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1990년 2월 18일에 실시되었으며, 소비세 해산을 명분으로 1990년 1월 24일에 중의원이 해산되면서 치러졌다. 자유민주당은 275석을 얻어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사회당이 약진하며 제1야당이 되었다. 선거는 소비세 논란, 리쿠르트 사건, 농업 수입 자유화, 우노 소스케 전 총리의 성추문 등 '4대 악'을 둘러싼 쟁점 속에서 치러졌으며, 옴진리교가 진리당을 결성해 참여했지만 전원 낙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2월 - 창백한 푸른 점
    창백한 푸른 점은 보이저 1호가 60억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촬영한 0.12픽셀 크기의 푸른 지구 사진으로, 칼 세이건은 이를 인류의 겸손함과 책임감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겼으며, 지구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 1990년 2월 - 제4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1990년에 개최된 제40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에서는 미하엘 발하우스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뮤직 박스》와 《줄 위의 종달새》가 황금곰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1945년"을 주제로 한 회고전이 열려 일본 영화들이 소개되었다.
  •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52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사회당 분열 속에서 자유당이 압승을 거두며 장기 집권을 이끌었으나, 공산당 몰락, 야당 지지율 하락, 높은 기권율, 무소속 당선 등 정치적 혼란과 특징을 남겼다.
  •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제2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60년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이 압승을 거두었지만 득표율은 소폭 감소했고 일본사회당은 참패했으며, 자유민주당의 '소득 배증 계획'이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 일본 고도 경제 성장 시대를 여는 계기가 되었다.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지도
선거구는 당선자의 득표 강도에 따라 음영 처리됨
선거 정보
국가일본
선거 유형의회
이전 선거1986년 일본 총선거
이전 선거 연도1986년
선거일1990년 2월 18일
다음 선거1993년 일본 총선거
다음 선거 연도1993년
선출 의석중의원의 총 512석
과반 의석257석
투표율73.31% (증가 1.89%p)
주요 정당 및 지도자
가이후 도시키
지도자가이후 도시키
정당자유민주당
지난 선거 결과51.06%, 306석
획득 의석275
의석 변동31석
득표수30,315,417
득표율46.14%
득표율 변동3.28%p
도이 다카코
지도자도이 다카코
정당일본사회당
지난 선거 결과17.23%, 85석
획득 의석136석
의석 변동51석
득표수16,025,473
득표율24.35%
득표율 변동7.12%p
이시다 고시로
지도자이시다 고시로
정당공명당
지난 선거 결과9.43%, 56석
획득 의석45석
의석 변동11석
득표수5,242,675
득표율7.98%
득표율 변동1.45%p
데쓰조 후와
지도자데쓰조 후와
정당일본공산당
지난 선거 결과8.79%, 26석
획득 의석16석
의석 변동10석
득표수5,226,987
득표율7.96%
득표율 변동0.83%p
나가스에 에이이치
지도자나가스에 에이이치
정당민주사회당
지난 선거 결과6.44%, 26석
획득 의석14석
의석 변동12석
득표수3,178,949
득표율4.84%
득표율 변동1.60%p
에다 사쓰키
지도자에다 사쓰키
정당사회민주연합
지난 선거 결과0.83%, 4석
획득 의석4석
득표수566,957
득표율0.86%
득표율 변동0.03%p
지도자다카와 세이이치
정당진보당
지난 선거 결과
획득 의석1석
의석 변동신생
득표수281,793
득표율0.43%
득표율 변동신생
총리
선거 전 총리가이후 도시키
선거 전 정당자유민주당
선거 후 총리가이후 도시키
선거 후 정당자유민주당

2. 선거 데이터

2. 1. 해산일

1990년 1월 24일[1]

2. 1. 1. 해산명

소비세 해산[1]

2. 2. 공시일

2월 3일

2. 3. 투표일

1990년 2월 18일, 일본에서 중의원 의원 512명을 선출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다.[1]

