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차 십자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5차 십자군은 1217년부터 1221년까지 진행된 십자군 원정으로, 교황 인노첸시오 3세의 주도하에 시작되었으나 그의 사망 이후 호노리우스 3세가 이끌었다. 헝가리 왕 안드라시 2세가 초기에 참여했으나, 이집트 원정에서 실패하여 다미에타를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패배했다. 십자군은 이집트의 다미에타를 점령했으나, 만수라 전투에서 패배하고, 8년간의 휴전과 다미에타 반환을 조건으로 철수했다. 이 원정은 서방 세계에 많은 인명과 자원 손실을 가져왔으며, 프리드리히 2세의 불참과 펠라기우스의 무능한 지휘가 비판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5차 십자군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시기 | 1217년 9월 - 1221년 8월 29일 |
장소 | 시리아와 이집트 |
결과 | 아이유브 왕조의 승리 |
교전 세력 | |
십자군 | 신성 로마 제국 포르투갈 왕국 헝가리 왕국 프랑스 왕국 독일 왕국 |
레반트 | 예루살렘 왕국 키프로스 왕국 라틴 제국 |
군사Order | 성전 기사단 독일 기사단 구호 기사단 |
무슬림 세력 | 아이유브 왕조 |
지휘관 | |
십자군 | 언드라시 2세 레오폴트 6세 장 드 브리엔 지몬 3세 폰 자르브뤼켄 올리버 폰 파더보른 빌럼 1세 위그 1세 보에몽 4세 페이레 데 몬타구트 헤르만 폰 잘차 귀랭 드 몽테귀 에마르 드 레롱 펠라지오 갈바니 루트비히 1세 울리히 2세 |
아이유브 왕조 | 알아딜 알카밀 알무아잠 알아슈라프 알무자히드 시르쿠흐 |
병력 규모 | |
십자군 | 32,000명 |
아이유브 왕조 | 알 수 없음 |
피해 규모 | |
십자군 | 심각 |
아이유브 왕조 | 알 수 없음 |
2. 배경
인노첸시오 3세는 제4차 십자군의 실패, 알비 십자군, 어린이 십자군 등 일련의 사건들로 인해 새로운 십자군 원정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1212년 당시 유럽은 신성 로마 제국 내 권력 다툼, 프랑스와 잉글랜드 간의 전쟁, 스페인의 레콘키스타 등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 놓여 있었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는 필리프 슈바벤이 브룬스비크의 오토와 독일 왕위를 놓고 다투었으나, 1208년 필리프가 암살되면서 오토 4세가 황제가 되었다. 그러나 오토 4세는 교황과 대립하다 파문당했다. 프랑스는 알비 십자군과 존 왕과의 분쟁 (1213년-1214년 앵글로-프랑스 전쟁)에 휘말려 있었다.
예루살렘 왕국에서는 브리엔의 장이 몽페라의 마리아와의 결혼을 통해 실질적인 통치자가 되었다. 1212년 이사벨라 2세가 태어나자마자 여왕으로 선포되었고, 브리엔의 장은 섭정을 맡았다. 안티오크 공국은 안티오크 계승 전쟁으로 혼란스러웠다.
1210년 브리엔의 장은 아유브 왕조와의 휴전을 갱신하려 했으나, 현지 기독교인들은 거부했다. 이듬해 장은 알-아딜과 새로운 휴전을 맺어 1217년까지 유지했다. 그러나 무슬림의 강력한 힘과 요새 재건을 고려하여 장은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새로운 십자군이 필요했다.
