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이탈리아 출신의 천문학자, 엔지니어, 점성가로, 1669년 프랑스로 이주하여 파리 천문대 설립에 기여했다. 그는 화성, 목성의 자전 주기를 결정하고 토성의 위성 4개와 카시니 간극을 발견했으며, 목성의 대적반과 차등 자전을 관찰했다. 또한, 갈릴레이 위성의 식을 이용한 경도 측정, 황도광 현상에 대한 설명, 인도 천문학 소개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카시니는 프랑스 지형 지도를 제작하는 삼각 측량 프로젝트를 시작하기도 했다.

2. 생애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젊은 시절 볼로냐 대학교 천문학 교수로 활동했으며, 1669년 프랑스 루이 14세의 초청으로 파리로 이주하여 파리 천문대의 초대 대장이 되었다. 그는 1712년 사망할 때까지 파리에서 활동하며 천문학 연구에 매진했다.

파리 천문대장으로 재직하며 카시니는 여러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토성의 위성인 이아페투스를 비롯한 4개의 위성을 추가로 발견했으며, 토성 고리의 카시니 간극(1675년)과 목성의 대적반, 그리고 목성 대기의 차동 회전 현상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장 리셰와의 협력을 통해 시차를 이용하여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태양계의 크기를 계산했으며,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안한 목성 위성의 식(食)을 이용한 경도 측정법을 실용화했다.

초기에는 점성술에 관심을 가졌으나, 천문학적 발견을 거듭하며 점성술을 비판하는 입장으로 돌아섰다. 그의 천문학 연구는 아들 자크 카시니와 손자 세자르-프랑수아 카시니 등 후대에 걸쳐 이어졌다.

2. 1. 이탈리아에서의 초기 생애 (1625-1669)

카시니는 토스카나 출신인 자코포 카시니와 줄리아 크로베시의 아들로 태어났다. 1648년, 그는 볼로냐 근처 판차노에 위치한 천문대에서 부유한 아마추어 천문학자 코르넬리오 말바시아 후작과 함께 일하면서 본격적인 천문학 경력을 시작했다.[7] 판차노 천문대에서 일하는 동안 카시니는 당대의 저명한 과학자였던 조반니 바티스타 리치올리프란체스코 마리아 그리말디로부터 지도를 받으며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1650년, 25세의 나이에 볼로냐 상원으로부터 볼로냐 대학교의 천문학 주임 교수로 임명되었다.[7]

볼로냐 대학교에 재직하는 동안 카시니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그는 1652년에 나타난 혜성을 관측하고 이에 대한 논문을 발표했으며, 볼로냐 상원의 요청으로 수리 기술자로 활동하기도 했다. 또한 1657년에는 당시 교황이었던 알렉산데르 7세에 의해 요새 검사관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교황령의 수로 관리 책임자 역할도 맡았다.[8]

피렌체 대성당 바닥에 핀홀로 투영된 태양의 이미지. 카시니는 지구가 태양을 공전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산 페트로니오 성당에서 1년 동안 비슷한 이미지를 측정했다.


카시니의 중요한 업적 중 하나는 볼로냐의 산 페트로니오 성당에 개선된 해시계, 즉 핀홀 그노몬을 설치한 것이다. 그는 교회 관계자들을 설득하여 성당 바닥에 표시된 자오선 위 66.8m 높이의 아치에 작은 구멍을 뚫어, 카메라 옵스큐라 원리로 태양의 이미지를 바닥에 투영하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그는 1년 동안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가 변함에 따라 투영된 태양 원반의 크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카시니는 이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가 태양 주위를 타원 궤도로 돈다는 요하네스 케플러의 지동설 모델이 옳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는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고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는 기존의 프톨레마이오스 체계를 반박하는 중요한 증거가 되었다.[9]

젊은 시절 카시니는 천문학보다 점성술에 더 관심이 많았고, 이때 배운 지식이 오히려 천문학에 대한 관심을 키우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이후 직접 천문학적 발견을 이루면서 점성술을 공공연하게 비판하는 입장으로 바뀌었다.

카시니는 1648년부터 1669년까지 판차노 천문대와 볼로냐 대학에서 활동하다가, 1669년 프랑스루이 14세와 그의 재무 총감 장바티스트 콜베르의 초청을 받았다. 이는 새로 설립될 파리 천문대 건설을 돕기 위한 것이었고, 카시니는 1669년 2월 25일 볼로냐를 떠나 파리로 향했다.[7] 이로써 그의 이탈리아에서의 활동 시기는 마무리되었다.

2. 2. 프랑스로의 이주와 파리 천문대 (1669-1712)

카시니 시대의 파리 천문대 판화. 오른쪽에 있는 탑은 카시니가 긴 초점과 공중 망원경을 설치하기 위해 옮겨온 마를리 기계의 해체된 부분인 "''마를리 타워''"이다.


