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러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러 3세는 1148년경에 태어나 1196년에 사망한 헝가리의 국왕이다. 게저 2세의 아들로, 비잔티움 제국에서 성장하여 데스포테스 칭호를 받았으며, 헝가리 왕위에 오른 후 달마티아에 대한 종주권을 회복하고 행정 개혁을 추진했다. 그는 또한 고딕 건축 양식을 도입하고 수도원을 건립하는 등 헝가리 왕국의 발전과 영토 확장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8년 출생 - 오에노 히로모토
오에노 히로모토는 가마쿠라 막부의 창업 공신으로, 막부의 정책 결정에 참여하고 호조씨의 권력 장악을 도왔으며 조큐의 난에서 막부의 승리에 기여했다. - 1148년 출생 - 교황 호노리오 3세
교황 호노리오 3세는 사벨리 가문 출신으로 1216년부터 1227년까지 재임한 교황으로서, 십자군 결성, 수도회 지원, 유럽 정치 관여, 저술 활동 등으로 교회에 기여했다. - 세르비아계 헝가리인 - 버르토크 벨러
버르토크 벨러는 헝가리 민속 음악을 연구하여 고전주의, 낭만주의, 민속 음악을 결합한 독창적인 음악 스타일을 구축한 20세기 헝가리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 민족음악학자이다. - 세르비아계 헝가리인 - 네마냐 니콜리치
네마냐 니콜리치는 유고슬라비아 출신 헝가리 국적의 축구 선수로, 페헤르바르 FC, 레기아 바르샤바 등에서 활약하며 헝가리 리그와 폴란드 리그 우승을 경험하고 MLS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UEFA 유로 2016과 2020에 참가했다. - 1196년 사망 - 조여우
조여우는 송나라 효종, 광종, 영종 시대의 재상으로, 효종의 신임을 받아 광종 폐위 후 영종을 옹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탁주와의 대립으로 유배 중 사망 후 복권되었으며 주희를 옹호하여 송명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1196년 사망 - 이의민
이의민은 경주 출신의 고려 시대 무신으로, 무술 실력으로 의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정중부의 난 이후 권력을 잡고 횡포를 부리다 최충헌 형제에게 암살당했다.
벨러 3세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벨러 3세 |
헝가리어 이름 | III. Béla |
크로아티아어 이름 | Bela III. |
슬로바키아어 이름 | Belo III. |
통치 | |
칭호 | 헝가리와 크로아티아의 왕 |
통치 기간 | 1172년 5월 4일 – 1196년 4월 23일 |
대관식 | 1173년 1월 13일, 세케슈페헤르바르 |
이전 통치자 | 이슈트반 3세 |
후임 통치자 | 임레 |
배우자 | |
배우자 | 아녜스 드 샤티용 마르그리트 드 프랑스 |
자녀 | 임레 마르기트, 동로마 황후 안드라스 2세 콘스탄티아, 보헤미아 왕비 |
가문 | |
왕조 | 아르파드 가문 |
아버지 | 게저 2세 |
어머니 | 에우프로시네 |
출생 및 사망 | |
출생 | 1148년경 |
사망 | 1196년 4월 23일 |
매장지 |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 마차시 교회에 재매장 |
종교 | |
종교 | 로마 가톨릭 |
2. 생애
벨러 3세는 게저 2세와 그의 아내인 키예프 대공국의 예프로시니야 무스티슬라브나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1163년 이슈트반 3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와 맺은 평화 조약에 따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했다.[17] 마누엘 1세는 벨러에게 '알렉시오스'라는 새 이름을 부여하고, 황제만이 사용하던 데스포테스 칭호를 내렸다.[18] 또한 자신의 딸 마리아와의 약혼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17] 1169년 마누엘 1세의 아들 알렉시오스 2세가 태어나자 벨러와 마리아의 약혼은 파기되었고, 벨러는 데스포테스 칭호를 박탈당하고 카이사르 칭호를 받았다. 1170년 벨러는 안티오키아 공국의 아그네스와 결혼하여 성지 순례를 떠났다.
1172년 3월 4일 이슈트반 3세가 사망하자 벨러는 헝가리로 귀환했고, 1173년 1월 18일 컬로처 주교로부터 왕관을 받았다.[4] 벨러는 국왕에 즉위한 이후에 동생인 게저(Géza)를 감옥으로 보냈다.[1] 게저는 1174년과 1175년 사이에 감옥을 탈출했고 나중에 오스트리아로 탈출하게 된다.[1]
1178년경 벨러는 프랑스의 시토회 수도사들을 초청하여 헝가리를 방문하게 했다. 벨러는 1179년부터 1184년까지 에게레시(Egres, 현재의 루마니아 슨페트루마레), 지르츠(Zirc), 센트고트하르드(Szentgotthárd), 필리시(Pilis)에 수도원을 건립했고 1180년대에는 에스테르곰에 왕궁과 수도원을 건립했다.
