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로동당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으로, 공화국 무장력에 대한 지휘권을 행사한다. 1962년 설립되어 중앙위원회의 하위 기구였으나, 1982년 개편을 통해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되었다. 김정은 시대에 들어와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당 총비서가 위원장을 맡는다. 중앙군사위원회는 군사 정책 결정, 인민군 지휘, 군수산업 개발, 군사력 통솔 등을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는 남북 관계 첩보 활동, 외교 및 정책 결정을 담당하는 핵심 부서로, 대남 심리전, 해외 교포 및 위장 단체 관리, 대남 공작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조총련을 통해 일본 내 친북 활동을 지원하고 정보를 수집했으나, 김정은 시대에 조직 개편 및 기능 조정이 이루어져 현재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10국으로 개편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
    조선로동당 선전선동부는 조선로동당의 이념을 전파하고 언론을 통제하는 북한의 최고 선전 기구로서, 김정일이 오랫동안 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김여정이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기관명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로마자 표기Central Military Commission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한자 표기朝鮮勞動黨中央軍事委員會
일본어 가타카나 표기チョソルロドンダンチュンアングンサウィウォヌェ
일본어 히라가나 표기ちょうせんろうどうとうちゅうおうぐんじいいんかい
조선어 표기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소속 정당조선로동당
조직
관할 부대조선인민군
로농적위군
상위 기관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주요 인물
위원장김정은
부위원장리영길
리병철

2. 역사

1993년 12월 제6기 중앙위원회 제21차 전원회의에서 중앙군사위원회의 마지막 공개 명단이 발표되었다. 당시 19명의 위원 중 7명만 남았고, 나머지 12명은 사망, 은퇴 또는 숙청되었다.

2. 1. 설립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1962년 12월 10일부터 14일까지 열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4기 제5차 전원회의에서 설립되었다.[1][2] 설립 당시 정식 명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군사위원회였으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하위 기구였다.

1982년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제6차 전원회의에서 현재의 형태로 개편되었다.[3] 1982년 조선로동당 규약 개정을 통해 중앙군사위원회가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조선로동당 지도자를 선출할 수 있게 되었다.

2. 2. 개편 및 권한 강화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1982년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열린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제6차 전원회의에서 현재의 형태로 개편되었다.[3] 1982년 조선로동당 규약 개정을 통해 중앙군사위원회가 중앙위원회와 동등한 지위를 갖게 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를 통해 조선로동당 지도자를 선출할 수 있게 되었다.

2010년 제3차 당대회에서 김정은과 리영호가 부위원장으로 선출되면서 중앙군사위원회는 재활성화되었다. 김정은은 중앙군사위원회를 통해 후원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 새로운 위원으로는 김영춘(인민무력부 장관), 김명국(작전국 국장), 리병철(공군 사령관), 정명도(해군 사령관), 김영철(중장), 최경성(조선인민군 특수부대 지휘관)(상장), 최부일(상장), 최상룡(총참모부 위원)(상장) 등이 있었다. 장성택(행정부장)과 같은 민간인도 위원회에 참여했다. 그러나 중앙군사위원회의 전반적인 권한은 약화되었고, 인민군 사령권을 박탈당했다.[4]

제4차 당대회에서 최룡해가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현철해(차수), 리명수(상장) 및 김락겸이 위원으로 선출되었다.[5] 김정은은 중앙군사위원회가 이전의 권력을 회복하도록 감독하여 인민군을 당의 엄격한 통제하에 두려고 했으며, 2021년에 개최된 제8차 당대회에서는 중앙군사위원회가 "당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으로 격상되고 "공화국의 무장력에 대한 지휘권"을 부여받았다.[4]

조선로동당 제7차 대회에서는 부위원장 직책이 폐지되었으나,[12][13] 2020년 5월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에서 리병철이 부위원장으로 선출되어 부위원장 직책이 부활했다.[14]

2. 3. 김정일 시대

김정일은 1980년 조선로동당 제6차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고,[1] 1991년에는 조선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취임했다.[1]

2009년 2월 11일, 김정일조선인민군 총참모장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인 김영춘을 인민무력부장으로 임명했다.[1] 같은 해 2월 20일에는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인 오극렬국방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했다.[9]

2010년 4월에는 조선노동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이자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인 김용철이 사망했고,[10] 5월에는 국방위원회 위원이자 인민무력부 제1부부장인 김일철이 해임되었다. 김일철의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위원직 처리 여부는 불분명하다.[11]

2. 4. 김정은 시대

2010년 제3차 당대표자회에서 김정은과 리영호가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선출되면서 중앙군사위원회가 다시 활성화되었다. 이는 김정은이 후원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당시 김정은의 유일한 직책은 중앙위원회 위원직이었다.

