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마노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마노보는 북마케도니아 북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12세기에서 13세기 사이 이 지역에 거주했던 쿠만인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추정된다. 오스만 제국 문헌에 처음 등장했으며, 제1차 발칸 전쟁에서 세르비아 왕국이 오스만 제국을 격파하며 탈환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공업화와 현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농업, 무역, 금속 가공, 섬유 산업 등이 발달했다. 주요 교통 수단으로는 철도, 고속도로, 스코페 국제공항이 있으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행사가 열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마케도니아의 도시 - 비톨라
비톨라는 북마케도니아 남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고대 슬라브어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드라고르 강을 끼고 있으며, 다양한 제국의 지배를 거쳐 중요한 무역 중심지이자 문화 도시로 번영했고 현재는 북마케도니아의 경제 및 산업 중심지이다. - 북마케도니아의 도시 - 오흐리드
북마케도니아 남서부 오흐리드 호숫가에 위치한 오흐리드는 고대 도시 리크니도스의 역사를 잇는 도시이자 기독교 문화 중심지로, 다양한 문화 유적과 자연경관을 자랑하며, 키릴 문자가 고안된 곳으로 알려져 있고, 1991년 이후 북마케도니아의 일부로서 다양한 문화 행사가 개최된다.
쿠마노보 - [지명]에 관한 문서 |
---|
2. 역사
도시 이름은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이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인 쿠만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1519년 오스만 제국의 문헌에 처음 등장했으며, 1689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대항하는 카르포시의 봉기가 일어났다.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중 쿠마노보 전투에서 세르비아 왕국 군대가 오스만 제국 군대에 승리하면서 수백 년간 이어진 오스만 제국의 마케도니아 지배가 끝나고, 쿠마노보는 세르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파시즘에 저항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의 파르티잔 활동이 활발했으며, 전쟁 이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급속한 공업화와 현대화를 이루었다.
2. 1. 명칭 유래

쿠마노보(Куманово)라는 이름은 12세기 초 이 지역에 정착했던 쿠만인에서 유래했다.[3][4][5] 쿠만인은 킵차크족의 서쪽 분파이다.
마케도니아어, 세르비아어, 불가리아어로는 Куманово|쿠마노보mk라고 한다. 알바니아어로는 Kumanovë|쿠마노버sq 또는 Kumanova|쿠마노바sq, 터키어로는 Kumanova|쿠마노바tr이다. 아로마니아어로는 Cumanuva|쿠마누바rup로 알려져 있다.[2]
2. 2. 고대 ~ 중세
이 지역에는 여러 선사시대 및 고대 유적이 남아 있다.시대 | 유적명 | 위치 |
---|---|---|
신석기 시대 | 믈라도 나고리차네 (Mlado Nagoričane) | 믈라도 나고리차네 |
청동기 시대 | 코스토페르스카 카르파 (Kostoperska Karpa) | 불명 |
청동기 시대 | 그라디슈테 (Gradiste) | 펠린체 (Pelince) 근처 |
철기 시대 | 그로블예 (Groblje) 고분 | 보이닉 (Vojnik) |
고대 로마 시대 | 드레즈가 (Drezga) 묘지 | 로파테 (Lopate) |
고대 로마 시대 | 비키아누스 (Vicianus) 유적지 | 클레초브체 (Klečovce) |
도시 이름은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이 지역에 거주했던 쿠만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쿠마노보 지역의 현대 마을들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4세기에 나타나는데, 주로 세르비아의 칙령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 기록들은 스테판 밀루틴 왕, 스테판 두샨 황제, 세바스토크라토르 데얀, 예브도키야 데야노비치와 데얀의 아들들인 요반과 콘스탄틴 등의 칙령에 등장한다. 이 시기에 쿠마노보 지역, 즉 옛 제글리고보(Žegligovo)는 지리적 위치와 함께 특정 정착촌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12]
1355년 아르힐예비차(Arhiljevica) 수도원의 칙령에 따르면, 세바스토크라토르 데얀은 스코프스카 크르나 고라(Skopska Crna Gora) 동쪽에 위치한 데야노비치 가문의 영지(oblast)를 소유하고 있었다.[13] 이 영지는 옛 주(župe)인 제글리고보(Žegligovo)와 프레셰보(Preševo)를 포함했으며, 이는 현대의 쿠마노보 지역과 스레도렉(Sredorek), 코쟈치야(Kozjačija)에 해당한다.
