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군 (독일 국방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군 (독일 국방군)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국방군의 군 편성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서부 전선에서 활동하며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와 벨기에를 공격했으며, 파리 점령을 목표로 했으나 마른 전투에서 실패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는 프랑스 침공 당시 마지노선을 방어했으며, 이후 서부 전선에서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대응하고, 아르덴 공세와 노르트빈트 작전에 참여했다. 1945년 5월 연합군에 항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 - 제9군 (독일 국방군)
제9군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국방군 소속 야전군으로, 프랑스 침공, 독소전쟁의 주요 작전에 참여했으며, 1945년 베를린 방어전투 후 와해되었다. -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 - 제6군 (독일 국방군)
제6군은 독일 국방군의 야전군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서 서부 및 동부 전선의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으며, 스탈린그라드에서 전멸 후 재편성되었으나 종전 시 미국 육군에 항복, 전쟁 범죄에도 연루되었다. - 1939년 설립 -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은 1946년 남조선국방경비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의 4군 체제로 운영되며 대통령이 최고사령관으로서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고 국제 평화 유지 활동에 참여하며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준비하고 국방개혁을 추진 중이나 가혹행위, 성폭력 문제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1939년 설립 - 한신대학교
한신대학교는 1940년 개교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개신교계 사립대학으로, 장공 김재준 목사와 노석 김대현 장로의 주도로 설립되었으며, 민주화 운동 참여 역사와 경기도 오산시 및 서울특별시 강북구 캠퍼스를 두고 다양한 학문 분야를 운영하며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 1945년 폐지 -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35년간 지속된 시기로, 강제 병합, 경제적 착취, 정치적 억압, 문화적 동화 정책 등이 특징이며, 3·1 운동과 같은 독립 운동이 전개되었고, 위안부 문제 등 심각한 인권 유린이 있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논의와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945년 폐지 - 일본 제국 육군
일본 제국 육군은 1871년부터 시작되어, 청일 전쟁과 러일 전쟁에서 승리하며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고, 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 후 해체되어 육상자위대가 창설되었다.
제1군 (독일 국방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부대 정보 | |
이름 | 제1군 |
원어 이름 | 1. Armee (독일어) |
약칭 | (제공된 문서에 약칭 정보 없음) |
활동 기간 | 1939년 8월 26일 – 1945년 5월 6일 |
국가 | 나치 독일 |
군종 | 국방군 육군 |
종류 | 야전군 |
역할 | (제공된 문서에 역할 정보 없음) |
규모 | (제공된 문서에 규모 정보 없음) |
명령 체계 | (제공된 문서에 명령 체계 정보 없음) |
주둔지 | (제공된 문서에 주둔지 정보 없음) |
별명 | (제공된 문서에 별명 정보 없음) |
표어 | (제공된 문서에 표어 정보 없음) |
색 | (제공된 문서에 색 정보 없음) |
