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세 몽골 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세 몽골 부족은 몽골 고원에 거주하며 다양한 부족과 연맹을 이루었다. 몽골족, 튀르크계 부족, 타타르 연맹, 메르키트 연맹, 삼림민 등이 있었으며, 각 부족은 고유한 특징과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몽골족은 여러 씨족으로 구성되었으며, 카마그 몽골이라는 부족 연맹체를 이루었다. 튀르크계 부족으로는 케레이트, 나이만, 옹구트, 두글라트 등이 있었고, 타타르 연맹과 메르키트 연맹은 몽골 연맹과 대립하며 갈등을 겪었다. 삼림민은 수렵과 채집 생활을 하며 몽골 고원 북부에 거주했다.
알룬 구아의 아버지 코릴라다이 머르건의 후예인 코릴라르, 알룬 구아의 후예 씨족인 코리 튀메드, 두바 소코르의 후예 씨족인 되르벤이 있었다. 숲에서 도분 머르건을 만나 사슴을 받은 자의 후예인 우랑카트, 도분의 하인의 씨족인 마알리크 바야우트도 몽골족에 속했다.
2. 몽골족
알룬 구아의 다섯 아들들(벨구노타이, 부구노타이, 부쿠카타이, 부카투살지, 본도차르)이 정복한 우랑카이계 씨족인 자르치우트 아당칸, 벨구노타이의 후예 씨족인 벨귀누드, 부구노타이의 후예 씨족인 뷔귀누드도 몽골족의 일원이었다. 부카카타기의 후예 씨족인 카타긴, 부카투살지의 후예 씨족인 살지우트, 얼지건도 몽골족에 포함되었다.
보돈차르가 약탈혼한 아내의 장남의 후예 씨족이자 자무카의 씨족인 자다란, 보돈차르가 약탈혼한 아내와 사이에 낳은 후예 씨족인 바아린, 보돈차르의 아들과 약탈혼한 아내의 자식의 후예 씨족인 마난 바아린, 보돈차르가 첩 사이에 낳은 자식의 후예 씨족인 자뤼우트도 몽골족을 구성했다.
보돈차르와 정실부인 사이의 자식들의 후예 씨족들로는 노요콘, 바를라스, 부다아트, 아다르킨이 있었다. 아다르킨의 분파로는 자무카에 의해 왕자 일곱 명이 삶겨 죽은 초노스와 텔렝구드가 있다. 이외에도 우루우트, 망구드, 타이치우트, 쉴뒤쉰, 나케드 바아린, 베수드, 오로나르, 콩코탄, 아룰라드, 수누드, 캅투르카스, 거니거스, 카불 칸의 장남의 후예 씨족 유르키, 예수게이의 씨족이자 칭기즈 칸의 출신 씨족인 키야트, 주르킨, 카다긴, 망그할 등이 몽골족에 속했다.
2. 1. 카마그 몽골
칭기즈 칸 이전, 몽골족은 여러 씨족들이 느슨하게 결합된 형태의 주요 부족 연맹체인 카마그 몽골을 이루고 있었다. 카마그 몽골에는 알룬 구아의 아버지 코릴라다이 머르건의 후예인 코릴라르, 알룬 구아의 후예 씨족인 코리 튀메드, 두바 소코르의 후예 씨족인 되르벤이 있었다. 숲에서 도분 머르건을 만나 사슴을 받은 자의 후예인 우랑카트, 도분의 하인의 씨족인 마알리크 바야우트도 카마그 몽골에 속했다.
알룬 구아의 다섯 아들들(벨구노타이, 부구노타이, 부쿠카타이, 부카투살지, 본도차르)이 정복한 우랑카이계 씨족인 자르치우트 아당칸, 벨구노타이의 후예 씨족인 벨귀누드, 부구노타이의 후예 씨족인 뷔귀누드도 카마그 몽골의 일원이었다. 부카카타기의 후예 씨족인 카타긴, 부카투살지의 후예 씨족인 살지우트, 얼지건도 카마그 몽골에 포함되었다.
보돈차르가 약탈혼한 아내의 장남의 후예 씨족이자 자무카의 씨족인 자다란, 보돈차르가 약탈혼한 아내와 사이에 낳은 후예 씨족인 바아린, 보돈차르의 아들과 약탈혼한 아내의 자식의 후예 씨족인 마난 바아린, 보돈차르가 첩 사이에 낳은 자식의 후예 씨족인 자뤼우트도 카마그 몽골을 구성했다.
