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하르 두다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하르 두다예프는 1944년 체첸-잉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서 태어난 체첸의 군인이자 정치인이다. 소련 공군에서 복무하며 소장까지 진급했으며,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체첸의 독립을 선포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러시아와 체첸 간의 1차 체첸 전쟁을 이끌었으나, 1996년 러시아군의 공격으로 사망했다. 그는 체첸 독립 운동의 영웅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는 기념 사업이 세계 각지에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첸 공화국의 대통령 - 알루 알하노프
알루 알하노프는 소련 시대부터 체첸 내무부에서 경력을 쌓아 러시아 연방군 편에서 활동했으며, 아흐마트 카디로프 암살 이후 러시아 정부의 지원으로 체첸 공화국의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람잔 카디로프와의 권력 다툼으로 사임하고 러시아 연방 법무부 차관으로 임명된 인물이다. - 체첸 전쟁 관련자 - 아나톨리 쿨리코프
아나톨리 쿨리코프는 소련 및 러시아의 군인이자 정치인으로, 러시아 내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체첸 분쟁에 참여했고 경제학 박사 학위를 소지한 인물이다. - 체첸 전쟁 관련자 - 샤밀 바사예프
샤밀 바사예프는 체첸 출신의 군사 지도자이자 테러리스트로, 체첸 독립을 주장하며 여러 분쟁과 테러를 주도하다가 2006년 사망했다. - 소련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군인 - 파벨 그라초프
파벨 그라초프는 소련군 공수부대에서 복무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고 러시아 연방 국방장관을 역임했으며, 체첸 전쟁에서의 부실한 지휘로 해임된 군인이다. - 소련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군인 - 알렉산드르 레베디
알렉산드르 레베디는 소련 붕괴 후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91년 쿠데타를 옐친 지지, 1996년 대통령 선거 3위, 1998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 당선, 1차 체첸 전쟁 종식 기여 등의 활동을 했으며 2002년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조하르 두다예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조하르 두다예프 |
원어 이름 (러시아어) | Джохар Мусаевич Дудаев |
출생일 | 1944년 2월 15일 |
출생지 | 체첸-잉구시 ASSR 얄카로이 |
사망일 | 1996년 4월 21일 |
사망지 | 체첸 게히추 |
사망 원인 | 유도 미사일에 의한 암살 |
국적 | 소련 체첸 이치케리야 공화국 |
배우자 | 알라 두다예바 |
자녀 | 아블루르 다나 데기 데니 카밀라 샤밀 아니사 |
정치 | |
직책 | 제1대 대통령 |
임기 시작 | 1991년 11월 1일 |
임기 종료 | 1996년 4월 21일 |
후임 | 젤림한 얀다르비예프(대행) |
부통령 | 젤림한 얀다르비예프 |
총리 | 1991년 11월 9일 ~ 1996년 4월 21일 |
정당 | 소련 공산당(1968–1990) 무소속(1990–1996) |
기타 정당 | 체첸 국민 총회(1991–1996) |
군사 | |
소속 | 소련 공군 이치케리야 군대 |
복무 기간 | 1962–1990 1991–1996 |
계급 | 소장 |
지휘 | 제326 중폭격기 항공 사단(1987–1991) 전군 최고 사령관(1991–1996) |
전투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제1차 체첸 전쟁 |
기타 정보 | |
직업 | 군인 조종사 |
![]() |
2. 생애
1944년 2월 15일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에서 태어났다. 출생 직후 스탈린 정권의 체첸인과 잉구시인의 강제 추방 정책으로 인해 가족과 함께 카자흐스탄으로 강제 이주되어 13년간 망명 생활을 했다.[4] 1957년 체첸으로 돌아온 후 학업을 이어갔으며, 탐보프 고등 군사 항공 학교를 졸업하고 소련 공군에 입대했다.[4]
소련 공군에서 복무하며 체첸인 최초로 소장 계급까지 진급했다. 전략폭격 부대에서 근무했으며, 1979년 시작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도 전투기 조종사로 참전했다.[5] 이후 에스토니아 타르투의 공군 기지 사령관을 역임하던 중, 1990년 에스토니아 독립 회복 운동 당시 시위 진압 명령을 거부하기도 했다.[4][9]
1990년 5월, 공군에서 예편하고 그로즈니로 돌아와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체첸의 주권을 주장하는 전체체첸인민회의(NCChP)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되었고, 1991년 소련 붕괴 과정에서 체첸 혁명을 주도하여 실권을 장악했다. 1991년 10월,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고, 곧바로 체첸의 독립을 선포했다. 당시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군대를 파견했으나, 두다예프 측의 저항으로 인해 철수시켰다.
