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군단 (독일-네덜란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군단 (독일-네덜란드)은 냉전 종식 후 유럽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과 네덜란드가 창설한 다국적 군단이다. 1993년 조약 체결로 공식화되었으며, 독일 제1군단과 네덜란드 제1군단 본부를 통합하여 1995년 뮌스터에서 창설되었다. NATO의 주요 방어군, 평화 유지, 인도주의적 임무 수행을 목표로 하며, 2002년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로 인증받았다. 현재는 참모 지원 대대와 통신 및 정보 시스템 대대를 포함한 상설 부대와 독일 제1 기갑 사단, 네덜란드 제13, 43 기계화 여단이 지정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뮌스터 - 뮌스터 주교후국
뮌스터 주교후국은 795년경 뮌스터 교구 설립으로 시작되어 1803년 세속화될 때까지 존속한 신성 로마 제국의 제후국으로, 주교의 세속 권력 강화, 종교 개혁, 전쟁 피해, 세속화 등의 역사를 거쳤다. - 뮌스터 - 뮌스터 오스나브뤼크 국제공항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그레벤에 위치한 뮌스터 오스나브뤼크 국제공항은 1972년 개항하여 1986년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으며, 뮌스터와 오스나브뤼크 지역의 항공 수요를 담당하며 유럽 각지로 향하는 항공편을 운항한다.
제1군단 (독일-네덜란드)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창설일 | 1995년 8월 30일 |
국가 | NATO EU 독일 네덜란드 |
군종 | 육군 |
규모 | 사령부: 1,000명 전체: 최대 60,000명 |
주둔지 | 뮌스터, 독일 (사령부) 에이베르헌, 네덜란드 하르데런, 네덜란드 |
별칭 | 해당 없음 |
표어 | Communitate valemus (함께하면 강하다) |
역할 | 재래전 평화 유지 활동 NATO 즉응군 육군 부대 지상군 고속대응군 사령부 |
지휘부 | |
군단장 | 니코 탁 중장 |
부군단장 | 하네만 소장 |
참모장 | 슈테판 가일렌 준장 |
추가 정보 | |
슬로건 | Communitate valemus |
번역 | 함께하면 강하다 |
2. 역사
1991년, 냉전 종식 이후 유럽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과 네덜란드 국방부는 양국 군단 본부를 통합하여 다국적 군단을 창설하기로 합의했다.[2] 1993년 양국 간 조약 체결을 통해 제1독일-네덜란드 군단 창설이 공식화되었다.[2] 제1(I)군단 본부와 네덜란드 육군 제1군단 본부를 합쳐서 창설되었다.
1995년 8월 30일, 독일 총리 헬무트 콜과 네덜란드 총리 빔 코크가 참석한 가운데 뮌스터에서 공식 창설식이 거행되었다.[2] 초대 군단장은 네덜란드 출신 루르트 레이츠마 육군 중장이 임명되었다. 군단 본부는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장소인 뮌스터에 설치되어 역사적 의미를 더했다.[2]
군단의 원래 임무는 NATO의 주요 방어군으로서 NATO 회원국의 영토를 방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평화 유지 임무, 인도주의적 임무, 그리고 자연 재해 시 응급 구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thumb
1997년, 독일과 네덜란드는 여러 문서에 협력을 명시했다. 일반적으로, 독일과 네덜란드는 동등한 기반으로 군단 틀을 제공하며, 양국은 지휘 및 통제 능력에 대한 책임을 공유한다고 명시되어 있다.[3] 2002년, 군단은 NATO 완전 작전 능력 기준을 충족하여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의 일환으로 신속한 배치가 가능한 고대비 태세 사령부로 인증되었다.
2002년 11월 바움홀더 훈련장에서 "Cannon Cloud" 훈련을 마친 후, 군단은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 (CJTF)의 일환으로 "고대비 태세 부대 (육상) 사령부" (HRF(L) HQ)가 되었다.