보돈차르와 정실부인 사이의 자식들의 후예 씨족들로는 노요콘, 바를라스, 부다아트, 아다르킨이 있었다. 아다르킨의 분파로는 자무카에 의해 왕자 일곱 명이 삶겨 죽은 초노스와 텔렝구드가 있다. 이외에도 우루우트, 망구드, 타이치우트, 쉴뒤쉰, 나케드 바아린, 베수드, 오로나르, 콩코탄, 아룰라드, 수누드, 캅투르카스, 거니거스, 유르키, 예수게이의 씨족이자 칭기즈 칸의 출신 씨족인 키야트, 주르킨, 카다긴, 망그할 등이 카마그 몽골에 속했다.
3. 튀르크계 부족
케레이트는 몽골 고원 중부에 위치한 강력한 부족이었다.[17][18]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믿은 것으로 유명하다.[19][20] 몽골 고원의 남쪽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동쪽으로는 타타르와 몽골, 북쪽으로는 메르키트, 서쪽으로는 나이만, 남쪽으로는 서하와 국경을 맞대었다. 출신 인물 중 저명한 이로는 옹 칸과 소르칵타니 베키가 있다.[19][20] 케레이트는 튀르크-몽골 기독교(네스토리우스교) 민족이었다.[3][4]
나이만은 몽골 고원 서남쪽에 위치한 부족으로, 동쪽으로는 케레이트, 북쪽으로는 삼림민, 남쪽으로는 서요와 국경을 맞대었다.[8] 케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믿었다.[9]
러시아 투르크학자 니콜라이 아리스토프의 견해에 따르면, 나이만 칸국의 서쪽 국경은 이르티쉬강, 동쪽 국경은 몽골 타미르강에 닿았으며, 알타이 산맥과 남알타이 공화국은 나이만 칸국의 일부였다.[8] 1175년까지 카라 키타이와 외교 관계를 맺고 그들의 지배를 받았다.[9]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 및 소련 역사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나이만을 몽골어를 사용하는 부족으로 분류했다.[10] 바실리 바르톨드, 그리고리 포타닌, 보리스 블라디미르초프, 일리야 페트루셰프스키, 니콜라스 포페, 레프 구밀료프, 바딤 트레파블로프와 같은 러시아 동양학자들이 그들을 몽골족으로 분류했다.[10] 반면, 다른 학자들은 나이만을 세키즈 오구즈(투르크어로 "여덟 오구즈"를 의미) 출신의 튀르크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1][12][13] "나이만"이라는 부족명은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덟"을 의미하지만, 그들의 칭호는 튀르크어이며, 일부에서는 몽골화된 튀르크족일 가능성을 제기한다.[13] 그들은 투르크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몽골어를 사용하기도 한 것으로 묘사된다.[13] 키타이족과 위구르족처럼 나이만족 중 다수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거나 불교 신자였다.[14]
옹구트(Ongud, Öngüt, 몽골어: Онгуд, Онход; 중국어: 汪古, Wanggu)는 칭기즈 칸(1162–1227) 시대 무렵 현재 중국 북부의 내몽골 자치구에서 활동했던 튀르크계 부족으로, 이후 몽골화되었다.[15] 옹구트라는 이름은 고대 튀르크어 öng "황폐한, 사람이 살지 않는; 사막" + güt "계급 표시자"에서 유래했다. 많은 옹구트는 동방 기독교 신자였다.[16] 그들은 오르도스 고원 북부와 그 북동쪽 영토에 있는 만리장성을 따라 이어진 지역에 거주했다.[16]
두글라트는 자미 알타와리흐에 언급되는 튀르크계 부족이다.
3. 1. 케레이트
케레이트는 몽골 고원 중부에 위치한 강력한 부족이었다.[17][18]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믿은 것으로 유명하다.[19][20] 몽골 고원의 남쪽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동쪽으로는 타타르와 몽골, 북쪽으로는 메르키트, 서쪽으로는 나이만, 남쪽으로는 서하와 국경을 맞대었다.
