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천 송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천 송씨는 신라 헌강왕 때 대아찬을 지낸 송순공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시대 평장사를 지낸 송인을 1세조로 하며, 조선시대에 42명의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다. 전서공파, 낭장공파 등 여러 분파로 나뉘며, 경기도 이천시, 양주시 등지에 집성촌이 있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32,690명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진천 송씨 - 송석준
    송석준은 행정고시 출신으로 국토교통부 고위 공무원을 지낸 대한민국의 3선 국회의원으로, 국토교통위원회 등에서 활동하며 국민의힘 경기도당 위원장, 원내부대표 등을 역임했고, 국가안보실장 이석 논란 및 친인척 채용 문제 등이 있었다.
  • 진천 송씨 - 송광호
    송광호는 제14, 16, 18, 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뇌물 수수 혐의로 의원직을 상실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진천 송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진천 송씨 정보
기본 정보
성씨진천 송씨
한자 표기鎭川宋氏
국가한국
관향충청북도 진천군
시조송순공(宋舜恭)
중시조송인(宋仁)
집성촌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송갈리
인구 (2015년)32,690명
대종회 웹사이트진천 송씨 대종회
인물

2. 역사

진천 송씨는 신라 헌강왕대아찬(大阿湌)을 지낸 송순공(宋舜恭)을 시조로 한다. 그러나 그 후 16세(世) 340년간 세계가 실전되어 알 수 없어 고려시대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송인(宋仁)을 1세조로 하고 있다. 송인은 찬화공신(贊化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으며 진천백(鎭川伯)에 봉해졌다.[1]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다.[2]

2. 1. 시조 및 기원

진천 송씨의 시조 '''송순공'''(宋舜恭)은 신라 헌강왕대아찬(大阿湌)을 지냈다고 한다.

그 후 16세(世) 340년간 세계가 실전되어 알 수 없어 고려 시대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송인'''(宋仁)을 1세조로 하고 있다. 송인은 찬화공신(贊化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으며 진천백(鎭川伯)에 봉해졌다고 한다.[1]

2. 2. 고려시대

고려 평장사(平章事)를 지낸 '''송인'''(宋仁)을 1세조로 하고 있다. 송인은 찬화공신(贊化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으며 진천백(鎭川伯)에 봉해졌다고 한다.[1]

2. 3. 조선시대

고려 평장사를 지낸 '''송인'''(宋仁)은 찬화공신(贊化功臣) 삼중대광(三重大匡)에 이르렀으며 진천백(鎭川伯)에 봉해졌다고 한다.[1] 조선시대 진천 송씨는 문과 급제자 42명을 배출하였다.[2]

3. 분파

진천 송씨는 8세에서 여러 파로 분파되었다.

세(世)이름파(派)
8송광우(宋匡祐)전서공파(典書公派)
8송광도(宋匡度)낭장공파(郎將公派)
8송광보(宋匡輔)안성공파(安城公派)
8송우(宋愚)송정공파(松亭公派)
10송명고(宋命古)참의공파(參議公派)


4. 본관

진천은 본래 마한백제에 속했으나, 고구려 장수왕의 남진정책으로 고구려의 금물노군(今勿奴郡)이 되었다. 484년(신라 소지 마립간 6)에 만노군(萬弩郡)이 되었다가 685년(신라 신문왕 5) 흑양군(黑壤郡)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시대 진주(鎭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청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임연의 내향(內鄕)이라 하여 1259년(고종 46) 창의현(彰義縣), 1269년(원종 10)에 의녕군(義寧郡)으로 승격되었으나 임연이 제거되자 다시 진주(鎭州)로 강등되어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 1414년(태종 14)에 진천현(鎭川縣)이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진천현의 토성으로 한(韓)·임(林)·송(宋)·심(沈)·유(庾)·미(彌)·고(高)·양(梁)·하(河)·장(張) 10성이 기록되어 있다. 1896년 충청북도 진천군이 되었다.

5. 인물


  • 송국첨(? ~ 1250년) : 송인의 손자. 1212년(강종 원년) 과거에 급제하여 직사관이 되었다. 1226년(고종 13) 금나라 침입 때 감찰어사로 우군장이 되어 물리쳤다. 정언을 거쳐 판비서성사가 된 뒤 정방에 들어가 지조를 지키자 최이가 꺼려했다. 형부상서로 경상도순문사로 나갔을 때 최항을 탄핵하였다가 참소로 동경부유수로 좌천되었고, 1249년 최항이 집권하자 우산기상시를 거쳐 지서북면병마사로 좌천된 뒤 내직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분사하였다.[3]

  • 송순(? ~ 1259년) : 송인의 손자. 고려 고종 초 진강부전첨으로서 최충헌의 측근에 있었고, 1241년(고종 28) 참지정사로 지공거를 지냈다. 그 뒤 문하시랑평장사에 올랐다가 1254년(고종 41) 수태위를 더하였고, 중서시랑평장사로 치사하였다.

  • 송언기(1204년 ~ 1246년) : 송순의 아들. 고려 고종 때 과거에 급제, 판장작감사에 이르렀다.[4]

  • 송찬(1510년 ~ 1601년) : 1540년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 1594년 우참찬을 거쳐 판돈녕부사·판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송영구(1556년 ~ 1620년) : 1584년(선조 17) 친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1616년 병조참판이 되었으나 1618년 폐모론에 반대하며 파직되었다. 인조반정 뒤 예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 송창(1633년 ~ 1706년) : 전라도 전주에서 살았다. 외조부는 함평 이씨 이정, 처부는 능성 구씨 구치중이다. 1657년(효종 8)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 1704년 공조판서를 거쳐 1706년 좌참찬에 이르렀다.

5. 1. 항렬표

21세22세23세24세25세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
口영(榮)재(在)口현(鉉)
口진(鎭)
순(淳)口근(根)병(炳)口규(圭)
口배(培)
석(錫)
종(鍾)
口한(漢)
口호(浩)
근(根)
영(榮)
口희(熙)
口형(炯)
기(基)口종(鍾)태(泰)
영(永)
口표(杓)
口식(植)
사(思)
찬(燦)
口재(在)
口균(均)
용(鏞)口택(澤)


6. 집성촌

지역
경기도 이천시 호법면 송갈리[1]
경기도 양주시 남면 한산리[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사북면 지촌리[1]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동내면 사암리[1]
전라북도 익산시 왕궁면[1]
충청북도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1]
충청북도 제천시 고명동[1]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1]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 호저면 주산리[1]
경기도 가평군 상면 율길리[1]


7. 인구

연도인구
2000년29,049명
2015년32,690명


참조

[1] 네이버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 진천 송씨 https://terms.naver.[...]
[2] 한국학중앙연구원인물
[3] 고려사 『고려사』 권102, 열전15 https://terms.naver.[...]
[4] 고려사 『고려사』 권102, 열전15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