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드 맨리 홉킨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라드 맨리 홉킨스(Gerard Manley Hopkins, 1844–1889)는 영국의 시인이자 예수회 사제이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고전학을 공부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한 후 예수회에 입회했다. 그는 스프렁 리듬이라는 독창적인 시 형식을 개발했으며, "도이칠란트의 난파", "빈지 포플러스", "얼룩 무늬의 아름다움"과 같은 작품을 남겼다. 홉킨스는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독창적인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현대 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티푸스로 죽은 사람 - 주공삼
주공삼은 일제강점기와 한국 전쟁 시기를 거치며 월남을 시도하고 피난 생활을 하다가 1953년 뇌수막염으로 사망한 인물이며, 주요 자녀로 주요한, 주요섭, 주영섭 등이 있다. - 장티푸스로 죽은 사람 - 윌리엄 M. 베어드
윌리엄 M. 베어드는 미국의 북장로교 선교사로 1891년 한국에 건너와 선교 활동을 했으며, 1897년 평양에서 숭실학당을 설립하고 1906년 한국 최초의 근대 대학으로 발전시켰다. - 1889년 사망 - 다미앵 신부
벨기에 출신 로마 가톨릭 사제이자 예수 성심 성모 수도회 소속 선교사인 다미앵 신부는 하와이 몰로카이섬에서 한센인들을 16년간 헌신적으로 돌보며 사목 활동을 펼치다 자신도 한센병에 감염되었으나 봉사를 이어갔고, 사후 시성되어 소외된 이들을 위한 봉사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1889년 사망 - 제퍼슨 데이비스
미국의 군인이자 정치인인 제퍼슨 데이비스는 아메리카 연합국의 초대 대통령으로서 남북 전쟁 당시 남부 연합을 이끌었으며, 노예제 옹호와 남부 연합 지도자로서의 역할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844년 출생 - 프리드리히 니체
프리드리히 니체는 "신은 죽었다"라는 선언으로 알려진 19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도덕, 종교, 형이상학 비판, '힘에의 의지', '위버멘쉬', '영원회귀' 등의 개념 제시로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44년 출생 - 앙리 루소
프랑스의 화가 앙리 루소는 정규 미술 교육 없이 세관원으로 일하며 독학으로 그림을 그린 소박파 화가로, 전통적인 회화 기법을 따르지 않은 독특한 화풍으로 환상적이고 이국적인 정글 그림을 그려 아방가르드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며 초현실주의 미술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제라드 맨리 홉킨스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성직자 |
이름 | 제라드 맨리 홉킨스 |
존칭 접미사 | SJ |
출생일 | 1844년 7월 28일 |
출생지 | 스트랫퍼드, 에식스, 잉글랜드 |
사망일 | 1889년 6월 8일 |
사망지 | 더블린, 아일랜드 |
매장지 | 글라스네빈 공동묘지, 더블린, 아일랜드 |
종교 | 가톨릭 교회 |
직업 | 시인 예수회 사제 학자 |
교육 | 하이게이트 스쿨 |
모교 | 헤이throp 칼리지, 런던 발리올 칼리지, 옥스퍼드 |
서명 | signature: signature_alt: |
사제 정보 | |
서품 | 1877년 9월 |
기타 정보 |
2. 생애
제라드 맨리 홉킨스는 1844년 에식스 스트랫퍼드에서 태어났다. 1863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베일리얼 칼리지에 입학하여 평생의 친구인 로버트 브리지스(훗날 영국 계관시인)와 우정을 쌓았으며, 작가이자 비평가인 월터 페이터에게 지도를 받았다.[1][8]
재학 중 옥스퍼드 운동의 영향을 받아 존 헨리 뉴먼의 지도로 1866년 로마 가톨릭 교회로 개종했다.[1] 이로 인해 가족과 소원해졌으나, 1868년 예수회에 입회하여 성직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3][10] 시를 쓰는 것이 성직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 자신의 시를 불태우고 7년간 창작을 중단하기도 했다.[3][10]
1870년 예수회 수련을 마치고 스토니허스트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가난, 정결, 복종을 서약했다.[11] 1872년 던스 스코투스를 읽고 종교와 시에 대한 갈등을 해소했으며, 1874년 세인트 베누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웨일스어를 배웠다. 1875년, 독일 여객선 도이칠란트 호 침몰 사건을 계기로 시 창작을 재개했으나, 대작 <도이칠란트의 난파>는 난해하다는 이유로 게재되지 못했다.
