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보철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보철학은 인공지능, 정보 논리, 사이버네틱스, 사회 이론, 윤리학 등 다양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며, 정보와 관련된 여러 철학적 질문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앨런 튜링, 찰스 샌더스 퍼스, 노버트 위너, 루치아노 플로리디 등 여러 학자들이 이 분야의 발전에 기여했다. 정보의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게 제시되며, 찰스 샌더스 퍼스는 기호와 표현의 측면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도널드 맥케이는 차이를 만드는 구별로 정의했다. 플로리디는 정보를 네 가지 종류로 분류했다. 정보철학은 컴퓨팅, 사회, 사변적 실재론 등과 관련되어 있으며, 한국 사회에서도 정보 격차, 프라이버시, 가짜 뉴스 등 다양한 문제와 관련하여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공지능철학 - 친절한 인공지능
    친절한 인공지능은 사용자에게 친절하고 공감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며 긍정적이고 효과적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한 분야이다.
  • 인공지능철학 - 인공지능윤리
    인공지능윤리는 AI 시스템의 윤리적 문제들을 다루는 학제 간 연구 분야로, 투명성, 공정성, 책임성, 프라이버시 보호 등의 원칙을 기반으로 알고리즘 편향, 기술 독과점, 자율주행차 책임 문제, 인공지능 무기화, 특이점 등의 과제를 다루며, 오픈소스화,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 정부 규제 등의 해결책이 논의되고, 대중문화 또한 논의와 인식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 지식 표현 - 시소러스
    시소러스는 특정 단어나 개념의 유의어, 상위어, 하위어를 모아놓은 사전으로, 어휘의 의미 관계를 보여주며 글쓰기,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지식 표현 - 시맨틱 네트워크
    시맨틱 네트워크는 개념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지식 표현 방법으로, 노드와 링크를 사용하여 지식을 구조화하며 인공지능, 언어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정보철학
철학 분야
학문 분야철학
주요 관심사
영향 받은 분야
주요 인물
관련 주제

2. 역사

정보철학은 인공지능 철학, 정보 논리, 사이버네틱스, 사회 이론, 윤리학, 언어 및 정보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해 왔다.

2. 1. 인공지능 철학

인공지능 철학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대답을 얻으려는 시도이다.

  • 기계가 지능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가?
  • 인간의 지능과 기계의 지능은 같은 것인가?
  • 기계가 인간처럼 마음, 심적 상태, 의식을 가질 수 있는가?


정보 철학은 인공지능 철학, 정보 논리, 사이버네틱스, 사회 이론, 윤리학, 언어 및 정보 연구에서 발전해 왔다.[1] 앨런 튜링, 쿠르트 괴델, 존 폰 노이만, 클로드 섀넌, 워런 위버 등의 성과가 있었다.[1] 이 이론들은 철학과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튜링은 튜링 테스트 등을 통해 철학적인 고찰도 하였다.[1]

2. 2. 정보 논리학

정보 철학(PI)은 인공지능 철학, 정보 논리, 사이버네틱스, 사회 이론, 윤리학, 언어 및 정보 연구에서 발전해 왔다. 정보의 논리, 즉 ''정보의 논리적 이론''은 찰스 샌더스 퍼스가 처음 개발한 방식을 따라 논리적 기호와 표현의 정보 내용을 다룬다.[1] 논리학은 오래된 역사를 가지고 있지만, 19세기에 조지 불 등이 수리 논리학적인 형식화를 이뤘다. 더 나아가 찰스 샌더스 퍼스는 후에 클로드 섀넌이 ''릴레이 및 스위칭 회로의 기호적 분석(A Symbolic Analysis of Relay and Switching Circuits)''에서 형식화한 논리 연산을 기계적으로 수행할 가능성에 대해 지적했다.[1] 이들은 철학에 대해서도 고찰했지만, 수리 논리적인 성과는 그 자체가 이론적·공학적인 것이며, 철학적인 것은 아니다.[1]

2. 3. 사이버네틱스

노버트 위너와 윌리엄 로스 애시비는 피드백과 자동 제어에 관한 고찰을 통해 이를 생물 및 더 나아가 시스템 일반으로 확대한 사이버네틱스를 제창했다.[1]

2. 4. 일반 시스템 이론

메이시 회의에서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 아나톨 라포포트, 케네스 E. 볼딩, 윌리엄 로스 애시비, 마가렛 미드, 그레고리 베이트슨 등이 일반 시스템 이론을 제창했는데, 이는 다양한 현상을 시스템으로 파악하고,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되는 일반 이론을 구축하려는 것이었다.

2. 5. 언어와 정보 연구

프레드 드레츠키, 존 바와이즈, 브라이언 캔트웰 스미스 등이 언어와 정보 연구에 기여했다.

