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죽종은 관상 동맥 내 죽상 경화증의 진행으로 발생하는 질환으로, 심장 마비와 쇠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동맥벽의 변화는 협착, 폐쇄 또는 동맥 확장을 유발하며, 내피 파열과 혈전 생성으로 심혈관 질환을 일으킨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 CT 스캔, 혈관 조영술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기타 치료법이 사용된다. 최근 연구에서는 경동맥 내중막 두께(CIMT)와 심혈관 질환 위험 간의 연관성이 밝혀졌으며, 죽종의 진행을 늦추거나 되돌리는 치료법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맥, 세동맥 및 모세혈관 질환 - 색전증
색전증은 혈관을 막는 색전이 혈류를 따라 이동하여 발생하는 질환으로, 혈전, 지방, 종양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동맥 또는 정맥에서 혈류 차단으로 인한 장기 부전을 유발한다. - 동맥, 세동맥 및 모세혈관 질환 - 죽상경화증
죽상경화증은 동맥벽에 지방, 콜레스테롤, 칼슘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질환으로, 고혈압, 고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흡연 등이 위험 요인이며, 협심증,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 심장혈관 질환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증은 동맥 벽이 굳고 두꺼워지는 질환으로, 세동맥경화증, 묀케베르크 경화증, 죽상동맥경화증으로 나뉘며, 특히 죽상동맥경화증은 혈관 내 죽상판 형성으로 심혈관 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질환이다. - 심장혈관 질환 - 승모판 협착
승모판 협착은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이 좁아져 혈액 흐름을 방해하는 질환으로, 류마티스열이 주요 원인이며, 심해지면 폐 울혈,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나 심장 초음파 검사로 진단하고 증상에 따라 치료법을 고려한다.
죽종 | |
---|---|
일반 정보 | |
용어 | 죽종 |
동의어 | Atheroma atheromata (복수형) atheromas (복수형) |
![]() | |
임상 정보 | |
분야 | 불명 |
증상 | 불명 |
합병증 | 혈전증 색전증 죽상경화증 동맥경화증 |
발병 | 불명 |
지속 시간 | 불명 |
유형 | 불명 |
원인 | |
원인 | 고지혈증 고중성지방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
위험 요인 | |
위험 요인 | 불명 |
진단 | |
진단 | 불명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불명 |
예방 | |
예방 | 불명 |
치료 | |
치료 | 불명 |
약물 | 불명 |
예후 | |
예후 | 불명 |
빈도 | |
빈도 | 불명 |
사망 | |
사망 | 불명 |
식별 | |
질병 데이터베이스 | 1039 |
ICD10 | I70 |
ICD9 | 440 |
MeSH | Atheroma C14.907.137.126.307 |
2. 증상 및 징후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첫 번째 증상은 심장 동맥 내 죽상 경화증의 진행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심장 마비와 그에 따른 쇠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심장 동맥은 크기가 작고(약 5mm에서 미세한 수준까지), 가슴 깊숙이 숨겨져 있으며, 멈추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추적하기 어렵다. 또한, 모든 대량 적용 임상 전략은 최소 비용과 절차의 전반적인 안전성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죽상 경화증을 감지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추적하기 위한 기존의 진단 전략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환자의 증상과 심장 부하 검사[6]에 가장 일반적으로 의존하는 방법들은 죽상 경화성 질환이 매우 진행될 때까지 문제의 어떤 증상도 감지하지 못하는데, 이는 동맥이 죽상 경화증의 증가에 따라 수축하지 않고 팽창하기 때문이다. 혈류를 감소/중단시키는 것은 때때로 국소적으로도(혈관 조영술에서 관찰됨) 발생하는 파편과 혈전을 생성하는 플라크 파열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은 갑자기 발생하며, 심장 부하 검사[7] 또는 혈관 조영술[8][9]로 미리 드러나지 않는다.
죽상경화증은 심장 동맥 내에서 진행되어 심근 경색과 그에 따른 쇠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6] 심장 동맥은 크기가 작고 가슴 깊숙이 위치하며, 멈추지 않고 움직여 추적하기 어렵다. 기존의 진단 전략은 죽상 경화성 질환이 매우 진행될 때까지 문제를 감지하지 못하는데, 이는 동맥이 죽상 경화증의 증가에 따라 수축하지 않고 팽창하기 때문이다. 혈류 감소나 중단은 플라크 파열로 인한 파편과 혈전을 생성하여 발생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사건들은 갑자기 발생하며 심장 부하 검사[7] 또는 혈관 조영술[8][9]로 미리 드러나지 않는다.
