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렉산드르 레베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르 레베디는 소련 붕괴 이후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1991년 쿠데타 시도 당시 보리스 옐친을 지지하며 명성을 얻었다. 1992년 몰도바 제14근위군 사령관으로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에 개입하여 평화 협정을 중재했으나, 1996년 옐친 정부에서 해임되었다. 이후 1998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로 당선되었으며, 2002년 헬리콥터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3위를 기록했으며, 1차 체첸 전쟁 종식에 기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의 정치 - 알렉산드르 흘로포닌
    알렉산드르 흘로포닌은 러시아 정치인으로, 모스크바 금융 연구소 졸업 후 노릴스크 니켈 사의 이사회 의장, 타이미르 자치구 지사,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지사를 거쳐 북캅카스 연방관구 대통령 전권 대표 겸 러시아 연방 정부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2002년 엑스퍼트 매거진에서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다.
  • 소련 육군 중장 - 안드레이 블라소프
    안드레이 블라소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로 전향하여 러시아 해방군을 조직, 소련에 대항한 소련 군인으로, 종전 후 반역죄로 처형되어 그의 행적은 러시아 역사에서 논쟁적인 주제이다.
  • 소련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군인 - 파벨 그라초프
    파벨 그라초프는 소련군 공수부대에서 복무하며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고 러시아 연방 국방장관을 역임했으며, 체첸 전쟁에서의 부실한 지휘로 해임된 군인이다.
  • 소련의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군인 - 주마 나망가니
    주마 나망가니는 우즈베키스탄 출신의 이슬람주의 무장 세력 지도자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참전 후 우즈베키스탄 이슬람 운동을 창설하여 우즈베키스탄 정부에 대항하다가 아프가니스탄에서 공습으로 사망했다.
알렉산드르 레베디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96년 레베지
본명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레베지
로마자 표기Aleksandr Ivanovich Lebed
출생1950년 4월 20일
출생지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 노보체르카스크
사망2002년 4월 28일
사망지아바칸, 러시아
배우자인나 레베지
직업군인
경력
소속소비에트 연방 (1991년까지)
러시아 연방
복무 기간1969년–1995년
계급[[File:Russia-AirBorne-OF-7-1994-field.svg|14px]] 중장
지휘[[File:106 VDD VSRF.png|19px]] 제106근위공수사단
제14근위군
참전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수상붉은 깃발 훈장
붉은 별 훈장
소련군 복무 훈장 (2급 및 3급)
정치 경력
소속 정당러시아 공동체 회의
직위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지사
임기 시작1998년 6월 5일
임기 종료2002년 4월 28일
대통령보리스 옐친
블라디미르 푸틴
이전발레리 주보프
이후알렉산드르 흘로포닌
직위 2러시아 연방 안전보장회의 서기
임기 시작 21996년 6월 18일
임기 종료 21996년 10월 17일
대통령 2보리스 옐친
총리 2빅토르 체르노미르딘
이전 2올레그 로보프
이후 2이반 리브킨

2. 초기 생애와 군 복무

알렉산드르 레베디는 1950년 코사크 혈통의 배경을 가진 노보체르카스크에서 태어나 어려운 유년기를 보냈다.[3][4] 젊은 시절 공장 노동자로 일하다가 소련 공수부대에 입대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5] 그는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여 대대장으로 복무하며 군 경력을 쌓았고,[6][7] 이후 소련 붕괴라는 격동의 시기를 거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1991년 8월 쿠데타 당시 당시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었던 보리스 옐친을 지지하며 쿠데타 저지에 기여함으로써 대중적 명성을 얻었다.[6][9] 이후 몰도바에서 벌어진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에 제14근위군 사령관으로 개입하여 평화 협정을 중재하고 현지 러시아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으며, 이는 러시아 민족주의자들로부터 큰 지지를 받는 계기가 되었다.[7][9][11][13] 이러한 군 경력과 정치적 격변기에서의 역할은 그를 러시아 내에서 주목받는 군인으로 만들었다.[9][12][3]