1180년 9월 24일 비잔티움 제국의 마누엘 1세 황제가 사망한 이후에는 6개월 이내에 달마티아의 종주권을 회복했다.[21] 또한 1180년부터 1181년까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시르미아를 탈환했다. 1188년에는 갈리치아를 점령했지만 2년 만에 포기했다.
1192년에는 헝가리의 라슬로 1세가 성인으로 추대되도록 하였다.[22]
벨러 3세는 1196년 4월 23일 사망하여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 묻혔다.[7] 그의 왕위는 임레가 승계받았다.
2. 1. 어린 시절 (1148년경 ~ 1163년)
게저 2세와 그의 아내인 키예프 대공국의 에프로시니야 무스티슬라브나 사이에서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출생 연도는 기록되지 않았지만, 유골 연구에 따르면 1196년 사망 당시 약 49세였으므로 1148년경에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요하네스 키나모스는 "아버지가 살아 있을 때 분배한 영토"를 언급하며[1] 게저 2세가 어린 아들에게 별도의 영토를 분봉으로 수여했음을 보여준다. 벨러의 영토에는 달마티아 중심부가 포함되었는데, 여기에는 시베니크, 스플리트, 트로기르 등 헝가리 왕의 종주권을 인정하던 도시들이 있었다. 키나모스는 이 지역을 "벨러의 유산"으로 언급했다.[2] 페렌츠 마크와 줄러 모라브칙은 벨러가 아버지로부터 크로아티아도 받았다는 데 동의한다. 시르미움이 벨러의 영토였는지, 아니면 아버지 사후에 얻었는지는 학자들 사이에 논쟁이 있다. 워렌 트레드골드에 따르면 벨러의 영토에는 보스니아도 포함되었다. 게저 2세가 벨러에게 영토를 수여한 정확한 날짜는 알 수 없지만, 마크는 1161년경으로 추정한다.
1162년 5월 31일 게저 2세가 사망하고 장남 이슈트반 3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이슈트반 3세는 벨러의 공작령 소유를 확인한 것으로 보이며, 키나모스는 게저 2세와 이슈트반 3세가 벨러에게 "오래 전에 부여"한[3] 영토를 언급했다. 이슈트반 3세는 즉위 직후 삼촌들인 라슬로 2세와 이슈트반 4세에게 쫓겨났으나, 비잔티움 제국 황제 마누엘 1세 콤네노스의 지원을 받은 삼촌들의 찬탈 시도는 실패하고, 1163년 중반 이슈트반 3세가 왕위를 되찾았다. 벨러는 형제와 삼촌들의 갈등 동안 중립을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1163년, 마누엘 1세는 이슈트반 3세와 평화 조약을 맺고 반대자들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그 대가로 이슈트반 3세는 벨러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보내고 비잔티움 제국이 벨러의 공작령을 점유하도록 허용하는 데 동의했다. 황제는 또한 자신의 딸 마리아를 벨러와 결혼시키겠다고 약속했다.
2. 2. 비잔티움 제국에서의 생활 (1163년 ~ 1172년)
1163년 벨러는 이슈트반 3세가 비잔티움 제국의 마누엘 1세 황제와 맺은 평화 조약에 따라 콘스탄티노폴리스로 이주했다.[17] 마누엘 1세는 벨러에게 '알렉시오스'라는 새 이름을 부여하고, 이전에는 황제만이 사용하던 데스포테스 칭호를 내렸다.[18] 또한 자신의 딸 마리아와의 약혼을 공식적으로 발표했다.[17]1164년부터 1167년까지 벨러는 헝가리와 비잔티움 제국 간의 전쟁에 참전했다. 1165년 마누엘 1세는 벨러를 제위 계승자로 지명하고 비잔티움 귀족들에게 충성을 맹세하게 했다. 1166년에는 블라케르나이 공의회에 마누엘 1세 및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와 함께 참여했다.
1169년 마누엘 1세의 아들 알렉시오스 2세가 태어나자 벨러와 마리아의 약혼은 파기되었다. 마누엘 1세는 벨러에게서 데스포테스 칭호를 박탈하고 카이사르 칭호를 수여했다. 1170년 벨러는 안티오키아 공국의 아그네스와 결혼하여 성지 순례를 떠났다.