인노첸시오 3세는 예루살렘을 기독교 통치하에 되돌리려는 목표를 잊지 않았고, 어린이 십자군의 비극을 교훈 삼아 새로운 십자군을 조직하려 했다. 그는 "어린아이들이 우리를 부끄럽게 만든다. 우리가 잠자는 동안 그들은 기꺼이 성지를 정복하러 나아간다."라고 말했다.[3]
2. 1. 십자군 준비
인노첸시오 3세는 1213년 교황 칙서 쿠이아 마이오르(Quia maior)를 발표하여 새로운 십자군을 촉구했고,[3] 1215년 제4차 라테란 공의회에서 ''Ad Liberandam'' 결의를 통해 십자군의 규범을 확립했다.프랑스에서는 로베르 드 쿠르송(Robert of Courçon) 추기경이 십자군 참여를 독려했으나, 성직자들과의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필리프 2세(Philip II of France)는 자신의 성직자들을 지지했고, 인노첸시오 3세는 로베르의 열정이 십자군의 성공에 위협이 된다는 것을 깨달았다.[4] 결국 프랑스인들은 1217년 원정에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인노첸시오 3세는 제4차 십자군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교황청 주도의 십자군을 계획하고, 1217년 6월 1일을 출정일로 정했다. 그는 1216년 7월 16일에 사망했고, 호노리우스 3세가 교황으로 즉위하여 십자군 원정을 주도했다.[5]
파더보른의 올리버(Oliver of Paderborn)는 독일에서 십자군을 전파하여 많은 성공을 거두었다.[7] 헝가리 왕 안드라시 2세는 십자군 참여 서약을 이행할 것을 촉구받았다.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1215년에 십자군 참여를 약속했으나, 신성 로마 황제 오토 4세와의 왕위 다툼 때문에 주저했고, 호노리우스 3세는 원정 시작 시기를 여러 번 연기했다.
3. 이베리아 반도와 레반트 상황
1212년까지 인노첸시오 3세는 제4차 십자군의 실패와 알비 십자군, 어린이 십자군에 대한 실망에 직면해 있었다. 당시 유럽은 신성 로마 제국, 프랑스, 잉글랜드, 스페인 등 각국이 내분과 전쟁에 휩싸여 새로운 십자군에 대한 의지가 거의 없었다.[2]
예루살렘에서는 브리엔의 장이 실질적인 통치자였다. 1210년 아유브 왕조와의 휴전을 갱신하지 않았지만, 이듬해 새로운 휴전을 협상하여 1217년까지 유지했다. 장은 교황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새로운 십자군이 시작되려면 유럽에서 출발해야 했다.[2]
인노첸시오 3세는 성지로 향하는 십자군을 조직하기를 희망했고, 1213년 4월 교황령 쿠이아 마이오르(Quia maior)을 발표하여 십자군 참여를 촉구했다.[3] 1215년 11월 11일, 제4차 라테라노 공의회(Fourth Lateran Council)가 소집되어 성지 회복을 촉구했다.[4]
인노첸시오 3세는 1216년 7월 16일에 사망했고, 호노리우스 3세(Pope Honorius III)가 교황으로 즉위했다.[5] 파더보른의 올리버(Oliver of Paderborn)는 독일에서 십자군을 전파하여 성공을 거두었고,[7] 1216년 7월, 호노리우스 3세는 헝가리 왕 안드라시 2세(Andrew II of Hungary)에게 십자군을 이끌 것을 촉구했다. 프리드리히 2세는 1215년에 성지로 향할 맹세를 했지만, 왕위 다툼으로 인해 주저했고, 호노리우스 3세는 원정 시작 시기를 여러 번 연기했다.