2. 1. 출생과 성장

1950년 4월 20일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공화국로스토프주 노보체르카스크에 있는 코사크 마을에서 노동자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3] 어린 시절 성적이 나쁘지는 않았지만, 권투체스를 더 좋아했다.[3] 가난 속에서 자랐으며, 목수였던 아버지는 두 번 지각했다는 이유로 굴락 강제 수용소에서 7년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1962년에는 노보체르카스크 학살을 직접 목격했다.[4] 당시 그는 공장에서 일하고 있었다.[5]

1967년부터 2년간 연마공 등으로 일하다가 낙하산 부대원이 되기로 결심하고, 1969년 랴잔 고등 공수 지휘학교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학교 재학 중 생도 소대장과 중대장을 역임했다.[3]

소련 공수군 장교로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여 1982년까지 대대장으로 복무했다. 아프가니스탄 복무 기간 동안 부하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이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 진학했다.[6][7] 이 시기 그의 임무 중에는 세 명의 소련 지도자를 포함한 여러 소련 원로 정치가들의 사망 당시 장례 업무를 담당하는 것도 포함되었다.[8]

1988년에는 제106근위공수사단 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소련 캅카스 지역에서 발생한 여러 봉기 진압 작전에 참여했다. 하지만 조지아에서 발생한 1989년 트빌리시 참사아제르바이잔1990년 바쿠 학살 당시에는 시위대에 대한 잔혹 행위 명령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1년까지 소장 계급으로 진급하여 공수부대 부사령관 자리에 올랐다. 소련 보수파가 새로운 러시아 정부에 대항하여 일으킨 1991년 8월 쿠데타 당시, 그는 러시아 백악관에서 보리스 옐친에 대항하라는 명령을 거부하여 명성을 얻었고, 이는 쿠데타 실패에 기여한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6][9]

2. 2. 군 복무 시작

알렉산드르 레베디는 1950년 4월 20일 소비에트 연방 러시아 공화국로스토프주 노보체르카스크라는 코사크 마을에서 노동자 가정의 아들로 태어났다.[3][4] 젊은 시절 그는 성적이 나쁘지는 않았지만 권투체스를 더 좋아했으며,[3] 가난 속에서 자랐다. 그의 아버지는 목수였는데, 두 번 지각했다는 이유로 굴락 강제 수용소에서 7년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레베디는 1962년 노보체르카스크 학살을 직접 목격했으며,[4] 당시 공장에서 일하고 있었다.[5]

1967년부터 2년간 연마공 등으로 일한 후, 낙하산 부대원이 되기로 결심하고 1969년 랴잔 고등 공수 지휘학교에 입학하여 군인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학교에서는 생도 소대장과 중대장을 역임했으며,[3] 1973년에 졸업하고 1981년까지 모교에 남아 근무했다.

1981년, 소련 공수부대 장교로서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하여 대대장을 맡았다.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하는 동안 그는 자신이 지휘하는 부대원들에게 인기가 많았다. 그는 1982년까지 아프가니스탄에서 복무한 후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 진학했다.[6][7]

2. 3. 소련 붕괴와 혼란기의 역할

1988년 제106근위공수사단 사령관이 된 레베디는 소련 캅카스 지역의 봉기 진압에 참여했다. 그는 조지아(4월 9일 비극, 1989년)와 아제르바이잔(검은 1월, 1990년)에서 시위대에 대한 잔혹 행위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6] 1991년까지 소장 계급으로 진급하여 공수부대 부사령관직에 올랐다.