군가 | (제공된 문서에 군가 정보 없음) |
마스코트 | (제공된 문서에 마스코트 정보 없음) |
장비 | (제공된 문서에 장비 정보 없음)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
기념일 | (제공된 문서에 기념일 정보 없음) |
장식 | (제공된 문서에 장식 정보 없음) |
훈장 | (제공된 문서에 훈장 정보 없음) |
식별 기호 | (제공된 문서에 식별 기호 정보 없음) |
식별 기호 레이블 | (제공된 문서에 식별 기호 레이블 정보 없음) |
지휘관 | |
주요 지휘관 | 에르빈 폰 비츨레벤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요아힘 레멜젠 쿠르트 폰 데어 슈발레리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 쿠르트 폰 티펠스키르히 한스 폰 옵스트펠더 헤르만 푀르취 루돌프 코흐에르파흐 |
2.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제1군은 서부 전선에서 싸웠으며, 1914년 8월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 및 벨기에 침공 작전에 투입되었다. 알렉산더 폰 클루크 대장과 참모장 Hermann von Kuhl|헤르만 폰 쿨영어 휘하에서 제1군은 전쟁을 조기에 끝내기 위해 프랑스를 남동쪽으로 우회하여 파리를 공격, 포위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독일군 전선의 최북단을 담당했다.[1]
제1군은 전선 1마일당 약 18,000명(1m당 10명)의 병력을 보유하여 강력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었다. 8월 20일 브뤼셀 점령에 성공하고 프랑스군을 격파했지만, 9월 초 영·불 연합군의 반격으로 마른 전투가 시작되자 파리 13마일 앞에서 공격을 멈췄다. 클루크 사령관은 1915년 3월 다리에 중상을 입어 교체되었다.[1]
2. 1. 편성 및 초기 활동
제1차 세계 대전 중 제1군은 서부 전선에서 싸웠으며, 1914년 8월 슐리펜 계획에 따라 프랑스 및 벨기에 침공 작전에 투입되었다. 알렉산더 폰 클루크 대장과 참모장 Hermann von Kuhl|헤르만 폰 쿨영어 휘하에서 제1군의 임무는 전쟁을 조기에 종결하기 위해 프랑스를 남동쪽으로 우회하여 파리를 공격, 포위하는 것이었으며, 독일군 전선의 최북단을 담당했다.제1군은 전선 1마일당 약 18,000명(1m당 10명)의 병력을 보유하여 강력한 공격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 결과 8월 20일 브뤼셀 점령에 성공하고 프랑스군을 격파했지만, 9월 초 영·불 연합군의 반격으로 마른 전투가 시작되자 파리 13마일 앞에서 공격을 멈췄다. 클루크 사령관은 1915년 3월 다리에 중상을 입어 교체되었다.
2. 2. 주요 전투
1914년 8월 20일 브뤼셀을 점령하고 프랑스군을 격파하는 데 성공했지만,[1] 1914년 9월 초 마른 전투에서 영국·프랑스 연합군의 반격으로 파리 13마일 앞에서 공격을 중단했다.[1]2. 3. 사령관
보직 시작 | 보직 종료 | 계급(당시) | 성명 |
---|---|---|---|
1914년 | 1915년 | 대장 | 알렉산더 폰 클루크 |
1915년 | 1916년 | 대장 | 막스 폰 파벡 |
1916년 | 1918년 | 대장 | 프리츠 폰 뷔로우 |
1939년 8월 26일 창설된 제1군은 에르빈 폰 비츠레벤 대장의 지휘 아래 마지노선을 따라 독일 국경 방어를 담당했다.[1] 이후 프랑스 침공에 참가하여 마지노선을 돌파하는 임무를 수행했다.[1] 1944년 중반까지 대서양 연안에 주둔하며 연합군의 상륙 작전에 대비했다.
3. 제2차 세계 대전
1944년 6월, G군 집단의 지휘 아래 비스케이 만 연안에 위치했던 제1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이 시작되자, 1944년 8월 서부 전선의 독일군 전면적인 후퇴 이후 로렌 지역에서 재편성되었다. 보주 산맥 북부에서 미 제7군, 모젤 강을 건너 메스를 점령하려던 미 제3군에 대한 방어전을 동시에 수행했으나, 11월에 양쪽 전선에서 패퇴하여 자르 지역 방어를 담당했다.
독일군이 아르덴에서 공세를 시작했을 때, 미 제3군이 바스토뉴를 구원하기 위해 북진하는 동안, 제1군은 노르트빈트 작전 (북풍 작전)을 수행하여 1945년 1월 1일, 미 제7군을 공격하여 전선을 확대하고, 미국군을 일부 후퇴시켰다. 그러나 1월 후반에 노르트빈트 작전은 실패로 끝나고 연합군이 독일 방어선을 돌파하여, 제1군은 지크프리트선까지 밀려났고, 라인강 동쪽으로 철수했다.
이후, 제1군은 도나우 강을 따라 알프스 산맥 방향으로 철수하여, 1945년 5월 6일에 항복했다.