1193년 살라딘(Saladin)이 사망했고, 그의 동생 알아딜 1세(al-Adil I)가 대부분의 영토를 계승했다. 1201년에서 1202년에 걸쳐 기근과 전염병이 발생했고, 시리아와 아르메니아까지 영향을 미친 지진이 여러 도시를 파괴했다.[8]
알아딜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기독교인들과의 휴전을 유지했으며, 예루살렘과 다마스쿠스의 방어를 강화했다.[9] 1217년 헝가리 왕 안드라슈 2세와 오스트리아 공 레오폴트 6세가 아크레에 도착하여 십자군 원정을 시작했다.[39] 십자군의 침공을 두려워한 다마스쿠스의 왕 알-무아잠은 예루살렘의 성벽을 파괴했다.[40] 십자군은 시리아에서 이슬람 세력과 소규모 전투를 벌였지만, 큰 성과는 없었고 1218년 초 헝가리 왕 등이 귀국하며 철병했다.[41]
4. 헝가리 왕 안드라시 2세의 십자군
1217년 헝가리 왕 안드라시 2세와 오스트리아 공 레오폴트 6세는 아크레에 도착하여 예루살렘 왕 장 드 브리엔, 키프로스 왕 위그, 안티오키아 공 보에몽 등 현지 십자군 국가의 여러 제후들과 합류했다.[39] 헝가리의 안드라스 2세는 1216년 7월 교황의 요청으로 그의 아버지 벨러 3세의 십자군 원정 서약을 이행하라는 요청을 받았고, 세 차례 연기한 끝에 마침내 동의했다. 1217년 7월, 안드라스는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6세와 메라니아의 오토 1세를 동반하여 자그레브에서 출발했다. 안드라스 왕의 군대는 매우 규모가 컸는데, 최소 2만 명의 기병과 그보다 훨씬 많은 "셀 수 없는" 보병이었다.
헝가리 군대는 1217년 10월 9일 키프로스에 상륙하여 아크레로 항해하여 브리엔느의 장, 메랭쿠르의 라울, 키프로스의 위그 1세와 합류했다. 헝가리로 돌아갈 때까지 안드라스 왕은 제5차 십자군에서 기독교 세력의 지도자로 남았다.[9] 1217년 10월, 원정대 지도자들은 아크레에서 안드라스 2세의 주재로 전쟁 회의를 열었다.
장 드 브리엔느와 안드라슈 2세를 지휘관으로 하여 십자군은 진군을 시작했다.[39] 십자군은 시리아에서 이슬람 세력과 소규모 전투를 벌였지만, 거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41] 1218년 초, 병든 안드라스는 파문의 위협을 받아 헝가리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41] 안드라스와 그의 군대는 1218년 2월 헝가리로 떠났다.[41]
5. 이집트 원정
인노첸시오 3세는 제4차 십자군과 알비 십자군, 어린이 십자군 등의 실패로 인해 새로운 십자군 원정에 대한 열의가 낮아진 상황에 직면했다. 브리엔의 장은 예루살렘 왕국의 실질적인 통치자였으나, 병력 부족으로 인해 유럽의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1218년 5월 27일, 십자군 함대가 다미에타 항구에 도착하여 다미에타 공방전이 시작되었다.[10] 십자군은 다미에타의 사슬탑을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지만, 알 아딜이 사망하고 알 카밀이 즉위하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레오폴트 6세와 브리엔의 장은 예루살렘을 탈환하려면 아이유브 왕조의 본거지인 이집트를 공략해야 한다고 판단했다.[42] 십자군은 제노바 함대와 협력하여 다미에타를 포위하고, 푸니엘이라는 거대한 투석기를 이용해 성벽을 공격했다.
8월, 알-아딜이 사망하고 알-카밀이 즉위했다. 9월에는 교황 특사 펠라기우스가 이끄는 후발대가 도착했으나, 펠라기우스가 십자군 지휘권을 요구하면서 브리엔의 장을 비롯한 여러 귀족들과 마찰이 발생했다.