이후 체첸은 러시아로부터 사실상 독립 상태를 유지했으나, 러시아 연방 정부와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1994년 12월, 러시아군이 체첸을 침공하면서 1차 체첸 내전이 발발했다. 두다예프는 체첸 군대를 이끌고 러시아에 맞서 싸웠으며, 이 과정에서 체첸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부상했다. 그는 전쟁 중에도 체첸의 승리를 주장하며 게릴라전을 지휘했다.
1996년 4월 21일, 그로즈니 근교에서 위성 전화 통화 중 위치가 노출되어 러시아 공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와 가족
조하르 두다예프는 1944년 2월 15일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ASSR) 내 체초이 떼입의 얄호로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수의사였던 아버지 무사 두다예프와 어머니 라비아트 두다예프 사이의 13남매 중 막내였다.그가 태어난 지 불과 며칠 뒤, 스탈린 정권의 체첸인과 잉구시인의 강제 추방 명령에 따라 모든 체첸인과 잉구시인이 중앙아시아 등으로 강제 이주되었다. 두다예프의 가족 역시 카자흐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추방되어 13년간 망명 생활을 해야 했다. 1957년 체첸인들의 본국 송환이 허용되면서 그의 가족은 비로소 체첸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4]
체첸으로 돌아온 후, 두다예프는 야간 학교에 다니며 전기 기술자 자격을 취득했다. 이후 1962년 블라디카프카스에서 2년간 전자공학을 공부한 뒤, 같은 해 M. 라스코바야 이름을 딴 탐보프 고등 군사 항공학교에 입학하여 1966년 졸업했다. 1968년에는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 1971년부터 1974년까지 명문으로 꼽히는 유리 가가린 공군사관학교에서 수학했다.
두다예프는 러시아 시인이자 소련 장교의 딸이었던 알라 표도로브나 두다예바와 결혼하여 슬하에 딸 한 명과 아들 두 명, 총 세 명의 자녀를 두었다.[4]
2. 2. 소련군 복무
1962년, 블라디카프카스에서 2년간 전자공학을 공부한 후, 탐보프 고등 군사 항공 학교에 입학하여 1966년 졸업했다.[4] 두다예프는 1962년 소련 공군에 입대하여 복무를 시작했으며, 체첸인으로서는 최초로 소장 계급까지 올랐다. 1968년에는 소련 공산당에 입당했으며,[4] 1971년부터 1974년까지 명문 가가린 공군사관학교에서 수학했다.[4]두다예프는 소련 공군의 전략폭격 부대에서 시베리아와 우크라이나 등지에서 복무했다. 그는 1979년 시작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으며,[5] 이 공로로 붉은 별 훈장과 붉은 깃발 훈장을 수여받은 것으로 알려졌다.[5] 보도에 따르면, 1986년부터 1987년까지 아프가니스탄 서부에서 무자헤딘을 상대로 한 폭격 임무에 참여했다고 한다. 두다예프는 스스로 "독실한 무슬림"이라고 밝혔으나,[6] 그의 군사적, 정치적 반대자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의 활동을 근거로 그의 신앙심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7][8] 예를 들어, 세르게이 스테파신은 두다예프가 카펫 폭격에 참여했다고 주장했으나,[9][10] 두다예프 자신은 이러한 주장을 부인했다.[11] 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은 소련 군인으로서의 의무 수행이었지만, 이 경험이 훗날 그의 정치적 행보, 특히 체첸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공군에서 꾸준히 승진한 두다예프는 1987년 에스토니아 타르투에 주둔한 소련 장거리 항공 제326 중폭격기 항공 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소장 계급을 달았다. 1987년부터 1990년 3월까지 그는 이곳에서 핵무장 장거리 전략폭격기 부대를 지휘했다.[9][12] 그는 타르투 주둔군 사령관을 겸임하며 에스토니아어를 배우기도 했다. 1990년 가을, 에스토니아의 텔레비전 방송국과 의회를 폐쇄하라는 상부의 명령을 거부함으로써 에스토니아 독립 회복 운동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보였고,[4][9] 이로 인해 에스토니아인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1990년 그의 공군 사단은 에스토니아에서 철수했으며, 같은 해 5월 두다예프는 타르투를 방문한 체첸 대표단의 요청을 받아들여 소련군에서 사임(예편)했다.
