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리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차리석은 1881년 평안남도 선천에서 태어난 독립운동가이다.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대성학교 교사로 활동하며 신민회 평양지회 평의원을 지냈다.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어 3년간 복역 후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당 간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독립신문 편집국장, 국무위원 등을 역임했다. 1945년 광복을 맞이했으나 환국 직전 과로로 사망했다. 강한 정신력과 책임감으로 독립운동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1962년 독립장을 추서받았고, 1995년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한편, 이영훈 교수의 외증손 주장과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다.
차리석 선생은 해외 혁명운동자 가운데 특히 강력한 정신력을 소유한 것으로 유명했다. 탁월한 사무처리 능력과 병 중에도 최후의 순간까지 맡은 사명을 완수한 강한 책임감은 한국 독립운동에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받는다. 다음은 1948년 사회장 당시 이시영, 김구의 추모담 중 일부이다.[2]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출신인 이영훈(이승만 학당 교장)은 2019년에 자신이 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차리석의 서자인 차영조는 이영훈이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라고 밝혔다. 차영조 독립유공자유족회 선생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큰아버지(차원석)의 둘째 딸의 딸과 30년 전부터 교류하고 있는데 그분(이양자 교수)에게 확인했더니 이영훈 명예교수는 나의 큰아버지의 외증손자일 뿐이다.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다"라고 밝혔다.[4]
2. 생애
차리석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평안남도 선천군 출신으로, 숭실학교를 졸업하고 대성학교 교사로 재직하며 항일 운동에 참여했다. 105인 사건으로 3년간 복역했으며, 3·1 운동 이후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활동했다.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비서장 등을 역임하며 독립운동에 헌신했고, 1945년 광복 직후 환국을 준비하던 중 과로로 사망했다.[1]
2. 1. 초기 생애와 교육
1881년 7월 27일 평안남도 선천군에서 아버지 차시헌(車始軒)과 어머니 서시은(徐始恩)의 4남 2녀 중 셋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본관은 연안이다.
어려서 한학을 수학하고 1900년 평양 숭실학교 정규 중등 과정 5년제에 입학하여 1904년 제1회로 졸업하였다.
2. 2. 국내 항일 운동
1908년 안창호가 설립한 대성학교 교사로 부임하여 후학 양성에 힘썼으며, 안창호와 양기탁이 주도한 신민회 평양지회 평의원으로 활동하였다.[1]
1911년 초대 총독인 데라우치 총독 암살 모의사건인 105인 사건으로 투옥되어 일제로부터 8년을 언도받고 3년을 복역하였다.[1]
2. 3.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1919년 3·1 운동 이후 상해로 망명하여 독립당 간부로 활동하였다.[1]
192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독립신문 편집국장을 역임했으며, 1922년 시사책진회와 흥사단 원동위원부에 참여하였다. 1932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을 역임했다.[1]
1935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비서장에 선출되었다.[1] 1939년 10월 2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에 선출되었다. 1940년 9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비서장에 선출되었고, 1944년 4월 다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비서장에 재선되었다.[1]
2. 4. 광복과 죽음
1945년 8월 쓰촨성 충칭에서 광복 소식을 접하고 환국 준비로 과로하다가 9월 5일에 쓰러져 병원에 입원하였다.[1] 9월 9일 환국 직전 사망하였다. 사망하기 직전 "광복이 되었는데 왜 귀국하지 못하고 죽어야 하느냐"며 병상에서 애통해했다고 한다.[1]