1877년 사제 서품을 받았으나 가족은 참석하지 않았다.[15] 1878년 유리디시 호 침몰 사고를 기리는 시를 썼으나 출판이 거부되었다.[15] 1879년부터 1883년까지 여러 지역 가톨릭 성당에서 보좌 신부 등으로 성직을 수행했으나, 사목에는 크게 성공적이지 못했다.[15]
1884년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교수가 되었으나, 과중한 업무와 아일랜드 사람들의 영국에 대한 적대감 등으로 인해 심한 피로와 우울증을 겪었다.[15] 종교적 의무와 시적 재능 사이의 갈등으로 자신이 실패했다고 느꼈으며,[15] 1889년 장티푸스와 복막염으로 44세에 사망했다. 임종 때 "나는 매우 행복합니다, 나는 매우 행복합니다, 나는 내 인생을 사랑했습니다"라는 말을 남겼다.[4] 유해는 더블린의 글래스네빈 공동 묘역에 안장되었다.[17]
2. 1. 어린 시절과 가족
제라드 맨리 홉킨스는 1844년 7월 28일 런던 근교의 스트랫퍼드에서 태어났다.[1] 그는 여덟 남매 가운데 맏이였으며, 그의 가족은 성공회의 고교회파에 속하는 경건한 교인들이었다. 그는 10세부터 대학에 진학할 때까지 하이게이트 스쿨에서 공부했는데, 이 기간 동안 대학 진학을 위한 그리스어와 라틴어 중심의 학업에 열중하면서 꾸준히 시를 썼고, 장차 시인이며 미술가인 단테 가브리엘 로세티와 같은 예술가가 되고 싶어 했다.[1]
그의 아버지는 해상 보험 회사를 설립했으며 한때 런던에서 하와이 총영사를 지냈다.[2] 그는 또한 한동안 교회 집사를 세인트 존 앳 햄스테드에서 지냈다. 그의 할아버지는 의사이자 존 키츠의 대학 동료였으며, 괴짜 자선가 앤 스웨이트의 절친한 친구였던 존 심 스미스였다. 그의 삼촌 중 한 명은 하와이 왕국의 정치인인 찰스 고든 홉킨스였다.
시인으로서 홉킨스의 아버지는 ''A Philosopher's Stone and Other Poems''(1843), ''Pietas Metrica''(1849), ''Spicelegium Poeticum, A Gathering of Verses by Manley Hopkins''(1892)를 포함한 작품을 출판했다. 그는 ''더 타임스''에서 시를 평론했으며 소설 한 편을 썼다. 캐서린(스미스) 홉킨스는 런던 의사의 딸이었으며 음악과 독서, 특히 독일 철학, 문학, 그리고 디킨스의 소설을 매우 좋아했다. 양친 모두 독실한 고교회 성공회 신자였다. 캐서린의 여동생인 마리아 스미스 기번은 조카 제라드에게 스케치를 가르쳤다. 이 관심사는 그의 삼촌인 에드워드 스미스, 그의 외증조부인 리처드 제임스 레인, 전문 예술가, 그리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의 지지를 받았다.[1] 홉킨스는 처음에는 화가가 되는 것을 꿈꿨으며, 평생 스케치를 계속했고 존 러스킨과 라파엘 전파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았다.[1][3]