2. 4. 의석 수

정당득표수의석수의석 변동
자유민주당30,315,417275–31
일본 사회당16,025,473136+51
공명당5,242,67545–11
일본 공산당5,226,98716–10
민주사회당3,178,94914–12
사회민주연합566,95740
進歩党 (日本 1987-1993)|진보당|lt=진보당일본어281,7931신규
기타 정당58,5360
무소속4,807,52421+12
총 의석 변동0
무효표511,595
유권자 수90,322,908
출처[http://archive.ipu.org/parline-e/reports/arc/2161_90.htm IPU]

[1]

2. 5. 선거 제도

이 선거는 중선거구제를 기반으로 치러졌다. 다만 일부 지역은 소선거구제를 채택했다.[1]

선거구 종류의원 정수
2인 선거구0
3인 선거구42
4인 선거구39
5인 선거구43
6인 선거구1
1인 선거구 (소선거구제)1


3. 주요 쟁점

1989년 참의원 선거와 마찬가지로, 유권자들은 소비세 논란, 리쿠르트 사건, 농업 수입 자유화, 그리고 우노 소스케 전 총리의 성추문이라는 "4대 악"을 마음에 품고 있었다. 정치 평론가들은 이전 1989년 선거에서 자민당이 참의원에서 오랫동안 유지해 온 다수당 지위를 잃은 것처럼, 이번 선거에서도 자민당이 중의원에서 다수당 지위를 잃는 "대역전극"이 일어날지 예측했다.[2]

야당은 전년 참의원 선거를 재현하기 위해 다시 소비세 도입 여부를 쟁점으로 삼았고, 선거 전부터 중의원에서도 자민당을 과반수 미만으로 만들기 위해 소비세를 최대 쟁점으로 삼아 언론에서도 보도되었다. 하지만, 시행 1년이 지나면서 소비세 도입 자체에 반대하는 유권자가 격감했기 때문에, 자민당은 275석이라는 과반수는 물론 안정 다수를 크게 웃도는 의석을 획득했다. 반대로 사회당을 제외한 공명당, 공산당, 민사당 등 야당은 의석을 크게 줄였다. 참의원 선거로부터 7개월 만에 다시 여당 자민당을 신임하는 중의원 선거 결과를 받아 제2차 가이후 내각이 발족했다.[3]

한편, 훗날 확실한 버블 경기였다고 평가받는 당시 호경기를 여당은 자민당 정권의 성과라고 주장했고, 여당에 유리한 정세로 보였으며, 자민당 승리는 사전에 상당히 예상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자민당 승리와 함께 증권시장에서 말하는 “호재 소진” 감이 감돌았고, 선거 전 37,460엔(2월 16일)이었던 닛케이 평균 주가는 주초인 19일에는 37,223엔으로 하락, 그 후에도 하락을 거듭하여 선거 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연말(12월 28일)에는 23,849엔이 되었다.[4] 버블 붕괴의 제1단계가 된 주식 버블 붕괴의 도화선이 될 양상을 보였다.

3. 1. 정책

消費税일본어 논란, 리쿠르트 사건, 농업 수입 자유화, 그리고 우노 소스케 전 총리의 성추문이라는 "4대 악"이 1989년 참의원 선거에 이어 유권자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었다.[2] 야당은 전년 참의원 선거의 재현을 위해 소비세 도입 여부를 다시 쟁점으로 삼았고, 중의원에서도 자유민주당(자민당)을 과반수 미만으로 만들려고 소비세를 최대 쟁점으로 삼아 언론에서도 보도되었다.[3]

하지만 시행 1년이 지나면서 소비세 도입 자체에 반대하는 유권자가 격감했기 때문에 자민당은 275석이라는 과반수는 물론 안정 다수를 크게 웃도는 의석을 획득했다. 반대로 사회당을 제외한 공명당, 공산당, 민사당 등 야당은 의석을 크게 감소시켰다. 참의원 선거로부터 7개월 만에 다시 여당 자민당을 신임하는 중의원 선거 결과를 받아 제2차 가이후 내각이 발족했다.[3]

