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보기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보기도는 다른 사람을 위해 하는 기도를 의미하며, 기독교와 이슬람교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초기 기독교에서는 다른 사람, 특히 이단자나 원수를 위해 기도하는 것이 강조되었으며, 성인에게 기도를 요청하는 '성인의 전구' 교리가 발전했다. 또한 죽은 자를 위한 기도도 행해졌다. 이슬람교에서는 꾸란을 통해 중보기도에 대한 다양한 입장이 제시되며, 무함마드의 중보를 믿는 것이 정통 교리로 자리 잡았다. 한편, 과학적 연구에서는 중보기도가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결론이 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도 - 살라트
    살라트는 이슬람교도가 하루 다섯 번 드리는 필수적인 예배로, 알라와의 소통, 마음의 정화, 신앙 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특정 자세와 꾸란 구절 낭송을 포함하고, 수니파와 시아파, 다양한 상황에 따라 예배 방식에 차이가 있다.
  • 기도 - 마니차
    마니차는 티베트 불교에서 만트라가 적힌 두루마리가 내부에 들어있는 원통형 도구로, 회전을 통해 지혜와 공덕을 쌓고 업을 정화하는 데 사용된다.
  • 기독교 용어 - 선교사
    선교사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 등 다양한 종교에서 교리 전파나 지역 주민 지원을 위해 파견하는 사람으로, 기독교 선교사는 타문화권에 복음을 전파하고 토착 교회 설립을 추구하며, 역사적으로 서구에서 비서구 지역으로 확장되었으나 식민주의 연관, 문화적 존중 부족 등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기독교 용어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중보기도
일반 정보
종류종교 행위
목적신과의 소통
다른 사람들을 위한 간구
관련 종교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
힌두교
불교
토속 신앙
기독교에서의 중보기도
정의다른 사람을 대신하여 하나님께 간구하는 행위
성경적 근거구약성경의 아브라함, 모세, 사무엘 등의 예시
신약성경의 예수 그리스도의 중보, 성령의 도우심
역할죄의 고백과 용서 간구
치유와 회복을 위한 기도
다른 사람의 필요를 채우기 위한 간구
하나님의 뜻을 구하는 기도
중요성사랑과 연대의 표현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통로
공동체의 영적 성장 촉진
이슬람에서의 중보기도 (샤파아)
정의알라에게 죄인의 용서를 구하는 행위
조건알라의 허락과 중보자의 자격 필요
종류현세에서의 중보
내세에서의 중보 (예: 무함마드의 중보)
논쟁점시아파와 수니파 간의 견해 차이 존재
중보자의 역할과 권위에 대한 다양한 해석
유대교에서의 중보기도
정의다른 사람들을 위해 신에게 탄원하는 행위
역할공동체의 죄를 속죄하기 위한 기도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을 위한 도움 요청
랍비의 역할: 공동체를 대표하여 기도
역사적 배경성전 시대의 제사장 역할
바빌론 유수 이후 랍비의 역할 강화
힌두교에서의 중보기도
정의다른 사람들을 위해 신에게 기도하는 행위
방식만트라 암송
푸자 (의식) 봉헌
성지 순례
대상특정 신에 대한 헌신
구루 (영적 지도자)를 통한 간구
불교에서의 중보기도
정의다른 사람들을 위해 긍정적인 에너지를 보내는 행위
방식명상과 자비심 수행
다른 사람의 고통을 공감하고 덜어주려는 노력
보살의 역할: 중생을 구제하려는 서원
특징자신의 수행을 통해 다른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에 초점
토속 신앙에서의 중보기도
정의정령이나 조상신에게 도움을 청하는 행위
역할샤먼이나 무당의 역할: 신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공동체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
특징지역적 특성과 문화적 맥락에 따라 다양한 형태