홉킨스는 숙련된 소묘가가 되었다. 그는 시각 예술에 대한 초기 훈련이 나중에 시인으로서의 그의 작품을 뒷받침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1] 그의 형제자매들은 문학, 종교, 예술에서 많은 영감을 얻었다. 1878년, 밀리센트(1849–1946)는 성공회 자매회에 입회했다. 케이트(1856–1933)는 홉킨스가 그의 시집 초판을 출판하는 것을 도왔다. 홉킨스의 막내 여동생 그레이스(1857–1945)는 그의 시 중 많은 곡에 곡을 붙였다. 라이오넬(1854–1952)은 고대 및 구어체 중국어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유명한 전문가가 되었다. 아서(1848–1930)와 에버라드(1860–1928)는 매우 성공적인 예술가였다. 시릴(1846–1932)은 아버지의 보험 회사에 합류했다.[3]
맨리 홉킨스는 1852년 가족과 함께 햄스테드로 이사했으며, 이곳은 존 키츠가 30년 전에 살았던 곳과 가깝고 햄스테드 히스의 녹지 공간과도 가까웠다. 열 살 때 제라드는 하이게이트 스쿨(1854–1863)에서 기숙 생활을 시작했다.[1] 키츠의 시를 공부하면서 그는 "The Escorial"(1860)을 썼으며, 이는 그의 현존하는 가장 초기의 시이다. 여기서 그는 금욕주의에 대한 초기 시도를 했다. 그는 한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액체를 마신다고 주장하며 일주일 동안 물을 마시지 않고 버틸 수 있는지 내기를 했다. 그는 혀가 검게 변하고 훈련 중 쓰러질 때까지 버텼다. 또 다른 경우, 그는 일주일 동안 소금을 먹지 않았다.[3][4] 하이게이트에서 그의 교사 중 한 명은 리처드 왓슨 딕슨이었으며, 그는 홉킨스의 오랜 친구이자 편지가 되었다. 홉킨스는 기숙사에서 나이가 더 많은 학생들 중 시인 필립 스탠호프 워즐리가 뉴디게이트 상을 수상했다고 회상한다.[5]
2. 2. 학창 시절
에식스 스트랫퍼드에서 1844년에 태어났다. 1863년, 옥스퍼드 대학교의 베일리얼 칼리지에 입학했다.[6]옥스퍼드에서 홉킨스는 평생의 친구인 로버트 브리지스(나중에 영국 계관시인)와 우정을 쌓았고, 이는 그의 시인으로서의 발전과 사후 명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했다.[1] 이 기간 동안 그는 작가이자 비평가인 월터 페이터와 함께 공부했는데, 페이터는 1866년에 그를 지도했고 홉킨스가 1879년 10월에 두 번째로 옥스퍼드를 떠날 때까지 친구로 남았다.[8]
재학 중에 홉킨스는 옥스퍼드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존 헨리 뉴먼을 따라서 그의 마음도 차츰 가톨릭교회 쪽으로 기울었고, 1866년 뉴먼 밑에서 개종했다. 이듬해 옥스퍼드 대학교를 고전 학과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하고, 그 다음 해에 예수회에 들어갔다. 1865년 11월 6일 일기에서 홉킨스는 자신의 삶과 작품에 대한 금욕적인 의도를 선언했다. "오늘 나는 하나님의 은혜로, 그분의 허락을 받기 전까지 모든 아름다움을 포기하기로 결심했다."[9] 1866년 1월 18일, 홉킨스는 자신의 가장 금욕적인 시인 ''완전성의 습관''을 썼다. 1월 23일, 그는 사순절을 위해 포기해야 할 것들의 목록에 시를 포함시켰다.