새롭게 선출된 위원들은 다음과 같다:

장성택과 같은 민간인도 위원회에 참여했지만, 중앙군사위원회의 전반적인 권한은 약화되어 인민군 사령권을 박탈당했다.[4]

2012년 제4차 당대표자회에서는 최룡해가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임명되었고, 현철해(차수), 리명수(상장), 김락겸이 위원으로 선출되었다.[5]

김정은은 인민군을 당의 엄격한 통제하에 두기 위해 중앙군사위원회의 권력 회복을 추진했다. 2021년 제8차 당대회에서 중앙군사위원회는 "당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으로 격상되었고, "공화국의 무장력에 대한 지휘권"을 부여받았다.[4]

2016년 조선로동당 제7차 대회에서는 새로운 위원들을 선출하고 부위원장 직책을 폐지했다.[12][13] 그러나 2020년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 제7기 제4차 확대회의에서 리병철이 부위원장으로 선출되면서 부위원장 직책이 다시 부활했다.[14]

3. 조직 구성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조선로동당 규약에 따라 당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이며, 공화국 무장력에 대한 지휘권을 갖는다.[4] 조선로동당 총비서가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을 당연직으로 맡게 되어 있다.[6]

중앙군사위원회는 2023년 6월 기준으로 위원장, 부위원장 2명, 위원 9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원 구성은 시기에 따라 변동되었는데, 2016년, 2017년, 2019년, 2021년 1월 10일 등에 변화가 있었다. 과거 황병서가 부위원장 직책을 맡았으나, 이후 해임되면서 한동안 부위원장 직책이 폐지되기도 했다.[18]

3. 1. 현 위원 (2023년 6월 기준)


4. 역할과 권한

조선로동당 규약에 따르면, 중앙군사위원회는 "당의 최고 군사 지도 기관"이며 공화국 무장력에 대한 "지휘권"을 갖는다.[4] 또한 규약에는 조선로동당 총비서가 당연직으로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장이 된다고 명시되어 있다.[6]

조선로동당 규약 제27조에는 “중앙군사위원회는 동국의 군사정책에 대한 토론과 결정, 조선인민군의 지휘, 군수산업의 개발, 군사력의 통솔을 담당한다.”고 규정되어 있다.[7] 그러나 김정일 정권 하에서는 동국의 국가기관인 국방위원회에서 중요한 군사정책이 결정되면서 중앙군사위원회의 존재감이 저하되었다. 반면 후계자인 김정은 정권 하에서는 권한이 확대되어 조선로동당의 핵심적인 조직이 되었다.[8]

5. 비판 및 논란

(이전 출력에서 변경된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당중앙군사위원회 http://nk.chosun.com[...] 2019-07-04
[2] 웹사이트 당중앙위원회 전원회의 - 제4기 http://nk.chosun.com[...] 2019-07-04
[3] 웹사이트 [조선노동당] 조선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https://web.archive.[...] 2019-07-04
[4] 웹사이트 The Changing Status and Role of the North Korean Military https://www.globalas[...] 2023-06-25
[5] 웹사이트 Kim Jong Un Appointed "First Secretary" of Korean Workers' Party https://web.archive.[...] North Korea Leadership Watch 2012-04-11
[6] 뉴스 북한 노동당 규약 주요 개정 내용 https://www.yna.co.k[...] 2021-06-01
[7] 웹사이트 朝鮮労働党中央軍事委員会について http://www.wyzxsx.co[...]
[8] 웹사이트 米国専門家:金正恩氏、軍事最高機関である中央軍事委員会委員長推戴。 http://www.nanzao.co[...]
[9] 웹사이트 朝鮮人民軍、上級幹部の人事異動を発表,人民網,2009年2月20日 http://world.people.[...] 2009-02-20
[10] 웹사이트 朝鮮労働党中央軍事委員会委員の金勇哲氏逝去,朝鮮日報,2010年4月27日 http://cnnews.chosun[...] 2010-04-27
[11] 웹사이트 朝鮮労働党国防委員会金一哲更迭,新華社通信,2010年5月14日 http://news.xinhuane[...] 2010-05-14
[12] 웹사이트 朝鮮労働党大会「設計図なき戴冠式」(4) 金与正「中央委員」人事の意味 https://www.huffingt[...] THE HUFFINGTON POST 2016-05-21
[13] 웹사이트 朝鮮勞動黨19人政治局委員名單出爐 https://megalodon.jp[...] 大公網 2016-05-10
[14] 웹사이트 「核戦争抑止力いっそう強化」北朝鮮で党軍事委拡大会議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20-05-24
[15] 웹사이트 김정은, 당·국가 최고위직 겸직… 아버지 시대와 결별(金正恩、党・国家の最高職位を兼務... 父の時代と決別) http://news.naver.co[...] 国民日報 2016-06-30
[16] 웹사이트 朝鮮労働党中央委員会の総会…金与正氏が党中央委員に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17-10-08
[17] 웹사이트 朝鮮労働党中央委員会 https://dailynk.jp/a[...] デイリーNKジャパン 2019-04-11
[18] 웹사이트 【北朝鮮解説】朝鮮労働党の機構図 北朝鮮の重要機関や会議の役割 https://www.koreawor[...]
[19] 웹인용 조선노동당 http://nkinfo.unikor[...]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2018-09-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