5. 1. 다미에타 공방전
다미에타 공방전은 1218년 5월 27일 십자군 함대가 나일 강 우안의 다미에타 항구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10] 십자군은 다미에타를 포위하고, 푸니엘이라는 거대한 투석기를 이용해 성벽을 공격했다.[42] 다미에타의 요새는 세 개의 성벽과 수십 개의 탑, 그리고 나일 강을 가로막는 거대한 철사슬이 있는 ''부르주 알-실실라''(사슬탑)로 방어되고 있었다.1218년 6월 23일, 십자군은 탑을 공격했으나 실패했다. 이후 두 가지 새로운 유형의 함선을 개조하여 공격을 시도했으나, 첫 번째 공격은 실패로 끝났다. 파데보른의 올리버는 프리지아와 독일 추종자들의 지원을 받아 독창적인 공성 무기를 고안했고, 8월 24일 새로운 공격을 통해 탑을 함락시키고 방어용 사슬을 끊는 데 성공했다.
탑 함락 직후, 아이유브 왕조의 술탄 알-아딜이 사망하고 그의 아들 알-카밀이 술탄 자리를 계승했다. 알-카밀은 나일 강 상류에 여러 척의 배를 침몰시켜 방어 조치를 취했고, 1218년-1219년 겨울 동안 나일 강은 대부분 막혔다.
1219년 2월, 알-카밀은 쿠르드족의 반란에 대응하기 위해 카이로로 돌아갔고, 십자군과의 평화 협상을 시도했다. 그는 다미에타와 팔레스타인 남부의 두 성을 확보하는 대가로[43] 옛 예루살렘 왕국 영토의 반환, 참십자가와 포로 송환을 제안했다.[42][44] 브리엔의 장과 현지 귀족들은 이를 원했지만, 교황 특사 펠라기우스 갈바니는 이교도와의 협상을 거부했고, 이집트의 상업적 이권을 노리는 제노바 세력도 반대하여 제안은 무산되었다. 십자군 진영에는 페스트가 유행하여 템플 기사단장 기욤 드 샤르트르도 병으로 사망했다.[45]

1219년 9월, 아시시의 프란체스코는 펠라기우스의 허락을 받고 알-카밀을 방문하여 평화를 설득하려 했다.[11] 알-카밀은 프란체스코 일행을 정중하게 맞이했지만, 이슬람의 악에 대해 설교하려는 그들의 의도를 알고 신하들은 처형을 요구했다. 그러나 알-카밀은 그들을 십자군 진영으로 호송했고, 프란체스코는 기독교 포로에 대한 더 인도적인 대우를 약속받았다.

1219년 11월, 십자군은 마침내 다미에타를 함락시키는 데 성공했다.[46] 그러나 브리엔의 장은 다미에타를 예루살렘 왕국의 영토로 생각했지만, 펠라기우스는 교황령으로 할 의향을 보였고, 분노한 장은 1220년 2월 아르메니아의 왕위 쟁탈전에 개입하기 위해 아크레로 돌아갔다. 이로 인해 펠라기우스가 십자군의 지도력을 장악했지만, 전투 지휘 능력이 부족하여 프리드리히 2세의 도착을 기다리며 장기전이 이어졌다.
5. 2. 다미에타 점령 이후
다미에타가 함락된 후, 카이사리아의 발터는 100명의 키프로스 기사와 그들의 무장병을 데려왔고, 피터 샤페는 키프로스 기사와 그의 휘하에 있는 젊은 노바라의 필립을 데려왔다. 이집트에 있는 동안 필립은 법률 자문관인 티베리아스의 랄프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장이 없는 동안 펠라기우스는 다미에타와 아크레 사이의 해상 루트를 방비하지 않아, 무슬림 함대가 리마솔 항구에서 십자군을 공격하여 1,000명 이상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대부분의 키프로스인들은 장과 함께 이집트를 떠났다. 장은 귀환길에 키프로스를 거쳐 일부 병력을 데리고 왔다.[46][45]장은 주로 자금 부족으로 몇 달 동안 예루살렘에 머물렀다. 그의 조카인 브리엔느의 발터 4세가 성년이 되자, 장은 1221년에 브리엔느 백작령을 그에게 양도했다. 장은 이집트로 돌아가 1221년 7월 6일 교황의 지시에 따라 십자군에 다시 합류했다.[44]
이 때문에 펠라기우스가 십자군의 지도력을 장악했지만, 그는 군사 지휘 능력이 부족했기 때문에 프리드리히 2세의 도착을 기다리고 있었다. 알 카밀 역시 만수라에서 대치하며 방비를 강화하고 있어, 장기전이 계속되었다.[42]
5. 3. 만수라 전투와 십자군의 패배
1221년 5월, 바이에른 공작 루트비히 1세가 이끄는 상당한 병력이 제5차 십자군에 합류했고, 7월에는 장 드 브리엔도 돌아와 십자군은 공세에 나섰다.[12]펠라기우스 갈바니는 승리를 확신하고 나일 강을 통해 보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여러 장수들의 충고를 무시하고 충분한 식량과 보급품 없이 진격했다. 그러나 만수라 직전의 나일 강 삼각주 지대에서 십자군의 진격은 저지되었다. 때마침 우기의 나일 강 범람기에 접어들어 강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었다.