2. 1. 창설 배경
1991년, 냉전 종식 이후 유럽 안보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독일과 네덜란드 국방부는 양국 군단 본부를 통합하여 다국적 군단을 창설하기로 합의했다.[2] 1993년 양국 간 조약 체결을 통해 제1독일-네덜란드 군단 창설이 공식화되었다.[2] 제1(I)군단 본부와 네덜란드 육군 제1군단 본부를 합쳐서 창설되었다.1995년 8월 30일, 독일 총리 헬무트 콜과 네덜란드 총리 빔 코크가 참석한 가운데 뮌스터에서 공식 창설식이 거행되었다.[2] 초대 군단장은 네덜란드 출신 루르트 레이츠마 육군 중장이 임명되었다. 군단 본부는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 장소인 뮌스터에 설치되어 역사적 의미를 더했다.[2]
군단의 원래 임무는 NATO의 주요 방어군으로서 NATO 회원국의 영토를 방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평화 유지 임무, 인도주의적 임무, 그리고 자연 재해 시 응급 구호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thumb
1997년, 독일과 네덜란드는 여러 문서에 협력을 명시했다. 일반적으로, 독일과 네덜란드는 동등한 기반으로 군단 틀을 제공하며, 양국은 지휘 및 통제 능력에 대한 책임을 공유한다고 명시되어 있다.[3] 2002년, 군단은 NATO 완전 작전 능력 기준을 충족하여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의 일환으로 신속한 배치가 가능한 고대비 태세 사령부로 인증되었다.
2002년 11월 바움홀더 훈련장에서 "Cannon Cloud" 훈련을 마친 후, 군단은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 (CJTF)의 일환으로 "고대비 태세 부대 (육상) 사령부" (HRF(L) HQ)가 되었다.
2. 2. 발전 과정
1991년, 독일과 네덜란드 국방부 장관은 각국의 군단 본부 하나를 합쳐 양국 군단 본부를 만드는 상호방위협약을 맺었다.[2] 1993년 두 나라 간의 조약이 체결되어 이전에 독립적이었던 두 개의 사령부가 합쳐져 독일군 사단 하나와 네덜란드 사단 하나로 구성된 제1 독일-네덜란드 군단을 형성하게 되었다. 제1 독일군단은 제1기갑사단, 제3기갑사단, 제7기갑사단, 제11기갑척탄병사단, 제27공수여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냉전 종식 이후, 방공 사령부 1, 공병 사령부 1, 의무 사령부 1과 같은 다양한 군단 병력이 1993년 9월에 해산되었다.1995년 8월 30일, 뮌스터에서 독일 육군 제1(I)군단 본부와 네덜란드 육군 제1군단 본부를 합쳐 제1독일-네덜란드 군단이 창설되었다. 네덜란드 총리 빔 코크와 독일 총리 헬무트 콜이 참석한 가운데 창설 기념행사가 열렸다.[2] 군단 사령부는 베스트팔렌 조약이 조인된 뮌스터에 설치되었다. 초대 군단장에는 네덜란드에서 선출된 룰르트 리츠마 육군 중장이 취임했다.
thumb
1997년, 독일과 네덜란드는 여러 문서에서 협력을 명시하며, 양국이 동등한 기반으로 군단 틀을 제공하고 지휘 및 통제 능력을 공유한다는 원칙을 확립했다.[2] 군단의 임무는 NATO 회원국의 영토 방어, 국제 연합 산하의 평화 유지 활동, 자연 재해 대처, 인도주의적 지원 및 구호였다.
