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쩐 태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쩐 태종은 쩐 왕조의 초대 황제이다. 그는 1218년에 태어나 1225년 리 왕조의 마지막 여제인 리 소황과 결혼하고, 쩐 투도의 섭정을 받아 황위에 올랐다. 쩐 태종은 몽골의 침략을 격퇴하고, 유교와 불교에 능통하여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그는 1258년 아들에게 양위하고 태상황이 되었으며, 1277년에 6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트남의 부마 - 호꾸이리
    호뀌리는 쩐 왕조 말 권력을 잡고 호 왕조를 세운 인물로, 국가 체제 정비, 개혁 추진, 최초 지폐 발행, 쯔놈 사용 장려, 수도 천도 등을 단행했으나 명나라 침략으로 몰락 후 행적이 묘연하며, 그의 업적은 찬탈자와 개혁가라는 평가가 공존하고, 그가 건설한 호 왕조의 성채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리 왕조의 관료 - 쩐트어
    쩐트어는 쩐 왕조 개창의 기반을 마련한 태상황으로, 쩐 가문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아들 쩐 깐이 왕위를 선양받아 쩐 왕조를 세우면서 태조로 추존되었다.
  • 리 왕조의 관료 - 쩐투도
    쩐투도는 리 왕조 말기에 권력을 장악하여 쩐 왕조를 세우고 태사로서 실질적인 권력을 행사한 인물로, 그의 공과에 대한 평가는 논쟁적이다.
  • 1277년 사망 - 바이바르스
    바이바르스는 맘루크 왕조의 술탄으로서 몽골군을 격파하고 십자군을 물리치는 등 이슬람 세계의 영웅으로 추앙받았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와 기마 전령 시스템 구축을 통해 국력을 신장시켰다.
  • 1277년 사망 - 교황 요한 21세
    교황 요한 21세는 1276년 선출되어 짧은 기간 재위했으며, 본명은 페드루 줄리앙으로, 의학, 신학 등을 공부하고 브라가 대주교와 추기경을 역임했으며, 십자군 원정 등을 시도하다가 건물 붕괴 사고로 사망했다.
쩐 태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쩐 태종 (Trần Thái Tông)
쩐 깐 (Trần Cảnh)
묘호태종(Thái Tông/太宗)
시호통천어극융공무덕현화우순신문성무원효황제(Thống Thiên Ngự Cực Long Công Mậu Đức Hiển Hòa Hựu Thuận Thần Văn Thánh Vũ Nguyên Hiếu Hoàng đế)
존호통천어극융공후덕현공우순신문성무원효황제 → 현요성수태상황제
출생일1218년 7월 17일
출생지흐엉 즉 묵 (현재의 남딘성)
사망일1277년 5월 5일
사망지탕롱
능묘소릉
통치
대월 황제 재위1226년 1월 11일 – 1258년 3월 30일 (32년 79일)
선대 황제리 찌에우 황
후대 황제쩐 탄 통
쩐 왕조 태상황제 재위1258년 3월 30일 – 1277년 5월 5일
선대 황제쩐 트어
후대 황제쩐 탄 통
연호끼엔쭝 (Kiến Trung): 1226년–1232년
티엔 응 찐 빈 (Thiên Ứng Chính Bình): 1232년–1251년
응우옌 퐁 (Nguyên Phong): 1251년–1258년
연호 (일본어)건중(建中) : 1226年 - 1232年
천응정평(天応政平) : 1232年 - 1251年
원풍(元豊) : 1251年 - 1258年
가족 관계
부친쩐 트어
모친레이디 레
배우자찌에우 탄 황후 (1226년–1237년)
투언 티엔 황후
자녀쩐 탄 통
쩐 익 tắc