3. 발생 기전
건강한 심외막 관상 동맥은 내막, 중간막, 외막의 세 층으로 구성된다.[10][11] 동맥 경화증과 동맥벽의 변화는 대개 작은 동맥류 (확장)를 유발하며, 이는 내강 직경의 변화 없이 추가적인 벽 두께를 보상할 만큼 충분하다. 그러나 결국, 전형적으로 취약성 플라크의 파열과 플라크 내강 내의 혈전의 결과로, 일부 영역에서 혈관 협착 (좁아짐)이 발생한다. 드물게는 동맥이 너무 커져 동맥의 거대한 동맥류 확장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 세 가지 결과는 동일한 개체 내의 다른 위치에서 종종 관찰된다.[12][13]
3. 1. 협착 및 폐쇄
죽종의 크기와 두께가 커지면서 동맥의 근육 중심 영역(중막)이 늘어나는 '리모델링' 현상이 발생한다. 리모델링은 죽종의 크기를 보상하여 혈관 개구부(내강)의 구경을 유지하지만, 혈관벽 단면적의 약 50%가 죽종 조직으로 구성되면 내강이 좁아진다.[6]
근육벽이 죽종 부피의 증가를 따라가지 못하거나, 혈전이 형성되어 플라크 위에 조직화되면, 반복적인 파열, 혈전 및 죽종과 혈류를 분리하는 조직 위에 섬유화로 인해 동맥 내강이 좁아진다.
내피(혈관 안쪽의 세포 단층)와 덮개 조직인 섬유 모자는 죽종을 내강의 혈액과 분리한다. 내피와 섬유 모자의 파열(취약 플라크 참조)이 발생하면, 플라크 파편(5마이크로미터보다 큰 파편은 모세혈관을 통과하기에는 너무 큼)과 혈소판 및 응고 반응(파편과 파열 부위에 대한 손상/복구 반응)이 시작되어 내강 협착 또는 폐쇄를 초래한다. 이는 심근 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 질환의 주요 기전이다.
3. 2. 동맥 확장
근육 벽의 비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과도하게 진행되면, 일반적으로 수십 년에 걸쳐 동맥의 심각한 확장(동맥류)이 발생한다. 이는 덜 흔한 결과이다. 동맥류 확장(혈관 팽창) 내의 죽상 경화반은 파열되어 죽상 경화반과 혈전 찌꺼기를 하류로 쏟아낼 수도 있다. 동맥 확장이 일반적인 직경의 2~3배까지 계속되면, 벽이 약해져 맥박의 스트레스만으로도 벽의 완전성이 상실되어 갑작스러운 출혈이 발생하고, 주요 증상과 쇠약이 나타나며, 종종 급사할 수 있다. 동맥류 형성에 대한 주요 자극은 근육층의 구조적 지지체의 압력 위축이다. 주요 구조 단백질은 콜라겐과 엘라스틴이다. 이는 얇아짐을 유발하고 벽이 부풀어 올라 심각한 확장이 발생하게 하며, 이는 대동맥의 복부 부위에서 흔히 나타난다.
4. 조직학
축적(부종)은 항상 내피 내벽과 동맥벽의 부드러운 근육 중막 사이의 '''내막'''에 위치한다. 초기 단계는 병리학자들에 의해 지방 반점이라고 불리지만, 지방 세포가 아니라 산화된 저밀도 지단백질 (LDL)을 섭취한 백혈구, 특히 대식세포의 축적으로 구성된다.[14]
이들은 다량의 세포질 막(관련된 높은 콜레스테롤 함량)을 축적한 후 거품 세포라고 불린다. 거품 세포가 죽으면 내용물이 방출되어 더 많은 대식세포를 끌어들이고 각 죽상 동맥 경화반의 안쪽 표면 중심 근처에 세포외 지질 핵을 생성한다.
반대로, 플라크의 바깥쪽 부분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석회화되고, 대사적으로 덜 활성화되며, 물리적으로 더 뻣뻣해진다.