1665년부터 1667년 사이 목성화성의 자전 주기를 밝혀낸 연구는 카시니의 명성을 크게 높였다. 이를 계기로 1669년, 그는 교황의 마지못한 동의를 얻어 프랑스로 이주하게 된다. 프랑스루이 14세는 그의 후원자가 되었고, 카시니는 1671년 개관한 파리 천문대 설립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 그는 1671년 9월 14일 천문대가 완공되자 그곳으로 거처를 옮겼으며, 이후 1712년 세상을 떠날 때까지 초대 천문대장으로 재직했다. 파리에서 보낸 41년 동안 카시니는 루이 14세("태양왕")의 천문학자이자 점성가로서 활동했다. 비록 점성가 역할도 기대되었으나, 그는 젊은 시절 몰두했던 점성술보다는 천문학 연구에 대부분의 시간을 헌신했으며, 점차 점성술을 공공연하게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프랑스에 완전히 정착한 카시니는 자신의 이름을 프랑스식인 장-도미니크 카시니(Jean-Dominique Cassini)로 바꾸었는데, 이는 훗날 그의 증손자인 도미니크, 카시니 백작의 이름이기도 하다. 1673년 7월 14일에는 프랑스 시민권을 공식적으로 취득했다. 이듬해인 1674년, 그는 클레르몽 백작의 중장 딸이었던 제네비에브 드 라이스트르(Geneviève de Laistre)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다. 이 중 막내아들인 자크 카시니는 '카시니 2세'로 불리며 아버지의 뒤를 이어 천문학자이자 측지학자로 활동하게 된다.[7]

파리 천문대 시절 카시니는 중요한 천문학적 발견들을 이어갔다. 1671년 10월 25일에는 토성의 위성 이아페투스를 발견했는데, 이는 타이탄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토성의 위성이었다. 이후 그는 레아, 테티스, 디오네 등 토성의 위성 3개를 추가로 발견했다. 로버트 훅에 따르면 1665년까지 목성의 대적반을 발견하기도 했다. 1675년에는 토성의 고리 사이에 뚜렷한 간극이 존재함을 발견했는데, 이는 그의 이름을 따 카시니 간극으로 불리게 되었다. 또한 그는 목성 대기의 위도에 따라 자전 속도가 다른 차동 회전 현상도 발견했다.

카시니는 천문 관측을 통해 지구와 태양계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1672년, 그는 동료 천문학자 장 리셰(Jean Richer)를 프랑스령 기아나카옌으로 파견했다. 카옌과 파리에서 동시에 화성을 관측하여 시차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여 태양계의 크기를 추정하고자 했다.

또한 카시니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안했던 목성 위성의 식(食, 위성이 목성 그림자에 가려지는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을 발전시켜 경도를 측정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 방법은 프랑스 전국의 정확한 지도를 제작하는 데 활용되었다. 그의 측량 결과, 프랑스 영토의 실제 크기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상당히 작다는 사실이 밝혀지자, 루이 14세는 "카시니가 짐의 영토를 줄였으니, 이는 내가 모든 전쟁에서 얻은 것보다 더 많은 영토를 잃게 한 것과 같다"고 농담을 했다고 전해진다.

1711년 카시니는 시력을 완전히 잃었고, 이듬해인 1712년 9월 14일, 파리에서 8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

3. 천문학적 업적

조반니 도메니코 카시니는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 중 한 명으로, 행성 관측과 천문 현상 연구에 기여했다. 그는 화성의 표면 특징을 관찰하고 화성목성의 자전 주기를 결정했다. 또한 토성 연구에 큰 족적을 남겼는데, 이아페투스, 레아, 테티스, 디오네 등 토성의 주요 위성 4개를 발견했으며, 토성 고리에서 뚜렷한 간극인 카시니 간극(1675년)을 발견했다.[10][7] 로버트 훅과 함께 목성의 대적반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기도 하며(약 1665년), 목성 대기의 차등 자전을 처음으로 관찰했다(약 1690년).

카시니는 태양계의 크기를 측정하는 데에도 역할을 했다. 1672년, 동료 장 리셰와의 협력을 통해 화성까지의 거리를 시차를 이용하여 계산함으로써, 처음으로 태양계의 실제 규모를 추정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7] 이는 당시까지 알려진 행성 간 상대적 거리 비율에 절대적인 기준값을 제공한 성과였다.