2. 쩐씨의 선조

쩐 왕조(陳朝)의 쩐씨(陳氏) 선조는 본래 강씨(姜氏)였다. 서주(西周)시대 초기, 염제신농씨(炎帝神農氏)의 후손 강좌(姜佐)가 세운 신국(申國)이 있었고, 그 후손이자 염제신농의 63세 후손인 강신백(姜申伯)이 사씨(謝氏)로 득성하였다. 강신백은 주나라 주려왕의 처남이자 주선왕의 외삼촌이다. 중국의 모든 사씨는 강성(姜姓)이며, 염제신농씨의 후손이다. 이들은 중국 진군(陈郡) 지역에 주로 세거하여 진군사씨(陈郡謝氏)가 되었다. 본래 강씨(姜氏)였던 강성 사씨(姜姓謝氏) '사승경(謝升卿)'은 중국 푸젠성에서 안남(베트남)으로 이주하였고, 성을 진씨(陳氏)로 바꿨다. 그의 아들 진경(陳煚)이 베트남 쩐 왕조의 개국 황제가 되었다.[1][2]

베트남으로 이주한 사씨 일족은 쩐씨로 개성하여, 홍하(紅河) 하류의 현재 남딘성 일대를 근거지로 하는 호족으로, 상업을 주된 경제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쩐 씨족의 조상은 푸젠성에서 기원했으며, 쩐 낌(陳京)의 지휘 아래 대월로 이주했다.[3][4]

3. 생애

1225년 숙부 쩐투도(陳守度)의 압력으로 리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소황(昭皇)과 결혼하였고, 그해 음력 12월 21일(1226년 1월 10일)에 쩐투도의 강요로 소황에게 황위를 물려받아 8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다.[22] 그러나 실제 권력은 쩐투도가 쥐고 있었다.

성인이 되면서 친정을 시작하였고, 과거 시험을 통해 능력 있는 인재를 등용하고 고등교육기관 국학원(國學院)을 설치했으며, 군제, 관제, 법률, 세법 등을 정비하여 쩐 왕조의 기반을 다졌다.

1257년 우량카다이가 이끄는 몽골군이 대월을 침략하자, 태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맞섰다.[5] 몽골군은 송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대월에 길을 요구했으나, 대월이 사신을 투옥하며 거부하자 침략했다.[5] 전쟁 코끼리를 동원한 전투에서 태종은 직접 코끼리 위에 올라 지휘했으나, 몽골군은 코끼리 발에 화살을 쏘아 무력화시켰다. 홍강 북안의 빈리응웬 전투에서 몽골군과 충돌했으나, [25] 몽골군이 홍강을 도하하자 수도 탕롱 부근의 루장구, 더 나아가 텐막구로 철수했다. 잠시 탕롱을 점령당했지만, 곧 몽골군이 철수하자 베트남군은 추격하여 격파했다.[26] 몽골군 철수 후, 태종은 몽골 조정에 3년마다 조공을 바치기로 합의했다.

1258년 아들 성종(聖宗)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이 되었지만, 실권은 계속 유지하였다.[27] 같은 해, 몽골에 사신을 파견하여 국교를 열었다.[28] 이때 베트남 군주는 냣 끼에우(태종)의 장남인 "꽝 끄엉"으로 기록되었는데, 꽝 끄엉은 태종의 다른 이름이며,[27] 몽골과 싸운 군주와는 다른 사람이 왕위에 오른 것처럼 보이게 하여 국교를 열었다고 한다.[28]

유교불교에 모두 정통했던 쩐 태종은 여러 심오한 대승 불교 작품을 저술했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불교 설교와 에세이 모음인 코아 흐 룩(課虛錄, ''공에 대한 가르침'')이다.[9]

1277년 5월 5일(음력 4월 1일), 태상황이 만수궁(萬壽宮)에서 60세로 세상을 떠났다.

쩐 태종의 한문 불교 에세이 첫 페이지, 1260년경

3. 1. 초기 생애

1218년 음력 7월 10일(양력 6월 16일), 쩐트어(陳承)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순자황후(順慈皇后)이다. 쩐씨 가문의 조상은 푸젠성 혹은 구이저우에서 다이비엣으로 이주해왔다.[1][16][17][18][19][20]

1225년 10월, 숙부 쩐투도(陳守度)의 주도로 리 왕조의 마지막 황제인 소황과 결혼했다. 1226년 1월 10일(1225년 음력 12월 21일), 쩐투도의 강요로 소황이 양위하면서 8세의 어린 나이로 황제가 되었다.[22] 그러나 실제 정치는 쩐투도가 맡았다.