2. 3. 헝가리 왕 즉위 (1172년 ~ 1173년)
1172년 3월 4일 형 이슈트반 3세가 사망하자 벨러는 헝가리로 돌아왔다. 헝가리로 오기 전에 마누엘 1세 황제와 비잔티움 제국에 평생 동안 이익이 되는 일을 준수하겠다는 맹세를 했다. 1196년 이삭 2세 앙겔로스가 쓴 편지에는 벨러가 비잔티움 제국과 싸울 경우 세르비아를 지원하지 않겠다고 맹세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1]1179년 알렉산데르 3세가 쓴 편지에 따르면 벨러는 "헝가리 왕국의 고위 관리"들에 의해 만장일치로 왕으로 선출되었다.[1] 그러나 에스테르곰 대주교 루카치는 벨러가 성직 매매를 했다고 비난하며 대관식을 거부했다.[2] 루카치 대주교는 벨러의 통치 아래에서 "분열주의자"의 영향력이 증가할 것을 우려했다.[1] 그럼에도 대다수의 남작과 고위 성직자들은 벨러에게 충성을 유지했다.[3] 벨러는 루카치 대주교에 대항하기 위해 교황청의 도움을 구했고,[2]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칼로차 대주교에게 벨러에게 왕관을 씌우는 권한을 부여했다.[1] 1173년 1월 18일, 벨러는 칼로차 대주교에게 대관식을 받았다.[4]
2. 4. 국내 통치와 분쟁 (1173년 ~ 1178년)
벨러 3세는 즉위 후 동생 게저를 감옥에 가두었으나,[1] 게저는 1174년에서 1175년 사이에 탈출하여 오스트리아로 도망쳤다.[1] 오스트리아 공작 하인리히 2세가 게저의 인도를 거부하자, 벨러는 보헤미아 공작 소베슬라프 2세와 함께 오스트리아를 약탈했다.[6] 한편, 벨러는 룸 셀주크에 대항하여 싸우는 비잔티움 제국의 마누엘 1세 황제에게 지원군을 보냈지만, 1176년 9월 17일 미리오케팔론 전투에서 연합군은 패배했다.[6]게저는 신성 로마 황제 프리드리히 1세를 만나려 했지만, 소베슬라프 2세는 게저를 체포하여 1177년에 벨러에게 넘겨주었다.[7] 벨러는 다시 게저를 투옥하고, 어머니 유프로시네도 감금했다.[7] 프리드리히 1세는 소베슬라프 2세를 폐위시키고, 보헤미아 공작으로 프리드리히를 임명했다.[7] 신성 로마 황제는 오스트리아 공작 레오폴트 5세에게 보헤미아 공격을 명령했지만, 벨러는 레오폴트 5세에게 침공을 위협하여 보헤미아에서 물러나게 했다.[7]
벨러 3세는 에스테르곰 대주교 루카치를 멀리했고, 루카치는 벨러의 통치 초기에 무시당했다.[13] 1174년 칼로차 대주교가 벨러의 맏아들 임레에게 세례를 주었는데, 왕족에게 성사를 집행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에스테르곰 대주교의 임무였다.[5] 1176년경, 칼로차 대주교 안드라스가 벨러를 모욕하는 사건이 일어났다.[14] 벨러는 안드라스와 그의 지지자의 지위를 빼앗고 재산을 압수했다.[14] 교황 알렉산데르 3세는 벨러를 교회법에 따라 처벌하려 했지만, 루카치와 화해한 벨러는 형벌을 해제받고 안드라스를 추방했다.[14] 이후 교황청의 중재로 안드라스는 벨러에게 용서를 구했고, 벨러는 안드라스를 칼로차 대주교 지위에 복직시켰다.[14]
2. 5. 확장과 개혁 (1178년 ~ 1194년)
벨러 3세는 프랑스 시토회 수도사들을 초청하여 1179년부터 1184년 사이에 에게레시(Egres, 현재의 루마니아 슨페트루마레), 지르츠(Zirc), 센트고트하르드(Szentgotthárd), 필리시(Pilis)에 수도원을 건립했다.[10] 1180년대에는 에스테르곰에 웅장한 왕궁과 새로운 대성당 건설을 시작했는데,[10] 이 건물들은 중앙 유럽에서 초기 고딕 건축 양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벨러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잘 조직된 행정의 중요성을 배웠다.[10] 그는 서면 기록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1181년에 자신의 면전에서 모든 거래에 대한 칙령을 발급하도록 명령했다.[10] 이는 왕실 사무국이 그의 통치 기간에 별도의 사무실로 기능하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10]
1180년 마누엘 1세 콤네노스 황제가 사망하자, 벨러는 6개월 이내에 달마티아에 대한 종주권을 회복했다.[21] 1181년 초에는 자다르 역시 벨러의 종주권을 받아들였다.[21] 또한 1180년부터 1181년까지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시르미아를 탈환했다. 1188년에는 갈리치아를 점령했지만, 2년 만에 볼히니아 공 로만 므스티슬라비치에게 빼앗겼다.[22]
1192년에는 헝가리의 라슬로 1세가 성인으로 추대되도록 하였다.[22]
2. 6. 말년 (1194년 ~ 1196년)
1194년, 벨러 3세는 이미 미래의 국왕으로 즉위한 장남 임레를 크로아티아와 달마티아 통치자로 임명했다.[1] 같은 해, 불가리아, 쿠만, 블라흐 연합군이 아르카디오폴리스 전투에서 비잔틴 제국을 격파하자, 벨러 3세는 비잔틴 제국을 지원하려 했다.[2] 그러나 벨러 3세의 사위인 이사이오스 2세 앙겔로스 황제가 1195년 4월 알렉시우스 3세 앙겔로스에 의해 폐위되면서 원정은 취소되었다.[3] 신성 로마 제국의 하인리히 6세는 폐위된 황제를 대신하여 비잔틴 제국에 대한 원정을 계획했지만, 벨러 3세는 신하들이 하인리히 6세에게 합류하는 것을 금지했다.[4]벨러 3세는 성지로 십자군을 이끌고 싶은 마음을 나타내는 표시로 십자가를 졌다.[5] 그러나 병에 걸려 1196년 4월 23일에 사망하여 맹세를 지킬 수 없었다.[6] 벨러 3세는 세케슈페헤르바르 대성당에 묻혔다.[7] 19세기에 고고학자들의 발굴로 그의 유해가 정확히 확인되었는데, 그 이유는 동시대 자료인 런던의 리처드가 벨러 3세의 뛰어난 키에 대해 기록했기 때문이다.[8] 벨러 3세의 골격은 그가 190cm의 키였음을 보여준다.[9] 벨러 3세의 유해는 부다페스트의 마차시 성당으로 재이장되었다.[10]