한편, 후에 확실한 버블 경기였다고 평가받게 되는 당시 호경기를 여당은 자민당 정권의 성과라고 주장했고, 여당에게 유리한 정세로 보였으며, 자민당 승리는 사전에 상당히 예상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자민당 승리와 함께 증권시장에서 말하는 “호재 소진” 감이 감돌았고, 선거 전 37,460엔(2월 16일)이었던 니케이 평균 주가는 주초인 19일에는 37,223엔으로 하락, 그 후에도 하락을 거듭하여 선거 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연말(12월 28일)에는 23,849엔이 되었다.[4] 버블 붕괴의 제1단계가 된 주식 버블 붕괴의 도화선이 될 양상을 보였다.

3. 2. 정국

1989년 참의원 선거와 마찬가지로, 유권자들은 소비세 논란, 리쿠르트 사건, 농업 수입 자유화, 그리고 우노 소스케 전 총리의 성추문이라는 "4대 악"을 마음에 품고 있었다. 정치 평론가들은 이전 1989년 선거에서 자민당이 참의원에서 오랫동안 유지해 온 다수당 지위를 잃은 것처럼, 이번 선거에서도 자민당이 중의원에서 다수당 지위를 잃는 "대역전극"이 일어날지 예측했다.[2]

야당은 전년 참의원 선거를 재현하기 위해 다시 소비세 도입 여부를 쟁점으로 삼았고, 선거 전부터 중의원에서도 자민당을 과반수 미만으로 만들기 위해 소비세를 최대 쟁점으로 삼아 매스미디어에서도 보도되었다. 하지만, 시행 1년이 지나면서 소비세 도입 자체에 반대하는 유권자가 격감했기 때문에, 자민당은 275석이라는 과반수는 물론 안정 다수를 크게 웃도는 의석을 획득했다. 반대로 사회당을 제외한 공명당, 공산당, 민사당 등 야당은 의석을 크게 줄였다. 참의원 선거로부터 7개월 만에 다시 여당 자민당을 신임하는 중의원 선거 결과를 받아 제2차 가이후 내각이 발족했다.[3]

한편, 훗날 확실한 버블 경기였다고 평가받는 당시 호경기를 여당은 자민당 정권의 성과라고 주장했고, 여당에 유리한 정세로 보였으며, 자민당 승리는 사전에 상당히 예상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자민당 승리와 함께 증권시장에서 말하는 “호재 소진” 감이 감돌았고, 선거 전 37,460엔(2월 16일)이었던 닛케이 평균 주가는 주초인 19일에는 37,223엔으로 하락, 그 후에도 하락을 거듭하여 선거 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연말(12월 28일)에는 23,849엔이 되었다.[4] 버블 붕괴의 제1단계가 된 주식 버블 붕괴의 도화선이 될 양상을 보였다.

4. 선거 결과

1989년 4월 소비세 도입 후 처음 치러진 총선이었다. 자민당은 이전 제38회 총선거에서 300석을 얻는 압승을 거둔 것에 대한 반발과 제15회 참의원의원 통상 선거에서 사회당보다 적은 당선자를 내며 참의원 과반수 유지에 실패하는 등 고전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1989년 가을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로 소련 중심의 동구 사회주의 진영이 붕괴되자, 자민당은 '체제 선택'을 선거 쟁점으로 설정했다. 거품경제로 경제 호황을 누리던 국민들의 반공·보수 의식에 호소하고, 참의원 선거 참패와 가이후 내각의 인기를 바탕으로 유권자들에게 '이제 충분하다'는 인식을 심어주며 의석 감소를 소폭으로 줄였다. 추가 공천을 포함해 286석으로 중의원 단독 과반수를 유지했다.[2]