소련 강경파가 일으킨 1991년 소련 쿠데타 미수 당시, 레베디는 자신의 부대를 이끌고 러시아 백악관의 보리스 옐친에 대항하라는 드미트리 야조프 국방장관의 명령을 거부했다. 이는 쿠데타 실패에 기여했으며, 그에게 명성을 안겨주었다.[6][9] 이 시기 그는 군 개혁 문제 등으로 당시 공수부대 사령관이자 미래의 러시아 국방부 장관이 될 파벨 그라체프 장군과 경쟁 관계를 형성했다.[10] 레베디가 1992년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 주둔한 제14근위군 사령관으로 임명된 배경에는 그라체프와의 갈등이 있었다는 시각도 있다.[11]

몰도바에서 레베디는 러시아인몰도바인 사이의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에 개입하여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평화 협정을 중재하고 소수 민족인 러시아인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했다.[7][9][11] 그러나 그는 부패했다고 인식한 분리주의 지도부에 대해 비판적이었으며 "악당들의 수면과 안전을 지키는 데 지쳤다"고 말하기도 했다.[9][11] 또한 그는 제14군의 철수가 지역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군대를 몰도바에서 철수시키려는 보리스 옐친 대통령의 결정에 반대했다.[12] 1993년 10월 모스크바에서 발생한 10월 위기 당시에는 옐친을 지지했다.

몰도바에서의 활동과 그의 군 경력은 러시아 대중, 특히 러시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그의 인기를 크게 높였다.[13] 이로 인해 그는 당시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군 장교 중 한 명이 되었으며, 1994년에는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옐친에 맞설 유력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9][12][3] 레베디 자신은 옐친의 업적을 "마이너스"라고 평가했다.[17] 서방과 러시아의 일부 분석가들은 그를 아우구스토 피노체트[14]나폴레옹 보나파르트[17][15]에 비유하기도 했다.

하지만 1994년 12월 제1차 체첸 전쟁이 발발하자, 레베디는 분쟁 개입과 관련하여 러시아 국방부 지도부를 강하게 비판했다. 이로 인해 1995년 6월 14일, 군 감축 및 개편을 이유로 사령관직에서 해임되고 예편하였다.

2. 4.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 개입

1992년 6월, 레베디는 몰도바트란스니스트리아 지역에 주둔한 제14근위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1] 이는 당시 국방장관이자 레베디의 경쟁자였던 파벨 그라체프의 결정으로 알려져 있다.[10][11] 당시 트란스니스트리아 전쟁이 진행 중이었는데, 이는 러시아인몰도바인 사이의 민족 분쟁이었다.[7][9][11]

레베디는 이 분쟁에 개입하여 자신의 지위를 이용해 평화 협정을 중재하고 소수 민족인 러시아인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했다.[7][9][11] 그는 분쟁 종식에 기여했지만, 부패했다고 인식한 트란스니스트리아의 분리주의 지도부에 대해서는 "악당들의 수면과 안전을 지키는 데 지쳤다"고 말하며 비판적인 태도를 유지했다.[9][11] 또한 제14군의 철수가 지역에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며, 군대의 상당 부분을 몰도바에서 철수시키려는 보리스 옐친 당시 러시아 대통령의 결정에 반대하기도 했다.[12]

몰도바에서의 이러한 활동은 러시아 대중, 특히 러시아 민족주의자들 사이에서 그의 인기를 크게 높였다.[13] 이 사건과 그의 이전 군 경력 덕분에 레베디는 당시 러시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군 장교 중 한 명이 되었으며, 1994년에는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서 옐친에 맞설 유력한 경쟁자로 여겨졌다.[9][12][3]

3. 정치 입문

몰도바에서의 1992년 활동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은 레베디 장군은 정부 부패에 맞서 질서를 회복하려는 애국적 군인 이미지로 주목받았다. 그는 정계에 입문하기 위해 1995년 군에서 은퇴하고 러시아 공동체 의회에 합류했으며,[9][17][16] 같은 해 12월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 국가 두마 의원으로 당선되었다.[17]

이후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차 투표에서 14.52%의 득표율로 3위를 기록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인했다. 결선 투표를 앞두고 당시 대통령 보리스 옐친 지지를 선언했으며, 그 결과 1996년 6월 18일 국가안보 담당 대통령 고문 겸 안보회의 서기로 임명되어 옐친 정부에 합류했다.