또한 그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안한 갈릴레이 위성의 식(蝕)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경도를 성공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이다. 1683년에는 황도광 현상이 행성간 먼지에 의한 태양 빛의 산란임을 정확히 설명했으며,[8] 유럽에 인도 천문학을 소개하는 데에도 기여했다.[12][13]

천문학적 관측을 통해 카시니는 초기의 지구중심설적 관점에서 벗어나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태양중심설과 티코 브라헤의 수정된 모형을 받아들이게 되었다.[7] 그러나 그는 아이작 뉴턴만유인력의 법칙과 지구가 극에서 약간 납작하다는 이론은 받아들이지 않았는데, 이는 이후 프랑스 측지 임무 등을 통해 뉴턴의 이론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논쟁이 종결되었다. 젊은 시절에는 점성술에 관심을 가졌으나, 이후 천문학적 발견을 통해 점성술을 비판하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3. 1. 태양계 연구

카시니는 태양계 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화성목성의 자전 주기를 결정하고, 화성의 표면 특징을 관찰했으며, 토성의 주요 위성 4개(이아페투스, 레아, 테티스, 디오네)와 카시니 간극을 발견했다.[10][7] 또한 로버트 훅과 함께 목성의 대적반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으며, 목성 대기의 차등 자전을 처음으로 관찰했다.

1672년, 동료 장 리셰와의 협력을 통해 화성까지의 거리를 시차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태양계의 크기를 최초로 추정하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7] 당시 행성 간 상대적인 거리 비율만 알려져 있었기에, 이 측정은 태양계의 실제 규모를 파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카시니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안한 갈릴레이 위성의 식(蝕)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경도를 성공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인물 중 하나이다.

1677년 파리를 방문한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는 카시니의 천문대에서 약 6.71m 길이의 망원경으로 달을 관측했다고 기록했다.[11]

1683년에는 황도광 현상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시했다.[8] 황도광은 행성간 먼지 입자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어 나타나는 희미한 빛이다.

또한 카시니는 인도 천문학을 유럽에 소개하는 데에도 기여했다. 1688년 시암(태국) 주재 프랑스 특사였던 사이먼 드 라 루베르가 가져온 시암 원고를 해독하여 그것이 인도에서 유래했음을 밝혀냈고, 그의 설명은 1691년 라 루베르의 책에 실렸다.[12][13]

초기에 카시니는 지구중심설을 따랐으나, 지속적인 관측을 통해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태양중심설과 티코 브라헤의 수정된 모형을 받아들이게 되었다.[7] 그러나 아이작 뉴턴만유인력의 법칙과 지구가 극지방에서 납작하다는 주장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 논쟁은 이후 프랑스 측지 임무(1736-1744)와 피에르 루이 모로 드 모페르튀가 이끈 라플란드 원정(1737)의 측정 결과를 통해 뉴턴의 이론이 옳다는 것이 증명되면서 종결되었다.

3. 1. 1. 토성

카시니는 토성 연구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 그는 파리 천문대로 이주한 후 활발한 관측 활동을 펼쳤다. 1671년 10월 25일, 그는 토성의 위성인 이아페투스를 발견했는데, 이는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발견한 타이탄에 이어 두 번째로 발견된 토성의 위성이었다. 이듬해인 1672년에는 레아를 발견했으며, 1684년에는 테티스디오네를 추가로 발견했다.[10] 카시니는 자신이 발견한 이 네 개의 위성을 당시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를 기려 ''Sidera Lodoicea''(루이의 별)라고 명명했다.

특히 이아페투스에 대해서는 한쪽 반구가 다른 쪽보다 훨씬 어둡다는 사실을 관측하고, 이것이 위성 표면의 밝기가 다른 물질 때문이라고 정확히 설명했다. 이 어두운 지역은 오늘날 그의 이름을 따 카시니 지역이라고 불린다.

또한 카시니는 1675년에 토성의 고리 사이에 뚜렷한 간극이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는 현재 카시니 간극으로 알려져 있다.[7] 1677년 파리를 방문했던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는 카시니의 천문대에서 12피트 길이의 망원경으로 토성과 그 고리, 그리고 그의 위성 중 하나를 보았다고 기록했다.[11]

3. 1. 2. 목성

카시니는 목성의 자전 주기를 결정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로버트 훅과 함께 목성의 대적반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약 1665년).[7] 1690년경에는 목성 천체 대기의 차등 자전을 처음으로 관찰했다.

그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안한 방법을 응용하여, 갈릴레이 위성의 식(위성이 목성 뒤로 숨거나 나오는 현상)을 천문 시계처럼 활용했다. 이를 통해 경도를 성공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인물 중 한 명이 되었으며, 이는 당시 지리학과 항해술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1677년에는 파리를 방문한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에게 망원경으로 목성과 그 위성들을 관측시켜 주기도 했다.[11]

3. 1. 3. 화성

크리스티안 호이겐스가 먼저 관찰했지만 발표하지는 않았던 화성의 표면 특징을 관찰하고 발표했으며, 화성의 자전 주기를 결정했다.[10]

1672년, 카시니는 동료 장 리셰를 프랑스령 기아나카옌으로 보내고 자신은 파리에 머물면서, 동시에 화성을 관측했다. 두 지점에서의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시차를 계산하여 지구로부터 화성까지의 거리를 결정했다. 이 측정은 태양계의 크기를 최초로 과학적으로 추정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당시 행성 간 상대적인 거리는 기하학적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실제 크기를 알기 위해서는 하나의 절대적인 행성 간 거리가 필요했기 때문이다.[7]

3. 2. 경도 측정

카시니는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제안한 방법을 활용하여 목성위성들의 식(蝕, eclipse) 현상을 마치 시계처럼 이용하는 방식으로 경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이러한 방법으로 경도를 성공적으로 측정한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다.