사회당은 참의원 선거 압승을 바탕으로 중의원 여야 역전과 정권 획득을 목표로 했으나, 오랜 하락세로 당의 기초 체력이 약해져 후보자 선정 작업에 난항을 겪었다. 중선거구제에서 과반수 의석 획득에 필수적인 복수 후보 공천에 현직 의원들이 저항했고, 자금난으로 낙선 시 생활 보장을 하지 못해 후보 추천을 거절당하는 경우도 많았다.[16] 도이는 공명당, 민사당과의 연합으로 300석을 전망했지만,[17] 공명당이 고전을 예상하고 후보를 줄여 사회당 149명, 공명당·민사당 연합 108명, 무소속 29명 등 총 257명 공천으로 과반수에 미치지 못했다. 338명(보수 계열 무소속 109명)을 공천한 자민당과 체력 차이가 컸고, 야당은 전반적으로 후보를 내세우는 능력이 부족했다.

사회당은 1967년 제31회 총선 이후 최다 의석인 136석을 차지하며 약진했지만, 대부분 공명당, 민사당 등 다른 야당 의석을 빼앗은 결과였다. 특히 민사당은 의석이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공명당과 민사당은 사회·공민 노선으로 불리는 야당 연정의 상대로 사회당을 상정했지만, 이 선거에서 사회당이 단독으로 승리하자 연립 정권 협의를 중지하고 자민,공명당민 노선으로 불리는 보수·중도 연계 노선을 택했다. 공산당은 소비세 반대표가 사회당에 집중되고, 자민당의 체제 선택 쟁점화로 의석수가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자민당은 25석 감소했지만 농촌 지역의 견고한 지지와 보수층 결집으로 19석 차이로 중의원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2] 이는 불공정한 선거구 제도로 농촌 유권자들의 자민당 지지 성향과 영향력이 불균형적으로 컸기 때문이었다. 자민당은 자유 수입 공약에서 벗어나 보호무역주의적 입장으로 선회, "외국산 한 톨도 일본에 수입되지 않을 것"이라 선언했다. 소비세법을 개정해 예외를 허용하며 양보했고, 1989년 참의원 선거 이후 새로운 세금에 대한 대중의 저항도 다소 감소했다. 충분한 후보를 내세우고 무소속 후보들을 비공식 지원해 무소속 의원이 12명 증가했다.[2]

사회당은 51석 증가, 득표율 7.12% 상승 등 뚜렷한 승리를 거두었으나, 불만 투표 성격이 강했고 파벌 싸움과 자금 조달 부족으로 단기간 호황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2]

옴진리교진리당을 결성해 아사하라 쇼코 등 25명을 입후보시켰지만 공탁금이 몰수될 정도로 참패했다. 아사하라는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교단의 무력 투쟁 노선을 강화했고, 이는 마쓰모토 사린 사건, 지하철 살인 사건 등 옴진리교 사건으로 이어졌다고 전해진다.

4. 1. 투표율

투표율은 73.31%(남자 71.93%, 여자 74.61%)로, 자치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 총선 투표율(71.40%)보다 1.91% 증가했다. 당일 유권자 수는 90,322,908명이었으며, 기권·무효표는 24,618,604명, 유효 표수는 65,704,304표였다.

4. 2. 정당별 의석

정당명의석수득표수[15]득표율
여당27530,315,41746.11
style="background-color: #009AD6; border-top-style:none;" |자유민주당27530,315,41746.11
야당·무소속23735,330,35253.89
rowspan="7" style="background-color: #F15B5B; border-top-style:none;" |일본 사회당13616,025,47224.39
공명당455,242,6757.98
일본 공산당165,226,9867.96
민사당143,178,9494.84
사회민주연합4566,9570.86
진보당1281,7930.43
무소속214,807,5207.32
합계51265,645,769100.00



