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2차 인천 상륙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인천 상륙 작전은 1951년 2월 10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의 서울 재탈환을 위한 선더볼트 작전의 일환으로 실시된 작전이다. 1950년 중국 인민지원군의 참전으로 유엔군이 서울을 내어주고 평택 부근까지 밀려난 상황에서, 인천항 탈환을 목표로 계획되었다. 미국 해군 극동사령부의 지휘 하에 대한민국 해군과 해병대가 투입되었으며, 팔미도를 출발하여 인천기계제작소에 상륙하여 인천기상대와 중구청을 점령했다. 이틀간의 전투 끝에 인천 재탈환을 완료하였으며, 1·4 후퇴 이후 미군의 철수까지 고려되던 위기 상황에서 반격의 계기를 마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코만도 작전
    코만도 작전은 한국 전쟁 중 미 제8군이 제임스타운 선 확보를 목표로 철원-금화 철도 보호와 적 요새 점령을 시도했으나, 막대한 피해와 전선 교착 심화, 국제적 비판을 야기하며 폴차지 작전으로 이어진 작전이다.
  • 캐나다가 참가한 한국 전쟁의 전투와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51년 2월 - 거창 양민 학살 사건
    거창 양민 학살 사건은 6·25 전쟁 중 국군 제11사단에 의해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에서 민간인 719명이 학살된 사건으로, 정부의 은폐 시도와 관련자 처벌, 진상 규명 노력 등의 과정을 거쳤다.
  • 1951년 2월 - 지평리 전투
    지평리 전투는 한국 전쟁 중 미 제23연대 전투단이 중공군의 대규모 공격을 격퇴하고 미 제1기병사단의 지원으로 승리하여 UN군의 사기를 진작시키고 전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전투이다.
  • 상륙 작전 - 이오지마 전투
    이오지마 전투는 1945년 2월과 3월 이오지마 섬에서 미국과 일본 간에 벌어진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전선 전투로, 미군이 승리했지만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며,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전략적 중요성을 가진다.
  •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제2차 인천 상륙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전쟁 정보
분쟁제2차 인천 상륙 작전
전체선더볼트 작전, 한국 전쟁
제2차 인천 상륙 작전의 지휘관. 왼쪽부터 노명호 소령, A. E. 스미스 제독, 통역관 최병해 대위, 김종기 소령, 최영섭 소위.
제2차 인천 상륙 작전의 지휘관. 왼쪽부터 노명호 소령, A. E. 스미스 제독, 통역관 최병해 대위, 김종기 소령, 최영섭 소위.
날짜1951년 2월 10일
장소인천 근해
결과대한민국 및 유엔군 승리
교전국 1



지휘관 1
PC-701 백두산 소령 노명호
해병대 소령 김종기
YMS-301 대위 박기정
YMS-302 대위 홍원균
YMS-306 중위 최병기
YMS-310 대위 모예진
병력 1함정 6척
170명
병력 2불명
군대 1미국 극동해군

군대 2조선인민군
사상자 1없음
사상자 282
관련 전투
선더볼트 작전381고지
수리산
모락산
금양장리
제2차 인천
지평리

2. 배경

1950년 10월 25일[3] 중국공산당인민의용군은 항미원조(抗美援朝 - 미국에 대항하여 조선을 돕는다)를 주장하며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3][4] 인민의용군의 기습적인 공격으로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은 남으로 퇴각하지 않을 수 없었고, 1951년 1월 4일 서울을 다시 내주었다. 이를 1·4 후퇴라고 한다.[5] 서울 퇴각 다음 날인 1월 5일 인천 역시 다시 공산측에 점령되었다.

미군은 전세가 기울었다고 판단하고 공산 진영에 휴전을 제의했으나, 공산측은 이를 거절하고 남진을 계속하였다. 미군 지휘부는 내부적으로 금강 방어선이 뚫리면 한반도에서 철수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었다. 유엔군은 평택 인근에서 저지선을 구축하고 반격을 준비하였고, 한국 전쟁은 밀고 당기는 전선전이 되었다.[6]

유엔군은 서울 재탈환을 위한 선더볼트 작전을 기획하였고, 그 일환으로 인천항 탈환 작전을 계획하였다. 한편 당시 공산측은 제해권이 없었기 때문에 항만은 계륵과 같은 존재였다.[7]

3. 계획

미국 해군 극동사령부 제95기동부대장 엘런 스미스 제독은 대한민국 해군 함덕창 대위에게 인천항 정찰을 명령하였다. 정찰 결과, 공산군의 방어가 허술하여 한국군 단독 상륙으로도 탈환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7] 함덕창 대위는 YMS급 소해정[8] YMS-510정의 정장으로, 여러 차례 인천항에 진입한 경험이 있었다.[9]