제1군의 역대 지휘관과 참모장은 다음과 같다:
'''사령관'''순서 사진 계급 이름 임기 시작 임기 종료 복무 기간 1 -- 원수 에르빈 폰 비츨레벤 1939년 9월 1일 1940년 10월 26일 1년 1개월 2 -- 상급대장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1940년 10월 26일 1944년 5월 1일 3년 6개월 3 -- 기갑병대장 요아힘 레멜센 1944년 5월 1일 1944년 6월 2일 1개월 4 보병대장 쿠르트 폰 데어 쉐발리에 1944년 6월 2일 1944년 9월 5일 3개월 5 기갑병대장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 1944년 9월 5일 1944년 11월 30일 2개월 6 -- 보병대장 한스 폰 옵스트펠더 1944년 11월 30일 1945년 2월 28일 3개월 7 보병대장 헤르만 풰르츠 1945년 2월 28일 1945년 5월 6일 2개월 8 -- 기병대장 루돌프 코흐-에르파흐 1945년 5월 6일 1945년 5월 8일 2일
'''참모장'''이름 계급 임기 프리드리히 미에트 소장 1939년 5월 26일 – 1940년 2월 5일 카를 힐페르트 소장 1940년 2월 5일 – 1940년 10월 25일 에드가 뢰리히트 대령 1940년 10월 25일 – 1942년 6월 16일 소장 1942년 2월 1일 - 1942년 6월 16일 안톤-라이차르트 폰 마우헨하임 게난트 베히톨스하임 소장 1942년 6월 16일 – 1943년 8월 1일 게르하르트 페이어아벤트 대령 1943년 8월 1일 – 1944년 9월 10일 소장 1944년 2월 1일 - 1944년 9월 10일 빌리 만테이 대령 1944년 9월 10일 – 1944년 12월 7일 발터 라인하르트 대령 1944년 12월 7일 – 1945년 2월 20일 볼프 뤼디거 하우저 소장 1945년 2월 20일 – 1945년 5월 8일
3. 1. 편성 및 초기 활동
1939년 8월 26일, 제1군은 에르빈 폰 비츨레벤 대장의 지휘 하에 창설되어 마지노선을 따라 독일 국경 방어를 담당했다.[1] 주 임무는 폴란드 침공 동안 마지노 선을 따라 연합군에 맞서 독일의 서부 방어선(서부 방벽)을 방어하는 것이었고, 이는 단기간에 끝난 프랑스의 자르 공세 동안 독일군의 주요 교전 부대 역할을 했다.[1]
3. 2. 프랑스 침공
1940년 프랑스 공방전에 참전하여 마지노선 돌파 임무를 수행했다.[1] C 집단군에 배속되어 초반에는 마지노선에 대해 소극적인 자세를 유지했으나, 전황이 독일에게 유리하게 전개되자 1940년 6월 14일, 자르브뤼켄 남쪽 국경 지역에서 프랑스 방어선을 돌파했다.[1] 6월 19일에는 뢰르트암마인 북쪽 돌파 작전을 수행했고, 6월 21일부터 24일까지는 모젤 강과 보주 산맥 지역에서 프랑스군 잔존 병력 소탕 작전에 참여했다.[1] 서부 전역 종료 후에는 프랑스에 주둔하며 비시 정권의 분계선과 프랑스 남서부 대서양 연안(대서양 방벽)을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3. 3. 노르망디 상륙 작전 이후
쿠르트 폰 데어 쉐발리에가 지휘한 제1군은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보르도에 주둔했으며, 툴루즈에 주둔한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의 G 집단군 소속이었다.[2] 1944년 8월, 프랑스 전역에서 다른 독일군 부대와 함께 급격히 후퇴하여 독일 제국 서부 국경으로 밀려났고, 로렌에서 재편성되었다. 독일 국경을 따라 벌어진 전투에서 제1군은 미국 제3군이 모젤강을 건너 메츠를 점령하는 것을 막으려 했으며, 동시에 미국 제7군에 맞서 북부 보주 산맥을 방어했다.