3. 유산
벨러 3세는 중세 헝가리의 가장 강력한 군주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1] 역사학자 팔 엥겔은 그의 통치가 아르파드 왕조의 최전성기이자 한 시대의 종말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1]
벨러 3세는 헝가리 왕국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특히, 왕립 재무원 설립은 헝가리에서 서면 기록 확산에 기여했으며, 1190년대에는 귀족들이 발행한 최초의 헌장이 나타났다.[2][3] 벨러 3세의 연간 수입은 거의 17만 마르크(약 23톤의 순은)에 달했다는 기록이 있지만,[4][5] 이 기록의 신뢰성에 대해서는 팔 엥겔을 포함한 많은 역사가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4][6][7]
1190년경, 에스테르곰을 파괴한 화재 이후, 벨러 3세는 프랑스 석공들을 초청하여 왕궁과 대성당을 재건했다.[8][9] 이들이 도입한 새로운 건축 양식은 중앙 유럽 초기 고딕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9][10]
벨러 3세는 이중 십자 문양을 헝가리 왕실 문장의 일부로 도입했다. 1190년경부터 주조된 동전에 이중 십자가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는 비잔틴 제국의 교회에서 주로 사용되던 문양이었다.[11]
벨러 3세는 1161년경 어머니에게서 크로아티아, 달마티아, 스레미아를 포함하는 공국을 받았으며,[12] 1188년에는 갈리치 공국을 점령했지만 2년도 채 안 되어 잃었다.[13]
4. 가계
III. Bélahu의 가계는 다음과 같다.
아버지 | 게저 2세 |
---|---|
어머니 | 키예프의 예프로시니야 |
벨러 3세는 두 번 결혼하였다.
두 번째 부인 | 프랑스의 루이 7세의 딸 마르가레트 |
---|
참조
[1]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2]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3]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4]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5]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6]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7]
서적
The Deeds of Frederick Barbarossa
[8]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9]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0]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11]
서적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12]
서적
Life of John of Rila from the Stishen (Sofia) Prologue
[13]
논문
DNA profiling of Hungarian King Béla III and other skeletal remains originating from the Royal Basilica of Székesfehérvár
2019
[14]
논문
Determination of the phylogenetic origins of the Árpád Dynasty based on Y chromosome sequencing of Béla the Third
2020
[15]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6]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7]
서적
Deeds of John and Manuel Comnenus by John Kinnamos
[18]
서적
O City of Byzantium, Annals of Niketas Choniates
[19]
서적
The Deeds of Frederick Barbarossa
[20]
서적
The Hungarian Illuminated Chronicle
[21]
서적
Archdeacon Thomas of Split: History of the Bishops of Salona and Split
[22]
서적
Life of John of Rila from the Stishen (Sofia) Prologu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