언어 및 정보 연구 센터(CSLI)는 1983년 존 페리와 존 바와이즈의 지휘 아래 철학자, 컴퓨터 과학자, 언어학자, 심리학자들이 스탠퍼드 대학교에 설립하였다.

2. 6. P.I. (정보철학)

루치아노 플로리디는 1990년대에 '정보철학'이라는 표현을 만들었으며, 이 분야의 통일되고 일관된 개념적 틀을 설명하기 위해 많은 저술을 출판했다.[2]

2. 7. 생물학

야콥 폰 윅스쿨이 제창한 생물학 개념이다.

생물은 보편적인 시간이나 공간을 사는 것이 아니라, 개체 고유의 생물학적 환경인 환세계에서 살고 있다는 개념이다.

3. "정보"의 정의

정보는 여러 이론가에 의해 다양하게 정의되어 왔다.[3] 도널드 맥케이는 정보를 "차이를 만드는 구별"이라고 정의했다.[4]

루치아노 플로리디는 정보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상호 양립 가능한 현상으로 보았다.[3]


  • 무엇인가에 관한(about) 정보 (예: 기차 시간표)
  • 무엇인가로서(as)의 정보 (예: DNA 또는 지문)
  • 무엇인가를 위한(for) 정보 (예: 알고리즘이나 명령)
  • 무엇인가에 있는(in) 정보 (예: 패턴이나 제약 조건)

3. 1. 퍼스(Peirce)

찰스 샌더스 퍼스의 정보 이론은 그가 "기호론"이라고 부르는 더 넓은 기호적 소통 이론에 포함되었으며, 현재 기호학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퍼스에게 정보는 기호와 표현의 측면을 통합하는 개념으로, 지시, 외연의 개념으로 개별적으로 다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함축과 이해의 개념으로 다루어진다.[3]

퍼스는 정보를 기호와 표현의 방식을 통합한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각각 지시적 의미와 외연, 공시적 의미와 내포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된다.

3. 2. 섀넌과 위버(Shannon and Weaver)

클로드 섀넌(Claude E. Shannon)과 워런 위버(Warren Weaver)는 정보 이론에서 정보량의 의미로 "정보"를 정의하였다. 섀넌은 정보 이론에서 '정보'라는 말이 여러 가지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 왔지만, 만족스러운 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1] 섀넌과 위버는 정보에 대해 다음과 같은 문제를 분석하였다.

# 섀넌 이론에서의 정보량에 관련된 기술적 문제

# 의미와 진실이라는 형이상학적 문제

# "영향성" - 인간 행동 정보에 대한 영향이나 유효성에 관련된 문제

섀넌과 위버는 영향이나 유효성에 관해서는 어떠한 정보 분석에서도 맨 먼저 다루어지는 두 가지 예시라고 하였다.[2]

3. 3. 베이트슨(Bateson)

그레고리 베이트슨은 정보를 "차이를 만드는 차이"라고 정의하였다.[11],[7] 이는 도널드 맥케이의 "정보는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다"라는 주장에 근거한다.[12],[8]

3. 4. 맥케이(MacKay)

도널드 맥케이는 정보가 차이를 만드는 구별이라고 말했다.[4]

3. 5. 플로리디(Floridi)

Luciano Floridi|루치아노 플로리디영어는 정보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종류의 상호 양립 가능한 현상으로 분류했다.[3]

  • 무엇인가에 관한(about) 정보 (예: 기차 시간표)
  • 무엇인가로서(as)의 정보 (예: DNA 또는 지문)
  • 무엇인가를 위한(for) 정보 (예: 알고리즘이나 명령)
  • 무엇인가에 있는(in) 정보 (예: 패턴이나 제약 조건)

3. 6. 니시가키 토오루(西垣通)

니시가키 토오루는 정보를 생명 정보, 사회 정보, 기계 정보의 세 가지 종류로 나누어 생각했다.

  • 생명 정보: 생명 그 자체를 구성하는 정보이다.
  • 사회 정보: 생명의 사회적 구성에서 생기는 정보이다.
  • 기계 정보: 기계가 처리하는 정보이다.

4. 철학적 방향

정보철학은 컴퓨팅, 사회, 윤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철학적 논의를 발전시키고 있다.