쿠마노보라는 지명은 1519년, 현재의 터키 이스탄불에 보관되어 있던 오스만 제국의 문헌에 처음으로 공식 등장했다.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 하에 있다가 1689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대항하는 카르포시 봉기가 일어나기도 했다.
2. 3. 오스만 제국 시기
도시 이름은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이 지역에 거주했던 민족인 쿠만인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쿠마노보는 1519년 현재의 터키 이스탄불에 보관되어 있던 오스만 제국의 문헌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1530년 터키 국가문서보관소의 기록에는 이슈팁(İştip) 카자(kaza, 오스만 제국의 행정 구역)에 속한 노고리체(Nogoriçe) 마을의 일부로 언급되었다. 쿠마노보는 소아시아에서 온 터키 이주민들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초기에는 터키인들이, 이후에는 알바니아계 무슬림들이 정착했다. 슬라브계 인구는 18세기 후반에 쿠마노보로 유입되기 시작하여 19세기 초에 그 수가 증가했다.[14]쿠마노보는 16세기 말 또는 17세기 초에 도시 정착지이자 지역 행정 중심지로 발전했다. 1660년에서 1661년 사이 쿠마노보를 방문한 오스만 제국의 여행가 에블리야 첼레비는 도시를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쿠마노보 마을은 스코페 산자크(sanjak, 행정구역)에 있으며, 하나의 군(郡)의 중심지이다. 마을에는 많은 강이 흐르고, 600채의 기와지붕 집이 있다. 중심가의 모스크(mosque)는 아름답고, 테케(tekke), 마드라사(madrasa), 하맘(hamam, 터키식 목욕탕), 많은 상점, 수차가 있다. 기후는 쾌적하고 좋다. 많은 포도밭과 정원이 있다.[15]
1689년, 오스만 제국의 지배에 대한 불만과 오스트리아의 공격을 틈타 카르포시의 봉기가 일어났다. 봉기를 이끈 카르포시(Karpoš)는 쿠마노보 근처 보이니크(Vojnik) 마을 출신으로, 처음에는 오스만 제국의 고관이었으나 제국의 약화와 새로운 세금 정책에 대한 불만이 고조되자 반란에 가담했다. 봉기는 빠르게 확산되어 크라토보(Kratovo), 크리바팔랑카(Kriva Palanka), 쿠마노보, 카차니크(Kačanik) 등 여러 도시를 해방시켰다. 반란군은 레오폴트 1세가 이끄는 오스트리아 군대와 협력하여 스코페와 슈팁(Štip) 해방을 시도했다. 그러나 크림 칸국 타타르인들의 지원을 받은 오스만 군대의 반격과 오스트리아 군대의 철수로 전세는 불리해졌다. 오스만 군대는 반란군의 거점인 크리바팔랑카와 쿠마노보의 새로 건설된 요새를 차례로 함락시켰고, 사로잡힌 카르포시는 스코페로 이송되어 바르다르 강의 돌다리(Stone Bridge)에서 처형당했다.