3. 1. 러시아 공동체 의회 참여와 국가두마 의원 당선

몰도바에서의 활동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은 레베디는 정부 부패에 맞서 질서를 회복하려는 정직하고 기득권에 반대하는 애국자로 여겨졌다. 그러나 그는 반드시 민주주의를 지지하지는 않았으며, 칠레의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가 "군대를 최우선으로 함으로써" 칠레를 부흥시켰다고 칭찬하기도 했다. 그는 "군대를 보존하는 것이 정부를 보존하는 기초"라고 주장했으며, 프랑스의 샤를 드골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레베디는 중도 민족주의 성향의 정치 운동인 러시아 공동체 의회(Конгресс русских общин|콩그레스 루스키흐 옵신rus, КРО)에 합류했다.[9][17][16] 1995년 4월, 당시 안보회의 서기였던 Юрий Скоков|유리 스코코프rus가 중심이 되어 결성한 이 단체에 참여했으며, 같은 해 6월 군에서 예편한 후에는 부의장직을 맡았다.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위해 1995년 군에서 은퇴한 그는 10월, 러시아 공동체 의회가 주도하여 창설한 정치 블록 "Честь и Родина|체스티 이 로디나rus"(명예와 조국)의 의장으로 추대되었다.

같은 해 12월에 치러진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 레베디는 Тула|툴라rus 선거구에 출마하여 국가 두마 의원으로 당선되었다.[17] 1996년 2월 2일부터는 원내 교섭단체 "Народовластие|나로도블라스티예rus"(인민 권력)에 소속되었으나, 약 한 달 뒤인 3월 5일에 탈퇴하고 러시아 공동체 의회와도 결별하며 독자적인 정치 행보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3. 2.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몰도바에서의 1992년 활동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은 레베디는 정부 부패에 맞서 질서를 회복하려는 정직하고 기득권에 반대하는 애국자로 여겨지기 시작했다. 그는 민주주의에 대해 엇갈린 견해를 보였으며, 칠레의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가 "군대를 최우선으로 함으로써" 칠레를 부흥시켰다고 칭찬하며 "군대를 보존하는 것이 정부를 보존하는 기초"라고 주장했다. 또한 프랑스 지도자 샤를 드골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1995년 4월, 레베디는 유리 스코코프 안보회의 서기가 중심이 되어 결성한 중도 민족주의 정치 운동인 러시아 공동체 의회(Конгресс русских общин, KRO)에 참여했다.[9][17][16] 같은 해 6월 군에서 예편한 후 정계에 입문하여 KRO 부의장에 취임했다. 10월에는 KRO가 주도하여 정치 블록 "명예와 조국"(Честь и Родина)을 창설하고 의장을 맡았다. 12월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 툴라 선거구에 출마하여 국가 두마 의원에 당선되었다.[17] 1996년 2월 2일부터 원내 교섭단체 "인민 권력"에 소속되었으나, 3월 5일에 탈퇴하고 러시아 공동체 의회와도 결별했다.

국가두마 의원 당선 직후, 레베디는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그는 "법과 질서"를 내세우며 거리 범죄와 정부 부패 척결을 약속했고,[18] 당시 옐친 대통령이 시작하여 지지를 얻지 못했던 제1차 체첸 전쟁 종식을 공약했다.[18][19] 경제 정책에 대해서는 시장 개혁을 지지하는 듯한 입장을 보였으나, 구체적인 내용은 모호하게 유지했다.

대중적인 수사 스타일로 인해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와 비교되기도 했지만, 지리노프스키와 같은 공격적인 민족주의 성향은 드러내지 않았다.[18] 그의 정치적 메시지보다는 특유의 스타일과 개인적인 카리스마가 선거 운동에서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평가도 있다.[20] 1996년 5월까지 다른 후보들과 제3세력 연합 구성을 시도했으나 협상은 결렬되었다.