2. 3. 체첸 정치 입문
1990년 5월, 소련 공군 소장으로 예편한 두다예프는 에스토니아 타르투에서의 근무를 마치고 체첸의 수도 그로즈니로 돌아와 본격적으로 지역 정치에 뛰어들었다. 그는 당시 체첸 내에서 독립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서의 주권을 주장하며 활동하던 비공식 야당, 전체체첸인민회의(NCChP)의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당시 체첸-잉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은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내의 자치 공화국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1991년 8월, 소련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대한 8월 쿠데타가 발생하자, 두다예프는 보리스 옐친을 가장 먼저 지지하며 쿠데타 세력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반면, 당시 체첸-잉구시의 공산당 지도자였던 도쿠 자브가예프는 쿠데타를 명확히 비난하지 않아 정치적 입지가 흔들렸다. 그로즈니의 자유 광장은 두다예프 지지자들로 가득 찼고, 자체적인 "국가 친위대"가 조직되기도 했다.
쿠데타가 실패로 돌아가고 소련이 급속도로 해체되기 시작하자, 두다예프와 NCChP는 이를 체첸의 독립을 추진할 기회로 삼아 자브가예프 정권에 대한 공세를 강화했다. 1991년 9월 6일, NCChP 소속 무장 세력은 지역 최고 소비에트 회의장을 점거하여 기존 체첸-잉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를 사실상 해산시켰다. 이 과정에서 그로즈니의 공산당 지도자가 사망하고 여러 의원이 부상을 입는 등 폭력적인 충돌이 발생했다. 그로즈니의 텔레비전 방송국과 주요 정부 건물들도 NCChP 세력에 의해 장악되었다. 두다예프와 그의 지지자들은 이를 혁명으로 규정하고, 임시 혁명 위원회가 조기 대통령 선거가 치러질 때까지 모든 권력을 행사할 것이라고 선언하며 체첸의 실권을 장악했다.
3. 체첸 공화국 대통령
1991년 10월 30일, 체첸 공화국에서 치러진 대통령 선거에서 조하르 두다예프는 85%의 득표율로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이후 1991년 11월, 그는 소련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과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의 건국을 공식적으로 선포하였다.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보리스 옐친은 체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1991년 11월 그로즈니에 군대를 파견했으나, 두다예프 군대의 저항으로 초기 진압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이후 러시아는 체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추가적인 무력 사용을 주저했고, 체첸은 사실상의 독립 상태로 운영되었다.
두다예프는 대통령으로서 체첸의 독립을 공고히 하려 했으나, 내부 정치적 갈등과 러시아의 지속적인 개입 시도에 직면했다. 결국 1994년 12월, 러시아는 체첸의 독립을 막기 위해 대규모 군대를 투입하여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했다. 두다예프는 이 전쟁에서 러시아군에 맞서 싸우며 체첸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지도자로 부상했다.
전쟁이 계속되던 1996년 4월 21일, 두다예프는 수도 그로즈니 근처에서 위성 전화 통화 중 위치가 노출되어 러시아 공군의 정밀 유도 미사일 공격을 받고 사망하였다.
3. 1. 독립 선포와 러시아와의 갈등
1990년 11월, 체첸-인구시 자치공화국은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으며, 1991년 5월에는 체첸-인구시 공화국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후 1991년 10월, 공화국과 연방 정부 간에 체첸 공화국과 인구시 공화국으로 분리하는 데 합의가 이루어졌고, 같은 달 치러진 선거에서 조하르 두다예프는 85%의 압도적인 득표율로 체첸 공화국 초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대통령으로 선출된 두다예프는 곧바로 공화국의 주권과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선포하며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의 건국을 알렸다. 이에 당시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독립을 저지하기 위해 그로즈니에 군대를 파견했으나, 두다예프의 군대가 공항을 봉쇄하며 진입을 막자 결국 철수해야 했다. 러시아는 체첸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았지만, 추가적인 무력 사용은 주저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로써 체첸은 사실상의 독립 국가로서 기능하기 시작했다.