2. 기독교

기독교에서 중보기도는 초대 교회부터 중요한 신앙 행위로 여겨졌다.[2]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와 사도 바울 같은 교회 지도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에 따라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할 것을 권장했다.[4][5] 성인의 전구 교리는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부 루터교 및 성공회 교회에서 지지하며, 성인에게 다른 사람을 위해 기도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고 가르친다.[9] 초기 기독교인들은 살아있는 사람뿐만 아니라 죽은 자를 위해서도 기도했다.[12] 히포의 아우구스티누스는 기도를 통해 하느님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뜻을 하느님의 뜻과 일치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19]

2. 1. 초기 기독교

초기 기독교인들은 예수의 죽음 이후에도 다른 사람들을 위한 중보 기도를 계속했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는 기독교인들에게 다른 사람, 특히 가현설을 믿거나 다른 이단적인 믿음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계속 기도하도록 권고했다.[2] 그의 스미르나 교회에 보낸 편지에서 성 이그나티우스는 스미르나 교회의 기독교인들에게 다른 사람들을 위해 기도하도록 권면한다. "오직 너희만이 그들을 위해 하나님께 기도해야 한다. 어떤 방법으로든 그들이 회개에 이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인데, 이는 매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진정한 생명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이것을 [이루실] 능력을 가지고 계시다".[3] 이그나티우스의 모든 편지에서 중보기도라는 단어는 19번 나타나며, 이그나티우스는 자신을 위해(8번), 시리아의 기독교 교회를 위해(7번), 박해자, 이단자, 그리고 모든 사람들을 위해(각 1번) 기도를 요청한다.[4]

성 이그나티우스와 사도 바울과 같은 다른 교회 지도자들은 예수의 가르침에 기초하여 중보기도를 옹호했는데, 예수의 가르침은 다른 사람, 특히 원수를 위해 기도할 것을 요구했다.

세인트 에드먼드 칼리지, 웨어의 라이오넬 스웨인에 따르면, 성 바울은 중보기도가 믿음과 기도 생활의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라고 믿었는데, 다른 사람을 위한 기도가 그의 저작물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이기 때문이다.[5] 기도는 성 바울이 하나님의 능력을 인정하는 방식이었다. 중보기도는 또한 사도가 "아버지의 구원의 사랑을 ... 함께 나누는" 방식이었다.[6] 바울은 기도가 기도하는 사람과 기도 받는 사람 모두를 변화시켜 그와 하나님 사이의 더 강한 유대감을 형성한다고 믿었다.[6]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 대학교 신학부 교회 역사 및 교회 정치학과 특별 교수인 요하네스 반 오르트 교수는 지혜를 구하는 기도 외에도 초기 교회는 다양한 은사에 깊이 관여했으며, 그 중 하나가 치유라고 덧붙인다. 다른 사람의 질병을 위한 기도는 초기 교회에서 중보기도가 중요했던 또 다른 방식이었으며, 치유는 "하나님 나라의 능력"의 징표였다.[7] 이러한 치유의 은사는 다른 은사들과 함께, 리옹의 이레네우스가 그의 저서인 ''이단 반박''에서 진정한 기독교인임을 나타내는 징표로 특별히 언급된다.[8]

2. 2. 성인과 중보기도

동방 정교회, 오리엔트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와 일부 루터교 및 성공회 교회(주로 복음주의 가톨릭 또는 앵글로-가톨릭 성향의 교회)는 성인에게 다른 사람들을 위해 전구(기도)를 요청할 수 있다고 가르치는 성인의 전구 교리를 지지한다.[9] 오리겐과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와 같은 서기 3세기 기독교 저술에서 성인에게 전구를 요청하는 교리를 찾아볼 수 있다.[10][11]