총 의석 수획득 의석 수
자유민주당일본 사회당공명당일본 공산당민사당사회민주연합진보당무소속
아이치22116221
아키타7421
아오모리752
지바181251
에히메963
후쿠이431
후쿠오카1984421
후쿠시마12651
기후9621
군마10631
히로시마12831
홋카이도231271111
효고1910423
이바라키12831
이시카와541
이와테8431
가가와642
가고시마10541
가나가와209641
고치52111
구마모토106211
교토1042211
미에95211
미야기963
미야자키6321
나가노13841
나가사키95211
나라52111
니가타13841
오이타7421
오카야마1042211
오키나와52111
오사카27857511
사가5311
사이타마1785211
시가5311
시마네5311
시즈오카141031
도치기10631
도쿠시마5221
도쿄44181183112
돗토리422
도야마642
와카야마6411
야마가타7511
야마구치9621
야마나시532
합계5122751364516144121


4. 3. 분석

1989년 4월 소비세 도입 후 처음 치러진 총선으로, 자민당은 이전 제38회 총선거에서 300석을 얻는 압승을 거둔 것에 대한 반발로 어려운 싸움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제로 1989년 7월 제15회 참의원의원 통상 선거에서는 당선자 수가 사회당보다 적어 참의원에서 과반수를 유지하지 못하고 크게 패했다. 그러나 1989년 가을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로 소련을 중심으로 한 동쪽 사회주의 진영이 무너지면서, 자민당은 이 선거의 쟁점을 '체제 선택'으로 설정하는 데 성공했다. 경제 호황(거품경제)을 누리는 국민들의 반공·보수적 의식에 호소하고, 참의원의원 선거에서의 참패와 가이후 내각의 인기로 유권자들에게 '이제 충분하다'는 인식을 심어주는 데 성공했다. 의석 감소를 소폭으로 줄였고, 추가 공천을 포함한 의석수는 286석으로 중의원에서 단독 과반수를 유지했다.[2]

반면 사회당은 이전 참의원의원 선거에서의 압승을 바탕으로 중의원에서 여야 역전과 정권 획득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장기간의 하락세로 당의 기초 체력이 약해져 새로운 후보자 선정 작업은 난항을 겪었다. 특히 중선거구제에서 과반수 의석 획득에 반드시 필요한 복수 후보 공천 방침에 대해 현직 의원들의 저항이 강했다. 또, 후보 추천에서도 자금난으로 낙선 시 생활 보장을 하지 못해 거절당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16] 도이는 선거에 협력한 공명당, 민사당과의 연합에 따라 512석 중 사회당 180석, 공명당·민사당 연합 120석, 3당 합쳐 300석을 전망했다.[17] 그러나 공명당이 고전을 예상하고 후보를 줄이면서, 공천 후보는 사회당 149명, 공명당·민사당 연합 108명, 3당 합계 257명(무소속 29명)으로 과반수에 미치지 못했다. 338명(보수 계열 무소속 109명)을 공천한 자민당과의 체력 차이는 뚜렷했다. 야당은 전반적으로 후보를 내세우는 능력이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사회당은 1967년 제31회 총선 이후 최다 의석인 136석을 차지하며 약진했지만, 이는 대부분 공명당, 민사당 등 다른 야당으로부터 빼앗은 의석이었다. 특히 민사당은 의석이 거의 절반으로 줄어드는 참패를 당했다. 공명당과 민사당은 사회당이 사회·공민 노선으로 불리는 야당 연정의 상대로 상정하고 있었지만, 이 선거에서 사회당이 단독으로 승리한 것에 반발해 사회당과의 연립 정권 협의를 중지했다. 그리고 자민,공명당민 노선으로 불리는 보수·중도 연계 노선이 정착되어 갔다. 공산당은 소비세 반대표가 사회당에 집중되고, 자민당의 체제 선택 쟁점화로 타격을 받아 의석수가 거의 절반으로 줄었다.