정맥은 동맥과 동일한 혈역학적 압력을 받지 않기 때문에 동맥경화증이 발생하지 않으며, 관상 동맥 우회술과 같은 수술을 통해 동맥 기능을 하도록 이동되지 않는 한 마찬가지이다.[14]
5. 진단
동맥벽은 죽종이 있는 부위에서 팽창하기 때문에[6] 사망 전과 부검 후 죽종을 감지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대부분의 진단 방법은 동맥의 개구부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동맥 내강 내의 죽종을 완전히 놓치고 있다.
역사적으로 동맥벽 고정, 염색 및 얇은 절편 제작이 죽종을 감지하고 설명하는 데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는 표준 방법이었다. 특수 염색 및 검사를 통해 미세 석회화[15]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지방선이 형성된 지 1~2년 이내에 동맥 중막의 평활근 세포 내에서 발견된다.
5. 1. 현재 사용되는 진단 방법
경동맥 내중막 두께(CIMT) 스캔은 B-모드 초음파 검사로 측정하며, 미국 심장 협회에서 동맥경화증을 식별하는 데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권장하였다.[16]혈관 내 초음파 및 혈관 내 광간섭 단층 촬영술은 더 진행된 죽종을 감지하고 측정하는 데 현재 가장 민감한 방법이지만, 비용 및 신체 침습성으로 인해 적용 범위가 제한적이다.[17][18][19]
CT 스캔은 플라크에 존재하는 석회화를 감지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죽종은 CT 스캐너의 소프트웨어가 다른 주변 조직과 구별할 수 있도록 ~130 하운스필드 단위의 비교적 큰 석회화 영역을 가져야 할 정도로 진행되어야 한다. 더 작고 얼룩진 플라크의 존재는 급성 심근 경색으로 진행하는 데 실제로 더 위험할 수 있다.[20]
경동맥 초음파 검사는 동맥벽 두께를 측정하여 질병 진행을 부분적으로 추적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1960년대부터 혈관 조영술은 죽종을 평가하는 전통적인 방법이었다. 그러나 혈관 조영술은 동맥 내강 내의 혈액 흐름만 보여줄 뿐, 죽종은 전혀 보여주지 않는다.
5. 2. 병변 분류
죽종 병변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10][21]유형 | 설명 |
---|---|
제1형 | 고립된 대식세포 거품 세포 |
제2형 | 다중 거품 세포 층 |
제3형 | 초기 죽상경화반, 중간 병변 |
제4형 | 죽상경화반 |
제5형 | 섬유죽상경화반 |
제6형 | 균열, 궤양, 출혈, 혈전성 병변 |
제7형 | 석회화 병변 |
제8형 | 섬유성 병변 |
6. 치료
죽종의 진행을 늦추거나 멈추게 하기 위한 여러 방법이 연구 및 임상에서 사용되고 있다.
- 생활 습관 개선: 생과일, 채소, 견과류, 콩, 베리류, 곡물 등을 섭취하고,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 생선 기름 보충제, 아마씨유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복부 지방을 줄이고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22][26]
- 약물 치료: 스타틴과 같이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하는 약물이 사용된다.[22] 혈당과 혈압 수치를 정상으로 유지하고, 아스피린을 복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기타 치료: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2HPβCD) 피하 투여가 연구되었으나, 이후 연구에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23][24]
6. 1. 생활 습관 개선
다음은 죽종의 진행을 늦추거나 개선하기 위해 권장되는 생활 습관이다.[22][26]- 생과일, 채소, 견과류, 콩, 베리류, 곡물 섭취
-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식품(생선, 생선 기름 보충제, 아마씨유 등) 섭취
- 복부 지방 줄이기
- 유산소 운동[22]
6. 2. 약물 치료
죽종 진행을 감소시키거나 역전시키는 방법으로 여러 접근법이 홍보되어 왔다.6. 3. 기타 치료