두다예프 정부는 초기 조지아와 외교 관계를 맺고, 당시 즈비아드 가므삭후르디아 대통령으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1991년 말 가므삭후르디아가 축출되자, 두다예프는 그에게 체첸 망명을 허용하고 자신의 대통령 취임식에도 초대했다. 가므삭후르디아는 그로즈니에 머물며 지역 독립주의 단체들이 참여하는 "전 코카서스 회의" 조직을 돕기도 했다. 그러나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은 1991년 조지아를 제외하고는 국제 사회로부터 외교적 승인을 얻지 못했다.
1992년 6월, 점증하는 오세티아-잉구시 갈등 속에서 체첸-잉구시 공화국은 공식적으로 분리되었다. 잉구셰티야는 러시아 연방에 남기로 결정한 반면, 남은 이치케리아(체첸)는 1993년 완전한 독립을 다시 한번 선언했다. 같은 해, 체첸 학교에서는 러시아어 교육이 중단되었고, 체첸어 표기를 위해 기존의 키릴 문자 대신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표기법을 사용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자체 화폐와 우표를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두다예프의 첫 번째 법령 중 하나로 모든 남성에게 무기 소지권을 부여하는 내용을 담기도 했다. 두다예프는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에서 발생한 지진이 러시아의 인공지진 공격이라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1993년, 체첸 의회는 두다예프가 독립을 공고히 하는 데 미흡하다는 이유로 그에 대한 불신임 국민투표를 시도했으나, 두다예프는 의회와 다른 권력 기관을 해산하며 이에 맞섰다. 1994년 초여름부터는 러시아군의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받은 체첸 내 반대 세력이 두다예프를 무력으로 축출하려 여러 차례 시도했지만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1994년 12월, 보리스 옐친 러시아 대통령은 체첸의 독립을 무력으로 진압하기 위해 연방군을 체첸 공화국에 대규모로 투입하면서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했다.
3. 2. 체첸 내부 정치
1991년 10월 국민투표를 통해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된 조하르 두다예프는 공화국의 주권과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독립을 선언했다. 같은 해 11월, 당시 러시아 대통령이었던 보리스 옐친은 그로즈니에 군대를 파견했으나, 두다예프의 군대가 공항을 봉쇄하자 결국 철수했다. 러시아는 체첸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지만, 추가적인 무력 사용은 주저하면서 체첸은 사실상의 독립 상태에 들어갔다.두다예프 정부는 초기에 조지아와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며, 특히 초대 조지아 대통령 즈비아드 가므삭후르디아로부터 많은 지지를 받았다. 가므삭후르디아는 1991년 말 권력에서 축출된 후 체첸에서 정치 망명을 허가받았고, 두다예프의 대통령 취임식에도 참석했다. 그는 그로즈니에 머물면서 코카서스 지역 독립주의 단체들이 모이는 "전 코카서스 회의" 조직을 돕기도 했다. 그러나 조지아를 제외하고는 국제 사회에서 이치케리아 체첸 공화국을 외교적으로 승인한 국가는 없었다.
1992년 6월, 오세티아-잉구시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체첸-잉구시 공화국은 두 개로 분리되었다. 잉구셰티야는 러시아 연방의 주체로 남기로 결정했고, 남은 이치케리아(체첸)는 1993년 완전한 독립을 선포했다. 같은 해, 체첸 정부는 학교에서 러시아어 교육을 중단하고, 1930년대부터 사용해 온 키릴 문자 대신 라틴 알파벳 기반의 새로운 체첸어 표기법을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자체적인 화폐와 우표를 발행하기 시작했으며, 모든 남성에게 무기 소지권을 부여하는 법령을 내리기도 했다.
