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적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적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에 속하는 섬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660년 백제 정벌을 위해 당나라 소정방이 이끄는 군대가 들어온 '덕물도'가 바로 덕적도이다. 갯벌이 발달하여 바지락, 굴 등을 양식하며, 흑염소, 포도, 표고버섯 등을 생산한다. 서포리, 밧지름, 자갈마당 등의 해변이 있으며, 국수봉(314m)이 가장 높은 지점이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쾌속선으로 1시간,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카페리로 1시간 40분 거리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해의 섬 - 안면도
안면도는 태안반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태안군에 속하며, 17세기에 육지에서 분리되었고, 해수욕장과 안면도 자연휴양림 등의 관광지가 있으며, 게국지가 유명하다. - 황해의 섬 - 대부도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여러 국가를 거쳐 현재는 5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육지 및 주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갯벌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덕적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한국어) | 덕적도 |
이름 (한자) | 德積島 |
로마자 표기 | Deokjeokdo |
면적 | 20.8 km2 |
최고점 | 국수봉 |
높이 | 314 m |
위치 | 서해 |
![]() |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시/도 | 인천광역시 |
군/면 | 옹진군 덕적면 |
인구 (2010년 말 기준) | 1,413명 |
2. 역사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660년 백제를 정벌하기 위한 신라의 요청에 부응하여 당나라의 소정방이 대군을 이끌고 들어온 '''덕물도'''(德物島, 德勿島)가 바로 덕적도이다. 덕물도란 '가득한(德[6]) 물(勿)에 있는 섬', 즉 바다 한 가운데 있는 섬이라는 뜻이다. 섬의 원래 이름은 큰물섬(큰물섬|큰 바다의 섬한국어)이었으며, 현지 주민들은 큰무리(큰물이|한국어)라는 애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 이름은 한자로 덕물도(덕물도|德勿島|한국어)로 번역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결국 현재의 이름으로 정착되었다.[2]
2. 1. 신석기 시대 ~ 조선 시대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660년 백제를 정벌하기 위한 신라의 요청에 부응하여 당나라의 소정방이 대군을 이끌고 들어온 '''덕물도'''(德物島, 德勿島)가 바로 덕적도이다.[6] 덕물도란 '가득한(德) 물(勿)에 있는 섬', 즉 바다 한 가운데 있는 섬이라는 뜻이다.2. 2. 일제강점기 ~ 현재
덕적도는 신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660년 백제를 정벌하기 위한 신라의 요청에 부응하여 당나라의 소정방이 대군을 이끌고 들어온 '''덕물도'''(德物島, 德勿島)가 바로 덕적도이다. 덕물도란 '가득한(德[6]) 물(勿)에 있는 섬', 즉 바다 한 가운데 있는 섬이라는 뜻이다.3. 지리
덕적도는 갯벌이 발달되어 바지락, 굴 등을 양식하고, 흑염소나 포도, 표고버섯 등의 특산물을 많이 생산한다. 섬에는 일주도로가 개설되어 있다.[7] 2010년 기준 인구는 1,413명(남자 756명, 여자 657명)이고 748가구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섬 남동부에 살고 있으며, 이곳에 지방 행정 사무소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한다.[2]
3. 1. 지형