1999년 12월부터 군단은 NATO 지휘 구조 내의 육상 구성 사령부로 활동하고 있다. 2002년, NATO 완전 작전 능력 기준을 충족하여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의 일환으로 신속 배치가 가능한 고대비 태세 사령부로 인증되었다.[2] 같은 해 11월 바움홀더 훈련장에서 "Cannon Cloud" 훈련을 마친 후, 군단은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 (CJTF)의 "고대비 태세 부대 (육상) 사령부" (HRF(L) HQ)가 되었다.[5] 2003년 2월부터 8월까지 군단은 국제 안보 지원군 (ISAF)의 아프가니스탄 사령부로 (HQ ISAF-3) 활동했다.[5]
2002년부터 다국적 군단 사령부는 12개 NATO 국가 간의 양해 각서에 기반을 두고 있다. 2004년 초에는 나폴리 연합군 사령부의 지휘 하에 운용되었고, 2005년 1월부터 7월까지 NRF-3의 임무를 마치고 NRF-4 사령부의 틀이 되었다. 같은 해 5월부터 6월까지 실시된 '아이언 소드(Iron Sword)' 훈련에서는 중앙 유럽에서 노르웨이로 병력 6,000명 이상과 차량 2,500대를 기동시켰다. 2008년 1월부터 6월까지는 NRF-10의 임무로 지정되었다.
2. 3. 주요 임무 및 활동
1991년 네덜란드와 독일의 국방부 장관들은 양국 간의 사령부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고, 1993년 조약이 체결되어 제1 독일-네덜란드 군단이 창설되었다.[2] 1995년 8월 30일, 네덜란드 총리 빔 코크와 독일 총리 헬무트 콜이 참석한 가운데 군단의 작전 준비 태세 완료가 기념되었다.군단의 초기 임무는 NATO 회원국의 영토 방어, 국제 연합 산하의 평화 유지 활동, 자연 재해 시 응급 구호, 인도주의적 지원 및 구호였다.[3] 또한 유럽 연합의 요청도 임무의 대상이 되었다.
1999년 이후, 군단은 "서유럽 연합에 대한 책임 부대"로 지정되었고,[3] NATO 지휘 구조 내에서 육상 구성 사령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02년에는 NATO 완전 작전 능력 기준을 충족하여 NATO 연합 합동 임무 부대의 일환으로 신속 배치가 가능한 고대비 태세 사령부로 인증되었다.
2003년 2월부터 8월까지 군단은 국제 안보 지원군(ISAF)의 아프가니스탄 사령부(HQ ISAF-3)로 활동하며 첫 실전 운용을 경험했다.[5] 이는 영국 (ISAF-1)과 터키 (ISAF-2)의 지휘 기간을 따른 것이다.
2004년부터 이 군단은 나폴리 NATO 연합합동군사령부(JFC 나폴리)에 배속되었고, 2004년 11월에는 NATO 신속대응군(NRF) 사령부가 되었다. 2005년에는 네 번째 NRF-4 사령부로 대기 상태였고, 1월부터 7월까지 NATO 신속대응군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했다. 같은 해 5월과 6월 동안에는 IRON SWORD 훈련을 실시하여 해외 파병 환경에서 다국적 작전 능력을 연습했다.
2008년에는 NATO 비상 작전을 위한 상시 대기 고대비 태세 부대였으며, 2009년에는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어 국제 안보 지원 부대(ISAF)와 ISAF 합동 사령부의 핵심 참모를 제공했다. 2013년 중반부터 2014년 1월까지 약 200명의 다국적 참모 장교와 병사들이 ISAF 본부, ISAF 합동 사령부 및 기타 부대에 기여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 카불에 파견되었다.
2015년, 제1군단은 초기 고대비 태세 임무 부대 개념을 개발하고 시험하는 임무를 맡았으며, 폴란드 자간 훈련 지역에서 Noble Jump 훈련을 실시했다. 당시 훈련에는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 사무총장, 필립 브리드러브 SACEUR(유럽 연합군 최고 사령관) 장군, 4명의 국방부 장관, 약 200명의 언론인이 방문했다.
제1군단은 2005년, 2008년, 2015년, 2019년에 이어 2023년에도 NATO 신속대응군 (NRF) 육군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했다. 현재 군단에는 참모 지원 대대와 사령부 정보 시스템 대대를 제외하고는 더 이상 배속된 부대가 없으며, NATO 병력 창출 과정을 거쳐 임무 수행에 필요한 다국적 부대를 배속받는다.