2. 3. 가톨릭 개종과 예수회 입회
옥스퍼드 운동의 영향을 받은 홉킨스는 1866년 존 헨리 뉴먼의 지도로 로마 가톨릭 교회로 개종했다.[1] 이 개종으로 가족과 소원해졌으나, 1868년 예수회에 입회하며 성직자의 길을 걷기로 결심했다.[3][10] 입회 전, 그는 시를 쓰는 것이 성직에 어울리지 않는다고 여겨 자신의 시를 불태우고 7년간 창작을 중단했다.[3][10]1870년 9월 8일, 예수회 수련을 마치고 세인트 메리 홀, 스토니허스트에서 철학을 공부하며 가난, 정결, 복종을 서약했다.[11] 1872년 던스 스코투스를 읽고 종교와 시에 대한 갈등을 해소했으며, 1874년 세인트 베누 칼리지에서 신학을 공부하며 웨일스어를 배우기도 했다.
1875년, 독일 여객선 도이칠란트 호 침몰 사건을 계기로 7년간의 침묵을 깨고 시 창작을 재개했다. 당시 세인트 베누 칼리지 총장의 제안으로 쓴 대작 <도이칠란트의 난파>는 난해하다는 이유로 예수회 월간지 ≪먼스(The Month)≫에 게재되지 못했다.
2. 4. 예수회 수련과 사제 서품
1866년 존 헨리 뉴먼을 따라 가톨릭교회로 개종하고, 이듬해 옥스퍼드 대학교를 고전 학과 최우수 성적으로 졸업했다. 그 다음 해인 1868년에 예수회에 들어갔다.1877년에 사제 서품을 받았고, 유니버시티 칼리지 더블린 교수가 되었다.
2. 5. 사목 활동과 창작 활동
홉킨스는 1877년 9월 사제 서품을 받았으나, 가족은 아무도 서품식에 참석하지 않았다.[15] 1878년에는 훈련선 유리디시 호 침몰 사고로 317명이 사망하는 사건을 기려 <유리디시 호의 침몰>을 썼으나 출판이 거부되었다.[15] 1879년부터 1883년까지 여러 지역 가톨릭 성당에서 보좌 신부 등으로 성직을 수행했으나, 사목에는 크게 성공적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15]1879년에는 <던스 스코터스의 옥스퍼드>, <빈지의 미루나무들>, <헨리 퍼셀> 등을 썼고, 1880년에는 사목 활동 체험을 바탕으로 <필릭스 랜들>과 <봄과 가을>을 썼다.[15] 1882년에는 스토니허스트 대학에서 고전을 가르치며 <납 메아리와 금 메아리>를 썼고, 1883년에는 <우리가 숨 쉬는 공기 같은 복되신 동정녀>를 썼다.[15]
2. 6. 더블린 시절과 죽음
홉킨스는 1884년 2월 아일랜드 로열 유니버시티의 연구원으로 임명되어 더블린의 유니버시티 칼리지에서 그리스어를 가르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이 대학은 쇠락하고 있었고, 건물도 낡은 상태였다. 홉킨스는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며 심한 피로와 우울증을 겪었다. 게다가 아일랜드 사람들의 영국에 대한 적대감과 조국으로부터 버려졌다는 소외감은 그를 더욱 절망에 빠뜨렸다.[15]1885년, 홉킨스는 '어둠의 소네트'라 불리는 <'부육(腐肉)의 위안'>, <'최악은 없다'>, <'이방인'>, <'나는 잠 못 이루며 느끼노라'>, <'내 마음'> 등 절망적이고 고통스러운 정서를 담은 시들을 썼다. 1886년부터는 우울과 좌절에서 다소 회복되었지만, 1887년 2월 17일 일기에는 "나는 아일랜드에서 3년째인데 그것은 힘겹고 사람을 지치고 마르게 하는 허비된 세월이었다."라고 기록했다. 1889년에는 <'주님, 당신은 정말 옳으십니다'>에서 자신의 불행한 처지를 예언자 예레미야에 비유했고, 같은 해 4월 마지막 작품인 <R. B.에게>에서는 시적 영감이 고갈되었다고 탄식했다.[15]
홉킨스는 더블린에서의 삶에 실망했고, 건강 악화와 시력 저하, 답답함과 낙담을 느꼈다. 독실한 예수회 신자였지만, 종교적 의무와 시적 재능 사이의 갈등으로 인해 자신이 실패했다고 느꼈다.[15]
결국 홉킨스는 1889년 6월 8일, 장티푸스와 복막염이 겹쳐 4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임종 때 "나는 매우 행복합니다, 나는 매우 행복합니다, 나는 내 인생을 사랑했습니다"라는 말을 남겼다.[4] 그의 유해는 더블린의 글래스네빈 공동 묘역에 안장되었다.[17] 그는 평생 동안 양극성 장애 또는 만성 단극성 우울증으로 여겨지는 질환으로 고통받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3. 주요 작품 및 특징