1996년 6월 16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 1차 투표에서 레베디는 10,974,736표(14.52%)를 얻어 보리스 옐친과 게나디 주가노프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21] 1차 투표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아 옐친과 주가노프 간의 결선 투표가 결정되었다. 옐친 진영은 레베디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협상을 벌였고, 레베디는 1차 투표 직후 옐친 지지를 선언했다. 그 대가로 옐친은 레베디의 경쟁자였던 국방장관 그라체프를 해임했으며,[11][22][24] 레베디의 요청에 따라 이고르 로디오노프를 후임 국방장관으로 임명했다.[23] 일각에서는 선거 전부터 옐친과 레베디 사이에 거래가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18] 6월 18일, 레베디는 러시아 안전 보장회의 사무총장 겸 국가안보 담당 대통령 보좌관으로 임명되었다.[24]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대통령1대러시아 공동체 의회14.52%10,974,736표3위낙선


3. 3. 옐친 정부 합류와 갈등

1996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1차 투표에서 14.52%의 득표율로 3위를 차지했다. 1차 투표에서 과반 득표자가 없어 보리스 옐친과 게나디 주가노프 간의 결선 투표가 예정된 가운데, 옐친 진영은 3위인 레베디의 표를 흡수하고자 그에게 접근했다. 레베디는 선거 직후 옐친 지지를 선언했고, 그 대가로 1996년 6월 18일 국가안보 담당 대통령 고문 겸 안보회의 서기에 임명되어 옐친 정부에 합류했다.

안보회의 의장직을 맡은 레베디는 제1차 체첸 전쟁 종식을 위한 협상을 주도했다. 1996년 8월 10일, 체첸 공화국 담당 대통령 권한대행으로 임명된 그는 체첸 독립파 지도자 아슬란 마스하도프와 직접 만나 협상을 진행했다. 같은 해 8월 말, 다게스탄의 카사비유르트에서 레베디는 마스하도프와 함께 하사뷰르트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체첸의 독립 문제를 5년간 동결하고, 2001년에 지위를 재검토하는 내용을 담아 제1차 체첸 전쟁을 종식시키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다.[25][26]

트란스니스트리아(Transnistria)의 2007년 우표에 새겨진 레베드


트란스니스트리아(Transnistria)의 2017년 우표에 새겨진 레베드


그러나 레베디의 이러한 독자적인 행보와 전쟁 종결 방식은 정부 내 강경파와의 갈등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내무부 장관인 아나톨리 쿨리코프 장군 등과의 마찰이 심화되었다.[27] 옐친 대통령의 건강 악화 속에서 실권을 장악하고 있던 비서실장 아나톨리 추바이스, 총리 빅토르 체르노미르딘, 그리고 내무장관 쿨리코프 등 옐친 측근 그룹은 레베디의 부상을 경계했다. 추바이스는 특히 체첸 전쟁 종식 이후 높아진 레베디의 인기가 옐친의 후계 구도에 위협이 된다고 판단했다.[29]

결국 정부 내 권력 투쟁 끝에 1996년 10월 17일, 옐친 대통령은 레베디를 모든 공직에서 해임했다. 옐친은 해임 이유로 레베디가 "적절한 권한 없이 행동했다"고 밝혔고, 체르노미르딘은 레베디를 보나파르티즘이라 비난했으며, 쿨리코프는 그가 쿠데타를 모의하고 있다고 주장하기까지 했다.[28] 이러한 비난들은 레베디를 축출하기 위한 정치적 공세의 성격이 짙었다. 갑작스러운 해임에도 불구하고 레베디는 정계에 남아 활동을 이어가기로 결정했다.[30]

2002년 레베드와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4.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

