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화민국 교육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국 교육부는 중화민국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부처이다. 1911년 중화민국 성립 이후 청나라의 학부를 개칭하여 설립되었으며, 전국 학술, 문화, 교육 행정의 최고 기관으로 자리 잡았다. 1895년 일본 제국에 의해 타이완에 문부성이 설치된 것을 기원으로 하며,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철수한 후 타이베이에 재설립되었다. 현재 교육부 산하에는 여러 부서와 소속 기관, 해외 사무소를 두고 있으며, 역대 교육부장 목록과 주소를 포함한 조직 현황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교육부 - 국가도서관
    국가도서관은 중화민국의 유일한 국립 도서관으로, 국가 간행물 수집 및 보존, 연구 및 교육 지원, 국제 교류 협력, 그리고 중국학 연구 센터 운영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1933년 난징에서 설립되어 타이베이로 이전했다.
  • 중화민국 교육부 - 921지진교육원구
    921지진교육원구는 1999년 대만 921 대지진 이후 재난 교육과 대비를 목적으로 설립된 박물관으로, 차룽푸 단층 갤러리, 지진 공학관, 방재관 등 다양한 시설을 통해 지진의 위력과 대처 요령을 교육하고 재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한다.
  • 중화민국 행정원 - 중화민국 교통부
    중화민국 교통부는 교통, 통신, 기상,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행정 기관으로, 우전부 설립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기능과 산하 기관을 관리하며 2023년 조직 개혁을 거쳤다.
  • 중화민국 행정원 - 국립고궁박물원
    국립고궁박물원은 1993년 개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박물관으로, 궁중 유물을 전시하며 6만 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지만 소유권 분쟁 등의 논란도 존재한다.
  • 중화민국의 중앙행정기관 - 중화민국 교통부
    중화민국 교통부는 교통, 통신, 기상, 관광 정책을 수립하고 관리하는 행정 기관으로, 우전부 설립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기능과 산하 기관을 관리하며 2023년 조직 개혁을 거쳤다.
  • 중화민국의 중앙행정기관 - 국립고궁박물원
    국립고궁박물원은 1993년 개관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된 박물관으로, 궁중 유물을 전시하며 6만 점이 넘는 유물을 소장하고 있지만 소유권 분쟁 등의 논란도 존재한다.
중화민국 교육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교육부 건물
교육부 건물
정식 명칭교육부
로마자 표기Jiàoyùbù (표준 중국어), Kàu-io̍k-pō͘ (대만어), Kau-yuk Phu (대만어-하카어)
설립1905년 (청나라), 1912년 1월 (베이징 정부), 1928년 12월 11일 (난징 국민정부), 1948년 5월 31일 (현재 형태), 1950년 3월 10일 (타이베이 재건립)
관할 구역대만
본부타이베이시중정구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장관판원충
정무차장류먼치
행정차장린덩자오
주임비서랴오싱궈

2. 역사

1911년 중화민국이 성립되면서 청나라의 '학부'를 계승하여 교육부가 처음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국내 교육 사무를 담당하는 여러 하부 조직을 두었다.

한편, 타이완 지역은 1895년부터 일본 제국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이 시기 교육은 일본 문부성의 관리하에 있었다. 일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초등 교육은 확대되었으나, 타이완인에 대한 고등 교육 기회는 제한적이었다.[1]

1928년 국민정부는 '교육부조직법'을 제정하여 교육부를 전국 학술, 문화, 교육 행정의 최고 기관으로 규정했다. 1949년 중화민국 정부가 타이완으로 이전한 후, 교육부도 타이베이에서 재설립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2022년 외국인 유학생의 입국 제한 문제와 관련하여, 교육부가 유학생들의 입국을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기도 했다.[2]

2. 1. 중화민국 교육부의 설립과 발전

1911년 중화민국 성립 후, 청나라의 '학부'를 '교육부'로 개칭했다. 설립 당시 하부 조직으로 '승정청', '보통교육사', '전문교육사', '사회교육사'를 설치하여 국내 교육 사무를 담당했다. 1926년 3월 광저우에서 국민정부가 성립되자 '교육행정위원회'의 관계 업무를 계승했다. 1928년 12월 11일, 국민정부에 의해 '교육부조직법'이 제정되면서 교육부는 전국 학술, 문화, 교육 행정의 최고 기관으로 정해져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2. 일본 통치 시기 (1895-1945)

타이완 교육부의 기원은 1895년 타이완을 점령한 일본 제국 정부 산하의 문부성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본 식민 통치 기간 동안 타이완 어린이의 학교 출석률은 1904년 3.8%에서 1943년 71.3%로 크게 증가했으며, 타이완의 문맹률 역시 낮아졌다.[1] 현대적인 학교 제도가 도입되면서 초등학교가 널리 설립되었지만, 타이완인에 대한 고등 교육 기회는 제한적이었다. 중등학교와 대학교는 대부분 일본 국적자를 위한 시설이었기 때문이다. 다만, 일부 타이완인들은 이러한 제한 속에서도 고등 교육을 받거나 일본으로 유학을 가기도 했다.