출신 인물 중 저명한 이로는 옹 칸과 소르칵타니 베키가 있다.[19][20]
케레이트는 튀르크-몽골 기독교(네스토리우스교) 민족이었다.[3][4]
3. 2. 나이만
나이만은 몽골 고원 서남쪽에 위치한 부족으로, 동쪽으로는 케레이트, 북쪽으로는 삼림민, 남쪽으로는 서요와 국경을 맞대었다.[8] 케레이트와 마찬가지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를 믿었다.[9]
러시아 투르크학자 니콜라이 아리스토프의 견해에 따르면, 나이만 칸국의 서쪽 국경은 이르티쉬강, 동쪽 국경은 몽골 타미르강에 닿았으며, 알타이 산맥과 남알타이 공화국은 나이만 칸국의 일부였다.[8] 1175년까지 카라 키타이와 외교 관계를 맺고 그들의 지배를 받았다.[9]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 및 소련 역사학에서는 전통적으로 나이만을 몽골어를 사용하는 부족으로 분류했다.[10] 바실리 바르톨드, 그리고리 포타닌, 보리스 블라디미르초프, 일리야 페트루셰프스키, 니콜라스 포페, 레프 구밀료프, 바딤 트레파블로프와 같은 러시아 동양학자들이 그들을 몽골족으로 분류했다.[10] 반면, 다른 학자들은 나이만을 세키즈 오구즈(투르크어로 "여덟 오구즈"를 의미) 출신의 튀르크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11][12][13] "나이만"이라는 부족명은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여덟"을 의미하지만, 그들의 칭호는 튀르크어이며, 일부에서는 몽골화된 튀르크족일 가능성을 제기한다.[13] 그들은 투르크어를 사용하기도 하고 몽골어를 사용하기도 한 것으로 묘사된다.[13] 키타이족과 위구르족처럼 나이만족 중 다수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인이거나 불교 신자였다.[14]
3. 3. 옹구트
옹구트(Ongud, Öngüt, 몽골어: Онгуд, Онход; 중국어: 汪古, Wanggu)는 칭기즈 칸(1162–1227) 시대 무렵 현재 중국 북부의 내몽골 자치구에서 활동했던 튀르크계 부족으로, 이후 몽골화되었다.[15] 옹구트라는 이름은 고대 튀르크어 öng "황폐한, 사람이 살지 않는; 사막" + güt "계급 표시자"에서 유래했다. 많은 옹구트는 동방 기독교 신자였다.[16] 그들은 오르도스 고원 북부와 그 북동쪽 영토에 있는 만리장성을 따라 이어진 지역에 거주했다.[16]
3. 4. 두글라트
두글라트는 자미 알타와리흐에 언급되는 튀르크계 부족이다.
4. 기타 부족
몽골 고원 동남쪽을 차지하고 있었다. 북쪽으로는 몽골 연맹, 서쪽으로는 케레이트, 남쪽으로는 금나라와 국경을 맞대었다. 카마그 몽골의 암바카이 칸을 금나라에 팔아넘겨서 죽게 했기 때문에 몽골 연맹과는 원수지간이었다.
- '''아이리우트''': 암바카이의 죽음에 관련해 언급되는 씨족.
- '''부이리우트''': 암바카이의 죽음에 관련해 언급되는 씨족.
- '''주이인''': 암바카이의 죽음에 관련해 언급되는 씨족, 또는 군사조직
- '''차칸 타타르''': 타타르 멸망의 대목에서 언급되는 씨족.
- '''알치 타타르:''' 타타르 멸망의 대목에서 언급되는 씨족.
- '''투타우트 타타르''': 타타르 멸망의 대목에서 언급되는 씨족.
- '''알루카이 타타르''': 타타르 멸망의 대목에서 언급되는 씨족.
- '''타리아트 타타르'''[21]
바이칼 호 남쪽에 위치한 메르키트는 남쪽으로 케레이트, 동쪽으로 몽골과 국경을 맞대었다. 메르키트는 몽골과 대립했으며, 약탈혼을 목적으로 테무진의 아내 보르테를 납치했다. 그 결과 테무진의 보복 공격을 받아 멸망하고 몽골 연맹에 흡수된다(13세기).
- '''우두이드'''
- '''우바스'''
- '''카아드'''
몽골 고원 북부, 시베리아와의 경계의 삼림지역에 살았던 부족들로서, 유목도 하지 않고 수렵채집생활을 하며 살았다.
