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앙세르비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앙세르비아는 도나우강, 사바강, 드리나강을 경계로 몬테네그로,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루마니아와 접한 지역이다. 로마 시대에는 모에시아로 불렸으며,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핵심 지역이었다. 19세기 초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 내 자치 공국으로 인정받았고, 1878년 독립 국가가 되었다. 중앙세르비아는 베오그라드 시와 17개의 구로 구성되며,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에 따라 베오그라드, 슈마디야 및 서부 세르비아,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로 분류된다. 주요 도시는 베오그라드, 니시, 크라구예바츠 등이 있으며,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보스니아인, 로마인, 알바니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 세르비아의 구
    세르비아의 구는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단위로, 중앙 세르비아, 보이보디나,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로 구성되며, 코소보 분쟁 이후 UNMIK와 세르비아 간의 구 개편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
    코소보 메토히야 자치주는 세르비아의 자치주였으나 자치권 축소, 코소보 전쟁 등을 거쳐 2008년 독립을 선언하고 현재는 세르비아와 UNMIK의 행정 구역 체제가 공존하고 있다.
  • 본토 - 덴마크
    덴마크는 유틀란트 반도와 섬들로 이루어진 북유럽 입헌 군주국으로, "덴인의 땅"이라는 뜻의 국명을 가지며, 바이킹 시대를 거쳐 선진 복지 국가로 발전하여 EU와 NATO 회원국으로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높은 삶의 질과 독특한 문화를 지닌 국가이다.
  • 본토 - 프랑스 본토
    프랑스 본토는 유럽 대륙에 위치한 프랑스 공화국의 주요 영토로, 프랑스 전체 면적과 인구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해외 영토와의 불평등한 관계를 반영한다는 비판으로 대체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
중앙세르비아
지역 정보
관용명중앙세르비아
원어명sr-Cyrl: Централна Србија
sr-Latn: Centralna Srbija
다른 이름link=no
좌표44°49′14″N 20°27′44″E
세르비아 내 중앙 세르비아 지도
세르비아 내 중앙 세르비아 지도
일반 정보
국가국가
수도베오그라드
최대 도시베오그라드
면적55968 km2
인구 (2022년 인구 조사)4,906,773명
인구 밀도87.6 명/km2
시간대CET
UTC 오프셋+1
하계 시간 (DST)CEST
UTC 오프셋 (DST)+2

2. 지리

중앙세르비아는 도나우강과 사바강(북쪽), 드리나강(서쪽)을 자연 경계로 하며, 남서쪽 몬테네그로, 남쪽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동쪽 불가리아, 북동쪽 루마니아와 접한다. 도나우강과 사바강은 중앙세르비아와 보이보디나를, 드리나강은 세르비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구분한다. 그레이트 모라바강이 중앙세르비아를 관통한다. 서쪽과 남쪽의 디나르 알프스산맥, 동쪽의 카르파티아산맥과 발칸 산맥 등 3개의 주요 산맥이 뻗어 있다.

주요 지리 지역으로는 슈마디야, 마치바, 티목 계곡(네고틴 계곡 포함), 포모라블레, 포두나블레, 포사비나, 포드리녜, 즈라티보르, 라슈카 등이 있다.

3. 역사

로마 시대에는 "모에시아"가 세르비아 본토를 포함하는 지역의 이름이었다. 비미나시움(오늘날의 코스톨라크)은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주의 수도였다. 슬라브족은 6세기와 7세기에 발칸 반도를 휩쓸었다. 슬라브 부족인 세르비아인들은 중세 초기 시대에 오늘날 세르비아 남서부 지역을 차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왕립 프랑크 연대기''는 9세기에 동부 지역의 브라니체브치와 티모차니에 대해 언급한다. 남서부에 위치한 라슈카는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핵심이었으며, 스타리 라스는 세르비아 대공국의 수도로 확인되었다. 세르비아는 결국 동쪽으로 국경을 확장했다. 세르비아 본토의 대부분 지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몬테네그로 북부,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지역은 "세르비아 영토"라고 불렸으며, 중세 세르비아 통치자들의 양식에 포함되었다. 시르미아의 스테판 드라구틴 왕 (재위 1282–1316)은 데브르크와 베오그라드 두 곳을 수도로 가지고 있었다. 세르비아 제국 멸망 이후, 라자르 (재위 1373–89)와 스테판 라자레비치 (재위 1389–1402) 시대의 "모라비아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본토와 거의 일치했다. 크루셰바츠는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정복할 때까지, 그리고 수도를 베오그라드에 둔 세르비아 전제 공국이 수립될 때까지 모라비아 세르비아의 수도였다.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세르비아 전제 공국을 정복하고 스메데레보 산자크를 설치했다. 스메데레보 산자크는 처음에는 스메데레보에 설치되었으나, 1521년 베오그라드 함락 이후 베오그라드로 옮겨져 "베오그라드 파샬루크"라고 불렸다.

