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지아 항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지아 항공은 1994년 에어 제나로 설립되어 1997년 조지아 항공과 합병하여 에어제나 조지아 항공으로 변경되었고, 2004년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되었다. 2019년 러시아의 조지아 항공 운항 금지 조치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2021년 파산을 신청하였고, 현재는 8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4년 설립된 항공사 - 웨스트제트
    웨스트젯은 1996년 설립된 캐나다의 저비용 항공사로, 현재는 북미, 중미, 카리브해, 유럽, 아시아 지역의 100개 이상 도시에 취항하며 캘거리 국제공항을 허브로 보잉 737 시리즈와 787 드림라이너를 주력 기종으로 운용하고, 자회사 운영 및 선윙 항공 인수를 통해 사업을 확장하며 저비용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 1994년 설립된 항공사 - 프론티어 항공
    프론티어 항공은 1994년에 설립된 미국의 초저가 항공사로, 덴버를 허브로 하여 에어버스 A320 패밀리 기종을 운용하며 미국 국내선 및 국제선 노선을 운항한다.
조지아 항공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항공사조지아 항공
로마자 표기jojiian eoebeiseu
IATA 코드A9
ICAO 코드TGZ
호출 부호TAMAZI
설립일1994년 (에어제나로 설립)
본사조지아 트빌리시
허브 공항트빌리시 국제공항
거점 도시바투미 국제공항
다비트 더 빌더 쿠타이시 국제공항
웹사이트조지아 항공 공식 웹사이트
운영
대표Georg Okujava (사장)
직원 수알 수 없음
보유 기종
항공기 수8대
취항지
목적지 수16개

2. 역사

1994년 에어 제나(Airzena영어)로 설립되어 초기에는 전세편 등을 운항했다. 1997년부터 정기편 운항을 시작했다. 이후 에어 조지아(Air Georgia)와의 합병을 거쳐, 2004년 10월 1일 현재의 사명으로 운항되고 있다.[1]

설립 초기에는 여러 국가로 전세편을 운항하였고, 1999년에는 조지아의 국영 항공사가 되었다. 2000년대에는 기단 현대화를 추진하였으며, 2019년 러시아의 제재와 2021년 파산 신청 등의 어려움을 겪었다.[1]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룬다.)

2. 1. 설립 초기 (1993-1999)

1994년 에어 제나(Airzena영어)로 설립되었으며, 1997년 정기 노선 운항과 동시에 조지아 항공(Georgian Airlines영어)과 합병해 에어제나 조지아 항공(Airzena Georgian Airlines영어)으로 변경되었다.[1] 1999년 에어제나는 조지아의 국영 항공사가 되었다.[1]

에어제나 항공은 1993년 9월에 설립되어, 초기에는 아랍에미리트, 이탈리아, 중국, 이집트, 인도, 시리아로의 전세편 운항과 비엔나로의 정기편 운항을 실시했다.[1] 1990년대 경제적, 정치적으로 복잡한 시기에도 불구하고 에어제나는 인지도를 얻고 항공 시장에서 점유율을 유지하는 데 성공했다.[1]

2. 2. 합병 및 사명 변경 (1999-2004)

1994년 에어 제나(Airzena영어)로 설립했으며, 1997년에 정기 노선 운항을 시작함과 동시에 조지아 항공(Georgian Airlines영어)과 합병해 에어제나 조지아 항공(Airzena Georgian Airlines영어)으로 변경했다. 1999년에는 조지아의 국영 항공사가 되었다. 2004년 8월, 사명을 "조지아 항공(Georgian Airways)"으로 변경했고, 같은 해 10월에 현재의 사명으로 최종 변경했다.[1][2][3]

하팍로이드가 임대해준 보잉 737-500 (2003)


2000년대 초반, 항공사 경영진은 기단 현대화를 결정하고 하팍로이드로부터 보잉 737-500 두 대를 임대했다. 이는 조지아 항공사가 최신 서구 장비를 운용한 최초의 사례였다.[4][5]

2. 3. 기단 현대화 (2000년대)

2000년대 전반기, 조지아 항공 경영진은 기단 현대화를 결정하고 하팍로이드로부터 보잉 737-500 두 대를 임대했다. 이는 조지아 항공사가 최신 서구 장비를 운용한 최초의 사례였다.[1]

2. 4. 러시아 제재와 파산 (2019-현재)

러시아는 2019년 6월 반러시아 시위로 인식한 사건 이후 2019년 7월 8일부터 조지아와의 모든 항공편을 금지했다.[3] 그 이후 조지아 항공의 모스크바 브누코보행 항공편은 아르메니아 항공을 통해 예레반 경유로 운항되었다. 이 금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 의해 2023년 5월 10일 해제되었고, 5월 15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조지아 항공은 5월 20일부터 모스크바행 항공편을 재개한다고 발표했다.[4] 첫 번째 항공편은 같은 날 브누코보에 도착했다. 이에 대한 대응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7월 1일 조지아 항공에 제재를 가했다.[5]