1993년, 체첸 의회는 두다예프가 체첸의 독립을 공고히 하는 데 실패했다고 주장하며 그에 대한 국민 신임 투표를 추진하려 했다. 이에 두다예프는 의회와 다른 권력 기관들을 강제로 해산시키는 것으로 대응했다. 이러한 내부 갈등 속에서 1994년 초여름부터는 러시아군의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받는 무장 반대 세력이 두다예프 정권을 무력으로 전복시키려는 시도를 여러 차례 벌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4. 제1차 체첸 전쟁
1991년 11월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자, 조하르 두다예프는 체첸 공화국의 독립을 선포하고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며 러시아 군대에 맞섰다.
1994년 12월, 당시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체첸의 독립을 저지하기 위해 연방군을 체첸 공화국에 투입하였고, 이로 인해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하였다. 두다예프는 이 전쟁에서 체첸 군대를 이끌며 저항했으며, 이 과정에서 체첸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인물로 평가받았다.
전쟁이 계속되던 1996년 4월 21일, 두다예프는 수도 그로즈니 인근에서 위성 전화를 사용하던 중 위치가 발각되어 러시아 공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하였다.
4. 1. 전쟁 발발 배경
1990년 11월, 체첸-인구셰티야 자치공화국이 소련으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하였고, 1991년 5월에는 체첸-인구셰티야 공화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91년 10월, 공화국과 러시아 연방 정부는 체첸 공화국과 인구셰티야 공화국으로 분리하는 데 합의하였다.같은 해 10월 30일, 85%의 득표율로 체첸 공화국 초대 대통령에 당선된 조하르 두다예프는 1991년 11월, 소련 해체 과정 속에서 일방적으로 소련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과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의 건국을 선포하였다. 두다예프는 조지아와 아르메니아에서 발생한 지진이 러시아의 인공지진 공격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1994년 12월, 당시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은 체첸의 독립을 저지하기 위해 연방군을 체첸 공화국에 투입하였고, 이로 인해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하였다.
4. 2. 전개 과정
1994년 12월 1일, 러시아군은 그로즈니 공항을 폭격하여 1991년 체첸 공화국이 가져간 구 소련 훈련기들을 파괴했다. 이에 대응하여 이치케리아는 군대를 동원했다. 1994년 12월 11일, 조하르 두다예프 대통령과 러시아의 파벨 그라체프 국방장관이 추가적인 무력 사용을 피하기로 합의한 지 불과 5일 만에,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은 체첸의 독립을 막기 위해 연방군을 체첸 공화국에 투입하면서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했다.수도 그로즈니가 함락되기 전, 두다예프는 대통령궁을 떠나 자신의 군대와 함께 남쪽으로 이동하여 1995년 내내 전쟁을 지휘했다. 그는 체첸의 역사적 수도인 베데노 근처의 옛 미사일 사일로에서 전쟁을 이끌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재래전이 끝난 후에도 두다예프는 체첸 군대의 승리를 확신했으며, 체첸의 게릴라전 전투원들은 공화국 전역에서 러시아군에 맞서 싸움을 계속했다. 러시아군의 대규모 공격은 오히려 두다예프에 반대하던 세력들까지 그의 군대에 합류하게 만들었으며, 수천 명의 자원병들이 기동성 있는 무장 단위로 합류하여 저항을 이어갔다.
4. 3. 두다예프의 역할
1991년 11월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자, 조하르 두다예프는 체첸의 독립을 선포하고 체첸 공화국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는 러시아 연방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목표로 삼고 1차 체첸 내전에서 체첸 군대를 이끌었다.1994년 12월 1일, 러시아군은 그로즈니 공항을 폭격하여 과거 소련 시절의 훈련기들을 파괴했다. 이에 대응하여 두다예프는 체첸 군대를 동원했다. 같은 해 12월 11일, 두다예프와 러시아 국방장관 파벨 그라체프가 추가적인 무력 사용을 피하기로 합의했음에도 불구하고,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지휘 아래 러시아군은 체첸을 침공하며 1차 체첸 내전이 발발했다.
전쟁 중 수도 그로즈니가 함락되기 전에 두다예프는 대통령궁을 버리고 남쪽으로 이동하여 군대를 지휘했다. 그는 1995년 내내 체첸의 역사적 수도인 베데노 근처의 미사일 사일로로 추정되는 곳에서 저항을 이끌었다고 알려져 있다. 두다예프는 재래전에서의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게릴라전을 통해 결국 승리할 것이라고 주장하며 체첸인들의 저항 의지를 북돋았다. 그의 지도력 아래 러시아의 대규모 공격에 반대하던 많은 이들과 수천 명의 자원병들이 그의 군대에 합류하여 기동성 있는 무장 부대를 이루었다.
