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 머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존 머레이는 1898년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의 조직신학 교수로 활동한 스코틀랜드 장로교 신학자이다. 그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한쪽 눈을 잃었으며, 글래스고 대학교를 졸업하고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했다. 1930년부터 1966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가르쳤으며, 저서로 『로마서 주석』, 『속죄의 성취와 적용』 등이 있다. 그는 성경신학에 근거한 신학적 입장을 견지했으며, 특히 결정적 성화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교리를 강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신학자 - 존 캅
존 캅은 일본에서 태어나 미국에서 교육받고 과정철학을 연구한 신학자이자 철학자로, 클레어몬트에서 과정연구센터를 설립하여 과정신학과 철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생태신학, 종교 다원주의, 지속 가능한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 간 연구를 수행하고 사회 정의와 환경 보호를 위한 활동을 펼쳤다. - 미국의 신학자 - 토니 캠폴로
토니 캠폴로는 미국 복음주의 목사이자 사회학자, 작가, 활동가로서 이스턴 대학교 교수, 복음주의 교육 증진 협회 설립, 사회 정의 운동, 진보적 정치 신념 등으로 논쟁을 일으키며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조지 린드벡
조지 린드벡은 중국과 한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미국의 루터교 신학자이자 예일 대학교 교수로서, 중세 연구와 교회일치운동에 참여했으며, 특히 포스트리버럴 신학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친 《교리의 본질》을 저술하여 종교를 문화-언어적 체계로 이해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 20세기 개신교 신학자 - 위르겐 몰트만
위르겐 몰트만은 1926년 독일에서 태어나 2024년 사망한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이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기독교 신앙을 갖게 된 후 희망, 십자가, 삼위일체 등에 관한 저술을 통해 20세기 후반 가장 영향력 있는 신학자로 평가받는다. - 미국의 장로교도 - 마크 워너
마크 워너는 미국의 정치인으로, 버지니아 주지사를 거쳐 현재 연방 상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온건 중도파로 분류되고 낙태 허용을 지지한다. - 미국의 장로교도 - 로널드 레이건
미국의 배우 출신으로 캘리포니아 주지사를 거쳐 제40대 대통령을 지낸 로널드 레이건은 레이거노믹스 정책으로 미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소련과의 긴장 완화로 냉전 종식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재정 적자 증가와 소득 불평등 심화, 이란-콘트라 사건 등 논란도 있었다.
존 머레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존 머레이 |
출생일 | 1898년 10월 14일 |
출생지 | 본어 브리지, 서덜랜드, 스코틀랜드 |
사망일 | 1975년 5월 8일 |
직업 | 교수 |
종교적 전통 및 운동 | 개혁주의 전통, 장로교 |
배우자 | 발레리 놀턴 |
주요 저서 | 구속의 성취와 적용 아담의 죄의 전가 |
2. 생애
존 머레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교수, 은퇴 후 스코틀랜드에서의 삶 등 다양한 시기를 보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존 머레이는 1898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나 스코틀랜드 장로교에 속했다. 제1차 세계 대전에 영국군으로 참전하였다가 한쪽 눈을 잃었다.1923년 글래스고 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프린스턴 신학교에 입학하여 1927년 업적을 인정받아 저스턴 윈슬롭 펠로십을 받았다. 재학 중 캐스퍼 호지, 로버트 딕 윌슨, 게르할두스 보스, 그레샴 메이첸 밑에서 신학을 공부했다.[2]