홉킨스는 시 형식에 있어 전통적인 운율 관념에 반하는 변화를 추구했다. 홉킨스 이전 대부분의 중세 영어와 현대 영어 시는 노르만 계통의 리듬 구조를 따랐으나, 홉킨스는 스프렁 리듬이라는 자신만의 리듬 구조를 사용했다. 이는 전통 운율을 거부한 로빈슨 제퍼스의 "구르는 강세"와 유사하다. 그의 작품은 동시대 라파엘 전파 및 신낭만주의와는 큰 관련이 없지만, 자연에 대한 묘사적 사랑을 공유하며, 모더니즘 시의 전조 또는 두 시대를 잇는 다리로 평가받기도 한다.[21]
홉킨스는 각 창조물에 그 존재를 부여하는 충전된 본질이자 절대적인 특이성을 '인스케이프(Inscape)'라고 정의했다. '인스트레스(Instress)'는 인스케이프를 함께 유지하는 에너지이자, 동시에 관찰자가 이 인스케이프를 인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러한 인스케이프와 인스트레스 개념은 중세 신학자 던스 스코투스에게서 일부 영향을 받았다. 홉킨스는 자신의 시에서 이러한 개념을 통해 독자들에게 시인의 인스케이프에 대한 인식의 인스트레스를 전달하고자 했다.
"The Windhover"는 새 자체가 아니라, 새와 바람과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홉킨스는 이 시가 자신의 최고 작품이라고 생각했다.[4]
'''대표작'''
- 빈지 포플러스
- 얼룩 무늬의 아름다움
- 바람매: 우리 주 그리스도께
- 도이칠란트호의 난파
3. 1. 스프렁 리듬 (Sprung rhythm)
홉킨스는 시 형식에 있어 전통적인 운율 관념에 반하는 변화를 추구했다. 홉킨스 이전 대부분의 중세 영어와 현대 영어 시는 노르만 계통의 리듬 구조를 따랐다. 이 구조는 두세 음절로 구성된 "발"의 반복을 기반으로 하며, 각 발에서 강세 음절의 위치는 동일했다. 홉킨스는 이를 "런닝 리듬"이라 칭하고 초기에는 이 방식으로 시를 썼으나, 앵글로색슨 전통의 ''베오울프''로 대표되는 더 오래된 리듬 구조에 매료되었다.홉킨스는 자신의 리듬 구조를 스프렁 리듬이라 명명했다. 스프렁 리듬은 발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각 발은 보통 1~4개의 음절로 이루어지고 강세는 항상 첫 음절에 온다. 이는 전통 운율을 거부한 로빈슨 제퍼스의 "구르는 강세"와 유사하다. 홉킨스는 스프렁 리듬을 통해 런닝 리듬의 제약에서 벗어나고자 했으며, 런닝 리듬으로 쓰인 시는 필연적으로 "똑같고 길들여진다"고 보았다. 이러한 점에서 홉킨스의 스프렁 리듬은 자유시의 많은 부분을 예견한다. 그의 작품은 동시대 라파엘 전파 및 신낭만주의와는 큰 관련이 없지만, 자연에 대한 묘사적 사랑을 공유하며, 모더니즘 시의 전조 또는 두 시대를 잇는 다리로 평가받기도 한다.[21]
3. 2. 인스케이프 (Inscape)와 인스트레스 (Instress)
홉킨스는 각 창조물에 그 존재를 부여하는 충전된 본질이자 절대적인 특이성을 '인스케이프(Inscape)'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인스트레스(Instress)'는 인스케이프를 함께 유지하는 에너지이자, 동시에 관찰자가 이 인스케이프를 인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안토니 도메스티코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홉킨스에게 인스케이프는 각 창조물에 그 존재를 부여하는 충전된 본질, 절대적인 특이성이다. 인스트레스는 인스케이프를 함께 유지하는 에너지이자 관찰자가 이 인스케이프를 인식하는 과정이다. 튤립의 특정 섬세함을 감상할 때, 그 독특하고 비할 데 없는 분홍색에 매료될 때, 우리는 튤립의 인스케이프에 인스트레스를 가한다고 홉킨스는 말할 것이다.|Hopkins takes inscape to be the charged essence, the absolute singularity that gives each created thing its being; instress is both the energy that holds the inscape together and the process by which this inscape is perceived by an observer. When we appreciate the particular delicacy of a tulip, when we are transfixed by its unique, inimitable shade of pink, we are, Hopkins would say, instressing the inscape of the tulip.영어 [38]