두다예프는 체첸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지도자로서 저항을 이끌었으나, 1996년 4월 21일 그로즈니 인근에서 위성 전화 통화 중 그의 위치와 주파수를 파악한 러시아 공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사망했다.
5. 암살
1996년 4월 21일, 제1차 체첸 전쟁이 한창이던 시기,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 조하르 두다예프는 러시아 군에 의해 암살되었다.[14] 러시아군은 그로즈니 근교에서 두다예프가 위성 전화를 사용하는 것을 감청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미사일 공격을 가했다.[15] 이 공격으로 두다예프는 향년 52세로 사망했다.[16] 당시 러시아 대통령 보리스 옐친의 지휘 아래 이루어진 이 작전에 대해 러시아 정부는 구체적인 내용을 공개하지 않았다. 그의 사망 소식은 체첸의 주요 군사 지도자 샴릴 바사예프가 발표했으며,[17] 이후 부통령 젤림한 얀다르비예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 두다예프는 부인 알라와 아들들을 남겼다.
5. 1. 암살 과정
1996년 4월 21일, 조하르 두다예프는 러시아 정찰기가 그의 위성 전화 통화를 가로채 위치를 파악한 후 발사한 레이저 유도 미사일 두 발에 맞아 암살되었다.[14] 당시 그는 모스크바 주 두마 의원인 콘스탄틴 보로보이와 통화 중이었다.[15] 러시아군은 두다예프의 위치를 특정하고 유도 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 Su-24MR(정찰기)과 Su-25(공격기)를 추가로 파견했다. 러시아 정부는 이 작전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러시아 정찰기는 해당 지역에서 상당 기간 동안 위성 통신을 감시하며 두다예프의 음성 특징을 기존에 확보한 음성 샘플과 대조하는 작업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공습과 함정이 결합된 방식으로 사망했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그는 향년 52세였다.[16]두다예프의 사망 소식은 체첸의 게릴라 지휘관 샴릴 바사예프가 중단된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발표했다.[17] 그의 사후 부통령이었던 젤림한 얀다르비예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직무를 승계했으며, 1997년 총선 이후에는 전시 참모총장이었던 아슬란 마스하도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5. 2. 암살 배후와 의혹
1996년 4월 21일, 조하르 두다예프는 러시아 정찰기가 그의 위성전화 통화를 가로채 위치를 파악한 후 발사된 레이저 유도 미사일 2발에 의해 암살되었다.[14] 당시 그는 모스크바 주 두마 의원인 콘스탄틴 보로보이와 통화 중이었는데,[15] 러시아 정찰기는 두다예프의 음성 특징을 기존 샘플과 비교하기 위해 상당 기간 위성 통신을 감시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두다예프의 위치를 특정하고 유도 미사일을 발사하기 위해 추가로 Su-24MR 정찰기와 Su-25 공격기를 파견했다. 그러나 러시아 정부는 이 암살 작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아 여러 의혹을 낳고 있다. 일각에서는 공습과 함정이 결합된 작전으로 사망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16] 이 암살은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의 지시로 제1차 체첸 전쟁이 진행 중이던 시기에 발생했다. 두다예프는 향년 52세였다.[16] 그의 사망 소식은 체첸 게릴라 지휘관 샴릴 바사예프가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발표했다.[17]5. 3. 영향
조하르 두다예프는 제1차 체첸 전쟁 중이던 1996년 4월 21일, 그로즈니 근교에서 러시아 정찰기에 의해 위성 전화 통화가 감청되면서 위치가 발각되었다.[14] 당시 그는 모스크바의 국가두마 의원인 콘스탄틴 보로보이와 통화 중이었으며[15], 러시아 공군이 발사한 레이저 유도 미사일 두 발에 맞아 향년 52세로 사망했다.[16] 러시아 정부는 두다예프 암살 작전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두다예프의 사망 소식은 체첸의 주요 게릴라 지휘관이었던 샴릴 바사예프가 중단된 텔레비전 방송을 통해 발표했다.[17]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체첸 독립 운동에 큰 타격을 주었지만, 독립을 향한 열망을 완전히 꺾지는 못했다. 두다예프의 뒤를 이어 부통령이었던 젤림한 얀다르비예프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고, 이후 1997년 총선거를 통해 전시 참모총장이었던 아슬란 마스하도프가 대통령으로 선출되어 독립 운동을 이어나갔다. 이는 두다예프의 리더십 공백에도 불구하고 체첸의 독립 투쟁이 계속되었음을 보여준다. 두다예프는 부인 알라와 아들들을 남겼다.