1998년 옐친 정부에서 물러난 후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35][36] 주지사 재임 중 북카프카스 지역 분쟁 조정에 관여하고 신당 "러시아 국민 공화당"(Российская национальная республиканская партияru)을 창당하는 등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2000년 대통령 선거에는 출마하지 않았으며,[7][37] 2002년 4월 28일 시찰 중 탑승했던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4. 1. 당선과 활동

1998년, 옐친 정부에서 물러난 레베디는 모스크바 중앙 정치에서 벗어나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지역인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의 주지사 선거에 출마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정치적 기반이 약한 아웃사이더였음에도 불구하고, 같은 해 5월 선거에서 현직 주지사였던 발레리 주보프를 누르고 당선되었다.[35][36] 이 승리로 당시 모스크바 시장 유리 루즈코프와 함께 유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 거론되며 2000년 대통령 선거 출마 가능성이 점쳐지기도 했다.[35][36]

주지사 당선 이후인 1998년 6월, 레베디는 북카프카스 지역의 민족 분쟁 조정을 위한 '레베지 미션'을 설립하여 활동했다. 이 활동을 통해 무장 세력에 포로로 잡혔던 많은 러시아 연방군 장병들을 구출하는 데 기여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다시 옐친 반대 진영으로 돌아선 그는 신당 "러시아 국민 공화당"(Российская национальная республиканская партияru)을 결성하고 당수가 되었다.

그러나 2000년 레베디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직에 집중하겠다며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7][37] 이후 2002년 4월 28일, 지역 시찰 중 탑승했던 헬리콥터가 추락하는 사고로 사망했다.

4. 2. 2000년 대선 불출마

옐친 정부에서 해임된 후, 알렉산드르 레베디는 2000년 러시아 대통령 선거 출마 의사를 내비치는 듯한 행보를 보였다. 1997년 1월 미국 방문은 차기 대선 주자로서 미국 기업의 지지를 얻으려는 시도로 해석되었는데, 이때 트럼프 타워에서 도널드 트럼프와 만나 모스크바 건설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트럼프는 회담 후 "그는 나를 러시아에 초대했고 나는 수락했다. 그는 훌륭하다고 생각했다"고 언급했다.

한 서방 분석가는 레베디가 빌 클린턴 대통령의 선거 기간 중 모스크바 방문이나 국제통화기금(IMF)의 대출 지원처럼, 옐친이 지난 선거에서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고 인식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레베디는 또한 윌리엄 로스 상원의원의 초청으로 클린턴 대통령 취임식에도 참석했으며, 만난 미국 사업가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긴 것으로 알려졌다.[31][32] 당시 그는 러시아 대통령직에 가장 유력한 후보로 여겨졌다.[33]

1997년 9월 7일 인터뷰에서는 사보타주용으로 설계된 소련제 서류가방 크기의 핵무기 100개가 러시아군의 통제 밖에 있다고 주장하여 파문을 일으켰다. 러시아 연방 정부는 이 주장을 부인하며 그런 무기는 만들어진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34]

1998년, 레베디는 중앙 정치 무대에서 벗어나고자 러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지역인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Krasnoyarsk Krai)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다. 그는 정치적 기반이 약했음에도 불구하고 현직 주지사 발레리 주보프(Valery Zubov)를 누르고 당선되는 이변을 일으켰다. 당시 모스크바 시장 유리 루즈코프(Yuri Luzhkov)가 유력한 경쟁자로 거론되면서 레베디가 2000년 대선에 출마할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35][36] 그러나 2000년, 레베디는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직에 만족한다며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7][37]

5. 사망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주지사로 재직 중이던 2002년 4월 28일, 밀 Mi-8 헬리콥터 추락 사고로 사망했다. 사고는 안개가 낀 날씨 속에서 사얀 산맥 상공을 비행하던 헬리콥터가 전력선과 충돌하면서 발생했다.[6]

당시 자유주의 정당인 야블로코 소속 국가 두마 의원이었던 알렉세이 아르바토프는 이 사고의 원인으로 암살 또는 파괴행위의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38]

유족으로는 아내 인나(Inna), 두 아들과 딸 한 명, 그리고 형제인 알렉세이 레베디가 있다.[39] 알렉세이 레베디는 1997년부터 2009년까지 하카스 공화국 수장을 지냈다.

