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인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인영은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1819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그는 김정희와 함께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확인했으며, 헌종 때 풍양 조씨의 중심 인물로서 안동 김씨에 맞서 헌종을 보필했다. 호조판서, 대제학을 거쳐 우의정, 영의정에 올랐으며, 기해박해를 일으켜 천주교를 탄압했다. 저서로 《운석유고》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박해자 - 흥선대원군
조선 고종의 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은 안동 김씨 세도정치 종식 후 권력을 장악하여 개혁을 추진했으나, 쇄국정책과 독재적 통치로 비판받았고, 실각 후 재집권을 시도하다 톈진으로 압송, 명성황후 암살 의혹 등 격변기 조선의 대표적 인물로 긍정·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기독교 박해자 - 네로
네로는 로마 제국의 다섯 번째 황제로서, 초기에는 선정을 베풀었으나 이후 폭군으로 변모하여 기독교 박해를 가했으며, 브리타니아 반란, 로마 대화재, 유대인 반란 등을 겪고 자살로 생을 마감했다. - 1782년 출생 - 도광제
도광제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로,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체제를 심화시키며 청나라의 쇠퇴를 초래했다. - 1782년 출생 - 니콜로 파가니니
니콜로 파가니니는 이탈리아의 바이올린 연주자이자 작곡가로, 뛰어난 연주 기교로 명성을 얻었으며 24개의 카프리스와 바이올린 협주곡 등을 작곡하고 후대 음악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 1850년 사망 - 호세 데 산마르틴
호세 데 산마르틴은 남아메리카 독립을 이끈 아르헨티나의 군인이자 정치가로, 스페인 군 복무 후 독립 운동에 참여하여 칠레와 페루의 독립을 쟁취했으며, 과야킬 회담 이후 은퇴하여 프랑스에서 사망했지만 남미에서 그의 공헌을 기리고 있다. - 1850년 사망 - 도광제
도광제는 청나라의 제8대 황제로, 아편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했으나 제1차 아편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 체제를 심화시키며 청나라의 쇠퇴를 초래했다.
조인영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조인영 |
원어 이름 | 趙寅永 |
자 | 희경(羲卿) |
호 | 운석(雲石) |
시호 | 문충(文忠) |
출생일 | 1782년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양주 |
사망일 | 1850년 (향년 69세) |
사망지 | 조선 한성부 |
국적 | 조선 |
종교 | 유교(성리학) |
가족 | |
부모 | 조진관(부) |
자녀 | 슬하 3녀 |
양자 | 조병기(趙秉夔) |
친척 | 조영하(양손자) |
양손부 | 이정숙 |
학력 및 경력 | |
학력 | 1819년 식년문과 장원 급제 |
직업 | 문관, 문장가, 시인 |
활동 기간 | 1819년 ~ 1850년 |
소속 | 前 조선국 영의정 |
작품 활동 | |
장르 | 시조, 한시, 시문학 |
2. 생애
조인영은 금석학에 관심이 있어 1817년(순조 17년) 김정희와 함께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확인하였다.[1] 1819년(순조 19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한 후 성균관대사성,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의, 직제학, 이조참판, 예조참판, 동지돈녕부사, 홍문관제학, 대사헌, 공조판서, 우참찬, 예문관제학, 수원유수,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이조판서등을 역임하였다.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순원왕후가 정사를 맡게 되자, 안동 김씨에 맞서 풍양 조씨의 중심 인물이 되어 헌종을 보필하였다. 호조판서와 대제학을 거쳐 1841년(헌종 7) 의정부 우의정을 거쳐 의정부 영의정에까지 올랐다. 1839년 기해박해를 일으켜 천주교를 탄압하였으며, 1847년 《국조보감》을 지을 때 공이 컸다.[1]
저서로 《운석유고》가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관직 진출
1817년(순조 17년) 김정희와 함께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확인하였다.[1]1819년(순조 19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 성균관대사성,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의, 직제학을 역임하고 이조참판, 예조참판, 동지돈녕부사, 홍문관제학을 한 뒤 대사헌을 거쳐 공조판서, 우참찬, 예문관제학을 차례로 역임하였다.
2. 2. 정치 활동과 권력 장악
1819년(순조 19년)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 전라도관찰사, 경상도관찰사, 이조참의, 직제학을 역임하고 이조참판, 예조참판, 동지돈녕부사, 홍문관제학을 한 뒤 대사헌을 거쳐 공조판서, 우참찬, 예문관제학을 차례차례 지냈다. 수원유수, 예조판서, 한성부판윤을 거쳐 이조판서를 역임하였다.[1] 당시 나이 어린 헌종을 대신하여 순원왕후가 정사를 맡아보게 되자, 안동 김씨가 세력을 잡기 시작하였다.[1] 그는 이에 맞서 풍양 조씨의 중심 인물이 되어 외종손 헌종을 보필하였다.[1] 호조판서와 대제학을 거쳐 1841년(헌종 7) 의정부 우의정을 거쳐 의정부 영의정에까지 올랐다.[1] 1839년 기해박해를 일으켜 천주교를 탄압하였으며, 1847년 《국조보감》을 지을 때 공이 컸다.[1]2. 3. 기해박해와 천주교 탄압
1839년 기해박해를 일으켜 천주교를 탄압하였고, 1847년 《국조보감》을 지을 때 공이 컸다.[1]2. 4. 저술 활동과 사망
1817년(순조 17년) 김정희와 함께 북한산 신라 진흥왕 순수비를 확인하였다.[1] 저서로는 《운석유고》가 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조엄 | 1719~1777 |
조모 | 풍산 홍씨 | 1717~1808, 홍현보(洪鉉輔)의 딸, 혜경궁 홍씨의 고모 |
아버지 | 조진관 | 1739~1808 |
외조부 | 홍익빈 | 1709~1767 |
외조모 | 기계 유씨 | ?~1750, 유척기의 딸 |
어머니 | 남양 홍씨 | 1739~1799 |
형 | 풍은부원군 조만영 | 1776~1846, 헌종의 외조부 |
형수 | 덕안부부인 은진 송씨 | 1776~1834, 송시연(宋時淵)의 딸 |
형 | 조원영 | 1777~1825, 숙부 조진의(趙鎭宜)의 양자가 됨 |
형수 | 한용구(韓用龜)의 딸 | |
누이 | 완산 이씨 이복연(李復淵)에게 시집감 | |
누이 | 안동 김씨 김병문(金炳文)에게 시집감 | |
누이 | 해평 윤씨 윤경렬(尹慶烈)에게 시집감 | |
누이 | 용인 이씨 이재문(李在文)에게 시집감 | |
부인 | 안동 김씨 김세순의 딸 | |
장녀 | 청풍 김씨 김학성(金學性)에게 시집감 | |
차녀 | 전주 이씨 이인우(李寅禹)에게 시집감 | |
삼녀 | 대구 서씨 서익보(徐翼輔)에게 시집감 | |
양자 | 조병기(趙秉夔) | 1821~1858 |
양손 | 조영하 | 1845~1884, 갑신정변때 피살됨 |
4. 평가
(요약 및 참조할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고, 이전 출력도 없었으므로, '평가' 섹션에 대한 내용을 작성하거나 수정할 수 없습니다.)
5. 저서
- 운석유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