2. 3. 현대 대만의 교육 발전

교육부는 국제 교육 교류 및 협력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2017년에는 신남향정책의 일환으로 인도와의 교육 교류를 증진하기 위한 인재 개발 프로그램을 시작했다.[3]

2023년 11월에는 미국 몬태나 주와 새로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그레그 지안포르테 몬태나 주지사는 이 협약을 통해 미줄라에 위치한 몬태나 대학교중국어 교육 프로그램이, 몬태나 기술 대학교에는 교육 교류 프로그램이 개설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2022년 체결된 양해각서에 따라 몬태나 기술 대학교 학생들이 밍신 기술 대학교에서 수학한 첫 교류 이후 이루어졌다.[4]

같은 해 12월, 교육부는 조지프 G. 마리나 총장이 이끄는 스크랜턴 대학교 대표단을 초청하여 대만 내 대학들과의 파트너십을 모색했다. 이 방문은 2010년부터 스크랜턴 대학교와 교육부 간에 지속된 교류의 일환으로, 스크랜턴 대학교는 그동안 대만 문화 프로그램, 강연, 영화제 등을 개최해왔다.[5]

3. 조직 현황

중화민국 교육부는 교육부장과 차장을 중심으로 여러 부내 조직과 소속 기관, 해외 사무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6] 상세한 조직 구조는 아래와 같다.

3. 1. 부내 조직 (한국어/일본어 문서)


  • '''교육부장'''
  • '''교육부 차장''' (정무차장 1명, 상무차장 1명)
  • '''주임비서'''
  • 종합계획사
  • 고등교육사
  • 기술 및 직업교육사
  • 평생교육사
  • 국제 및 양안 교육사
  • 사범 양성 및 예술교육사
  • 정보 및 과학기술교육사
  • 학생 사무 및 특수교육사
  • 비서처
  • 인사처
  • 정풍처
  • 회계처
  • 통계처
  • 법제처
  • 사립학교 퇴직연금 적립금 감리회

3. 2. 소속 기관 (한국어/영어/일본어 문서)


  • 국민 및 학전 교육서
  • 초중등 교육서
  • 체육서
  • 청년발전서
  • 국가교육연구원
  • 국립중앙도서관
  • 국립대만도서관
  • 국립공공정보도서관
  • 국립교육방송국
  • 국립대만과학교육관
  • 국립대만예술교육관
  • 국립자연과학박물관
  • 국립과학공예박물관
  • 국립해양생물박물관
  • 국립해양과학기술박물관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 대만 스포츠 과학 연구소[7]

3. 3. 법인 기관 (일본어/영어 문서)


  • 국가 운동 훈련 센터 (国家運動訓練センターjpn) / 국립 스포츠 훈련 센터 (National Sports Training Centereng)

3. 4. 해외 사무소 (영어 문서)

중화민국 교육부의 해외 사무소 목록은 다음과 같다.[8]

국가도시사무소 명칭
캐나다오타와주 캐나다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밴쿠버주 밴쿠버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미국워싱턴 D.C.주 미국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보스턴주 보스턴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뉴욕주 뉴욕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시카고주 시카고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휴스턴주 휴스턴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로스앤젤레스주 로스앤젤레스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샌프란시스코주 샌프란시스코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파라과이아순시온파라과이 주재 중화민국(타이완) 대사관 교육참사관실
러시아모스크바타이베이-모스크바 경제문화협조위원회 모스크바 대표부 교육부
프랑스파리주 프랑스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벨기에브뤼셀주 EU 및 벨기에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독일베를린주 독일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영국런던주 영국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오스트리아비엔나주 오스트리아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스웨덴스톡홀름주 스웨덴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폴란드바르샤바주 폴란드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일본도쿄주 일본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오사카주 오사카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후쿠오카주 후쿠오카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싱가포르싱가포르주 싱가포르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대한민국서울주 대한민국 타이베이 대표부 교육부
인도뉴델리주 뉴델리 타이베이 경제문화센터 교육부
말레이시아쿠알라룸푸르주 말레이시아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호주바튼주 오스트레일리아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교육부
태국방콕주 태국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베트남호치민 시주 호치민 시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중국홍콩주 홍콩 타이베이 경제문화대표처
인도네시아자카르타주 자카르타 타이베이 경제무역대표부