카르포시 봉기 이후 쿠마노보는 한동안 침체기를 겪었으며, 18세기 말에는 전형적인 오스만 제국의 지방 도시 모습을 보였다. 1861년 오스트리아 외교관 요한 게오르크 폰 한(Johann Georg von Hahn)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쿠마노보에는 650채의 가구가 있었으며, 이 중 300채는 무슬림, 350채는 불가리아인 기독교인, 그리고 변두리에 30채의 집시 가구가 거주했다. 총 인구는 약 3,500명이었다.[16]
19세기 후반에는 민족주의 운동이 활발해졌다. 1878년 1월부터 5월까지 쿠마노보와 주변 지역의 세르비아계 지도자들이 주도한 쿠마노보 봉기가 일어났다. 이들은 현지 교회에서 맹세하고 세르비아의 밀란 4세 왕자에게 지원을 요청하며 세르비아와의 연합과 충성을 서약했으나, 결국 하푸즈 파샤(Hafuz Pasha) 준장이 이끄는 오스만 군대에 의해 진압되었다. 1894년에는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조직(IMRO)이 스코페 혁명 지구 산하에 쿠마노보 위원회를 설립했다. 이 위원회는 주로 지역 불가리아 학교 관계자들과 불가리아 정교회 공동체 인사들(요르단 요프체프, 일리야 레프코프, 트라이체 미테프, 안돈 사제와 그의 아들 프살티르 포판돈토프, 자피르 타세프, 자피르 샤클레프, 안젤 프레코돌카 등)로 구성되었으며,[17][18][19][20][21][22] 세르비아 사제 아타나시예 페트로비치(Atanasije Petrovic)의 암살을 기획하기도 했다.[23]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중, 라도미르 푸트닉(Radomir Putnik)이 이끄는 세르비아 왕국 군대는 쿠마노보 북부에서 벌어진 쿠마노보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격파했다. 이틀간의 전투 끝에 세르비아 군대가 승리하면서 수백 년간 이어져 온 오스만 제국의 마케도니아 지역 지배는 막을 내렸다. 이후 쿠마노보는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고, 나중에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41]
2. 4. 발칸 전쟁과 유고슬라비아
1912년 10월 제1차 발칸 전쟁이 발발하자, 라도미르 푸트니크 장군이 이끄는 세르비아 왕국 군대는 쿠마노보 북부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상대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이틀간 벌어진 쿠마노보 전투는 바르다르 마케도니아 지역에서 오스만 제국의 오랜 지배를 종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41] 이 전투의 승리로 쿠마노보는 세르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일부가 되었다. 1913년 부쿠레슈티 조약에 따라 마케도니아 지역 전체는 세르비아, 그리스, 불가리아 세 나라에 의해 분할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파시즘에 저항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의 파르티잔 활동이 쿠마노보에서도 전개되었다. 전쟁 이후 사회주의 체제의 유고슬라비아 하에서 쿠마노보는 급속한 공업화와 현대화를 겪으며 발전했다.
2. 5. 현대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 때 세르비아 왕국 군대가 쿠마노보 북부에서 오스만 제국 군대를 격파하면서 쿠마노보를 탈환했다. 이틀 뒤에 벌어진 쿠마노보 전투에서 세르비아 군대가 오스만 제국 군대에 승리를 거두면서 오스만 제국의 마케도니아 지배는 막을 내렸고, 쿠마노보는 이후 세르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파시스트 지배에 저항하는 마케도니아인들의 레지스탕스 운동(파르티잔) 투쟁이 벌어졌다. 쿠마노보와 프릴렙의 유고슬라비아 공산당 저항 세력은 1941년 10월 11일에 반파시스트 투쟁을 시작했다. 이 투쟁은 결국 승리로 끝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에서 마케도니아 연방 국가가 형성되는 기반을 마련했다. 쿠마노보 출신의 유명한 파르티잔 중 한 명으로는 크리스티얀 토도로브스키-카르포시가 있다.
19세기 후반 쿠마노보의 경제는 농업, 수공업, 무역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나, 본격적인 산업 발전은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후에야 시작되었다. 전쟁 이후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 쿠마노보는 1945년부터 급속한 경제적, 행정적, 문화적 발전을 경험하며 공업화와 현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오늘날 쿠마노보는 약 1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는 현대 도시로 성장했다.