YMS-510정은 1월 27일 인천항에 기습 상륙하여 포로 2명을 압송, 심문하여 공산군의 방어 태세를 파악하고 특공대 상륙작전을 건의하였다. 스미스 제독은 이를 수용하여 PC-701 백두산을 비롯한 JMS급 소해정 JMS-301, JMS-302, JMS-06, JMS-310과 대한민국 해병대 1개 중대로 상륙군을 구성하였다.[2]

3. 1. 작전 준비

당시 해병대 병력은 덕적도를 중심으로 서해 각 도서에 흩어져 있었다. 이 때문에 작전 개시일인 2월 10일까지 제대로 집결할 수 없었다. 작전을 중단할 수도 없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급한 대로 수병들에서 차출하여 인원을 채웠고 부족한 무기는 캐나다 해군의 구축함에서 보급받았다.[1] 2월 10일 오후 4시 30분 상륙군은 팔미도를 출발하여 상륙 지점으로 결정된 반석동 해안의 인천기계제작소로 향했다. 이 지역은 인천 상륙작전 당시 레드 해안으로 명명된 곳으로 그때 상륙작전에 참가하였던 김종기 소령이 지리를 잘 알았기 때문에 선정되었다.[1]

4. 상륙 및 전투

1951년 2월 10일 오후 6시 지원 함포 사격이 시작되었다. 인천항에 도착한 상륙군은 오후 9시 무렵 인천기상대를 점령하였다. 교전 결과 인민군 측 11명이 사망했고 상륙군은 피해가 없었다. 인민군 측은 함포 사격이 시작되자 인천을 포기하고 이미 퇴각한 뒤였다. 이러한 사실을 안 상륙군은 내친김에 인천 중구청도 점령하였다.[10]

5. 결과 및 영향

1951년 2월 11일, 후속 부대가 도착하여 인천 재탈환이 완료되었다. 이틀 동안의 전투에서 상륙군은 적군 82명을 사살하고, 전차 1대와 야포 8문을 파괴하는 전과를 올렸다.[2] 제2차 인천 상륙 작전1·4 후퇴 이후 미군 철수까지 고려되던 심각한 상황에서 반격의 발판을 마련한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상륙작전이 종료되자 엘런 스미스 제독은 백두산함을 방문하여 한국 해군의 공로를 치하하였다.[1]

6. 상륙군 지휘관

상륙 작전에 참여한 주요 지휘관은 다음과 같다.[10]

직책이름계급
PC-701 백두산 함장노명호소령
덕적도 주둔 부대장김종기소령
YMS-301 정장박기정대위
YMS-302 정장홍원균대위
YMS-306 정장최병기중위
YMS-310 정장모예진대위


6. 1. 대한민국 해군

직책이름계급
PC-701 백두산 함장노명호소령
덕적도 주둔 부대장김종기소령
YMS-301 정장박기정대위
YMS-302 정장홍원균대위
YMS-306 정장최병기중위
YMS-310 정장모예진대위

[10]

7. 기념

대한민국 해군은 2017년 11월 15일 월미도에 제2차 인천상륙작전 기념비를 세웠다.[11]

참조

[1] 뉴스 1951년 2월 10일 제2차 인천상륙작전을 아십니까? https://pub.chosun.c[...] 조선일보 2017-03-10
[2] 뉴스 66년 전 1.4후퇴시 반격 계기 마련한 제2차 인천상륙작전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7-02-09
[3] 웹사이트 6.25전쟁 연표 http://theme.archive[...]
[4] 뉴스 왕후이 "중국, 한국전쟁을 '항미원조'라 한 이유는…"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3-08-30
[5] 뉴스 사진오늘 - 한강 앞에서 우는 어린이들, '1.4 후퇴'의 비극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8-01-04
[6] 웹사이트 1·4후퇴 http://www.archives.[...]
[7] 뉴스 미군 철수 막아낸 '두 번째 인천상륙작전' 비밀은 37명 특공대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03-05
[8] 뉴스 YMS급 소해정 http://kookbang.dema[...] 국방일보 2018-05-16
[9] 웹사이트 해군 YMS-510함 인천 기습상륙전 https://www.warmemo.[...]
[10] 웹사이트 해군의 제 2차 인천 상륙작전 https://www.warmemo.[...]
[11] 뉴스 해군, 월미도서 '제2차 인천상륙작전 전승비' 제막식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7-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