4. 역대 교육부장

이름취임일퇴임일정당행정원장
1추자화 (朱家驊)1948년 5월 31일1948년 12월 22일중국 국민당옹문호
쑨포
2메이이치 (梅貽琦)취임하지 않음무소속
천쉐핑 (陳雪屏)1948년 12월 30일1949년 4월 5일중국 국민당쑨포
허잉친
3한리우 (杭立武)1949년 4월 7일1950년 3월 16일중국 국민당허잉친
옌 시산
천청 I
4청톈팡 (程天放)1950년 3월 16일1954년 6월 1일중국 국민당천청 I
5장치윈 (張其昀)1954년 6월 1일1958년 7월 19일중국 국민당위훙준
천청 II
6메이이치 (梅貽琦)1958년 7월 19일1961년 3월 1일무소속천청 II
7황지루 (黃季陸)1961년 3월 1일1965년 1월 25일중국 국민당천청 II
옌지아간
8옌전싱 (閻振興)1965년 1월 25일1969년 7월 1일무소속옌지아간
9중자오광 (鍾皎光)1969년 7월 1일1971년 4월 16일무소속옌지아간
10뤄윈핑 (羅雲平)1971년 4월 16일1972년 6월 1일무소속옌지아간
11장옌스 (蔣彥士)1972년 6월 1일1977년 4월 25일중국 국민당장징궈
12리위안쭈 (李元簇)1977년 4월 25일1978년 6월 1일중국 국민당장징궈
13주후이센 (朱匯森)1978년 6월 1일1984년 6월 1일중국 국민당쑨윈좐
14리환 (李煥)1984년 6월 1일1987년 7월 4일중국 국민당위궈화
15마오가오원 (毛高文)1987년 7월 4일1993년 2월 27일중국 국민당위궈화
리환
하오바이춘
16궈웨이판 (郭為藩)1993년 2월 27일1996년 6월 10일중국 국민당롄잔
17우징 (吳京)1996년 6월 10일1998년 2월 9일중국 국민당롄잔
샤오완창
18린칭장 (林清江)1998년 2월 9일1999년 6월 15일중국 국민당샤오완창
19양차오샹 (楊朝祥)1999년 6월 15일2000년 5월 20일중국 국민당샤오완창
20쩡즈랑 (曾志朗)2000년 5월 20일2002년 2월 1일무소속탕페이
장춘슝 I
21황룽춘 (黃榮村)2002년 2월 1일2004년 5월 20일무소속위시쿤
22두정성 (杜正勝)2004년 5월 20일2008년 5월 20일무소속위시쿤
셰창팅
쑤전창 I
장춘슝 II
23정루이청 (鄭瑞城)2008년 5월 20일2009년 9월 10일무소속류자오쉬안
24우칭지 (吳清基)2009년 9월 10일2012년 2월 6일중국 국민당우던이
25장웨이닝 (蔣偉寧)2012년 2월 6일2014년 7월 14일무소속천충
장이화
천더화 (陳德華)2014년 7월 14일2014년 8월 6일무소속장이화
26우쓰화 (吳思華)2014년 8월 6일2016년 5월 20일무소속장이화
마오즈궈
장산청
27판원충 (潘文忠)2016년 5월 20일2018년 4월 19일무소속린추안
라이칭더
28우마오쿤 (吳茂昆)2018년 4월 19일2018년 5월 29일무소속라이칭더
야오리더 (姚立德)2018년 5월 30일2018년 7월 15일무소속라이칭더
29예쥔룽 (葉俊榮)2018년 7월 16일2018년 12월 25일민주진보당라이칭더
야오리더 (姚立德)2018년 12월 26일2019년 1월 13일무소속라이칭더
(27)판원충 (潘文忠)2019년 1월 14일2024년 5월 20일무소속쑤전창 II
천젠런
30정잉야오 (鄭英耀)2024년 5월 20일현직무소속줘롱타이


5. 주소

臺灣臺北市中正區中山南路5號|타이완 타이베이시 중정구 중산남로 5호zho에 위치한다. 중화민국 교육부 건물은 타이베이 첩운 적색선의 국립 타이완 대학 부속 병원역에서 북동쪽으로 도보 거리에 있다.[9]

참조

[1] 서적 A short history of Taiwan: the case for independence Praeger Publishers
[2] 웹사이트 Taiwan introduces extra entry slots for overseas students - Focus Taiwan https://focustaiwan.[...] 2022-09-30
[3] 뉴스 Taiwan deepens higher education cooperation with India https://taiwantoday.[...] 2023-11-22
[4] 뉴스 Montana to launch language, educational exchange programs with Taiwan https://www.montanar[...] 2023-11-02
[5] 뉴스 Scranton President Visits Universities in Taiwan https://news.scranto[...] 2023-12-03
[6] 웹사이트 Organization of Ministry of Education https://english.moe.[...] 2022-01-31
[7] 웹사이트 The Taiwan Institute of Sports Science opens, launching a new era for sports science in Taiwan https://english.moe.[...] 2023-09-27
[8] 웹사이트 Overseas Offices – Overseas Education Divisions http://english.moe.g[...] 2015-11-23
[9] 웹사이트 教育部 - Google Maps https://maps.google.[...] Google Maps 2014-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