졸업
- 고려대학교 상학과 학사
- 위스콘신 대학교 매디슨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5. 역대 선거 결과
(38.26%)
(3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