쩐 태종이 황위에 오르고 쩐 왕조가 리 왕조를 대체하는 과정은 대부분 그의 숙부이자 당시 리 왕조의 수도 사령관이었던 쩐투도의 노력 덕분이었다. 쩐 태종의 아버지인 쩐트어 또한 쩐투도와 마찬가지로 리 왕조의 관리였으며, 리 왕조에서 "노이 티 판 투"라는 중요한 직책을 맡고 있었다.

3. 2. 친정과 업적

1225년 10월, 숙부 쩐투도(陳守度)에 의해 리 왕조의 여제 소황(昭皇)과 결혼하였고, 그해 12월 21일(1226년 1월 10일)에 쩐투도의 선양 요구로 황제가 되었다. 이 때, 불과 8세였던 어린 아이였고, 실제 정사는 쩐투도가 맡았다.[22]

성인이 되면서 친정을 하였으며, 친정 시기에 과거 시험을 통한 유능한 인재 등용이나 고등교육기관 국학원(國學院) 설치, 제도(군제, 관제, 법률, 세법)의 정비 등, 베트남 쩐 왕조의 토대를 굳히는 일에 힘썼다.

1257년 12월 12일(1258년 1월 17일), 몽골군이 침공해 왔지만, 태종은 스스로 출진하여 몽골군을 격퇴했다.[25]

1258년 2월 24일(3월 30일), 아들 성종(聖宗)에게 양위하여 태상황이 되었지만, 자신은 더욱 더 실권을 계속 잡았다.[27]

유교불교에 모두 정통했던 쩐 태종은 여러 심오한 대승 불교 작품을 저술했는데, 가장 유명한 작품은 불교에 관한 설교와 에세이 모음인 코아 흐 룩(課虛錄, ''공에 대한 가르침'')이다.[9] 그는 다작 작가였으며, 상당수의 작품을 남겼지만 그 중 극히 일부만 남아 있다.

3. 3. 몽골의 침입과 격퇴

1257년 우량카다이가 이끄는 몽골군이 대월을 침공하자, 태종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맞섰다.[5] 몽골군은 송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대월에게 길을 요구했으나, 대월이 사신을 투옥하며 거부하자 침략을 감행했다.[5]

전쟁 코끼리를 동원한 전투에서 쩐 태종은 직접 코끼리 위에 올라 군대를 지휘했으나, 몽골군은 코끼리 발에 화살을 쏘아 무력화시켰다. 코끼리들이 공포에 빠져 방향을 돌리면서 대월군은 혼란에 빠져 패배했다. 베트남 고위 지도자들은 미리 준비한 배를 타고 탈출했고, 일부 군대는 노응우옌(오늘날 홍강의 비엣찌)에서 전멸했다. 왕실 군대는 다음 날 푸로 다리에서 격전을 벌였으나 또다시 패배했고, 쩐 왕조 지도부는 수도를 버리고 피난했다.

베트남 연대기에는 피난이 질서정연하게 이루어졌다고 기록되었지만, 이는 미화된 것으로 보인다.[6] 실제로는 베트남군이 수도에 무기를 남겨둔 채 혼란스럽게 후퇴했을 가능성이 크다. 중국 측 자료에는 우량카다이가 기후 악화로 철수했다고 잘못 기록되어 있지만,[7][8] 실제로는 9일 후 탕롱을 떠나 송나라를 침공했다.[8] 몽골군 철수 후, 쩐 태종은 몽골 조정에 3년마다 조공을 바치기로 합의했다.