또한 쿠마노보는 1999년 6월 9일,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장군들과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장군들 사이에 코소보에 NATO 평화유지군인 코소보 평화유지군(KFOR)을 투입하는 내용의 쿠마노보 협정이 체결된 곳이기도 하다.[24]
3. 지리
쿠마노보(Куманово|쿠마노보mk)는 북마케도니아 북동부에 위치하며, 수도 스코페 근처에 있다. 도시의 좌표는 대략 북위 42°05', 동경 21°40'이다. 쿠마노보는 해발 340m에 위치하며, 다음과 같은 산들에 둘러싸여 있다.
- 서쪽: 스코프스카 츠르나 고라 산의 카라다그(Karadag) 지역
- 남쪽: 그라디시탄스카 플라니나 산맥
- 동쪽: 망고비차 산과 게르만 산
가장 가까운 공항은 스코페 국제공항이다.
3. 1. 기후
쿠마노보는 온난하고 습한 습윤 아열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a'')를 가지고 있으며, 여름은 따뜻하거나 더우며 겨울은 서늘하다. 강수량은 연중 거의 고르게 분포한다.[43]
4. 인구
아래 표는 유고슬라비아 및 북마케도니아의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른 쿠마노보 시의 역사적 인구 변화를 보여준다.
민족 집단 | 1948년 인구 조사 | 1953년 인구 조사 | 1961년 인구 조사 | 1971년 인구 조사 | 1981년 인구 조사 | 1994년 인구 조사 | 2002년 인구 조사 | 2021년 인구 조사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수 | % | |
마케도니아인 | .. | .. | 14,351 | 61.5 | 20,323 | 66.1 | 28,789 | 62.1 | 36,812 | 60.5 | 40,634 | 62.3 | 42,840 | 60.5 | 43,280 | 57.7 |
알바니아인 | .. | .. | 951 | 4.1 | 1,893 | 6.2 | 7,827 | 16.9 | 12,997 | 21.4 | 15,612 | 23.9 | 18,277 | 25.8 | 17,685 | 23.6 |
세르비아인 | .. | .. | 1,790 | 7.7 | 2,808 | 9.1 | 3,759 | 8.1 | 4,252 | 7.0 | 5,097 | 7.8 | 4,727 | 6.7 | 4,300 | 5.7 |
로마인 | .. | .. | 1,861 | 8.0 | .. | .. | 3,013 | 6.5 | 4,415 | 7.3 | 2,987 | 4.6 | 4,042 | 5.7 | 2,768 | 3.7 |
튀르키예인 | .. | .. | 3,858 | 16.5 | 2,512 | 8.2 | 1,791 | 3.9 | 936 | 1.5 | 241 | 0.4 | 256 | 0.4 | 125 | 0.2 |
블라흐인 | .. | .. | 12 | 0.1 | .. | .. | .. | .. | 44 | 0.1 | 85 | 0.1 | 108 | 0.2 | 88 | 0.1 |
보스니아인 | .. | .. | 0 | 0.0 | 0 | 0.0 | 0 | 0.0 | 0 | 0.0 | 0 | 0.0 | 14 | 0.0 | 32 | 0.0 |
기타 | .. | .. | 516 | 2.2 | 3,226 | 10.5 | 1,184 | 2.6 | 1,386 | 2.3 | 577 | 0.9 | 578 | 0.8 | 645 | 0.9 |
행정 자료 출처 인구 | colspan="14" | | 6,128 | 8.2 | |||||||||||||
총계 | 20,242 | 23,339 | 30,762 | 46,363 | 60,842 | 65,233 | 70,842 | 75,051 |
한편, 쿠마노보 기초자치체(Општина) 전체의 인구는 2002년 기준으로 105,484명이며, 이 중 마케도니아인이 63,746명, 알바니아인이 27,290명, 세르비아인이 9,062명 등이다.[40]
4. 1. 언어
200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쿠마노보시에서 가장 흔한 모어는 다음과 같다.[35]- 마케도니아어, 45,306명 (64.0%)
- 알바니아어, 18,283명 (25.8%)
- 로마니어, 4,007명 (5.7%)
- 세르비아어, 2,399명 (3.4%)
- 튀르키예어, 215명 (0.3%)
- 기타, 632명 (0.9%)
4. 2. 종교
2002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쿠마노보 시의 종교 구성은 다음과 같다.5. 경제
쿠마노보 시는 금속 가공, 담배, 농업, 신발, 섬유 산업을 기반으로 경제, 무역, 문화의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인구는 약 13만 5,529명에 달한다.[1] 농업과 무역은 주로 19세기에 발전하기 시작했지만, 도시의 현대적인 모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 확립되었다.[1][2] 1945년 이후 쿠마노보는 급속한 경제, 행정, 문화 발전을 이루며 현대화되었고, 인구는 10만 명을 넘어섰다.[2]
6. 교통
쿠마노보는 북마케도니아의 주요 교통 중심지 중 하나이다. 수도 스코페와 인접 국가인 세르비아, 불가리아를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와 철도 노선이 쿠마노보를 통과한다. 주요 고속도로는 스코페에서 쿠마노보를 거쳐 세르비아 국경으로 이어지며, 불가리아 방면 도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철도 역시 스코페와 세르비아를 연결하는 노선이 운행 중이다.