6. 유산과 평가
소련 공군 소장까지 지낸 군인 출신이었던 조하르 두다예프는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라는 격변기에 체첸의 독립을 선언하고 초대 대통령으로서 러시아에 맞선 1차 체첸 내전을 이끌었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1996년 전사 이후에도 체첸 독립운동의 중요한 유산으로 남았으며, 국제적으로도 다양한 평가와 기념의 대상이 되고 있다.
6. 1. 체첸 독립 운동에 미친 영향
1991년 11월 소비에트 연방이 붕괴되자 조하르 두다예프는 체첸의 독립을 선포하고 러시아 군대에 맞서 1차 체첸 내전을 이끌었다. 이 4년간의 투쟁을 통해 그는 체첸 독립운동의 상징적인 영웅으로 평가받게 되었다. 비록 1996년 4월 21일 수도 그로즈니에서 러시아 공군의 미사일 공격으로 전사했지만, 그의 리더십과 독립에 대한 강한 의지는 이후 체첸 독립 운동에 지속적인 정신적 영향을 미쳤다.6. 2. 국제 사회의 평가
(작성할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 관련 정보가 부재함)6. 3. 기념 사업
에스토니아 타르투의 Ülikooli street|율리쿨리 거리et 8번지 건물에는 두다예프가 과거 사용했던 것을 기념하는 화강암 기념비가 부착되어 있다.[18] 이 건물은 현재 바클레이 호텔(Hotel Barclay)로 운영되며, 두다예프의 이전 사무실은 '두다예프 방'(Dudayev's Room)으로 개조되었다.[19]두다예프의 이름을 딴 장소는 다음과 같다.
- '''조지아''': 수도 트빌리시에 조하르 두다예프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20]
- '''라트비아''': 1996년 수도 리가에 Džohara Dudajeva gatve|조하르 두다예프 거리lv가 생겼다. 라트비아 내 정치 상황과 연관되어, 친러시아 성향과 반러시아 성향의 정당들이 이 거리 이름의 변경 또는 유지를 두고 로비를 벌이기도 했다.[21][22]
-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의 Žvėrynas|지베리나스lt 구역에 Džocharo Dudajevo skveras|조하르 두다예프 광장lt가 있다.[23]
- '''폴란드''': 2005년 3월 17일 수도 바르샤바에 Rondo Dżochara Dudajewa|조하르 두다예프 회전교차로pl가 명명되었다.[24]
- '''터키''': 두다예프 사후 여러 지역에 그의 이름이 붙여졌다. 이스탄불 아타셰히르-외르넥 구역에는 Şehit Cahar Dudayev Caddesi|순교자 조하르 두다예프 거리tr와 Şehit Cahar Dudayev Parkı|순교자 조하르 두다예프 공원tr가 있다. 앙카라에는 Cahar Dudayev Meydanı|조하르 두다예프 광장tr, 사카랴 주 아다파자리에는 Şehit Cahar Dudayev Parkı|순교자 조하르 두다예프 공원tr, 시바스에는 Şehit Cevher Dudayev Parkı|순교자 조하르 두다예프 공원tr가 있다.[25]
- '''우크라이나''': 1996년 리비우에 вулиця Джохара Дудаєва|조하르 두다예프 거리uk가 생긴 것을 시작으로, 이후 이바노프란키우스크[28][26]와 흐멜니츠키[27]에도 같은 이름의 거리가 만들어졌다. 2014년 시작된 돈바스 전쟁에서는 체첸 출신 이사 무나예프가 이끄는 친우크라이나 자원병 대대인 조하르 두다예프 대대가 그의 이름을 따서 창설되었다.[28] 2022년 러시아의 침공 이후, 2022년 12월 러시아군으로부터 탈환된 이줌에서는 기존 투르게네프 거리의 이름을 조하르 두다예프 거리로 변경했다.[29] 2023년 5월에는 폴타바에서 니키첸코 거리의 이름을 조하르 두다예프를 기리기 위해 변경했다.[30][31]

7. 가족 관계
부인은 예술가이며,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두었다.
