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업단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창원국가산업단지는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개발이 시작되어 1974년 산업기지 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된 대한민국 대표적인 산업 단지이다. 197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개발되었으며, 1975년 부산포금(현 PK밸브)의 가동을 시작으로 금성사, 대우중공업, 기아기공 등 여러 기업들이 입주하여 성장했다. 구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국도, 김해공항, 창원역, 마산항 등 편리한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산업단지 - 오송생명과학단지
오송생명과학단지는 1997년부터 2010년까지 조성된 생명과학 분야의 연구 단지로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6개 국책기관과 연구 지원 시설을 유치하여 기업의 연구 개발과 산업화를 지원하며, 첨단 복합 단지로 개발되어 보건 의료 산업 발전을 도모한다. - 대한민국의 산업단지 - 구미국가산업단지
구미국가산업단지는 경상북도 구미시에 위치하며 1970년대부터 조성된 전자공업 중심의 산업단지로, 현재 24.6 ㎢ 면적에 1,772개 업체가 입주하여 대한민국 전자산업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창원시 - MBC경남 창원방송
MBC경남 창원방송은 1969년 KBC경남방송으로 개국하여 마산문화방송, MBC경남으로 변경되었으며, TV방송과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 창원시 - 창원극동방송
창원극동방송은 1995년 개국하여 창원시와 인근 지역에 FM 98.1MHz와 FM 92.5MHz로 기독교 복음을 전하고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 공헌 활동을 하는 방송국이다. - 대한민국의 신도시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대한민국의 신도시 - 마린시티
마린시티는 부산 해운대구 수영만 매립지에 조성된 고급 주거 단지이며,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와 호텔 등이 건설되었고, 대중문화 콘텐츠의 배경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창원국가산업단지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
면적 | 12,556천m² (380만 평) |
조성 목적 | 기계공업 육성 |
조성 과정 | |
1974년 1월 18일 | 기공식 |
1974년 9월 24일 | 창원기계기지 건설 기본계획 확정 |
1974년 12월 31일 | 국가산업단지로 지정 |
1977년 12월 31일 | 창원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 준공 |
1978년 9월 29일 | 제1단계 공사 준공 |
1981년 12월 31일 | 제2단계 공사 준공 |
1986년 12월 31일 | 제3단계 공사 준공 |
2010년 4월 15일 | 창원국가산업단지 구조고도화사업 추진계획 확정 |
주요 입주 기업 | |
방위산업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로템 SNT중공업 SNT모티브 |
기계 | 두산에너빌리티 현대위아 STX엔진 SNT다이내믹스 |
특징 | |
설명 | 대한민국 기계공업의 핵심 기지 |
지정 | 1974년 12월 31일 |
관리 | 한국산업단지공단 창원지사 |
교통 | |
철도 | 창원역 |
도로 |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5호선 창원대로 중앙대로 |
2. 역사
1974년경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밀접한 관련 속에 창원국가산업단지(창원공단) 개발이 시작되었다. 창원공단은 제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1976)의 중화학공업 추진계획에 따라 1973년 9월 19일 박정희 대통령의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에 관한 지시’가 그 시초였다.[2] 같은 해 4월 1일 창원은 산업기지 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산업기지 개발기본 계획에 따라 개발이 본격화되었다.
1975년 부산포금(현 PK밸브)이 가동을 시작했고, 1978년에는 금성사(현 LG전자), 대우중공업(현 HD현대중공업), 기아기공(현 현대위아), 한국종합특수강(현 세아창원특수강), 부산제철(현 KG스틸), 삼성중공업, 효성중공업(현 효성중공업) 등 대형 기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생산 활동을 시작하면서 창원단지는 크게 발전했다.[2]
1975년 생산 15억원, 수출 600,000 달러에서 1979년에는 생산 4506억원, 수출 1,650,000 달러로 증가했다.[2] 1979년 제2차 석유 파동이 발생했고, 1986년은 무역 흑자 원년이었다.
2. 1. 개발 배경
1970년대 경제개발 5개년 계획과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에 따라, 1973년 9월 19일 박정희 대통령의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에 관한 지시'가 있었다.[2] 같은 해 4월 1일 창원은 산업기지 개발촉진지역으로 지정되었고, 산업기지 개발기본 계획에 따라 개발이 본격화되었다.[2]2. 2. 초기 발전
1973년 9월 19일 박정희 대통령의 ‘창원기계공업기지 건설에 관한 지시’가 시초가 되어, 1974년부터 창원국가산업단지(창원공단)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는 당시 시행된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중 제3차 경제개발 5개년(1972~1976)의 중화학공업 추진계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해 4월 1일 창원종합기계 공업기지 개발을 위한 ‘산업기지 개발촉진지역’으로 확정되었고, 산업기지 개발기본 계획에 따라 창원 개발이 본격화되었다.[2]1975년 밸브를 생산하는 부산포금(현 PK밸브)이 가동을 시작했다. 1978년에는 금성사(현 LG전자), 대우중공업(현 HD현대중공업), 기아기공(현 현대위아), 한국종합특수강(현 세아창원특수강), 부산제철(현 KG스틸), 삼성중공업(현 삼성중공업), 효성중공업(현 효성중공업) 등 대형 기업체들이 본격적으로 생산 활동을 시작하면서 창원단지는 크게 발전하기 시작했다.[2]
2. 3. 주요 경제적 사건
- 1975년 생산 15억원, 수출 600000USD에서 1979년에는 생산 4506억원, 수출 1650000USD로 증가했다.[2]
- 1979년 제2차 석유 파동이 있었다.
- 1986년은 무역 흑자 원년이었다.
3. 입지
창원국가산업단지는 비옥한 충적토 평야와 구릉지로 형성된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낙동강 하구와 인접하여 풍부한 용수를 확보할 수 있으며, 남해와 가까워 해상 운송에도 유리하다.
3. 1. 교통
창원국가산업단지는 구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25호선, 지방도 제60호선 등 다양한 도로 교통망과 김해국제공항, 창원역, 경전선, 진해선, 마산항 등의 항공, 철도, 항만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3. 1. 1. 도로
종류 | 노선명 | 구간 | 비고 |
---|---|---|---|
고속도로 | 구마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 | 동마산 나들목 | 33km |
국도 | 국도 제2호선 | 목포↔창원↔부산 | |
국도 | 국도 제14호선 | 거제↔창원↔포항 | |
국도 | 국도 제25호선 | 진해↔창원↔청주 | |
지방도 | 지방도 제60호선 | 나주↔창원↔양산 |
3. 1. 2. 항공
김해국제공항 (34km)3. 1. 3. 철도
창원역-경전선이 인접해 있고, 단지 내 진해선이 통과한다.[1]3. 1. 4. 항만
마산항- 제4부두(적현) 이용: 2만 톤급 2개 선좌 접안 가능
- 제5부두(귀곡) 이용: 2만 톤급 3개 선좌 접안 가능
참조
[1]
웹사이트
2011 창원국가산업단지
http://www.e-cluster[...]
2013-06-07
[2]
뉴스
창원국가산업단지 30년 역사와 미래
http://www.gnmaeil.c[...]
경남매일
2010-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