3. 사후 평가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에 독립장을 추서했고, 1995년 9월 이 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4.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출생 사망 비고 본처 강리성 1879년 1961년 4월 14일 1899년 결혼, 슬하에 4남을 두었으나 모두 요절. 1922년 두 딸과 함께 상하이로 건너가 윤봉길, 이봉창 등의 독립운동을 지원. 1937년 중일전쟁 발발 후 1940년경 둘째 딸 차영희와 함께 귀국. 1961년 사망 후 차리석 묘소에 합장. 장녀 차영애 1911년 진장권과 사실혼 관계, 중국에서 독립운동. 차녀 차영희 1918년 첩 홍매영 차리석과의 사이에서 서자 차영조 출생. 서자 차영조 1944년 최덕신의 도움을 받음.[3]
5. 이영훈의 외증조부 주장 논란
이에 대해 이영훈은 "고(故) 차리석 선생은 자신의 외조모의 둘째 숙부로, 외외증종조부라 해야 마땅하나 줄여서 외증조부라 했다"고 해명했다. 이는 차리석 선생의 직계 후손이 아닌 선생의 큰형인 차원석 씨의 외증손자라는 것이다.[4]
5. 1. 이영훈의 주장
이영훈(이승만 학당 교장)은 2019년에 자신이 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차리석의 서자인 차영조는 이영훈이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라고 밝혔다. 차영조 독립유공자유족회 선생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큰아버지의 둘째 딸의 딸과 30년 전부터 교류하고 있는데 그분(이양자 교수)에게 확인했더니 이영훈 명예교수는 나의 큰아버지의 외증손자일 뿐이다.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다"라고 밝혔다.[4]
이영훈은 "고(故) 차리석 선생은 자신의 외조모의 둘째 숙부로, 외외증종조부라 해야 마땅하나 줄여서 외증조부라 했다"고 해명했다. 이영훈은 차리석 선생의 직계 후손이 아닌 선생의 큰형인 차원석 씨의 외증손자이다. 즉 차원석 씨의 딸의 딸의 아들이 이영훈이다.[4]
5. 2. 차영조의 반박
이영훈 이승만 학당 교장은 2019년 자신이 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차리석의 서자인 차영조는 이영훈이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라고 밝혔다. 차영조 독립유공자유족회 선생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나의 큰아버지의 둘째 딸의 딸과 30년 전부터 교류하고 있는데, 그분(이양자 교수)에게 확인했더니 이영훈 명예교수는 나의 큰아버지의 외증손자일 뿐이다.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다"라고 밝혔다.[4]
이에 대해 이영훈은 "고(故) 차리석 선생은 자신의 외조모의 둘째 숙부로, 외외증종조부라 해야 마땅하나 줄여서 외증조부라 했다"고 해명했다. 이는 차리석 선생의 직계 후손이 아닌 선생의 큰형인 차원석 씨의 외증손자라는 것이다. 즉, 차원석 씨의 딸의 딸의 아들이 이영훈이다.[4]
5. 3. 이영훈의 해명
이영훈 이승만 학당 교장은 2019년 자신이 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차리석의 서자인 차영조는 이영훈은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영훈은 “고(故) 차리석 선생은 자신의 외조모의 둘째 숙부로, 외외증종조부라 해야 마땅하나 줄여서 외증조부라 했다”고 해명했다. 즉, 차리석 선생의 직계 후손이 아닌 선생의 큰형인 차원석 씨의 외증손자라는 것이다.[4]
5. 4. 논란에 대한 평가
이영훈 이승만 학당 교장은 2019년 자신이 독립운동가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이라 주장했다. 하지만 차리석의 서자인 차영조는 이영훈이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라고 밝혔다. 차리석 선생의 서자인 차영조 독립유공자유족회 회장은 MBC와의 인터뷰에서 "큰아버지의 둘째 딸의 딸과 30년 전부터 교류하고 있는데 그분(이양자 교수)에게 확인했더니 이영훈 명예교수는 나의 큰아버지의 외증손자일 뿐이다. 차리석 선생의 외증손자가 아니다"라고 밝혔다.[4]
이에 대해 이영훈은 "고(故) 차리석 선생은 자신의 외조모의 둘째 숙부로, 외외증종조부라 해야 마땅하나 줄여서 외증조부라 했다"고 해명했다. 즉, 차리석 선생의 직계 후손이 아닌 선생의 큰형인 차원석 씨의 외증손자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차원석 씨의 딸의 딸의 아들이 이영훈이다.[4]
민족주의를 부정하고 일본 극우 세력의 주장에 동조하는 이영훈이 독립운동가 후손을 사칭한다는 비판이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에서는 이영훈의 주장을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참조
[1]
서적
선월
범우사
2007-00-00 # 연도만 제공됨. 월, 일 정보 없음.
[2]
웹인용
한국의 독립운동가
http://narasarang.mp[...]
2009-11-07
[3]
저널
“독립운동 집안 숨기려 성을 바꿔 살았다”
https://www.sisain.c[...]
시사IN
2018-11-17
[4]
저널
“외증손자? 팔게 따로 있지” 차리석 선생 외아들, 이영훈 교수에 일침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19-0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