이후 영국 스코틀랜드로 돌아와 에든버러 대학교 대학원에서 연구를 진행했지만, 1929년 프린스턴 대학교로부터 조직신학 전임 강사직 제안을 받았다. 이를 수락하여 프린스턴 신학교 강단에 섰지만, 그해 프린스턴은 분열하여 메이첸과 코르넬리우스 반 틸 등 역사적 개혁주의 신앙에 충실한 교수들이 필라델피아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를 설립했다. 1930년 머레이는 프린스턴 신학교를 사임하고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로 이직했다. 1937년부터 1964년까지 조직신학 교수로 봉직했다. 그 사이 제자로는 일본인 우다 신 등이 있다.[2]
2. 2. 웨스트민스터 신학교 교수 시절
존 머레이는 1930년부터 1966년까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조직신학 교수로 재직했다. 프린스턴 신학교에서 1년간 가르친 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로 옮겨와 여러 세대의 학생들에게 조직신학을 가르쳤으며, 배너 오브 트루스의 초기 이사로도 활동했다.그의 주요 저서로는 『로마서 주석』, 『속죄의 성취와 적용』, 『행위의 원리』, 『아담의 죄의 전가』, 『세례』, 『이혼』 등이 있다. 그의 제자로는 우다 신 등이 있다.[1]
2. 3. 은퇴 이후
1966년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은퇴한 후 스코틀랜드로 돌아가 스코틀랜드 자유교회에서 활동하였다. 1967년 12월 7일, 69세의 나이에 발레리 노울턴과 결혼하였다. 로칼시에서 성찬식 후 "내가 방문하는 모든 곳 중에서 여기와 체슬리에서 가장 편안함을 느낀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신학교를 떠난 후, 새롭게 설립된 장로교 개혁 교회에서 목회직을 맡는 것을 고려하기도 했으나, 고향에 있는 나이 많은 자매들의 건강 문제로 인해 스코틀랜드 로스셔로 돌아가야 했다.3. 신학적 특징
존 머레이는 조직신학자였지만 성경신학에 근거하여 신학적 입장을 서술하였다. 로마서 주석에서 이러한 특징이 잘 나타난다. 제임스 패커는 머레이가 게할더스 보수의 구속사적 접근을 이어받아 성경신학을 발전시켰다고 평가했다.
머레이는 칼뱅주의 신학을 따랐지만, '행위언약'이라는 용어는 성경에 언급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고, '생명의 언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2]
3. 1. 결정적 성화론
그는 1960년에 발표된 그의 논문에서 성화 교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그는 성화가 칭의와 뗄 수 없는 관계이며, 이 둘 모두가 그리스도 중심적이어야 하므로, 칭의와 함께 성화도 이어져야 함을 강조하며 '결정적 성화'라는 용어를 새로 사용하였다.[3]3. 2. 그리스도와의 연합
머레이는 그리스도와의 연합 교리가 전체 구원의 교리 중에 중심이 되는 진리이며 영원 전부터 우리의 영화됨까지 펼쳐진다고 주장하였다.[4]4. 주요 비판 대상
5. 영향 관계
존 머레이는 게르하르두스 보스와 벤저민 워필드에게 영향을 받았다. 또한 스웨덴 출신의 루터교 신학자인 앤더스 뉘그렌(Anders Nygren)의 로마서 주석을 높이 평가하였다.
5. 1. 존 머레이에게 영향을 준 인물
5. 2. 존 머레이가 참고한 신학자
- 앤더스 뉘그렌(Anders Nygren): 스웨덴 출신의 루터교 신학자이다. 존 머레이는 그의 로마서 주석을 높이 평가하였다.
6. 저서
제목 | 출판사 | 연도 | 비고 |
---|---|---|---|
Christian Baptism | 기독교 교육 위원회, 정통 장로교회 | 1952년 | 필라델피아 |
Divorce | 기독교 교육 위원회, 정통 장로교회 | 1953년 | 필라델피아 |
Redemption Accomplished and Applied | 에어드만스 | 1955년 | 그랜드래피즈 |
Principles of Conduct: Aspects of Biblical Ethics | 에어드만스 | 1957년 | 그랜드래피즈 |
The Imputation of Adam's Sin | 장로교와 개혁 출판사 | 1959년 | 필립스버그 |
The Epistle to the Romans | 에어드만스 | 1959년 | 그랜드래피즈, NICNT 총서 |
Calvin on the Scriptures and Divine Sovereignty | 1960년 | ||
Collected Writings of John Murray | Banner of Truth Trust | 1977년 | 전 4권 |
존 머레이의 구속 | 복있는 사람 | 장로준 번역 | |
기독교 세례론 | 신교출판사 | 1962년 | |
그리스도인의 윤리 | 성서도서간행회 | 1969년 |
참조
[1]
웹사이트
John Murray Biography
https://banneroftrut[...]
[2]
서적
The Westminster Assembly : reading its theology in historical context
https://www.worldcat[...]
P & R Pub
2009
[3]
웹인용
근본적 성화(definitive sanctification)란 무엇인가?
http://blog.daum.net[...]
2020-07-20
[4]
서적
Redemption accomplished and applied
http://worldcat.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