3. 구조
비상시 제1군단은 20일에서 30일 이내에 NATO 영토 내외에서 군사 임무를 배치하고 지휘할 수 있어야 하며, NATO 신속 대응군(NRF) 또는 VJTF(고도의 준비 태세 연합 임무 부대) 대기 상태일 경우 최초 병력이 2일 이내에 배치된다.
다음 부대가 제1군단에 영구적으로 소속되어 있다.
- 참모 지원 대대 (뮌스터)
- 통신 및 정보 시스템 (CIS) 대대 (아이벨겐 및 가르데렌)
이 두 부대는 독일군과 네덜란드 군인으로 구성된 완전한 2개국 연합 부대이다.
'''상설 부대'''
- 군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독일-네덜란드 혼성, 뮌스터)
- 사령부 지원 대대(독일-네덜란드 혼성, 뮌스터)
- 제101 정보 통신 시스템 대대(독일-네덜란드 혼성, 아이벨겐과 가르데렌)
'''지정 부대'''
- 제1 기갑 사단 - 독일
- 사단 규모의 부대를 제공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 - 네덜란드
3. 1. 지휘부
군단장, 부군단장, 참모장, 주임원사가 있다. 상설 부대로는 군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 사령부 지원 대대, 제101 정보 통신 시스템 대대가 있다. 군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와 사령부 지원 대대는 독일-네덜란드 혼성 부대로 뮌스터에 있다. 제101 정보 통신 시스템 대대는 독일-네덜란드 혼성 부대로 아이벨겐과 가르데렌에 있다.지정 부대로는 독일 연방군의 제1 기갑 사단과 네덜란드의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이 있다.
3. 2. 부대
간부지원대대는 독일 뮌스터에 주둔하며, 독일-네덜란드 혼성 부대이다. 통신정보체계(CIS)대대는 네덜란드 아이벨겐과 가르데렌에 위치하며, 역시 독일-네덜란드 혼성 부대이다. 이 두 부대는 상설 부대로, 군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 제101 정보 통신 시스템 대대와 함께 제1군단(독일-네덜란드)에 영구적으로 소속되어 있다.지정 부대로는 독일의 제1 기갑 사단과 네덜란드의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이 있다.
제1 기갑 사단 - 독일
사단 규모의 부대를 제공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 - 네덜란드
3. 3. 지정 부대
제1 기갑 사단 - 독일네덜란드 육군은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 등의 사단급 부대를 제공한다.
3. 4. 지휘 계층
육군청과 네덜란드 육군본부는 1995년 8월 30일부터 제1군단 (독일-네덜란드)을 지휘하고 있다. 2004년부터는 나폴리 NATO 연합합동군사령부(JFC 나폴리)의 지휘를 받는다. 비상시 제1군단은 20일에서 30일 이내에 NATO 영토 내외에서 군사 임무를 배치하고 지휘할 수 있어야 하며, NATO 신속 대응군(NRF) 또는 VJTF(고도의 준비 태세 연합 임무 부대) 대기 상태일 경우 최초 병력이 2일 이내에 배치된다.제1군단에는 참모 지원 대대와 통신 및 정보 시스템 (CIS) 대대가 영구적으로 소속되어 있다. 이 두 부대는 독일군과 네덜란드 군인으로 구성된 2개국 연합 부대이다. 군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는 독일과 네덜란드 혼성 부대로 뮌스터에 주둔하고 있다. 사령부 지원 대대는 뮌스터에, 제101 정보 통신 시스템 대대는 아이벨겐과 가르데렌에 주둔한다.
제1 기갑 사단 (독일)과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 (네덜란드)이 제1군단에 지정 부대로 편성되어 있다.