6. 정치적 견해

1992년 몰도바에서의 활동으로 대중적인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레베디는 정부 부패에 맞서 질서를 회복하고자 하는 정직하고 기득권에 반대하는 애국자로 인식되었다. 그는 민주주의를 반드시 지지하지는 않았고, 민주주의에 대해 엇갈린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특히 칠레의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를 칭찬했는데, 피노체트가 "군대를 최우선으로 함으로써" 칠레를 부흥시킬 수 있었다고 말하며 "군대를 보존하는 것이 정부를 보존하는 기초"라고 주장했다. 또한 프랑스의 지도자 샤를 드골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레베디는 러시아 공동체 의회로 알려진 중도적인 민족주의 정치 운동에 합류했다.[9][17][16] 1995년에는 정계에 입문하기 위해 군에서 은퇴했고, 같은 해 12월에 열린 1995년 러시아 의회 선거에서 국가 두마 의석을 확보했다.[17]

몰도바에 주둔하던 시절, 레베디는 분리주의적인 트란스니스트리아 정부를 "무뢰배들"이라고 부르고 몰도바 당국을 "파시스트"라고 비난했다.[40] 그는 동료 정치인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를 "하느님의 원숭이"라고 부르기도 했다.[41]

레베디는 우크라이나벨라루스러시아와 별개의 국가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 또한 러시아어와 구별되는 언어로 보지 않았다. 그는 1995년에 이 두 국가가 20세기 말까지 러시아 연방과 함께 연방 형태의 새로운 국가를 구성할 것이라고 믿었다.[42] NATO의 동유럽 확장에 대해서는 초기에는 강력히 반대했으나,[30][43] 1997년에는 이에 대한 태도를 더 수용적으로 바꾸었다.[31][33] 그러나 1997년 3월, 레베디는 NATO의 확장이 동맹을 불안정하게 만들 것이며, 이는 냉전 시대의 사고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러시아가 권위주의적으로 대응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44]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직책명대수정당득표율득표수결과당락
1996년 선거러시아의 대통령1대러시아인공동체회의14.52%10,974,736표3위낙선