이 선거에서 자민당은 의석수가 25석 감소했지만, 농촌 지역의 견고한 지지와 보수층 결집에 힘입어 19석 차이로 중의원에서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다.[2] 이는 당시 일본의 불공정한 선거구 제도 때문이었다. 농촌 유권자들은 자민당을 지지하는 경향이 강하고, 그 영향력이 불균형적으로 컸다. 자민당은 자유로운 수입 정책에 대한 공약에서 벗어나 더욱 보호무역주의적인 입장으로 선회하여 "외국산 한 톨도 일본에 수입되지 않을 것"이라고 선언했다. 또한 소비세법을 개정하여 예외를 허용함으로써 양보했으며, 1989년 참의원 선거 이후 새로운 세금에 대한 대중의 저항이 다소 감소했다. 자민당은 충분한 후보를 내세우고 무소속 후보들을 비공식적으로 지원하여 이번 선거에서 무소속 의원이 12명 증가하도록 했다.[2]

사회당은 의석수가 51석 증가하고 득표율이 지난 선거 대비 7.12% 상승하는 등 뚜렷한 승리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는 자민당에 대한 불만 투표 성격이 강했고, 파벌 싸움과 자금 조달 부족으로 인해 사회당의 호황은 단기간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2]

한편, 옴진리교진리당을 결성해 아사하라 쇼코 등 25명을 입후보시켰지만, 공탁금이 몰수될 정도의 참패를 당했다. 아사하라는 선거 부정 의혹을 제기하며 교단의 무력 투쟁 노선을 강화했고, 이는 이후 마쓰모토 사린 사건, 지하철 살인 사건 등 일련의 옴진리교 사건으로 이어졌다고 전해진다.

5. 정당

1990년 2월 18일에 실시된 제3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는 자유민주당, 일본 사회당, 공명당, 일본 공산당, 민주사회당, 사회민주연합, 進歩党 (日本 1987-1993)|진보당 (일본 1987-1993)|진보당일본어 등의 정당과 무소속 후보들이 참여하였다.

정당득표수의석수의석 변동
자유민주당30,315,417275-31
일본 사회당16,025,473136+51
공명당5,242,67545-11
일본 공산당5,226,98716-10
민주사회당3,178,94914-12
사회민주연합566,95740
進歩党 (日本 1987-1993)|진보당 (일본 1987-1993)|진보당일본어281,7931신규
기타 정당58,5360-
무소속4,807,52421+12



5. 1. 자유민주당



; 파벌

파벌명의석 수
경세회(다케시타파)69석
굉지회(미야자와파)62석
키요카즈회(아베파)61석
정책 과학 연구소(구나카소네파)48석
신정책 연구회(가와모토파)26석
목요일 클럽(니카이도 그룹)4석
무소속20석


5. 2. 일본 사회당


  • 중앙집행위원장: 도이 다카코
  • 중앙집행 부위원장: 오카다 도시하루, 오노 아키라, 가네코 미쓰, 전변성
  • 집행부 서기장: 야마구치 쓰루오
  • 정책심의회장: 이토 시게루
  • 국회대책위원장: 오이데 슌
  • 참의원의원 회장: 쓰노다 겐지로
  • 획득 의석: 136석

5. 3. 공명당

직책이름
중앙 집행위원장이시다 고시로
중앙 집행 부위원장오사다 타케시, 후시키 카즈오, 미키 타다오
집행부 서기장이치카와 유이치
정책 심의회장사카구치 치카라
국회 대책 위원장사카이 코이치
참의원의원 단장쿠로야나기 아키라
최고고문다케이리 요시카쓰, 야노 준야


5. 4. 일본 공산당

미야모토 겐지를 중앙위원회 의장으로, 무라카미 히로시를 간부회 위원장으로 하여 총 16석을 획득하였다.

직책이름
중앙위원회 의장미야모토 겐지
중앙위원회 부의장후와 테츠조
간부회 위원장무라카미 히로시
간부회 부위원장오가사와라 사다코, 에비스다니 하루마츠, 타카하라 신이치
서기국장카네코 미츠루광
정책 위원회 책임자요시오카 요시노리
국회 대책 위원장테라마에 겐
참의원의원 단장하시노토 아츠시


5. 5. 민사당

永末 英一|나가스에 에이이치일본어 위원장과 米沢 隆|요네자와 다카시일본어 서기장을 중심으로 한 민사당은 14석을 획득하였다.