6. 1. 철도
스코페와 세르비아 사이에는 쿠마노보를 경유하는 철도 연결이 존재한다.2013년에는 쿠마노보와 벨랴코브체(Бељаковце|벨랴코브체mk) 마을 사이의 철도 구간 재건이 시작되었다. 이는 북마케도니아를 불가리아 소피아와 흑해(동쪽), 알바니아 티라나와 아드리아해(서쪽)에 연결하는 '철도 회랑 VIII'(Railway Corridor VIII영어)의 일부이다.
6. 2. 도로
스코페와 쿠마노보 사이에는 길이 40km의 고속도로가 있다. 이 고속도로는 쿠마노보 북쪽 인근을 지나 세르비아와의 국경으로 연결되며, 쿠마노보-밀라디노프치 구간은 유료로 운영된다.
범유럽 고속도로 X의 일부 구간인 쿠마노보-타바노브체 국경 검문소 연결 도로는 2010년에 개통되었다. 길이 7.6km의 이 고속도로 건설에는 4년간 1550만유로의 비용이 투입되었다.
또한 쿠마노보에서 크리바팔란카를 거쳐 불가리아 국경으로 이어지는 도로도 중요한 노선이다.
6. 3. 항공
스코피예 국제공항은 쿠마노보에서 남쪽으로 20km 떨어져 있다.소피아 공항은 도시에서 190km 떨어져 있으며 테살로니키 국제공항은 240km 떨어져 있다.
쿠마노보 근처에는 포장되지 않은 활주로를 가진 아지 테페 공항이 있다.
7. 문화
쿠마노보 지역은 성 게오르게 성당, 코키노 천문 관측소와 같은 역사적 건축물과 고대 유적이 풍부하다. 이 지역에는 청동기 시대 및 신석기 시대 유적부터 로마 시대 유적까지 다양한 시대의 흔적이 남아있다. 13세기 이콘을 소장한 성 니콜라스 교회와 1902년에 세워진 성 삼위일체 교회, 1751년 기록이 있는 에스키 모스크 등 종교적으로 중요한 건축물도 다수 존재한다.
문화 활동 또한 활발하여,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민요 합창단 중 하나인 KUD "판체 페셰프(Pance Pesev)"가 쿠마노보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국내외 민속 음악 축제에 참여하고 있다. 시내에는 도서관, 문화 센터, 박물관, 국립 극장 등의 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매년 국제적인 재즈 페스티벌과 북마케도니아 및 인근 국가의 코미디언들이 참여하는 코미디의 날 축제가 개최된다.