조지아 항공은 2021년 12월 31일 재무 구조조정 절차와 관련하여 파산 신청을 했다.[6] 그리고 2022년 1월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7][8] 항공사는 자산 2100만조지아 라리에 비해 1.25억조지아 라리/5200만유로의 부채를 안고 있다. 파산 원인으로는 2019년 7월부터 러시아의 운항 금지 조치[3][9]가 있지만, 무엇보다도 코로나19 범유행의 타격이 컸다. 조지아 당국은 본국 송환 목적으로 정부가 매달 지정한 일부 항공편(조지아 항공 운영)을 제외하고 11개월 동안 국제 항공 운항을 금지했다.[10] 조지아 항공은 (엠브라에르 항공기 처분 등) 기재를 감축했지만, 2021년 2월 조지아의 국제 항공 운항 재개 후에는 6개 노선만 운항할 수 있었다.

회생 계획은 연중 수익성이 있는 노선(암스테르담, 텔아비브, 민스크)과 수익성 있는 계절별 전세기 몇 편을 중심으로 하고, 이러한 항공편의 운항을 보장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6] 조지아 항공은 2022년 1월 운항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11] 현재는 더 많은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3. 운항 노선

조지아 항공은 2012년 7월부터 여러 노선을 운항하기 시작했다. 2024년 10월 기준, 트빌리시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유럽 연합, 이스라엘, 러시아의 여러 도시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와 프랑스행 항공편은 공동 운항하고 있다.[17]

3. 1. 정기 노선

2024년 10월 기준, 조지아 항공(Georgian Airways)은 트빌리시 국제공항에서 유럽 연합, 이스라엘, 러시아의 여러 도시로 정기편을 운항하고 있으며, 아르메니아와 프랑스행 항공편은 공동 판매(운항은 하지 않음)하고 있다.[12]

국가도시공항비고참고자료
아르메니아예레반즈바르트노츠 국제공항
오스트리아빈 국제공항
벨기에브뤼셀브뤼셀 공항[12]
키프로스라르나카라르나카 국제공항
프랑스니스니스 코트다쥐르 공항
파리샤를 드 골 공항
조지아바투미바투미 국제공항포커스 도시[14]
트빌리시트빌리시 국제공항허브
독일베를린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이스라엘텔아비브벤구리온 공항[13]
이탈리아베르가모오리오 알 세리오 국제공항
네덜란드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러시아모스크바브누코보 국제공항[14]
노보시비르스크톨마체보 공항[15]
상트페테르부르크풀코보 공항[14]
세이셸마헤세이셸 국제공항계절별 전세편[16]



조지아 항공의 취항 도시


2014년 3월 현재, 13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다.[23]


3. 2. 코드쉐어 협정

조지아 항공은 다음과 같은 항공사와 코드쉐어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17]


3. 3. 과거 운항 노선

2012년 7월 기준으로 조지아 항공은 다음 노선을 운항하였다.

국가도시공항비고
아르메니아예레반즈바르트노츠 국제공항
오스트리아빈 국제공항
벨기에브뤼셀브뤼셀 공항[12]
키프로스라르나카라르나카 국제공항
프랑스니스니스 코트다쥐르 공항
파리샤를 드 골 공항
조지아바투미바투미 국제공항포커스 도시 [14]
트빌리시트빌리시 국제공항허브
독일베를린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이스라엘텔아비브벤구리온 국제공항[13]
이탈리아베르가모오리오 알 세리오 국제공항
네덜란드암스테르담암스테르담 스키폴 공항
러시아모스크바브누코보 국제공항[14]
노보시비르스크톨마체보 공항[15]
상트페테르부르크풀코보 공항[14]
세이셸마헤세이셸 국제공항계절별 전세편 [16]



2014년 3월에는 13개 도시에 취항하였다.[23]

4. 보유 기종

2014년 1월 18일 기준으로 조지아 항공은 8대의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24]

항공기대수
봄바디어 CRJ-100ER1
봄바디어 CRJ-200LR3
봄바디어 챌린저 8501 (조지아 정부를 위해 운항)
보잉 737-5001
보잉 737-7002



조지아 항공 (Airzena) 보잉 737-500

4. 1. 현재 보유 기종

Georgian Airways영어2024년 9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기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기령은 19.7년이다.[25][26][27][28][29][30]

조지아 항공의 보유 기종
기종대수주문승객비고
BE합계
보잉 737-50010TBA
보잉 737-7002012120132
보잉 737-8002012168180
보잉 767-3001018227245
봄바디어 CRJ200LR1064450
봄바디어 CRJ200LR10VIP
합계80colspan="3" |



조지아 항공 보잉 737-700


조지아 항공 보잉 737-800F

4. 2. 퇴역 기종

조지아 항공은 이전에 다음 항공기들을 운영했다.