직책이름
중앙 집행위원장나가스에 에이이치
중앙 집행 부위원장가와무라 마사루, 오우치 에이코
집행부 서기장요네자와 다카시
정책 심의회장나카노 간세이
국회 대책 위원장요시다 유키히사
참의원의원 회장산지 시게노부
상임 고문쓰카모토 사부로


5. 6. 사회민주연합

직책이름
상임 임원회 대표에다 사쓰키
상임 임원회부대표나라사키미지조, 진풍
집행부 서기장겸국회 대책 위원장아베 쇼고
정책 위원회 책임자간 나오토


5. 7. 진보당

다가와 세이이치를 대표로 하여 1석을 획득하였다.

6. 선거 후

헤이세이(平成) 시대 첫 중의원 총선거였던 이 선거에서 야당은 전년 제15회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의 재현을 위해 소비세 도입 여부를 쟁점으로 삼았다. 선거 전부터 중의원에서도 자유민주당(자민당)을 과반수 미만으로 만들려고 소비세를 최대 쟁점으로 삼아 언론에서도 보도되었다. 하지만, 시행 1년이 지나면서 소비세 도입 자체에 반대하는 유권자가 격감했기 때문에, 자민당은 275석이라는 과반수는 물론 안정 다수를 크게 웃도는 의석을 획득했다. 반대로 사회당을 제외한 공명당, 공산당, 민사당 등 야당은 의석을 크게 감소시켰다. 참의원 선거로부터 7개월 만에 다시 여당 자민당을 신임하는 중의원 선거 결과를 받아 제2차 가이후 내각이 발족했다.[3]

한편, 후에 확실한 버블 경제(バブル景気)였다고 평가받게 되는 당시 호경기를 여당은 자민당 정권의 성과라고 주장했고, 여당 유리의 정세로 보였으며, 자민당 승리는 사전에 상당히 예상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자민당 승리와 함께 증권시장에서 말하는 “호재 소진” 감이 감돌았고, 선거 전 37,460엔(2월 16일)이었던 닛케이 평균 주가(日経平均株価)는 주초인 19일에는 37,223엔으로 하락, 그 후에도 하락을 거듭하여 선거 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연말(12월 28일)에는 23,849엔이 되었다.[4] 버블 붕괴의 제1단계가 된 주식 버블 붕괴의 도화선이 될 양상을 보였다.

1967년(昭和42년) 1월 29일의 제3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23년 만에 1~3월에 실시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였다. 2024년(令和6年) 현재, 1~3월에 실시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이 제39회가 마지막이다.[5]

6. 1. 정국 추이

총선거 결과, 자민당은 의석수가 소폭 감소했으나 추가 공천을 통해 286석을 확보하며 중의원에서 단독 과반수를 유지했다. 가이후 도시키 총재는 유임되었고, 제2차 가이후 내각이 출범했다.[16] 자민당은 '자공민 노선'을 통해 공명당, 민사당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정국 안정을 꾀했다.

한편, 사회당은 의석수를 늘렸지만, 목표했던 여야 역전과 정권 획득에는 실패했다. 사회당은 장기적인 하락세로 인해 후보자 선정 작업에 난항을 겪었고, 특히 중선거구제에서 과반수 의석 확보에 필요한 복수 후보 공천에 어려움을 겪었다.[16] 또한, 자금난으로 인해 낙선 시 생활 보장을 하지 못해 후보자 영입에 어려움을 겪었다.[16] 도이 다카코 위원장은 선거 협력 대상이었던 공명당, 민사당과 함께 300석을 목표로 했으나, 실제 공천 후보는 과반수에 미달했다.[17]

사회당은 1967년 제31회 총선거 이후 최다 의석을 획득했지만, 이는 공명당, 민사당 등 다른 야당의 의석을 잠식한 결과였다. 특히 민사당은 의석이 절반 가까이 줄어드는 참패를 당했다. 공명당과 민사당은 사회당과의 연립 정권 협의를 중지하고, '자공민 노선'으로 불리는 보수·중도 연계 노선으로 전환했다.