마우스 연구에 따르면 2-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2HPβCD)의 피하 투여는 콜레스테롤을 용해시켜 플라크에서 제거할 수 있다.[23] 그러나 이후 연구에서는 2HPβCD를 이용한 치료가 죽상경화증의 퇴행을 유도하는 데 효과가 없다고 결론지었다.[24]7. 연구 역사
개선된 공중 보건, 감염 관리 및 수명 연장으로 선진국에서 죽상 경화 과정은 사회에 점점 더 중요한 문제이자 부담이 되고 있다. 죽종은 장애와 사망의 주요 근본 원인으로 남아있어, 이 문제를 더 잘 이해하고 치료하며 예방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발전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첫 번째 증상은 심장 동맥 내 죽상 경화증의 진행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심장 마비와 그에 따른 쇠약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심장 동맥은 크기가 작고 가슴 깊숙이 숨겨져 있으며, 멈추지 않고 움직이기 때문에 추적하기 어렵다.[6] 또한, 모든 대량 적용 임상 전략은 최소 비용과 절차의 전반적인 안전성에 중점을 둔다. 따라서 죽상 경화증을 감지하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추적하기 위한 기존의 진단 전략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환자의 증상과 심장 부하 검사에 가장 일반적으로 의존하는 방법들은 죽상 경화성 질환이 매우 진행될 때까지 문제의 어떤 증상도 감지하지 못하는데, 이는 동맥이 죽상 경화증의 증가에 따라 수축하지 않고 팽창하기 때문이다.[6]
혈관 조영술[8][9]에서 관찰되는 혈류 감소나 중단은 때때로 국소적으로 발생하는 파편과 혈전을 생성하는 플라크 파열로 발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사건들은 갑자기 발생하며, 심장 부하 검사[7] 또는 혈관 조영술로는 미리 알 수 없다.
1990년대 초부터 전자빔 단층 촬영 형태의 컴퓨터 단층 촬영(CT) 및 자기 공명 영상(MRI)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개별 검사당 비침습적이거나 덜 신체 침습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대체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계속 개발되고 있다. 가장 유망한 방법은 EBT였으며, 대부분의 개인이 임상적으로 인식되는 증상과 쇠약을 시작하기 전에 죽종 내의 석회화를 감지한다. MRI 관상 혈관 벽 영상은 현재 연구에 제한되어 있지만, 무증상 고위험 개인의 혈관 벽 비후를 감지하는 능력을 입증했다.[25]
로테르담 연구에서는 7,983명의 환자(55세 이상)를 평균 4.6년 동안 추적 관찰했으며, 이 기간 동안 194건의 심근 경색이 발생했다. 심근 경색 그룹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CIMT)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연구에서는 최대 CIMT 값 0.956 mm가 혈관 조영술 CAD를 예측하는 데 85.7%의 민감도와 85.1%의 특이성을 갖는다고 보고되었다.
7. 1. 과거 연구
부검 자료에 따르면 지방 반점은 어린 시절 후기에 시작되어 수십 년에 걸쳐 천천히 무증상으로 진행되었다.[6] 1950년대부터 중환자실 및 혈관 조영술, 심장 부하 검사, 관상 동맥 우회술, 혈관 성형술과 같은 복잡한 의학적, 외과적 중재가 개발되었다.7. 2. 최근 연구

인간 임상 시험을 통해 치료의 보다 효과적인 초점은 죽종 성장 과정을 늦추고, 멈추게 하고, 심지어 부분적으로 되돌리는 것이라는 점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26] 경동맥 내중막 두께 스캔(CIMT, B-모드 초음파 검사로 측정)은 미국 심장 협회에서 동맥경화증 식별에 가장 유용한 방법으로 권장되었으며, 현재 감지에 대한 표준 방법으로 여겨진다.[16]
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ARIC) Study 및 Cardiovascular Health Study (CHS)를 포함한 여러 전향적 역학 연구에서 심혈관 질환 병력이 없는 환자에서 경동맥 내중막 두께 (CIMT)와 심근 경색 및 뇌졸중 위험 간의 직접적인 상관 관계를 뒷받침했다.