후퇴로가 끊길 위험에 처한 십자군은 8월 26일에 짐을 불태우고 후퇴를 시작했다. 그러나 이를 본 아이유브 술탄 알 카밀은 나일 강 제방을 끊어 십자군을 진흙탕 속에 고립시켰다. 식량이 부족했던 십자군은 결국 8월 30일에 항복하여 다미에타를 반환하는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8년간의 휴전과 참십자가 반환이라는 조건도 있었지만, 참십자는 이미 분실되어 돌아오지 않았다.
6. 결과
제5차 십자군은 서방에 아무런 이득 없이 많은 인명, 자원, 명성을 잃고 실패로 끝났다.[12] 황제군이 도착하기 전에 공격 작전이 시작된 것과 조약에 반대한 것에 대해 많은 비판이 있었다. 브리엔느의 장은 국제군 지휘 능력이 부족했고, 1220년에 십자군을 사실상 버렸다는 비난을 받았다.[12] 펠라기우스는 무능한 지도력과 술탄의 평화 제안을 거부하게 만든 잘못된 견해로 비난받았다.[12]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프리드리히 2세는 성지보다 유럽에 야망을 두었기에 가장 큰 비판을 받았다.[12] 십자군은 참십자가 조각조차 되찾지 못했다.[12]
펠라기우스와 장 드 브리엔느 외에도 프리드리히 2세는 직접 참전하지 않아 큰 비난을 받았고, 이는 곧 제6차 십자군으로 이어졌다. 이후 십자군은 각국 왕들이 주도하게 되었고, 교황 주도의 십자군은 제5차 십자군이 마지막이 되었다.
7. 참여 인물
제5차 십자군에 참여한 사람들의 목록은 기독교인 및 무슬림 분류에서 찾을 수 있다.
8. 사료
제5차 십자군에 대한 사료 연구는 이 군사 원정에 대한 역사뿐만 아니라 주요 인물들의 전기도 다룬다. 1차 사료는 주로 십자군 참여자들이 직접 작성하거나 사건과 동시대에 작성된 기록들이다. 주요 1차 사료는 다음과 같다.
- 자크 드 비트리의 ''Historia Orientalis''(동방사)와 ''Epistolae''(서한집)[17]
- 파더보른의 올리버의 ''Historia Damiatina''(다미에타사)[18]는 십자군에서 그가 경험한 내용을 담고 있다.
- 웬도버의 로저의 ''Flores Historiarum''(꽃다발 역사)[19]는 1188년부터 제5차 십자군까지의 시기를 다룬다.[20]
아랍어 사료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Fifth Crusade (1217-1221)
https://erenow.org/p[...]
[2]
서적
The Crusades – An Encyclopedia
2006
[3]
백과사전
Summons to a Crusade, 1215
https://sourcebooks.[...]
Fordham University
[4]
백과사전
Fourth Lateran Council (1215)
wikisource:Catholic [...]