7. 1. 문화 유적 및 명소
이 지역에는 여러 선사 시대 및 고대 유적이 분포하고 있다.유적명 | 시대 | 위치 | 비고 |
---|---|---|---|
코스토페르스카 카르파 Kostoperska Karpamk | 선사 시대 | - | - |
그라디슈테 Gradishtemk | 청동기 시대 | 펠린체(Pelince) 마을 근처 | - |
믈라도 나고리차네 유적 | 신석기 시대 | 믈라도 나고리차네(Mlado Nagoričane) 마을 근처 | - |
그로블예 Grobljemk | 철기 시대 | 보이닉(Vojnik) 마을 | 고분 |
드레즈가 Drezgamk | 로마 시대 | 로파테(Lopate) 마을 근처 | 묘지 |
비키아누스 Vicianusla | 로마 시대 | 클레초브체(Klečovce) 마을 | - |
코키노 Kokinomk | 거석 시대 (약 4,000년 전) | 쿠마노보 북동쪽 30km | ![]() |
쿠마노보와 주변 지역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종교 건축물들이 다수 남아 있다.
건축물명 | 건축 시기 | 위치 | 비고 |
---|---|---|---|
성 니콜라스 교회 | - | 쿠마노보 시내 | 가장 오래되고 큰 교회. 13세기 이콘 소장. 마케도니아 르네상스 건축가 안드레야 담야노프의 걸작. |
성 삼위일체 교회 | 1902년 | 쿠마노보 시내 | - |
성 조지 교회 | - | 스타로 나고리차네(Staro Nagoričane) | - |
성 페트카 교회 | - | 믈라도 나고리차네(Mlado Nagoričane) 마을 | - |
카르피노 수도원 | - | 카르피노(Karpino) | - |
성모 승천 수도원 | - | 마테이체(Matejce) 마을 | - |
에스키 모스크 | 1532년 | 쿠마노보 시내 | 1532년 건립, 1751년 관련 기록 존재. |
이 외에도 쿠마노보에는 다양한 기념물과 명소가 있다.
명소명 | 종류 | 위치 | 비고 |
---|---|---|---|
바트코 죠르지야 조각상 | 조각상 | 시내 중심부 | - |
포 폴즈 Četiri Banderemk | 기념비 | 중앙 광장 | - |
추모 납골당 | 기념 시설 | - | - |
흐리스티얀 토도로브스키 카르포슈 가옥 박물관 | 박물관 | - | - |
제브르냐크 | 기념비 | - | - |
여전사 동상 | 조각상 | - | - |
자낫스키 돔 Zanatski Dommk | 건물 | - | - |
카사프스키 크루그 Kasapski Krugmk | 건물 | - | - |
ASNOM 기념 센터 | 기념 시설 | 펠린체 마을 | - |
쿠마노브스카 바냐 | 온천 | 프로에브체(Proevce) 마을 | - |
소콜라나 체육관 | 체육 시설 | - | - |
쿠마노보에는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민요 합창단 중 하나인 KUD "판체 페셰프(Pance Pesev)"가 있다. 8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이 합창단은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튀르키예,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헝가리, 폴란드, 프랑스 등 여러 국가의 민속 음악 축제에 참가하여 쿠마노보와 북마케도니아를 대표해 왔다.
또한 쿠마노보에는 도서관, 문화 센터, 박물관, 국립 극장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매년 쿠마노보와 주변 마을에서는 여러 전시회와 문화 행사가 열린다. 특히 전 세계 재즈 밴드들이 참여하는 재즈 페스티벌이 개최되며, 2002년에는 마케도니아, 크로아티아, 헝가리, 네덜란드,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밴드가, 2005년에는 네덜란드, 노르웨이 등의 밴드가 참여했다.
매년 열리는 "코미디의 날(Денови на комедија|데노비 나 코메디야mk)" 축제는 마케도니아 문화부의 후원을 받으며, 북마케도니아 전역과 인근 불가리아, 세르비아의 극장 코미디언들이 모이는 행사이다.
7. 2. 문화 행사

북마케도니아에서 가장 오래된 민속 예술 단체 중 하나인 KUD "판체 페셰브"가 쿠마노보에 자리 잡고 있다. 80년이 넘는 역사를 가진 이 단체는 쿠마노보와 북마케도니아를 대표하여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불가리아, 튀르키예, 크로아티아, 루마니아, 헝가리, 폴란드, 프랑스 등 여러 나라의 민속 음악 축제에 참가해 왔다.