- ARIC 연구: 1987년과 1989년 사이에 미국 4개 지역에서 15,792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기저 CIMT를 측정하고 경동맥 B 모드 초음파 검사로 4~7년 간격으로 측정을 반복했다. CIMT의 증가는 관상동맥질환(CAD) 위험 증가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 CHS 연구: 1988년에 시작되었으며, 65세 이하의 4,476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CIMT와 심근 경색 및 뇌졸중 위험의 관계를 조사했다. 약 6년의 추적 관찰 후 CIMT 측정값은 심혈관 사건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아시아, 아프리카/중동 및 라틴 아메리카의 Paroi artérielle et Risque Cardiovasculaire (PARC-AALA)는 또 다른 중요한 대규모 연구로,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및 라틴 아메리카의 여러 국가에서 79개의 센터가 참여했으며, 다양한 민족 그룹에 따른 CIMT의 분포와 Framingham 심혈관 점수와의 연관성이 조사되었다. 다중 선형 회귀 분석 결과, Framingham 심혈관 점수 증가는 지리적 차이와 관계없이 CIMT 및 경동맥 플라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죽종 발달을 유도하는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복잡하며, 지단백, 지단백 아형 분석, 혈당 수치, 고혈압 등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다. 최근에는 죽종 진행과 관련된 고유한 염증성 대식세포 유발 과정을 촉진하거나 억제하는 일부 복잡한 면역 체계 패턴이 죽상 경화증의 동물 모델에서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참조
[1]
논문
Atherosclerosis
2000-09
[2]
논문
An integrated approach for the mechanisms responsible for atherosclerotic plaque regression
2011
[3]
논문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atherosclerosis
2010-04
[4]
논문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Controls M2 Macrophage Differentiation and Foam Cell Formation
2012-04-06
[5]
논문
Arteriosclerosis, atherosclerosis, arteriolosclerosis, and Monckeberg medial calcific sclerosis: what is the difference?
2021
[6]
논문
Compensatory Enlargement of Human Atherosclerotic Coronary Arteries
1987-05-28
[7]
웹사이트
Stress test - Mayo Clinic
https://www.mayoclin[...]
2023-10-24
[8]
논문
Ordering and Understanding the Exercise Stress Test
https://www.aafp.org[...]
1999-01-15
[9]
웹사이트
Coronary CTA Should Be the Initial Test in Most Patients With Stable Chest Pain: PRO
https://www.acc.org/[...]
2023-10-24
[10]
EMedicine
Coronary Artery Atherosclerosis
[11]
논문
Anatomy, histology, and pathology of coronary arteries: A review relevant to new interventional and imaging techniques-Part I
1992-06
[12]
논문
Pathophysiology of Atherosclerosis
2022-03-20
[13]
웹사이트
Thoracic aortic aneurysm - Symptoms and causes
https://www.mayoclin[...]
2023-10-24
[14]
논문
Artery interposed to vein did not develop atherosclerosis and underwent atrophic remodeling in cholesterol-fed rabbits
2004-11
[15]
논문
Microcalcifications in Early Intimal Lesions of Atherosclerotic Human Coronary Arteries
2011-06
[16]
웹사이트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 indicator of cardiovascular risk
https://www.escardio[...]
2023-11-03
[17]
논문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Clinical Expert Consensus Document on Standards for Acquisi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of Intravascular Ultrasound Studies (IVUS)
2001-04
[18]
논문
The Dilemma of Diagnosing Coronary Calcification: Angiography Versus Intravascular Ultrasound
1996-03
[19]
논문
Consensus Standards for Acquisition, Measurement, and Reporting of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tudies: A Report From the International Working Group for Intravascula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tandardization and Validation
https://www.scienced[...]
2012-03-20
[20]
논문
Spotty Calcification Typifies the Culprit Plaque in Patients With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 Intravascular Ultrasound Study
2004-11-30
[21]
서적
Atlas of atherosclerosis: progression and regression
https://books.google[...]
Parthenon Pub.
[22]
뉴스
Ask the doctor: Reversing atherosclerosis?
https://www.health.h[...]
2016-11
[23]
논문
Cyclodextrin promotes atherosclerosis regression via macrophage reprogramming
2016-04-06
[24]
논문
2-Hydroxypropyl-beta-cyclodextrin Treatment Does Not Induce Atherosclerotic Lesion Regression in Western-Type Diet-Fed Apolipoprotein E Knockout Mice
https://www.mdpi.com[...]
MDPI AG
2022-08-31
[25]
논문
Three-Dimensional Black-Blood Cardiac Magnetic Resonance Coronary Vessel Wall Imaging Detects Positive Arterial Remodeling in Patients With Nonsignificant Coronary Artery Disease
2002-07-16
[26]
논문
Lifestyle Medicine: A Brief Review of Its Dramatic Impact on Health and Survival
2018
[27]
논문
Atherosclerosis
2000-09-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