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통 (고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통은 고려 시대의 문신으로, 경서, 사서, 제자백가에 능통하여 명종의 부름을 받았고, 문과에 급제하여 정언, 고공낭중, 태자문학 등을 역임했다. 금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가 3년간 억류되기도 했으며, 신종 때 장작소감, 소부감을 거쳐 진주 안무사를 지냈다.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는 기로회를 조직하고 강좌칠현의 한 사람으로 불리며 여생을 보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43년 출생 - 발리앙 디블랭
    발리앙 디블랭은 12세기 예루살렘 왕국의 귀족으로 몽기사르 전투에서 살라딘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아모리 1세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나블루스 영지를 받았으며, 보두앵 4세와 5세의 섭정을 지지하고 예루살렘 방어에 힘쓰다 1193년에 사망했다.
  • 1143년 출생 - 니조 천황
    니조 천황은 고시라카와 천황의 아들로, 헤이지의 난을 겪으며 상황과의 정치적 대립 속에서 친정을 시도했으나 요절한 일본의 제78대 천황이다.
  • 고려의 학자 - 오연총
    오연총은 고려 예종 때 요나라와 송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고 여진 정벌에서 윤관의 부원수로 활약했으며, 신기군 징발 조건 완화와 서경 궁궐 창건 반대 등의 정치적 행보를 보이다가 문하시중평장사를 지내고 문양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고려의 학자 - 원천석
    원천석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고려 말 진사에 합격했으나 관직에 나가지 않고 은둔하여 야사 6권을 저술했으며, 시조 2수가 전해지고, 강원도 원주에 묘역이 있다.
  • 곡성군 출신 - 오연호
    오연호는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작가로, 《오마이뉴스》를 창간하여 시민 참여 저널리즘을 구현했으며 덴마크의 행복 사회 모델을 연구하여 행복한 삶과 사회에 대한 담론을 제시하고 꿈틀리인생학교 이사장 및 사단법인 꿈틀리 대표로 활동하고 있다.
  • 곡성군 출신 - 정래혁
    정래혁은 대한민국 육군 장교 출신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군사혁명위원과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지냈고, 상공부 장관과 국방부 장관, 국회의원, 민주정의당 대표위원을 역임하는 등 군과 정계에서 활동했으나 부정축재 혐의와 실미도 사건 책임 논란이 있는 인물이다.
조통 (고려)
기본 정보
이름조통
한글조통
한자趙通
로마자 표기Jo Tong

2. 주요 이력

1143년에 태어나[3] 양주(梁州: 오늘날 경상남도 양산시)의 지방관을 지낸 적이 있다.[13][3] 벼슬에서 물러난 뒤에는 최당, 백광신(白光臣) 등과 기로회(耆老會)를 조직하고 시작(詩作) 생활을 즐겼으며,[18][8] 이인로, 오세재 등과 교유하며 강좌칠현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19][9] 또한 임춘과도 교유하였다.[20][10]

2. 1. 명종 시기 활동

경서(經書), 사서(史書), 제자백가에 두루 통달하였기 때문에 명종이 여러 차례 불렀다.[12][2] 문과에 급제한 뒤 여러 차례 승진하여 정언(正言)이 되었고, 이후 고공낭중(考功郎中)과 태자문학(太子文學)으로 자리를 옮겼다.[12][2]

2. 2. 금나라 파견과 억류

왕명을 받아 금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으나, 현지에서 3년 동안 억류되는 일을 겪었다.[12][2] 1197년(신종 즉위년)에 금나라로 떠났고,[14][4] 다음 해인 1198년(신종 원년)에 고려로 돌아왔다.[15][5]

2. 3. 신종 시기 활동

1197년(신종 즉위년)에 금나라에 사신으로 파견되었고,[14][4] 다음 해인 1198년(신종 원년)에 금나라에서 돌아왔다.[15][5] 1199년(신종 2년)에는 장작소감(將作少監)으로 재직 중이었는데, 동경(東京: 오늘날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도적이 발생하자 조정의 명으로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파견되었다.[16][6] 1200년(신종 3년)에는 소부감(少府監)으로 재직하면서 진주(晉州) 안무사(按撫使)로 임명되었다.[17][7]

3. 은퇴 후의 삶

벼슬에서 물러난 뒤 최당, 백광신 등과 기로회를 조직하여 시를 짓는 활동을 즐겼다.[18] 또한 이인로, 오세재 등과 교류하며 강좌칠현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19] 임춘과도 교류하였다.[20]

참조

[1] 서적 졸고천백
[2] 서적 고려사
[3] 서적 파한집
[4] 서적 고려사
[5] 서적 고려사
[6] 서적 고려사
[7] 서적 고려사
[8] 서적 졸고천백
[9] 서적 동국이상국집·전집
[10] 서적 서하집
[11] 서적 졸고천백
[12] 서적 고려사
[13] 서적 파한집
[14] 서적 고려사
[15] 서적 고려사
[16] 서적 고려사
[17] 서적 고려사
[18] 서적 졸고천백
[19] 서적 동국이상국집·전집
[20] 서적 서하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