쿠마노보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문화 시설이 있다.
시설 종류 | 시설명 |
---|---|
도서관 | 타네 게오르기에프스키 도서관 |
문화 센터 | 트라익코 프로코피예프 문화 센터 |
박물관 | 쿠마노보 박물관 |
극장 | 쿠마노보 극장 |
매년 쿠마노보 또는 인근 마을에서는 여러 미술 콜로니와 전시회가 열린다.
쿠마노보는 전 세계의 밴드들이 참여하는 국제적인 재즈 페스티벌로 유명하다. 2002년에는 마케도니아 밴드인 폴틴과 드라간 다우토프스키 쿼텟을 비롯해 크로아티아, 헝가리, 네덜란드, 슬로베니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밴드들이 참여했다. 2003년에는 마케도니아 재즈 피아니스트 시몬 키셀리츠키가 그의 '베네벤트리오'와 함께 공연했으며, 2005년에는 네덜란드와 노르웨이에서도 참가 팀이 있었다.
또한, 매년 북마케도니아 문화부의 후원으로 "코미디의 날" 축제가 열린다. 이 축제에는 북마케도니아 전역의 극단뿐만 아니라 인근 세르비아와 불가리아의 코미디언들도 참가하여 공연을 선보인다.
쿠마노보 시는 "2006 문화 도시" 행사를 주최하기도 했다.
8. 스포츠
FK 쿠마노보는 쿠마노보의 주요 축구팀으로 쿠마노보 공원 경기장에서 경기를 개최한다. 밀라노는 Milano Arena에서 경기를 치른다. KF Goblen은 마케도니아 세컨드 풋볼 리그에서, FK Karpoš 93은 OFS 쿠마노보 1부 리그에서 활동했다.
마케도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8년 9월 29일 쿠마노보에서 이집트와 친선 경기를 치렀다. 이 경기는 Gradski Stadium Kumanovo에서 열렸고, 마케도니아 팀의 득점자는 Srgjan Zaharievski와 Dževdet Šainovski였다. 경기는 2:2로 끝났다.
RK 쿠마노보는 현재 마케도니아 핸드볼 슈퍼리그에서 활동하는 핸드볼 클럽이다. 이들은 1992-93년에 첫 마케도니아 핸드볼 컵을 우승했다.
또한 쿠마노보는 복싱 학교의 중심지로 인정받고 있으며, 20세기에 Ace Rusevski와 Redžep Redžepovski와 같은 유명 선수들을 배출했다.
9.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Five Facts About Saint George, For Saint George's Day - Anglophenia - BBC America
http://www.bbcameric[...]
2016-05-07
[2]
논문
The War of Numbers and its First Victim: The Aromanians in Macedonia (End of 19th – Beginning of 20th century)
https://repository.u[...]
[3]
문서
Куманичево - едно исчезнато село во Кумановскиот крај
https://www.geograf.[...]
Здружение на професори по географија н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Проф. Д-р Љубе Миленковски“- Скопје
[4]
서적
The Romanians and the Turkic Nomads North of the Danube Delta from the Tenth to the Mid-Thirteenth Century
Brill
2009
[5]
서적
Byzantium and the Pechenegs. The Historiography of the Problem.
Brill
2022
[6]
웹사이트
Climate: Kumanovo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1-18
[7]
뉴스
Artical about MB Boro Menkov
http://daily.mk/make[...]
2017-12 (Dead link)
[8]
뉴스
Article about the MB H.T. Karposh
http://www.dnevnik.m[...]
2015-04-16
[9]
뉴스
Article about the MVR takeover of MB H.T. Karposh
http://kanal5.com.mk[...]
[10]
뉴스
Article about the Economic zone Idea
http://star.utrinski[...]
2015-04-16
[11]
웹사이트
Сектор за внатрешни работи – Куманово
https://mvr.gov.mk/v[...]