Robert Appleton Company
1913
[5]
논문
Pope Honorius III and the Holy Land Crusades, 1216–1227: A Study in Responsive Papal Government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London
2013
[6]
백과사전
Jacques de Vitry
wikisource:Catholic [...]
Robert Appleton Company
1910
[7]
서적
Oliver von Paderborn
https://www.deutsche[...]
Duncker & Humblot
1887
[8]
서적
Conflict and Conquest in the Islamic World: A Historical Encyclopedia
[9]
서적
Outlines of history: from the earliest period to the present time
[10]
지도
The Fifth Crusade, 1218–1221
https://images.libra[...]
University of Wisconsin Cartography Laboratory
[11]
백과사전
St. Francis of Assisi
wikisource:Catholic [...]
Robert Appleton Company
1909
[12]
웹사이트
Guillaume de Chartres (died 1218)
http://www.templiers[...]
2020
[13]
백과사전
Prester John–Second Stage
wikisource:Catholic [...]
Robert Appleton Company
1911
[14]
서적
Religions of the Silk Road: Overland Trade and Cultural Exchange from Antiquity to the Fifteenth Century
St. Martin's Press
1999
[15]
논문
The Troubadours and the Song of the Crusades
https://digitalcommo[...]
2016
[16]
백과사전
Jacques Bongars
wikisource:1911 En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17]
백과사전
James of Vitry (died 1240)
[18]
백과사전
Oliver of Paderborn (died 1227)
[19]
백과사전
Roger of Wendover
https://referencewor[...]
2016
[20]
서적
Roger of Wendover's Flowers of history
https://catalog.hath[...]
H. G. Bohn
1849
[21]
서적
Quinti belli sacri scriptores minores sumptibus
https://www.persee.f[...]
1879
[22]
서적
The Deeds of Pope Innocent III
https://www.jstor.or[...]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4
[23]
논문
Narratio patriarcae. The origin and destiny of a story about the Muslim Middle East circa 1200
https://www.cairn-in[...]
2018
[24]
서적
2021
[25]
백과사전
Ibn al-Athir (1160–1233)
[26]
백과사전
Abū Shāma Shihāb al-Dīn al-Maqdisī
https://referencewor[...]
[27]
백과사전
Abū al-Fidā
https://referencewor[...]
2016
[28]
서적
Histoire des Sultans Mamlouks de l'Égypte
https://catalog.hath[...]
Paris
1845
[29]
서적
Quinti belli sacri scriptores minores sumptibus
https://catalog.hath[...]
Osnabrück, Austria
1879
[30]
서적
Testimonia minora de quinto bello sacro e chronicis occidentalibus
https://catalog.hath[...]
Genevae
1882
[31]
백과사전
Thomas Fuller
wikisource:Fuller, T[...]
London
1889
[32]
백과사전
Joseph-François Michaud
wikisource:Catholic [...]
New York
1911
[33]
백과사전
Reinaud, Joseph Toussaint
wikisource:1911 En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11
[34]
백과사전
Cox, George William
wikisource:Cox, Geor[...]
London
1912
[35]
백과사전
Crusades
wikisource:Catholic [...]
Robert Appleton Company
1908
[36]
서적
Crusad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37]
웹사이트
Encyclopedia of Religious Knowledge
https://ccel.org/cce[...]
[38]
서적
Crusades (Sources and Bibliography)
Robert Appleton Company
[39]
서적
十字軍
[40]
서적
物語エルサレムの歴史
中央公論新社
[41]
서적
十字軍大全 年代記で読むキリスト教とイスラームの対立
[42]
서적
十字軍
[43]
서적
十字軍騎士団
[44]
서적
十字軍大全 年代記で読むキリスト教とイスラームの対立
[45]
서적
十字軍騎士団
[46]
서적
物語中東の歴史 オリエント五〇〇〇年の光芒
中央公論新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