2. 3. 죽은 자를 위한 기도

초기 기독교인들은 살아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죽은 자들을 위해서도 기도했다.[12] 3세기 이전에 죽은 자를 위해 기도하기 시작했다는 명확한 증거는 없다.[13] G. F. 해밀턴은 세라피온의 성사집(350년)에서 죽은 기독교인을 위한 초기 기도 사례가 발견된다고 주장한다.[14] 초기 기독교인들은 매주 일요일 정규 예배보다는 주중에 특별 기념 행사를 통해 죽은 자들을 위해 기도했다. 죽은 자들을 기억하는 것과 그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 사이에는 뚜렷한 구분이 있었으며, 이는 "신앙심이 깊게 죽은 자"들을 위한 것이었다.[15] 기독교인들은 오직 신도로서 죽은 자들을 위해서만 기도했다. 클레멘스 1서(95년)에는 살아있는 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기도 외에 죽은 자들을 포함하는 기도가 있다. 초기부터 기독교인으로 죽은 자와 불신자로 죽은 자 사이에는 구분이 있었다. 폴리카르포스의 순교(155년)에서 폴리카르포스는 살해당하고 그의 유해는 동료 기독교인들에게 수습되어 그를 위한 신사가 세워졌으며, 그곳에서 그의 순교를 기억할 수 있었다.[16] 반대로, 아리스티데스의 변증은 기독교인이 아닌 자들에 대해 슬퍼하는 반면, 죽은 신실한 자들에 대해서는 기뻐했음을 보여준다.[17][18]

2. 4. 신학적 관점

가톨릭 신학자 패트리샤 A. 설리번은 성인 숭배가 하느님을 폄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서는 안 된다고 경고한다.[19] 아우구스티누스는 우리가 하느님을 가르치기 위해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뜻을 하느님의 뜻과 일치시키기 위해 기도한다고 말했다.[19] 설리번은 "중보"의 사전적 의미("개입, 중재, 조정, 협상")에 대해 경고하는데, 이는 마치 우리가 필요를 얻기 위해 조작해야 하는 적대적이거나 비우호적인 하느님을 상대하는 것처럼 들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신약성서에서 중보를 의미하는 단어의 ''hapax legomenon''이 아니다.[20]

설리번은 우리가 성인에게 우리를 위해 중보해 달라고 요청할 때, 더 깊은 차원에서 일어나는 일은 구원받은 모든 이들의 공동체 안에서 그리스도의 승리와 우리의 희망이라는 상징을 통해 하느님께 나아가는 것이라고 설명한다.[21] 성인들은 우리가 그들을 위해 기도하든 않든 항상 하느님이 원하시는 것, 즉 우리에게 가장 좋은 것을 원한다. 그들은 하느님의 사랑과 보살핌에 대한 끊임없는 찬양의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우리는 그 자세에 동참하여 그들에게가 아니라 그들과 ''함께'' 기도한다. 우리의 청원은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느님을 향해 신뢰를 갖게 하고, 하느님의 일이 우리 안에서, 그리고 우리를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는 가치를 지닌다.[21]

하느님께 선을 행하기 위해 더 열심히 노력해 달라고 요청하는 것은 저주스러운 일이다. 성인의 호칭을 통해 "우리는 모든 구원받은 자들의 포괄적인 공동체에 대한 믿음 안으로 피신"하며, 그곳에서 "각자는 모든 것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말한다. 그들은 "거룩함의 창조적인 모델"이다.[22][23]

3. 이슬람

이슬람에서 중보기도 또는 중재(아랍어: ''s̲h̲afāʿa'')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개념이었지만,[24] 오늘날 모든 무슬림이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24]

꾸란은 이슬람 이전 아랍 이교 신들은 인류를 위해 하나님께 중보할 수 없다고 말하며,[25] "죄인들"(''al-mujrimīn'', 74:41)은 심판의 날에 어떤 중보기도도 받을 수 없다고 말한다.[26] 중보기도의 효능을 부정하는 다른 구절로는 32:4와 39:44가 있다. 또 다른 구절들은 하나님만이 유일한 중보자라고 말한다(6:51, 6:70; 32:4; 39:44).[27]