1718년부터 1739년까지 스메데레보 산자크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점령되어 세르비아 왕국으로 관리되었다. 세르비아 민병대 (1718–39)는 1737–39년 전쟁 기간 동안 세르비아 본토 전역에서 활동했으나, 전쟁은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나고 산자크는 오스만 제국으로 반환되었다. 세르비아 본토의 북쪽 절반은 1787–91년 전쟁 동안 잠시 합스부르크 점령 하에 있다가 다시 반환되었다.

19세기 초, 제1차 세르비아 봉기(1804–13)와 제2차 세르비아 봉기(1815–17)를 거치면서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 내에서 자치 공국으로 인정받았다. 이 시기 세르비아는 ''사실상''의 국가(de facto state)였으며, 역사 기록에서는 "혁명 세르비아"로 알려져 있다. 1878년, 세르비아는 베를린 조약을 통해 완전한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고, 남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878년의 국경은 오늘날의 중앙 세르비아와 거의 일치한다.

1878년 세르비아의 국경. 후기 중앙 세르비아의 국경과 유사했다


발칸 전쟁(1912–13)에서 세르비아는 남쪽으로 국경을 더욱 확장하여 오늘날 코소보북마케도니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에는 북쪽 (오늘날의 보이보디나)과 남서부 (산자크 지역)에서도 영토가 확장되었다. 세르비아는 1918년 12월 1일 새로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세르비아 본토는 왕국 내에서 별도의 정치적 지위를 갖지 않았으며, 1929년 왕국의 새로운 주가 형성되었을 때 5개의 ''바노비나''로 나뉘었다. 그중 하나인 모라바 바노비나는 동쪽에 설립되었으며 수도는 니시에 있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대부분의 영토는 세르비아 군정 하에 독일 국방군 점령 하에 있었고, 산자크 남서부 지역은 이탈리아에, 코소보 남부는 알바니아에, 남동부 지역은 불가리아에 병합되었다. 1944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한 유고슬라비아 해방과 함께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의 공화국 중 하나로 형성되었고, 1945년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는 세르비아 내 자치주가 되었다. 1990년대 초, ''우자 세르비아''라는 용어는 ''체르트랄나 세르비아'' ("중앙 세르비아")로 대체되었다. 2009–10년에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이 형성되면서 베오그라드, 슈마디야와 서부 세르비아,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가 중앙 세르비아를 구성한다.[1]

1974~1990년 중앙 세르비아의 행정 구역

3. 1. 중세

로마 시대에는 "모에시아"가 세르비아 본토를 포함하는 지역의 이름이었다.[1] 비미나시움(오늘날의 코스톨라크)은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주의 수도였다.[1] 슬라브족은 6세기와 7세기에 발칸 반도를 휩쓸었다.[1] 슬라브 부족인 세르비아인들은 중세 초기 시대에 오늘날 세르비아 남서부 지역을 차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 ''왕립 프랑크 연대기''는 9세기에 동부 지역의 브라니체브치와 티모차니에 대해 언급한다.[1] 남서부에 위치한 라슈카는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핵심이었으며, 스타리 라스는 세르비아 대공국의 수도로 확인되었다.[1] 세르비아는 결국 동쪽으로 국경을 확장했다.[1] 세르비아 본토의 대부분 지역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동부, 몬테네그로 북부, 코소보, 북마케도니아 지역은 "세르비아 영토"라고 불렸으며, 중세 세르비아 통치자들의 양식에 포함되었다.[1] 시르미아의 스테판 드라구틴 왕 (재위 1282–1316)은 데브르크와 베오그라드 두 곳을 수도로 가지고 있었다.[1] 세르비아 제국 멸망 이후, 라자르 (재위 1373–89)와 스테판 라자레비치 (재위 1389–1402) 시대의 "모라비아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본토와 거의 일치했다.[1] 크루셰바츠는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정복할 때까지, 그리고 수도를 베오그라드에 둔 세르비아 전제 공국이 수립될 때까지 모라비아 세르비아의 수도였다.[1]

3. 2. 오스만 제국 시기

오스만 제국은 15세기에 세르비아 전제 공국을 정복하고 스메데레보 산자크를 설치했다. 스메데레보 산자크는 처음에는 스메데레보에 설치되었으나, 1521년 베오그라드 함락 이후 베오그라드로 옮겨져 "베오그라드 파샬루크"라고 불렸다.