컴퓨터 과학생물정보학, 소프트웨어 공학, 지식 공학 등 철학의 튼튼한 토대가 되는 분야이다.[1] 마음, 의식, 경험, 추론, 지식, 진리, 도덕, 창의성 같은 철학의 고전적 주제들은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이자 연구 초점이 되고 있다.[1]

전기적으로 매개된 정보의 사회적, 문화적 측면에 대한 철학적 연구도 활발하다. 니시가키 토오루는 정보학적 전회를 제창하여 기계 정보를 상대화하고, 루치아노 플로리디의 계산적 전회와는 거리를 두었다.[1]

콰앙탱 메이야수는 저서 《유한성의 뒤에서》에서 수학적 성질이 인간 사변의 결과인 이차적 성질에 앞서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그레이엄 하먼은 언어론적 전회를 뒤집을 것을 명시한다.[2]

4. 1. 컴퓨팅과 철학

시맨틱 웹, 온톨로지 공학, 지식 공학, 현대 인공 지능 등의 발전은 철학에 풍부한 아이디어, 새로운 주제, 방법론, 철학적 탐구를 위한 모델을 제공한다.[1] 컴퓨터 과학은 전통적인 철학 연구에 새로운 기회와 과제를 제공하고, 철학자들이 철학의 근본 개념을 이해하는 방식을 변화시킨다. 반면 컴퓨터 과학의 발전은 생물정보학, 소프트웨어 공학, 지식 공학, 온톨로지 등 분야에 철학이 튼튼한 토대를 제공할 때 가능하다.[1]

마음, 의식, 경험, 추론, 지식, 진리, 도덕, 창의성 같은 철학의 고전적 주제들은 에이전트 컴퓨팅, 소프트웨어 에이전트, 지능형 모바일 에이전트 기술 등 컴퓨터 과학 분야에서 주요 관심사이자 연구 초점이 되고 있다.[1]

루치아노 플로리디에 따르면, 계산 방법을 철학적 문제에 적용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1]

# 실리콘에서의 개념적 실험: 사고 실험의 전통을 확장하여, 철학은 컴퓨터 모델링 방식을 논리, 인식론, 과학 철학, 생물학 철학, 마음 철학 등에 적용한다.[1]

# 범계산주의: 계산 및 정보 개념을 통해 세상 모든 것을 계산 시스템으로 모델링 및 표현하고, 모든 프로세스를 계산적으로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고 본다.[1] 그러나 범계산주의는 다음 과제를 안고 있다.[1]

## 시스템 간 차이점을 어떻게 흐리게 하지 않을 수 있는가?[1]

## 조사 대상 시스템이 정보 시스템(또는 계산 시스템)이 아닌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1]

4. 2. 정보와 사회

전기적으로 매개된 정보의 사회적 또는 문화적 측면에 대해서는 다수의 철학자 및 기타 사상가들에 의해 철학적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4. 3. 계산적 전회(Computational Turn)와 정보학적 전회(Informatic Turn)

니시가키 토오루가 제창하는 정보학적 전회는 컴퓨터에 의한 정보를 기계 정보로서 상대화하고, 플로리디가 주장하는 범계산주의적인 계산적 전회에 대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1]

4. 4. 사변적 실재론 (Speculative Realism)

콰앙탱 메이야수는 저서 《유한성의 뒤에서》에서 존재의 일차적 성질과 이차적 성질에 대해 언급한다. 그는 일차적 성질이 수학적 성질이며, 인간의 사변적 결과인 이차적 성질에 앞서 존재한다고 주장한다.[1]

콰앙탱 메이야수, 그레이엄 하먼 등이 참여하는 현대 철학 운동으로, 그레이엄 하먼은 언어론적 전회를 뒤집을 것을 명시하고 있다.[2]

5. 한국 사회와 정보철학

한국 사회는 정보화 시대의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정보철학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잊혀질 권리와 같은 정보 프라이버시 문제는 기본적 인권으로 대두되면서, 정보와 프라이버시, 인권에 관한 과제는 사회적으로 깊이 생각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5. 1. 프라이버시와 인권

루치아노 플로리디는 잊혀질 권리에 관한 구글 자문 위원회 멤버였다.[1] 유럽 연합(EU)의 GDPR 시행으로 정보 프라이버시가 기본적 인권으로 대두되면서, 정보와 프라이버시, 인권에 관한 과제도 사회적으로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1]

참조

[1] 간행물 What is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www.blackwell[...] Metaphilosophy 2002
[2] 웹사이트 Information https://plato.stanfo[...] 2023-10-31
[3] 웹사이트 Semantic Conceptions of Information https://plato.stanfo[...]
[4] 서적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s://www.amazon.c[...]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1-03-08
[5] 간행물 Open Problems in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www.philosoph[...] Metaphilosophy 2004
[6] 간행물 What is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www.blackwell[...] Metaphilosophy 2002
[7] 웹사이트 Extract from "Steps to an Ecology of Mind" http://plato.acadiau[...]
[8] 서적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www.amazon.co[...]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1-03-08
[9] 간행물 Open Problems in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www.wolfson.o[...] Metaphilosophy 2004
[10] 저널 What is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www.blackwell[...] Wayback Machine 2012-03-16
[11] 웹사이트 Extract from "Steps to an Ecology of Mind" http://plato.acadiau[...]
[12] 서적 The Philosophy of Information https://www.amazon.c[...]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11-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