이러한 인스케이프와 인스트레스 개념은 중세 신학자 던스 스코투스에게서 일부 영향을 받았다. 홉킨스는 자신의 시에서 이러한 개념을 통해 독자들에게 시인의 인스케이프에 대한 인식의 인스트레스를 전달하고자 했다.
"The Windhover"는 새 자체가 아니라, 새와 바람과의 관계를 묘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홉킨스는 이 시가 자신의 최고 작품이라고 생각했다.[4]
3. 3. 대표작
- 빈지 포플러스
- 얼룩 무늬의 아름다움
- 바람매: 우리 주 그리스도께
- 도이칠란트호의 난파
4. 영향 및 평가
릭스는 홉킨스를 "빅토리아 시대의 가장 독창적인 시인"이라고 불렀다.[40] 홉킨스는 시의 모더니즘 운동을 시작하는 데 있어 T. S. 엘리엇만큼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41] 그의 타원형 어구, 이중 의미, 기이한 대화 리듬에 대한 실험은 W. H. 오든과 딜런 토머스와 같은 시인들에게 해방감을 주었다.[42] 홉킨스는 또한 가나 시인 겸 소설가인 코조 레잉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시 "하늘에 바늘이 없다"는 홉킨스의 "바람매"의 상호 문화적 번역으로 불리고 있다.[43] 미국 작가 론 한센의 소설 ''망명자''는 홉킨스의 ''도이칠란드의 난파'' 작성을 극화했다.[44]
더블린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에 있는 제라드 맨리 홉킨스 빌딩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참조
[1]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Poems and Prose
Penguin
1963
[2]
서적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xford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Poetry Foundation Biography Poetry Foundation. Accessed 18 March 2010.
http://www.poetryfou[...]
2022-11-03
[4]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A Life
Norton
1944
[5]
서적
The Correspondence of Gerard Manley Hopkins and Richard Watson Dixon
Oxford University Press
1955
[6]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Poems and Prose
1963
[7]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Poems and Prose
1963
[8]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and His Contemporaries
1993
[9]
서적
Extremity: A Study of Gerard Manley Hopkins
1978
[10]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London
1978
[11]
웹사이트
Gerard Manley Hopkins, Poet Priest Artist Writer Musician
http://www.gerardman[...]
2006-07
[12]
웹사이트
Gerard Manley Hopkins: A Brief Biography
http://www.victorian[...]
1988
[13]
논문
A Newly Discovered Version of a Verse Translation by Gerard Manley Hopkins
https://academic.oup[...]