이 선거에서는 종교 단체 옴진리교(현 아레후)가 '진리당'을 결성해 25명을 입후보시켰으나, 전원 낙선하며 참패했다. 교주 아사하라 쇼코(본명 마쓰모토 지즈오)는 선거 부정을 주장하며, 이를 계기로 교단이 무력으로 권력을 장악하려는 방향으로 전환했고, 이는 이후 마쓰모토 살인 사건, 지하철 살인 사건 등 일련의 옴진리교 사건으로 이어졌다.

6. 2. 한국에 미친 영향

1989년 일본 총선 결과는 한국의 민주화 운동과 진보 정당들에게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일본 사회당의 약진은 한국의 진보 진영에 희망을 주었으며, 한일 관계 개선과 동아시아 평화 구축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그러나 자민당의 장기 집권 지속은 일본의 우경화를 심화시키고, 역사 왜곡 문제, 독도 영유권 분쟁 등 한일 간 갈등 요인을 증폭시켰다. 더불어민주당은 일본 사회당의 실패를 반면교사 삼아, 수권 정당으로 거듭나기 위한 혁신과 대중적 지지 기반 확대의 필요성을 절감했다.[16][17]

6. 3. 기타

옴진리교가 '진리당'이라는 이름으로 이 선거에 참여했으나, 교주 아사하라 쇼코를 포함한 후보자 25명 전원이 낙선하며 참패했다.[16] 이는 옴진리교가 폭력적인 방향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마츠모토 살인 사건, 지하철 살인 사건 등 일련의 옴진리교 사건으로 이어졌다.[16]

이 선거는 헤이세이 시대 최초의 중의원 총선거이자, 1967년 제31회 중의원 의원 총선거 이후 23년 만에 1~3월에 실시된 마지막 중의원 총선거이다.[5]

버블 경제 붕괴가 시작되는 시점에 치러진 선거로, 선거 이후 닛케이 평균 주가가 급락하며 일본 경제의 장기 침체를 예고하는 신호탄으로 해석되기도 한다.[4]

참조

[1] 간행물 Elections held in 1990 http://archive.ipu.o[...] Inter-Parliamentary Union
[2] 논문 No Great Reversal in Japan: Elections for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in 1990 https://www.jstor.or[...] 1990
[3] 웹사이트 海部総裁時代 https://www.jimin.jp[...] 2017-07-10
[4] 웹사이트 1990年の日経平均株価 推移 時系列データ グラフ - 世界の株価指数(現在) https://quotes.jp/ni[...] quotes 2023-09-30
[5] 웹사이트 衆議院議員総選挙一覧表 https://www.shugiin.[...] 衆議院 2024-10-26
[6] 간행물 今月の広告批評 / S マドラ出版 1990-03-01
[7] 뉴스 朝日新聞 1989-11-11
[8] 웹사이트 女性蔑視から人種差別まで、昭和な政治家トンデモ発言集 https://diamond.jp/a[...] ダイヤモンド・オンライン 2018-01-27
[9] 서적 せいいっぱい 土井たか子半自伝 朝日新聞社
[10] 서적
[11] 간행물 官報号外 https://kokkai.ndl.g[...] 1991-01-18
[12] 간행물 官報号外 https://kokkai.ndl.g[...] 1991-03-07
[13] 간행물 官報号外 https://kokkai.ndl.g[...] 1992-03-13
[14] 간행물 官報号外 https://kokkai.ndl.g[...] 1992-10-30
[15] 서적 전후 정치사 신판 이와나미 신서
[16] 서적 힘껏 도이 다카코 반자전 아사히 신문사
[17] 서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