그러나 꾸란에는 천사들이 신자들을 위해 기도하고 예언자가 회개한 죄인 무슬림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언급되어 있어, 중보기도가 나타난다.[28] 더욱이, "무함마드가 부활의 날에 모든 무슬림을 위해 중보할 것이다"라는 것은 정통 이슬람 교리이자 "기본적인 신념"이 되었다.[28] 이 교리는 이슬람 역사에서 실제로 도전을 받은 적은 없지만, 무덤에서 기도함으로써 죽은 예언자와 성자에게 중보기도를 요청하는 수니파와 시아파의 관행은 현대 이슬람 세계에서 논쟁거리가 되었다. 이러한 중보기도는 살라피/와하비 무슬림에게는 다신교의 일종으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는 많은 개신교 신자들이 가톨릭동방 정교회의 성자 중보기도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유사하다.

4. 과학적 연구

일부 종교에서는 아픈 사람을 위해 기도하면 기도받는 사람의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분야의 문헌에 대한 메타 연구는 효과가 없거나 잠재적으로 작은 효과에 대한 증거만 보여주는 것으로 수행되었다. 예를 들어, 2006년 14개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에서는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없다"고 결론지었지만, 2007년 중보기도에 대한 체계적 검토에서는 결론이 나지 않았으며, 17개 연구 중 7개 연구에서 "작지만 중요한 효과 크기"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방법론적으로 가장 엄격한 연구에서도 중요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31][32]

참조

[1] 간행물 Petition and Intercession: The Biblical Doctrine of Prayer (2) 1954-01
[2] 웹사이트 Smyrna in the Ignatian Letters: A Study in Church Order 1940
[3] 웹사이트 CHURCH FATHERS: Epistle to the Smyrnaeans (St. Ignatius) http://www.newadvent[...]
[4] 문서 Smyrna in the Ignatian Letters: A Study in Church Order 1940
[5] 문서 Homiletic Notes 1968
[6] 문서 Homiletic Notes
[7] 문서 The Holy Spirit and the Early Church: The Experience of the Spirit 2012
[8] 웹사이트 Church Fathers: Against Heresies, II.32 (St. Irenaeus) http://www.newadvent[...]
[9] 웹인용 What We Believe http://www.orgsites.[...] Evangelical Community Church-Lutheran 2022-05-12
[10] 웹사이트 On the Intercession and Invocation of the Saints http://www.orthodoxi[...]
[11] 웹사이트 The Intercession of the Saints https://web.archive.[...] 2015-10-09
[12] 간행물 Prayers of the Ancient Church for the Faithful Departed https://www.jstor.or[...] 1916-07
[13] 문서
[14] 문서
[15] 문서
[16] 웹사이트 The Martyrdom of Polycarp (Hoole translation) http://www.earlychri[...]
[17] 문서
[18] 웹사이트 The Apology of Aristides the Philosopher http://www.earlychri[...]
[19] 웹사이트 Our Father, the Lord's Prayer – Augustine https://www.crossroa[...] 2017-10-17
[20] 문서 Cf. 1Tim 2.1–2 https://biblehub.com[...]
[21] 문서 A Reinterpretation of Invocation and Intercession of the Saints cdn.theologicalstudi[...] 2005
[22] 서적 Why and How Can We Venerate the Saints? Seabury 1977
[23] 서적 The Church of the Saints Seabury 1974
[24] 서적 “S̲h̲afāʿa”
[25] Quran Quran 19:87, Q36:23
[26] Quran Q74:48
[27] 서적 2, The Cow, al-Baqarah Study Quran HarperOne 2015-04
[28] 서적 Intercession Georgetown University
[29] 간행물 Are there demonstrable effects of distant intercessory prayer? A meta-analytic review. https://www.ncbi.nlm[...] 2006-08
[30]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on Intercessory Prayer http://rsw.sagepub.c[...] 2007-03
[31] 간행물 Are there demonstrable effects of distant intercessory prayer? A meta-analytic review. https://www.ncbi.nlm[...] 2006-08
[32]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on Intercessory Prayer http://rsw.sagepub.c[...] 2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