참조

[1] 뉴스 Минотавр выходит на свет: Власть помогла бригадиру Анатолию Быкову подмять под себя криминальный Красноярск. Но пропустила, как он сам стал властью. Документальная повесть https://novayagazeta[...] 2020-06-15
[2] 웹사이트 Russia: Lebed Dies In Helicopter Crash https://www.rferl.or[...] Radio Free Europe/Radio Liberty 2002-04-28
[3] 뉴스 THE WARS OF ALEKSANDR IVANOVICH LEBED https://www.nytimes.[...] 1996-10-13
[4] 서적 Gulag : a history Doubleday 2003
[5] 뉴스 General Alexander Lebed https://www.theguard[...] 2002-04-28
[6] 뉴스 Alexander Lebed https://www.telegrap[...] 2002-04-29
[7] 뉴스 Russia's Alexander Lebed laid to rest http://news.bbc.co.u[...] 2002-04-30
[8] 서적 Brezhnev Reconsidered Palgrave Macmillan
[9] 웹사이트 Biography of Alexander Lebed http://www.cs.ccsu.e[...]
[10] 뉴스 Pavel Grachev: General and politician who came unstuck in Chechnya https://www.independ[...] 2012-09-25
[11] 뉴스 Russian Politician Lebed Killed in Crash https://www.latimes.[...] 2002-04-29
[12] 뉴스 Power struggle sparks unrest in Moldova https://www.independ[...] 1994-08-16
[13] 뉴스 His time had gone http://www.economist[...] 2002-05-02
[14] 뉴스 A Russian Pinochet Waits In the (Very Distant) Wings https://www.csmonito[...] 1995-02-15
[15] 뉴스 Lebed: Action man who nearly led Russia http://www.cnn.com/2[...] 2002-04-28
[16] 웹사이트 THE RUSSIAN LOVE AFFAIR WITH PINOCHET https://jamestown.or[...] 2006-12-14
[17] 뉴스 IS LEBED A BOON OR BANE TO RUSSIAN DEMOCRACY? https://web.archive.[...] Associated Press 1996-07-26
[18] 뉴스 Law-and-Order Candidate Finds Himself in Role of Kingmaker https://www.latimes.[...] 1996-06-18
[19] 뉴스 YELTSIN CHIDES LEBED OVER CHECHEN WAR https://www.washingt[...] 1996-08-23
[20] 서적 Slavophiles and Commissars: Enemies of Democracy in Modern Russia Palgrave Macmillan
[21] 뉴스 Runoff seems nearly certain in Russian election http://www.cnn.com/W[...] 1996-06-17
[22] 뉴스 Gen. Lebed Becoming Russia's Kingmaker https://www.chicagot[...] 1996-06-21
[23] 뉴스 YELTSIN MAKES KEY APPOINTMENTS TO NEW CABINET https://www.washingt[...] 1996-08-16
[24] 뉴스 Yeltsin bolsters runoff bid, names ex-rival security chief http://www.cnn.com/W[...] 1996-06-18
[25] 뉴스 Lebed wins over the Chechens https://www.independ[...] 1996-08-31
[26] 뉴스 Conflagration in Russia https://www.forbes.c[...] 1999-11-01
[27] 뉴스 Lebed blasts rival for fuelling Chechen war https://www.independ[...] 1996-08-16
[28] 웹사이트 Lebed Dismissed But Not Tamed http://www.heritage.[...] The Heritage Foundation 1996-10-23
[29] 서적 Death of a Dissident: The Poisoning of Alexander Litvinenko and the Return of the KGB https://archive.org/[...] Free Press
[30] 뉴스 Rebuke to a Russian strongman Lebed's ouster: Yeltsin's infirmity is too big an invitation to others' ambitions. https://www.baltimor[...] 1996-10-18
[31] 뉴스 Unlikely Meeting of Minds: Lebed Meets The Donald https://www.nytimes.[...] 1997-01-23
[32] 뉴스 Trump Solo https://www.newyorke[...] 1997-05-19
[33] 뉴스 Gen. Alexander Lebed Discusses Russia's Future http://www.uexpress.[...] 1997-01-21
[34] 웹사이트 "Suitcase Nukes": A Reassessment https://www.nonproli[...] 2002
[35] 뉴스 Former Gen. Lebed Seeks Governor Post https://www.chicagot[...] 1998-02-12
[36] 뉴스 Is This Face The Of Russia's Future? Alexander Lebed has been a boxer, a soldier, and a governor. Now he wants to be President. Would that be good for Russia? https://money.cnn.co[...] Fortune Magazine 1998-11-23
[37] 웹사이트 Alexander Lebed and the Year 2,000 Russian Presidential Race https://www.billkoch[...] Bill's Bible Basics 1998-10-09
[38] 뉴스 Death of Lebed in crash may have been sabotage https://www.irishtim[...] The Irish Times 2002-04-29
[39] 서적 General Alexander Lebed: My Life and My Country Regnery Publishing
[40] 뉴스 Transnistria: relic of a bygone era http://search.japant[...] The Japan Times 2001-10-08
[41] 뉴스 Zhirinovsky: Russia's political eccentric http://news.bbc.co.u[...] BBC News 2000-03-10
[42] 서적 Contemporary Ukraine: Dynamics of Post-Soviet Transformation M.E. Sharpe
[43] 뉴스 Nato should have good news for Alexander Lebed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1996-10-07
[44] 서적 Russia Faces NATO Expansion: Bearing Gifts or Bearing Arms?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