1718년부터 1739년까지 스메데레보 산자크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점령되어 세르비아 왕국으로 관리되었다. 세르비아 민병대 (1718–39)는 1737–39년 전쟁 기간 동안 세르비아 본토 전역에서 활동했으나, 전쟁은 오스만 제국의 승리로 끝나고 산자크는 오스만 제국으로 반환되었다. 세르비아 본토의 북쪽 절반은 1787–91년 전쟁 동안 잠시 합스부르크 점령 하에 있다가 다시 반환되었다.

3. 3. 근대

19세기 초, 제1차 세르비아 봉기(1804–13)와 제2차 세르비아 봉기(1815–17)를 거치면서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 내에서 자치 공국으로 인정받았다. 이 시기 세르비아는 ''사실상''의 국가(de facto state)였으며, 역사 기록에서는 "혁명 세르비아"로 알려져 있다. 1878년, 세르비아는 베를린 조약을 통해 완전한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고, 남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1878년의 국경은 오늘날의 중앙 세르비아와 거의 일치한다.

발칸 전쟁(1912–13)에서 세르비아는 남쪽으로 국경을 더욱 확장하여 오늘날 코소보북마케도니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에는 북쪽 (오늘날의 보이보디나)과 남서부 (산자크 지역)에서도 영토가 확장되었다. 세르비아는 1918년 12월 1일 새로운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세르비아 본토는 왕국 내에서 별도의 정치적 지위를 갖지 않았으며, 1929년 왕국의 새로운 주가 형성되었을 때 5개의 ''바노비나''로 나뉘었다. 그중 하나인 모라바 바노비나는 동쪽에 설립되었으며 수도는 니시에 있었다.

3. 4. 현대

로마 시대에 "모에시아"는 현재의 세르비아 본토를 포함하는 지역이었다. 비미나시움(오늘날의 코스톨라크)은 모에시아 수페리오르주의 수도였다. 중세 초기, 세르비아인들은 오늘날 세르비아 남서부 지역에 정착했으며, 라슈카는 중세 세르비아 국가의 핵심 지역으로 스타리 라스는 세르비아 대공국의 수도였다. 세르비아 제국 멸망 이후, 라자르와 스테판 라자레비치 시대의 "모라비아 세르비아"는 세르비아 본토와 거의 일치했으며, 크루셰바츠가 수도였다. 15세기에 오스만 제국이 세르비아 전제 공국을 정복한 후 스메데레보 산자크가 설립되었고, 처음에는 스메데레보에, 1521년 함락 이후에는 베오그라드에 수도를 두었다.

1718년부터 1739년까지 스메데레보 산자크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에 점령되어 세르비아 왕국으로 관리되었으며, 세르비아 민병대 (1718–39)는 1737–39년 전쟁 동안 세르비아 본토 전역에서 활동했다. 1787–91년 전쟁 동안 세르비아 본토 북쪽 절반이 합스부르크 점령 하에 있다가 오스만 제국에 반환되었다.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804–13)로 산자크는 ''사실상'' 세르비아 국가("혁명 세르비아")가 되었으나, 1813년 오스만 제국에 의해 다시 점령되었다. 제2차 세르비아 봉기 (1815–17)로 세르비아는 오스만 제국 내 자치 공국으로 인정받았고, 1878년에는 완전한 독립과 함께 남동쪽으로 영토를 확장했다.

발칸 전쟁 (1912–13)에서 세르비아는 코소보북마케도니아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며 남쪽으로 국경을 확장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1918년에는 보이보디나와 산자크 지역을 포함하여 영토를 더욱 넓혔다. 1918년 12월 1일, 세르비아는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세르비아 본토는 1929년 왕국의 새로운 주가 형성될 때 5개의 ''바노비나''로 나뉘었다.