3. 5. 운영 방식
비상시, 제1군단은 20일에서 30일 이내에 NATO 영토 내외에서 군사 임무를 배치하고 지휘할 수 있다. NRF 또는 VJTF(고도의 준비 태세 연합 임무 부대) 대기 상태일 경우, 최초 병력은 2일 이내에 배치된다. NATO 병력 창출 과정을 통해, 군단은 주어진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맞춤형 조직을 만들기 위해 다국적 부대를 배속받는다. 공용어는 영어로 지정되어 있다.제1군단에는 다음 부대가 영구적으로 소속되어 있다.
- 참모 지원 대대 (뮌스터)
- 통신 및 정보 시스템 (CIS) 대대 (아이베르겐 및 가르데렌)
이 두 부대는 독일군과 네덜란드 군인으로 구성된 완전한 2개국 연합 부대이다.
상설 부대는 다음과 같다:
- 군단 사령부 및 사령부 중대(독일-네덜란드 혼성, 뮌스터)
- 사령부 지원 대대(독일-네덜란드 혼성, 뮌스터)
- 제101 정보 통신 시스템 대대(독일-네덜란드 혼성, 아이벨겐과 가르데렌)
지정 부대는 다음과 같다:
- 제1 기갑 사단 - 독일
- 사단 규모의 부대를 제공 (제13 기계화 여단, 제43 기계화 여단) - 네덜란드
4. 역대 군단장
번호 | 이름 | 국가 | 임명 시작 | 임명 종료 |
---|---|---|---|---|
12 | 니코 탁 중장 | 네덜란드 | 2022년 3월 17일 | style="text-align:center;" | |
11 | 안드레아스 마를로 중장 | 독일 | 2020년 2월 6일 | 2022년 3월 17일 |
10 | 알폰스 마이스 중장 | 독일 | 2019년 5월 9일 | 2020년 2월 6일 |
9 | 미히엘 판 데르 란 중장 | 네덜란드 | 2016년 4월 7일 | 2019년 5월 9일 |
8 | 폴커 할바우어 중장 | 독일 | 2013년 9월 25일 | 2016년 4월 7일 |
7 | 톤 판 론 중장 | 네덜란드 | 2010년 4월 13일 | 2013년 9월 25일 |
6 | 폴커 비에커 중장 | 독일 | 2008년 7월 1일 | 2010년 4월 13일 |
5 | 토니 판 디펜브뤼게 중장 | 네덜란드 | 2005년 7월 1일 | 2008년 7월 1일 |
4 | 노르베르트 판 하이스트 중장 | 독일 | 2002년 7월 4일 | 2005년 7월 1일 |
3 | 마르셀 우를링스 중장 | 네덜란드 | 2000년 3월 22일 | 2002년 7월 4일 |
2 | 카르스텐 올트만스 중장 | 독일 | 1997년 11월 27일 | 2000년 3월 22일 |
1 | 루르트 레이츠마 중장 | 네덜란드 | 1995년 8월 30일 | 1997년 11월 27일 |
5. 참가국
독일과 네덜란드가 주축이 된 군단 본부이지만, 북대서양 조약 기구와 유럽 연합의 참가국 중에서 벨기에, 체코, 프랑스, 그리스, 이탈리아, 노르웨이, 스페인, 터키, 영국, 미국의 장병들이 참여하고 있다.
6. 연습
QUICK SWORD 2013 연습이 있었다.
참조
[1]
웹사이트
20 jaar 1(German/Netherlands) Corps
https://magazines.de[...]
Defensie.nl
2015-08-28
[2]
서적
Denationalisation of Defence
Ashgate
2007
[3]
간행물
Multinational Land Formations and NATO: Reforming practices and structures
Strategic Studies Institute, U.S. Army War College, Carlisle Barracks, PA
1997
[4]
웹페이지
Ein bischen "bi" schadet nie: The German-Dutch Army Corps
http://www.ijoa.org/[...]
Psychological & Social Service, 1 (GE/NL) Corps
[5]
웹사이트
History of the garrison Münster
http://www.1gnc.de/h[...]
2008-02-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