[12]
서적
Srpsko geografsko društvo
Srpsko geografsko društvo
1972
[13]
서적
Историско друштво НР Србије
Историско друштво НР Србије
1951
[14]
서적
Ethno-Baroque: Materiality, Aesthetics and Conflict in Modern-Day Macedonia
Berghahn Books
2013
[15]
서적
Македонските градови во турско време
Кочани
2004
[16]
서적
Reise von Belgrad nach Salonik
1861
[17]
서적
Вътрешна македоно-одринска революционна организация : Войводи и ръководители (1893-1934) Биографично-библиографски справочник
Издателство "Звезди"
2001
[18]
문서
Списък на градските екзархийски учители в Скопската епархия през учебната 1901 – 1902 год. с означение заплатата им, бележки по тяхната деятелност и мнение какво да се прави с всекиго през идущата 1902/3 уч. година
ЦДА
[19]
서적
Освободителната борба на българите в Македония и Одринско, 1902-1904
Наука и изкуство
1978
[20]
서적
Революционни дейци от Македония и Одринско
Орбел
2014
[21]
서적
Кратка разправия по етнографията на Македония
Българско книжовно дружество
1889
[22]
서적
I-ия випускъ на Скопското българско мъѫко педагогическо училище
Издание на Илинденската организация
1940
[23]
서적
Српска четничка акција 1903-1912
Београд
2006
[24]
뉴스
Yugoslav, NATO Generals Sign Peace Agreement for Kosovo / Alliance will end air campaign when Serbian troops pull out
http://www.sfgate.co[...]
2011-06-23
[25]
웹사이트
Ние стоиме зад нападот на полициските станици во Тетово и Куманово
http://vecer.mk/make[...]
2017-01-13
[26]
웹사이트
In a new communique NLA takes the responsibility for blasts in Tetovo and Kumanovo
https://meta.mk/en/p[...]
2014-12-16
[27]
뉴스
Gun battles in former ethnic flashpoint in Macedonia kill 5 police officers
http://edition.cnn.c[...]
CNN
2015-05-11
[28]
웹사이트
Macedonia Cuts Number of 'Armed Group' Members Killed in Kumanovo
http://www.novinite.[...]
[29]
웹사이트
Prokuroria konfirmon se në Kumanovë janë 10, jo 14 të vrarë
http://www.rtklive.c[...]
[30]
웹사이트
Zeka: Lista me të vrarët në Kumanovë është e pakonfirmuar
http://www.rtklive.c[...]
[31]
뉴스
Macedonia charges 30 with terrorism after Kumanovo clashes
https://www.bbc.com/[...]
2015-05-11
[32]
뉴스
NATO, EU urge 'restraint' as Macedonia clashes leave 22 dead
https://news.yahoo.c[...]
Yahoo News
2015-05-10
[33]
뉴스
Macedonia charges 30 alleged ethnic Albanian militants over weekend battle that killed 22
https://www.foxnews.[...]
Fox News
2015-05-11
[34]
웹사이트
Censuses of population 1948 - 2002
http://makstat.stat.[...]
2013-10-14
[35]
웹사이트
Macedonian census, language and religion
http://www.stat.gov.[...]
[36]
웹사이트
mae.ro Consulatul Onorific al României la Kumanovo
http://www.mae.ro/en[...]
2015-05-19
[37]
웹사이트
Службен гласник на Општина Куманово
https://kumanovo.gov[...]
Kumanovo
2019-09-26
[38]
웹사이트
Haziri e Damianovski vlerësojnë se Gjilani e Kumanova janë shembulli më i mirë i bashkëpunimit ndërkufitar
https://kk.rks-gov.n[...]
2021-09-13
[39]
문서
쿠마노보의 일본어 표기 및 알바니아어 표기
[40]
웹사이트
2002 Macedonian Census results
http://www.stat.gov.[...]
[41]
서적
The Balkan Wars 1912-1913: prelude to the First World War
Routledge
[42]
웹사이트
2002 Macedonian Census results
http://www.stat.gov.[...]
[43]
웹인용
Climate: Kumanovo
https://en.climate-d[...]
Climate-Data.org
2018-0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