3. 3. 황도광

1683년, 카시니는 황도광 현상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시했다.[8] 황도광태양으로부터 하늘의 황도면을 따라 뻗어 나가는 희미한 빛으로, 행성간 먼지에 의해 태양빛이 산란되어 나타나는 현상이다.

3. 4. 인도 천문학 소개

카시니는 인도 천문학을 유럽에 소개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1688년, 시암(태국) 주재 프랑스 특사였던 사이먼 드 라 루베르는 해당 국가의 천문학적 전통과 관련된 모호한 원고와 프랑스어 번역본을 가지고 파리로 돌아왔다. 현재 시암 원고라고 불리는 이 원고는 우연히 카시니의 손에 들어갔다. 그는 그 암호 같은 내용을 해독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정도로 흥미를 느꼈으며, 그 과정에서 해당 문서가 인도에서 유래했음을 확인했다.[12] 그의 원고 설명은 1691년 라 루베르의 시암 왕국에 관한 책에 실렸다.[13]

4. 공학적 업적

1653년, 카시니는 더 크고 새로운 자오선 건설 계획을 세웠다. 건설 과정은 어려움이 예상되었으나, 그의 정확한 계산 덕분에 완벽하게 성공했다. 이 성공으로 카시니는 공학 및 구조 작업 분야에서 뛰어난 명성을 얻게 되었다.[7]

이후 교황 클레멘스 9세는 카시니를 고용하여 요새 건설, 하천 관리, 그리고 포강의 범람 문제 해결과 같은 중요한 업무를 맡겼다. 카시니는 포강의 범람 원인과 예방책에 관한 여러 논문을 발표했으며, 응용 수리학 실험도 직접 수행했다.[7]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663년에는 요새 감독관으로, 1665년에는 페루자의 감사관으로 임명되었다.[7] 교황은 카시니에게 사제 서품을 받아 영구적으로 함께 일할 것을 권유했지만, 카시니는 천문학 연구에 전념하기 위해 이를 정중히 거절했다.

1670년대에 카시니는 삼각 측량 기법을 활용하여 프랑스 전역의 지형 지도를 만드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이 중요한 작업은 그의 아들인 자크 카시니에게 이어졌고, 손자인 세자르-프랑수아 카시니 드 튀리 대에 이르러 마침내 완성되었다. 그 결과물인 Carte de Cassini|카르트 드 카시니fra는 1789년[14] 또는 1793년에[15] 출판되었으며, 이는 한 국가 전체를 대상으로 제작된 최초의 지형 지도라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Space and Astronomy Infobase Publishing 2014
[2] 웹사이트 Giovanni Domenico Cassini (June 8, 1625 – September 14, 1712) http://messier.seds.[...] 2012-10-31
[3] 웹사이트 Giovanni Domenico Cassini: The rings and moons of Saturn https://web.archive.[...] 2012-10-31
[4] 간행물 Cassini, Giovan Domenico http://www.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978
[5] 서적 La provincia di Imperia: storia, arti, tradizioni Blue Edizioni 2005
[6] 웹사이트 c11371-07 https://imagesonline[...] 2024-10-24
[7] 서적 Complete Dictionary of Scientific Biography Detroit: Charles Scribner's Sons 2008
[8] 문서 Cassini s.v. Giovanni Domenico Cassini
[9] 뉴스 How the Church Aided 'Heretical' Astronomy https://www.nytimes.[...] 1999-10-19
[10] 논문 The beginnings, from Lipperhey to Huygens and Cassini
[11] 서적 The life and letters of John Locke : with extracts from his journals and common-place books https://books.google[...] Bell & Daldy 1864
[12] 논문 Notes on Hindu Astronomy and the History of Our Knowledge of It https://books.google[...]
[13] 서적 A New Historical Relation of the Kingdom of Siam https://archive.org/[...] 2017-10-16
[14] 백과사전 Cesar-Francois Cassini de Thury (French surveyor) https://www.britanni[...] 2013-11-05
[15] 웹사이트 How topographic map is made – making, history, used, History, Map Scales, Symbols, and Colors,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opographic map, Quality Control, The Future http://www.madehow.c[...] Madehow.com 2013-11-05
[16] 문서 Jean-Dominique Cassi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