1944년 11월, 두 방어선 모두 무너졌고 제1군은 독일 국경으로 후퇴하여 중요한 산업 지역인 독일의 자르를 방어했다.
3. 4. 노르트빈트 작전과 종전
1945년 새해 첫날, 제1군은 노르트빈트 작전에서 미 제7군을 공격하여 미군을 후퇴시키고 상당한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이는 미 제7군의 방어선이 너무 넓어 병력 배치가 얇아진 탓이었다. 1월 말, 노르트빈트 작전이 실패하면서 제1군은 지크프리트선으로 밀려났고, 이후 라인강을 건너 후퇴해야 했다.
1945년 3월 15일부터 3월 24일까지 언더톤 작전 동안, 제7 미국 육군은 카이저슬라우턴 인근에서 제1군을 포위했다. 그러나 연합군이 독일의 요새를 돌파하자, 독일군은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그 후, 제1군은 도나우강으로 질서정연하게 철수했고, 나중에는 뮌헨으로 이동했다. 1945년 5월 6일, 알프스 근처에서 제1군은 연합군에 항복했다.
3. 5. 사령관
순서 | 사진 | 계급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복무 기간 |
---|---|---|---|---|---|---|
1 | -- | 원수 | 에르빈 폰 비츨레벤 | 1939년 9월 1일 | 1940년 10월 26일 | 1년 1개월 |
2 | -- | 상급대장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1940년 10월 26일 | 1944년 5월 1일 | 3년 6개월 |
3 | -- | 기갑병대장 | 요아힘 레멜센 | 1944년 5월 1일 | 1944년 6월 2일 | 1개월 |
4 | 보병대장 | 쿠르트 폰 데어 쉐발리에 | 1944년 6월 2일 | 1944년 9월 5일 | 3개월 | |
5 | 기갑병대장 | 오토 폰 크노벨스도르프 | 1944년 9월 5일 | 1944년 11월 30일 | 2개월 | |
6 | -- | 보병대장 | 한스 폰 옵스트펠더 | 1944년 11월 30일 | 1945년 2월 28일 | 3개월 |
7 | 보병대장 | 헤르만 풰르츠 | 1945년 2월 28일 | 1945년 5월 6일 | 2개월 | |
8 | -- | 기병대장 | 루돌프 코흐-에르파흐 | 1945년 5월 6일 | 1945년 5월 8일 | 2일 |
3. 6. 참모장
이름 | 계급 | 임기 |
---|---|---|
프리드리히 미에트 | 소장 | 1939년 5월 26일 – 1940년 2월 5일 |
카를 힐페르트 | 소장 | 1940년 2월 5일 – 1940년 10월 25일 |
에드가 뢰리히트 | 대령 | 1940년 10월 25일 – 1942년 6월 16일 |
소장 | 1942년 2월 1일 - 1942년 6월 16일 | |
안톤-라이차르트 폰 마우헨하임 게난트 베히톨스하임 | 소장 | 1942년 6월 16일 – 1943년 8월 1일 |
게르하르트 페이어아벤트 | 대령 | 1943년 8월 1일 – 1944년 9월 10일 |
소장 | 1944년 2월 1일 - 1944년 9월 10일 | |
빌리 만테이 | 대령 | 1944년 9월 10일 – 1944년 12월 7일 |
발터 라인하르트 | 대령 | 1944년 12월 7일 – 1945년 2월 20일 |
볼프 뤼디거 하우저 | 소장 | 1945년 2월 20일 – 1945년 5월 8일 |
참조
[1]
서적
Die Landstreitkräfte 1-5
Biblio Verlag
[2]
서적
Der Panzer und die Mechanisierung des Krieges: Eine deutsche Geschichte, 1890 bis 1945
Ferdinand Schöningh
[3]
문서
during the illness of von Knobelsdorf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