Oxford University Press
1985-09
[14]
간행물
New English key notes
Mentor Books
2013
[15]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Poems and Prose
1963
[16]
뉴스
Gerard Manley Hopkins, a terrible teacher who hated UCD
https://www.irishtim[...]
2017-05-22
[17]
서적
Resting Places: The Burial Sites of More Than 14,000 Famous Persons
McFarland & Company, Inc., Publishers
null
[18]
논문
Pork Chops Review: ''Gerard Manley Hopkins: A Very Private Life'' by Robert Bernard Martin
http://www.lrb.co.uk[...]
1991-04-25
[19]
웹사이트
To seem the stranger lies my lot, my life
http://poems.com/Poe[...]
2012-04-24
[20]
웹사이트
Hopkins Agonistes
https://www.commonwe[...]
2011-04-25
[21]
웹사이트
"Pied Beauty" at the Poetry Foundation
http://www.poetryfou[...]
2022-11-03
[22]
서적
Linguistic purism in the Germanic languages
Walter de Gruyter
2005
[23]
서적
An Introduction to Old English
Manchester University Press
1955
[24]
웹사이트
– ''The Windhover''
http://www.bartleby.[...]
2022-12-30
[25]
웹사이트
LibGuides: Manuscript Collections: Hopkins
http://researchguide[...]
[26]
서적
Love in earnest: some notes on the lives and writings of English 'Uranian' poets from 1889 to 1930
https://www.worldcat[...]
Routledge & K. Paul
1970
[27]
서적
DNB
[28]
서적
Gerard Manley Hopkins: A Very Private Life
Faber & Faber
2011-06-16
[29]
웹사이트
Joseph Cady ''English Literature: Nineteenth Century''
http://www.glbtq.com[...]
[30]
서적
Secreted desires: the major Uranians - Hopkins, Pater and Wilde
https://www.worldcat[...]
Masaryk University
2006
[31]
서적
The Hopkins Conundrum
http://eye-books.com[...]
Lightning Books
2017-05-18
[32]
서적
Poems of Gerard Manley Hopkins; now first published, edited with notes by Robert Bridges
Humphrey Milford
1918
[33]
서적
''The Bugler's First Communion,'' Kaylor, ''Secreted Desires''
https://archive.org/[...]
2006
[34]
서적
''Epithalamion'' in Kaylor ''Secreted Desires''
https://archive.org/[...]
2006
[35]
간행물
Victorian Poetry
2002
[36]
서적
Hopkins re-constructed: life, poetry, and the tradition
https://www.worldcat[...]
Continuum
2000
[37]
서적
A queer chivalry : the homoerotic asceticism of Gerard Manley Hopkins
https://www.worldcat[...]
[38]
웹사이트
Inscape, Instress & Distress
https://www.commonwe[...]
2009-03-09
[39]
웹사이트
To seem the stranger lies my lot, my life
http://www.poemhunte[...]
2003-01-13
[40]
뉴스
Ricks, Christopher. "The art and faith of Gerard Manley Hopkins", ''The New Criterion'', September 1991
https://www.newcrite[...]
[41]
리뷰
Review: Martin, 'A Very Private Life'
https://www.kirkusre[...]
[42]
간행물
Book Review : A Very Private Life of a Victorian Poet : Gerard Manley Hopkins: A Very Private Life by Robert Bernard Martin
https://www.latimes.[...]
1991-06-18
[43]
서적
Kojo Laing, Robert Browning and Affiliative Literature
https://link.springe[...]
2023
[44]
간행물
Interview {{!}} A Conversation with Ron Hansen
https://imagejournal[...]
2008-03-01
[45]
오디오북
27 poems, including ''The Wreck of the Deutschland'', ''God's Grandeur'', ''The Windhover'', ''Pied Beauty'' and ''Binsley Poplars'', and the "Terrible Sonnets".
2003
[46]
오디오북
The Great Poets: G.M Hopkins
Naxos Audio Books
[47]
Youtube
The Wreck of the Deutschland
https://www.youtube.[...]
2017-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