덕적도는 굴곡진 해안선과 바위가 많은 지형을 가지고 있으며, 가장 높은 지점은 국수봉(314m)이다.[2] 섬의 서쪽에는 호텔, 민박, 여관, 식당 등이 있는 해변이 있다. 섬은 거의 전체가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1] 섬에는 서포리,[2] 밧지름,[3] 자갈마당[4] 등 여러 해변이 있는데, 서포리와 밧지름은 모래 해변이고, 자갈마당은 자갈 해변이다.3. 2. 접근성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카페리에 차를 실으면 자월도를 거쳐 1시간 40분 만에 덕적도 진리 선착장에 닿는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쾌속선을 타면 1시간 거리이다.[7] 인천의 여객선 터미널에서도 갈 수 있으며, 섬은 인천 연안 부두에서 70km 북서쪽에 위치해 있다.[1] 수상 비행기를 타면 본토에서 한 시간 거리이다.[1] 여름에는 하루 최대 7척의 배가 운행하지만, 다른 계절에는 한 척만 운행한다. 배는 조수에 따라 아침에 다른 시간에 출발하며, 여객선 선착장에서 섬 반대편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1] 진리 여객선은 서포리와 북리로 운항한다.[5]4. 지질
덕적도 내에는 중생대의 화강암과 퇴적암이 분포한다. 덕적도의 서부와 남부에는 담회색 내지 약한 담홍색을 띠는 중-세립질의 흑운모 화강암이 분포한다. 덕적도 북동부에는 반상 화강암이 해안을 따라 소규모로 분포한다. 퇴적암은 압쇄 규암-편암과 변성사암 및 이암으로 구성되는 저변성 퇴적암으로 구분된다. 또한 덕적도 동부 해안을 따라 암상에 관계없이 파쇄의 정도가 심한 전단대가 발달한다.[8]
5. 행정 구역 및 인구
2010년 덕적도의 인구는 1,413명(남자 756명, 여자 657명)이었으며, 748가구였다.[2] 대부분의 사람들은 섬의 남동부에 살고 있으며, 이곳에 지방 행정 사무소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농업과 어업에 종사한다.[2]
6. 관광
덕적도는 갯벌이 발달되어 바지락, 굴 등을 양식하고, 흑염소나 포도, 표고버섯 등의 특산물을 많이 생산한다.[7] 섬에는 일주도로가 개설되어 있어 차를 가져가기 좋다.[7] 섬은 거의 전체가 소나무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1]
6. 1. 해변
덕적도에는 서포리[2], 밧지름[3]과 같은 모래 해변과 자갈마당[4]과 같은 자갈 해변 등 여러 해변이 있다. 진리 여객선은 서포리와 북리로 운항한다.[5]6. 2. 등산
덕적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국수봉(314m)이다. 등산로는 섬의 두 봉우리 중 하나인 정상으로 이어진다. 다른 봉우리는 군사 시설이다.[1]6. 3. 숙박 시설
서쪽 해변에는 호텔, 민박(개인 주택에서 임대하는 방), 여관(가장 저렴한 숙박 시설)이 있다.[1]6. 4. 교통
대부도 방아머리 선착장에서 카페리에 차를 실으면 자월도를 거쳐 1시간 40분 만에 덕적도 진리 선착장에 닿는다. 인천 연안부두에서 쾌속선을 타면 1시간 거리이다.[7]이 섬은 인천 연안 부두에서 70km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인천의 여객선 터미널에서 갈 수 있다. 수상 비행기를 타면 본토에서 한 시간 거리이다. 여름에는 하루 최대 7척의 배가 운행하지만, 다른 계절에는 한 척만 운행한다. 배는 조수에 따라 아침에 다른 시간에 출발한다. 여객선 선착장에서 섬 반대편까지 가는 버스가 있다.[1] 진리 여객선은 서포리와 북리로 운항한다.[5]
7. 딸린 섬
- 소야도: 덕적면 소야리에 속하며, 덕적도 동쪽에 있다. 덕적도 부속 섬 중 가장 크며, 새곶섬이라고도 불린다.
- 선미도: 덕적면 북리에 속하며, 등대가 있다.
- 먹도: 덕적면 진리에 속하며, 먹통도, 흑도(黑島)라고도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덕적도
http://www.mydeokjeo[...]
2019-06-03
[2]
간행물
덕적도 (德積島)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6-12
[3]
웹사이트
밧지름해변> 여행지 :대한민국 구석구석
https://korean.visit[...]
2024-06-12
[4]
웹사이트
덕적도 능동자갈마당
https://itour.incheo[...]
2024-06-12
[5]
웹사이트
고려고속훼리(주)
http://www.kefship.c[...]
2024-06-12
[6]
문서
득→'가득'의 옛말
[7]
서적
대한민국 여행사전
터치아트
[8]
저널
Lithology and Geology of Deokjeok Island, Western Gyeonggi Massif, Central Korea 서부 경기육괴에 위치한 덕적도의 암상과 지질)
https://koreascience[...]
2013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