1941년부터 1944년까지 대부분의 영토는 세르비아 군정 하에 독일 국방군 점령 하에 있었고, 산자크 남서부 지역은 이탈리아에, 코소보 남부는 알바니아에, 남동부 지역은 불가리아에 병합되었다. 1944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에 의한 유고슬라비아 해방과 함께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의 공화국 중 하나로 형성되었고, 1945년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는 세르비아 내 자치주가 되었다. 1990년대 초, ''우자 세르비아''라는 용어는 ''체르트랄나 세르비아'' ("중앙 세르비아")로 대체되었다. 2009–10년에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이 형성되면서 베오그라드, 슈마디야와 서부 세르비아,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가 중앙 세르비아를 구성한다.[1]

4. 행정 구역

(2011)행정 중심지베오그라드style="border-top:hidden"|3,2271,659,440style="border-top:hidden"|베오그라드 시3,2271,659,440베오그라드슈마디야 및 서부 세르비아style="border-top:hidden"|26,4832,062,945style="border-top:hidden"|마치바3,264298,931샤바츠콜루바라2,474174,513발레보모라비차3,016212,603차차크즐라티보르6,142286,549우지체슈마디야2,387293,308크라구예바츠포모라블레2,614214,536야고디나라슈카3,922309,258크랄레보라시나2,664273,247크루셰바츠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style="border-top:hidden"|26,2551,563,916style="border-top:hidden"|포두나블레1,250199,395스메데레보브라니체보3,865183,625포자레바츠보르3,510124,992보르자예차르3,623119,967자예차르니샤바2,727376,319니시피로트2,76192,479피로트토플리차2,22991,754프로쿠플레야블라니차2,770216,304레스코바츠프치냐3,520159,081브라네55,9655,286,301


4. 1. 베오그라드

2010년 이후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 (코소보, 세르비아가 주장함)


베오그라드 시는 세르비아의 17개 구와 함께 중앙세르비아에 위치한다. 베오그라드는 면적 3,227 km2, 인구 1,659,440명(2011년 기준)이다.

4. 2. 슈마디야 및 서부 세르비아

슈마디야 및 서부 세르비아는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 중 하나이다. 2010년 이후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은 코소보를 포함하여 설정되었다. 면적은 26,483 km2이며, 2011년 인구는 2,062,945명이다.

이 지역에는 마치바 구, 콜루바라 구, 모라비차 구, 즈라티보르 구, 슈마디야 구, 포모라블레 구, 라슈카 구, 라시나 구가 있다. 각 구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면적 (km2)인구
(2011)
행정 중심지
마치바3,264298,931샤바츠
콜루바라2,474174,513발레보
모라비차3,016212,603차차크
즐라티보르6,142286,549우지체
슈마디야2,387293,308크라구예바츠
포모라블레2,614214,536야고디나
라슈카3,922309,258크랄레보
라시나2,664273,247크루셰바츠


4. 3.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



세르비아의 구는 세르비아의 통계 지역에 따라 분류된다. 남부 및 동부 세르비아에는 포두나블레 구, 브라니체보 구, 보르 구, 자예차르 구, 니샤바 구, 피로트 구, 토플리차 구, 야블라니차 구, 프치냐 구가 위치한다.

면적 (km2)인구
(2011)
행정 중심지
포두나블레1,250199,395스메데레보
브라니체보3,865183,625포자레바츠
보르3,510124,992보르
자예차르3,623119,967자예차르
니샤바2,727376,319니시
피로트2,76192,479피로트
토플리차2,22991,754프로쿠플레
야블라니차2,770216,304레스코바츠
프치냐3,520159,081브라네


5. 도시

베오그라드세르비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이며, 니시, 크라구예바츠, 레스코바츠 등 여러 도시가 있다. 2002년 인구 조사를 기준으로, 중앙 세르비아의 주요 도시는 다음과 같다.

6. 인구

2022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중앙 세르비아의 주요 민족은 세르비아인(84.97%)이다. 세르비아인 외에도 보스니아인(153,083명, 3.12%), 로마인(90,998명, 1.85%), 알바니아인(59,752명, 1.22%)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블라흐인(20,828명, 0.42%), 민족 무슬림(10,592명, 0.23%), 불가리아인(11,795명, 0.24%), 몬테네그로인(7,814명, 0.15%), 크로아티아인(6,423명, 0.13%), 유고슬라비아인(14,705명, 0.30%), 마케도니아인(7,746명, 0.15%)도 거주한다.

대부분의 지방 자치 단체는 세르비아인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노비 파자르, 투틴, 세니차는 보스니아인이, 부야노바츠, 프레셰보는 알바니아인이, 보실레그라드, 디미트로브그라드는 불가리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참조

[1] 웹사이트 2011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Serbia: Comparative Overview of the Number of Population in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2 and 2011, Data by settlements http://pod2.stat.gov[...] Statistical Office of Republic Of Serbia, Belgrade 2014-06-27
[2] 웹사이트 Попис становништва, домаћинстава и станова 2011. у Републици Србији http://pod2.stat.gov[...] Republički zavod za statistiku 2015-06-02
[3] 웹사이트 The Library of the Congress. Glossary - Yugoslavia http://lcweb2.loc.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