1257년 11월, 홍강 북안의 "빈리응웬" 지역에서 몽월 양군이 충돌했으나, 태종은 직접 출진했다.[25]。 그러나 몽골군이 홍강을 도하하자, 수도 탕롱 부근의 루장구, 더 나아가 텐막구로 철수했다. 잠시 탕롱을 점령당했지만, 곧 몽골군이 철수했기 때문에 베트남군은 이를 추격하여 격파했다.[26]

3. 4. 양위와 사망

1258년 2월 24일(3월 30일), 아들 성종(聖宗)에게 양위하여 태상황(太上皇)이 되었지만, 실권은 계속 유지하였다.[27] 같은 해, 몽골에 사신을 파견하여 국교를 열었다.[28] 이때 베트남 군주는 냣 끼에우(태종)의 장남인 "꽝 끄엉"으로 기록되었는데, 꽝 끄엉은 태종의 다른 이름이며,[27] 몽골과 싸운 군주와는 다른 사람이 왕위에 오른 것처럼 보이게 하여 국교를 열었다고 한다.[28]

1277년 4월 1일(5월 5일), 태상황이 만수궁(萬壽宮)에서 승하하니 향년 60세였다.

4. 저술 활동


  • 선종지남(禪宗指南)
  • 과허(課虛)

5. 가족 관계

관계이름
아버지쩐 태조
어머니레 티 부인
옌 신 왕
누나공주 투이 바, 흥 다오 대왕의 양어머니
남동생캄 티엔 왕
남동생호아이 덕 왕
황후
(첫 번째 부인)
황후 찌에우 탄
자녀
(첫 번째 부인 소생)
쩐 찌[11] (요절)
황후
(두 번째 부인)
황후 투언 티엔
자녀
(두 번째 부인 소생)
아들빈 응웬 왕 쩐 녓 빈
아들부 우이 왕 쩐 유이
아들찌에우 다오 왕 쩐 꽝 써엉
아들찌에우 꾸옥 왕 쩐 익 뚁
아들찌에우 반 왕 쩐 녓 즛
아들민 히엔 왕 쩐 앗
응웬 쯔 여왕 흥 다오 대왕의 아내
공주 티에우 드엉
공주 투이 바오, 훗날 장군 쩐 빈 쫑의 아내
공주 안 뜨, 훗날 원나라 토곤 왕자의 아내. 토곤 왕자는 쿠빌라이 칸의 아홉 번째 아들이었다.


6. 쩐리에우와의 관계

쩐리에우는 쩐 태종의 형이었다. 1237년, 쩐 태종과 칙령 제후 치에우 타인(Chiêu Thành)은 쩐 찌(Trần Trịnh)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아직 후사가 없어 왕조를 유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당시 쩐리에우의 부인인 공주 투언 티엔은 꾸옥 캉을 임신한 지 3개월이 된 상태였다. 쩐투도와 그의 부인 천 꿕 공주(Thiên Cực)는 황제에게 왕조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임신부를 자신의 것으로 삼도록 권했다. 그들의 조언을 받아들여 황제는 공주 투언 티엔을 황후로 임명하고 치에우 호앙을 공주로 강등하라는 칙령을 내렸다. 이에 쩐리에우는 군대를 이끌고 까이 강(Cai River)으로 가서 반란을 일으켰다.[13]

이 사건으로 쩐 태종은 당황하여 수도를 떠나 옌뜨 산으로 들어갔다. 다오 비엔 승려[13]쩐투도의 조언을 듣고서야 그는 수도로 돌아왔다. 2주 후, 쩐리에우는 항복했다. 쩐투도는 그를 참수하려 했지만, 쩐 태종이 그의 몸으로 그를 덮어 쩐투도가 아무것도 할 수 없게 되었다. 그 후, 그는 옌 푸, 옌 즈엉, 옌 싱, 옌 흥, 옌 방으로 구성된 그의 영토를 그에게 주었다.

그의 영토의 이름을 따서 리에우는 "옌 싱 왕"이라고도 불렸다.

7. 존호, 시호, 묘호, 능호

태종의 존호는 쩐 왕조 개창 시 '''계천입극지인창효황제'''(啓天立極至仁彰孝皇帝)였다. 재위 중에는 '''통천어극융공후덕현공우순성문신무효원황제'''(統天御極隆功厚德顯功佑順聖文神武孝元皇帝)로 고쳤고, 태상황 시절에는 '''현요성수태상황제'''(顯堯聖壽太上皇帝)라는 존호를 받았다.