참조
[1]
웹사이트
Конец мятежного генерала Джохара Дудаева
https://www.km.ru/ne[...]
[2]
웹사이트
Milyon Birinci – Cahar Dudayev
https://www.gzt.com/[...]
[3]
서적
Russia Confronts Chechnya: Roots of a Separatist Conflic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4]
웹사이트
Дудаев Джохар Мусаевич
https://www.kavkaz-u[...]
[5]
서적
Chechnya: from nationalism to jihad
[6]
뉴스
Man in the News; Chechen Warrior Chief: Soviet Army Credentials -- Dzhokhar M. Dudayev
https://www.nytimes.[...]
1994-12-15
[7]
서적
Civil Society and the Search for Justice in Russia
[8]
서적
Russia Confronts Chechnya: Roots of a Separatist Conflict
[9]
서적
Russia Confronts Chechnya: Roots of a Separatist Conflict
[10]
서적
Islam in Russia: The Politics of Identity and security
M.E. Sharpe
2004
[11]
웹아카이브
Interview with Alla Dudaeva, Sobesednik.ru 2006
http://www.press-att[...]
2011-08-07
[12]
서적
Chechnya: Life in a War-Torn Societ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
[13]
뉴스
Dudajevite võlg Tartus
https://www.ohtuleht[...]
2000-10-08
[14]
웹아카이브
TIME TO SET THE CHECHEN FREE
http://www.ericmargo[...]
Eric Margolis
2010-04-05
[15]
웹아카이브
Kill the messenger
https://foreignpolic[...]
2012-03-02
[16]
뉴스
'Dual attack' killed president
http://news.bbc.co.u[...]
1999-04-21
[17]
뉴스
Chechen leader confirmed dead; Supporter says freedom fight unaffected
http://edition.cnn.c[...]
1996-04-24
[18]
웹아카이브
Džohhar Dudajevi mälestustahvel
https://info.raad.ta[...]
2022-03-21
[19]
웹아카이브
Nimeline tänav ja orden Dzhohhar Dudajevile
http://arhiiv2.posti[...]
1996-05-08
[20]
웹아카이브
ვაკე-საბურთალოს რაიონი
http://www.cartogira[...]
2015-06-03
[21]
웹아카이브
Vāc parakstus Dudajeva gatves pārdēvēšanai
http://www.apollo.lv[...]
Apollo
1925-10-15
[22]
웹아카이브
Paraksties par Džohara Dudajeva gatves nosaukuma saglabāšanu
http://krizdabz.lv/2[...]
Kristaps Skutelis
2009-11-23
[23]
웹사이트
Wikimapia – Let's describe the whole world!
http://old.wikimapia[...]
[24]
뉴스
Warsaw's Dudaev move irks Moscow
http://news.bbc.co.u[...]
2005-03-21
[25]
웹아카이브
Kocasinan Dudayev Parkı yenileniyor
http://www.kayserigu[...]
2006-11-29
[26]
서적
200 вулиць Івано-Франківська
Лілея-НВ
2010
[27]
웹사이트
Як у Хмельницькому Джохара Дудаєва вшановували
http://khm.depo.ua/u[...]
[28]
뉴스
Chechen fighter transfers struggle against Kremlin to Ukraine
https://www.kyivpost[...]
2014-05-27
[29]
웹사이트
Bandera Street appeared in the liberated Izium
https://www.pravda.c[...]
2022-12-03
[30]
웹사이트
A memorial plaque to Dzhokhar Dudayev was opened in Poltava
https://www.istpravd[...]
2024-02-15
[31]
웹사이트
Streets of Kukoba and Heroes of Stalingrad. List for the second round of renaming in Poltava
https://zmist.pl.ua/[...]
2022-1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