5. 안전 등급 및 사건/사고

조지아 항공은 AirlineRatings에서 6/7의 안전 등급을 받았다.[18][19][20][21] 2011년 4월 4일, 조지아 항공이 운항하는 유엔 임무를 위한 전세기(유엔 834편)가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의 킨샤사 은지리 공항에서 극심한 악천후 속에 매우 낮은 고도로 비행하다 추락하여 탑승자 33명 중 32명이 사망했다.[22]

5. 1. 안전 등급

조지아 항공은 AirlineRatings에서 6/7의 안전 등급을 받았다.[18][19][20][21]

2011년 4월 4일, 조지아 항공이 운항하는 유엔 임무를 위한 전세기인 유엔 834편(등록번호 4L-GAE)이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 은지리 공항에서 극심한 악천후 속에 매우 낮은 고도로 비행하다 추락했다. 탑승자 33명 중 32명이 사망했다.[22]

5. 2. 사건/사고

조지아 항공은 AirlineRatings에서 6/7의 안전 등급을 받았다.[18][19][20][21]

  • 2011년 4월 4일, 조지아 항공이 운항하는 유엔 임무를 위한 전세기인 유엔 834편(4L-GAE 등록)이 콩고민주공화국 킨샤사의 킨샤사 은지리 공항에서 극심한 악천후 속에 매우 저고도로 비행 중 추락했다. 탑승자 33명 중 32명이 사망했다.[22]

참조

[1] 웹사이트 Contacts https://www.georgian[...] 2017-11-19
[2] 간행물 Flight International 2007-04-03
[3] 뉴스 Putin's Ban On Direct Russia-Georgia Flights Comes Into Force https://www.rferl.or[...] 2021-11-30
[4] 뉴스 Georgian Airways to launch Tbilisi-Moscow-Tbilisi flights from May 20 https://www.interpre[...] 2023-05-16
[5] 웹사이트 Зеленский ввел санкции против грузинской авиакомпании Georgian Airways https://www.kommersa[...] 2023-07-01
[6] 웹사이트 Georgian Airways has filed for Bankruptcy / Rehabilitation https://bm.ge/ka/art[...] 2022-02-10
[7] 웹사이트 Indebted Georgian Airways Up for Sale https://civil.ge/arc[...] 2022-02-10
[8] 웹사이트 Georgian Airways files for insolvency, put up for sale https://eurasianet.o[...] 2022-02-10
[9] 웹사이트 Georgian Airways estimates $25mn loss from Russia flight ban https://www.ch-aviat[...] 2022-02-10
[10] 웹사이트 Georgia resumes regular flights today https://agenda.ge/en[...] 2022-02-10
[11] 웹사이트 Attention! https://www.georgian[...] 2022-02-10
[12] 뉴스 Georgian Airways Resumes Brussels Service in NS24 https://www.aerorout[...] 2024-02-03
[13] 보도자료 Daily Direct Flights To Tel Aviv https://georgian-air[...] Georgian Airways 2024-05-04
[14] 뉴스 Georgian Airways Resumes 2 Russian Routes in Dec 2023 https://www.aerorout[...] 2023-11-08
[15] 뉴스 Georgian Airways to launch flights to another Russian city https://en.trend.az/[...] 2024-09-24
[16] 뉴스 Georgian Airways Nov 2024 Seychelles Charters https://www.aerorout[...] 2024-09-23
[17] 웹사이트 Georgian Airways Partners https://www.georgian[...] 2020-02-10
[18] 웹사이트 Georgian Airways - Airline Ratings https://www.airliner[...]
[19] 웹사이트 Safety Rating Criteria - Airline Ratings https://www.airliner[...]
[20] 뉴스 Which airline was just voted the best in the world for the fifth year running? https://www.telegrap[...] 2024-10-05
[21] 웹사이트 These are the best airlines in the world for 2018 https://www.business[...] 2024-10-05
[22] 웹사이트 Investigation Report of accident involving Georgian Airways aircraft CRJ-100ER (4L-GAE) at Kinshasa's N'djili Airport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RC) on 4 April 2011 http://www.icao.int/[...] Ministry of the Transportation and Ways of Communication 2016-11-03
[23] 웹사이트 INTERACTIVE MAP http://www.georgian-[...] 2014-03-21
[24] 웹사이트 Airzena Georgian Airways Fleet Details and History http://www.planespot[...] 2014-03-21
[25] 웹인용 Georgian Airways Fleet – CH Aviation http://www.ch-aviati[...] 2012-11-04
[26] 웹인용 Georgian Airways Official site http://www.airzena.c[...] 2012-11-04
[27] 웹인용 Georgian Airways Official site http://www.airzena.c[...] 2012-11-04
[28] 웹인용 Georgian Airways Official site http://www.airzena.c[...] 2012-11-04
[29] 웹인용 Georgian Airways – Details and Fleet History http://www.planespot[...] Planespotters.net 2012-02-05
[30] 웹인용 "Airzena" will purchase Boeing 737 and 787 http://www.georgian-[...] 2012-11-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