시호는 '''통천어극융공무덕현화우순신문성무원효황제'''(統天御極隆功茂德顯和佑順神文聖武元孝皇帝)이다. 묘호는 '''태종'''(太宗)이며, 능호는 '''소릉'''(昭陵)이다.

8. 기년

태종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
서력(西曆)1225년1226년1227년1228년1229년1230년1231년1232년1233년1234년
간지(干支)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무자(戊子)기축(己丑)경인(庚寅)신묘(辛卯)임진(壬辰)계사(癸巳)갑오(甲午)
연호
(年號)
건중(建中)
원년
2년3년4년5년6년7년천응정평(天應政平)
원년
2년3년
태종11년12년13년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서력(西曆)1235년1236년1237년1238년1239년1240년1241년1242년1243년1244년
간지(干支)을미(乙未)병신(丙申)정유(丁酉)무술(戊戌)기해(己亥)경자(庚子)신축(辛丑)임인(壬寅)계묘(癸卯)갑진(甲辰)
연호
(年號)
4년5년6년7년8년9년10년11년12년13년
태종21년22년23년24년25년26년27년28년29년30년
서력(西曆)1245년1246년1247년1248년1249년1250년1251년1252년1253년1254년
간지(干支)을사(乙巳)병오(丙午)정미(丁未)무신(戊申)기유(己酉)경술(庚戌)신해(辛亥)임자(壬子)계축(癸丑)갑인(甲寅)
연호
(年號)
14년15년16년17년18년19년20년
원풍(元豊)
원년
2년3년4년
태종31년32년33년34년
서력(西曆)1255년1256년1257년1258년
간지(干支)을묘(乙卯)병진(丙辰)정사(丁巳)무오(戊午)
연호
(年號)
5년6년7년8년


참조

[1] 뉴스 Ham sắc, Tô Trung Từ tự hại mình https://www.baomoi.c[...] 2013-02-21
[2] 웹사이트 Nhà Trần khởi nghiệp http://www.bienkhoi.[...] 2017-09-03
[3]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Social Science Publishing House
[5] 서적 Descending Dragon, Rising Tiger: A History of Vietnam Reaktion Books
[6] 서적 Descending Dragon, Rising Tiger: A History of Vietnam
[7] 간행물 Mongols in Vietnam: end of one era, beginning of another
[8] 간행물 The deaths of two Khaghans: a comparison of events in 1242 and 1260
[9] 문서 Khóa Hư Lục https://www.oxfordr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7-20
[10]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5-09
[11] 문서 from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12] 문서 de facto the offspring of [[Trần Liễu]] and [[Princess Thuận Thiên]]
[13] 문서 Hòa thượng Thích Thanh Từ
[14] 문서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五 陳紀 太宗皇帝 建嘉8年6月16日
[15] 문서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五 陳紀 宝符5年4月朔
[16] 서적 東南アジア古代国家の成立と展開 [[岩波書店]]
[17] 뉴스 Ham sắc, Tô Trung Từ tự hại mình https://www.baomoi.c[...] 2013-02-21
[18] 서적 A History of the Vietname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Đại Việt sử ký toàn thư Social Science Publishing House
[20] 서적 China as a Sea Power, 1127-1368: A Preliminary Survey of the Maritime Expansion and Naval Exploits of the Chinese People During the Southern Song and Yuan Periods NUS Press
[21] 문서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四 李紀 昭皇 有道2年10月
[22] 문서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五 陳紀 太宗皇帝 有道2年12月12日
[23] 문서 『大越史記全書』本紀巻之五 陳紀 太宗皇帝 建中2年正月
[24] 문서 山本(1975年)、83ページ
[25] 문서 山本(1975年)、85ページ
[26] 문서 山本(1975年)、85-86ページ
[27] 문서 山本(1975年)、86ページ
[28] 문서 山本(1975年)、87ページ
[29] 문서 山本(1975年)、87-88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