- '''코리 튀메드'''
- '''오이라트'''
- '''부랴트'''
- '''바르쿤'''
- '''우르수우트'''
- '''캅카나스'''
- '''캉카스'''
- '''우리앙카이'''
- '''투바'''
- '''케스디인'''
- '''바야드'''
- '''투카스'''
- '''테늘레그'''
- '''타스'''
- '''바지기드'''
- '''튀메드''': 코리 튀메드와 동일
- '''바르가'''
4. 1. 타타르 연맹
몽골 고원 동남쪽에 위치한 부족 연맹체로, 북쪽으로는 몽골 연맹, 서쪽으로는 케레이트, 남쪽으로는 금나라와 국경을 맞대었다.[21][5] 카마그 몽골의 암바카이 칸을 금나라에 팔아넘겨 죽게 만들었기 때문에 몽골 연맹과는 오랜 기간 적대 관계였다.[21][5]암바카이 칸의 죽음에는 아이리우트, 부이리우트, 주이인 씨족이 관련되어 있으며,[21][5] 주이인은 군사조직으로 추정되기도 한다.[21][5] 타타르 연맹의 멸망과 관련해서는 차칸 타타르, 알치 타타르, 투타우트 타타르, 알루카이 타타르, 타리아트 타타르 씨족이 언급된다.[21][5]
4. 2. 메르키트 연맹
바이칼 호 남쪽에 위치한 메르키트는 남쪽으로 케레이트, 동쪽으로 몽골과 국경을 맞대었다.[6][7] 몽골과 대립했으며, 약탈혼을 목적으로 테무진의 아내 보르테를 납치했다.[6][7] 그 결과 테무진의 보복 공격을 받아 멸망하고 몽골 연맹에 흡수되었다.(13세기)[6][7] 메르키트는 몽골 부족이거나 몽골화된 튀르크족으로, 테무진의 부상에 반대하여 그의 신부 보르테를 납치했다. 그들은 13세기 초에 몽골에 의해 패배하고 흡수되었다.[6][7]메르키트는 크게 우두이드, 우바스, 카아드의 세 부족으로 나뉘었다.
- '''우두이드'''
- '''우바스'''
- '''카아드'''
4. 3. 삼림민
몽골 고원 북부, 시베리아와의 경계의 삼림지역에 살았던 부족들로서, 유목도 하지 않고 수렵채집생활을 하며 살았다. 이들 삼림민에는 코리 튀메드, 오이라트, 부랴트, 바르쿤, 우르수우트, 캅카나스, 캉카스, 우리앙카이, 투바, 케스디인, 바야드, 투카스, 테늘레그, 타스, 바지기드, 튀메드, 바르가 등이 있었다.5. 원조비사에 언급되는 기타 집단
소속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집단으로, 위에 언급된 부족 및 씨족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 '''올코누드'''(몽골어: 올흐누우드): 테무진의 어머니의 씨족이다.
- '''콩기라트''': 보르테와 테무진의 첫 번째 부인이 속한 부족이다.
- 메르키트족과의 첫 번째 승리 후 자무카와 분리된 후 테무진에 합류한 일부 씨족:
- * '''잘라이르'''
- * '''타르후트'''
- * '''비시'우트'''(몽골어: 비시유드)
- * '''바야드'''
- * '''힝기다이'''(몽골어: 힝기드): 힝깃, 올후누드의 하위 씨족이다.
- * '''골로스''': 올후누드의 하위 씨족이다.
- * '''이키레스'''(몽골어: 이히레스)
- * '''사하이트'''
- * '''아룰라트'''(몽골어: 아룰라드)
- * '''오로나르'''
- 상굼의 음모에 참여한 일부 씨족:
- * '''하르다키트'''
- * '''에부게진'''(몽골어: 으보그진)
- * '''하르타'아트'''
- '''호룰라스''': 발준 호수에서 칭기스와 합류한 씨족이다.
- '''토후라'우트'''
- '''네구스''' 또는 초노스 부족: 추장이 70명의 치노스 왕자들과 함께 살해된 씨족이다.
참조
[1]
서적
Jami' al-tawarikh
[2]
서적
Die geheime Geschichte der Mongolen
Leipzig
1948
[3]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Rutgers University Press
1970
[4]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5]
서적
Tarikh-i Rashidi
[6]
서적
A History of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2-17
[7]
서적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https://books.google[...]
Facts On File
2004
[8]
간행물
Augustine
http://dx.doi.org/10[...]
Routledge
2022-06-27
[9]
간행물
The Qara Khitai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6-27
[10]
학술지
"Genghis Khan: His Life and Legacy.''Paul Ratchnevsky, Thomas Nivison Haining"
http://dx.doi.org/10[...]
1995-04
[11]
학술지
The Turks of Central Asia in History and at the Present Day.
https://www.jstor.or[...]
2001
[12]
서적
A history of the Crusade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13]
학술지
Li Tang, Dietmar W. Winkler (eds.). Artifact, Text, Context: Studies on Syriac Christianity in China and Central Asia
https://journals.ope[...]
2021-01-18
[14]
서적
Hidden Treasures and Intercultural Encounters. 2. Auflage: Studies on East Syriac Christianity in Chin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15]
학술지
Nestorian Personal Names from Central Asia
https://journal.fi/s[...]
[16]
웹사이트
元史/卷118 - 维基文库,自由的图书馆
https://zh.wikisourc[...]
2022-06-26
[17]
웹사이트
Kereys
http://www.history.k[...]
2015-08-29
[18]
웹사이트
Kereys
http://www.history.k[...]
2015-08-29
[19]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Rutgers University Press
1970
[20]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21]
서적
Tarikh-i Rashid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