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해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을 잇는 고속도로이다. 1973년 부산 ~ 순천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총 연장은 273.17km이며, 구간별 차로 수와 제한 속도가 다르다. 주요 나들목 및 분기점으로는 서영암, 순천, 광양, 하동, 진주, 산인, 창원, 동창원, 냉정, 서김해, 김해, 대저, 덕천 등이 있다. 2018년 기준 일평균 교통량은 구간에 따라 1만 3천여 대에서 10만 6천여 대에 이르며, 일부 구간에서는 구간 과속 단속이 시행되고 있다. 과거 고속도로 구간이었으나 현재는 해제된 구간도 존재하며, 순천만 나들목 통행료 징수를 둘러싼 논란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동군의 도로 - 충무공로
    충무공로는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경상남도 사천시를 잇는 도로로, 순천시 해룡면에서 시작하여 광양시, 하동군을 거쳐 사천시 곤명면까지 이어지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남해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주요 도로망의 일부이다.
  • 하동군의 도로 - 섬진강대로
    경상남도 하동군에서 전라남도 구례군을 잇는 섬진강대로는 남해대로와 직결되어 구례로와 연결되며, 하동군과 구례군의 주요 읍면을 경유하는 도로이다.
  • 함안군의 도로 -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는 경상남도 창원시에서 경기도 양평군을 잇는 총 연장 301.7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76년 대구-마산고속도로로 지정되어 2001년 현재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함안군의 도로 -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은 경상남도 함안군과 창원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17.88km의 왕복 4차로 고속도로이며, 1973년 남해고속도로의 일부로 개통되어 현재는 산인 분기점, 내서 분기점 등을 포함한다.
  • 사천시의 도로 - 충무공로
    충무공로는 전라남도 순천시에서 경상남도 사천시를 잇는 도로로, 순천시 해룡면에서 시작하여 광양시, 하동군을 거쳐 사천시 곤명면까지 이어지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남해고속도로와 연결되는 주요 도로망의 일부이다.
  • 사천시의 도로 - 통영대전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는 통영시와 대전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215.3km의 고속도로이며, 1992년에 착공하여 2005년에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2002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남해고속도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 종류고속국도
노선 번호10
노선명남해고속도로
다른 이름남해고속도로
로마자 표기Namhae Gosok Doro
영어 이름Namhae Expressway
개통일1973년 11월 14일 (순천 ~ 부산)
2001년 11월 8일 (산인 ~ 창원)
2012년 4월 27일 (영암 ~ 순천)
총 연장273.17 km
총 연장 (참고)영암~순천: 106.8 km
순천~부산: 166.3 km
서쪽 기점서영암IC (영암군, 전라남도)
[[파일:Korea Expressway No.15.svg|20px]] 서해안고속도로
동쪽 종점덕천IC (부산광역시 북구)
주요 경유지순천시
광양시
진주시
창원시
김해시
주요 교차 도로
교차 도로호남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
통영대전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중앙고속도로지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
국도 제2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13호선
국도 제14호선
국도 제15호선
국도 제17호선
국도 제18호선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22호선
국도 제23호선
국도 제27호선
국도 제29호선
국도 제33호선
국도 제58호선
국도 제59호선
국도 제79호선
기타
나들목 수40

2. 역사

1971년 12월 8일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만덕동 ~ 전라남도 승주군 서면 선평리 구간이 '''고속국도 제6호선 부산 ~ 순천선'''으로 지정되면서 남해고속도로의 역사가 시작되었다.[26] 1973년 11월 14일 해당 구간이 왕복 2차선으로 개통되었으며,[27] 이후 교통량 증가에 따라 단계적인 확장 및 개량 공사가 이루어졌다.

1981년 11월 7일 노선명이 '''남해고속도로'''로 변경되었고,[33] 1980년대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전 구간에 걸쳐 왕복 4차선 확장 공사가 순차적으로 완료되었다. 이 과정에서 냉정 분기점, 진주 분기점 등 주요 분기점과 다수의 나들목, 휴게소가 신설되거나 개량되었다.

2001년 8월 25일에는 고속도로 노선번호 개편에 따라 노선번호가 제6호에서 '''제10호'''로 변경되었고, 기점과 종점도 기존 부산 → 순천에서 순천 → 부산으로 변경되었다.[90] 같은 해 11월 8일에는 산인 분기점창원 분기점을 잇는 마산외곽고속도로(고속국도 제102호)가 개통되었다.[91]

2002년 12월 5일에는 기존 노선의 기점을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확정되었고,[95] 이 구간(영암 ~ 순천)은 2012년 4월 27일 개통되었다. 2008년 1월 3일에는 노선이 영암 ~ 순천 구간과 순천 ~ 부산 구간으로 분할되었으며,[105] 같은 해 11월 17일에는 기존 마산외곽고속도로 구간이 남해고속도로 본선으로 편입되고, 기존 남해고속도로의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분리되었다.[107]

이후에도 교통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2011년 사천 나들목 ~ 산인 분기점 구간, 2014년 서김해 나들목 ~ 대저 분기점 구간, 2015년 냉정 분기점 ~ 서김해 나들목 구간 등이 왕복 6~8차선으로 확장되었다.

2. 1. 개통 초기 (1970년대)

1972년 1월 10일 호남고속도로 전주 ~ 순천 구간과 함께 서순천 나들목에서 덕천 나들목구포 나들목에 이르는 구간이 착공되었다. 이후 1973년 11월 14일에 해당 구간이 왕복 2차선으로 개통되었으며[5], 개통 당시 고속도로 번호는 6번이었다.

개통 초기에는 왕복 2차선 도로로, 평면 교차로와 입체 나들목이 혼재했으며 일부 교차로에는 신호등이 설치되기도 했다. 이후 교통량 증가로 인해 확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1978년 5월 22일에는 남해고속도로 제2지선 건설이 착공되었다.

2. 2. 왕복 4차선 확장 (1970년대 후반 ~ 1990년대)

개통 이후 교통량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세계은행과의 협의를 거쳐 1976년 4월 1일부터 부산 ~ 마산 구간이 유료화되었다.[6] 이후 순천 ~ 마산 구간도 일평균 차량 통행량이 1만 대를 넘어서자 1978년 6월 1일부터 전 구간이 유료화되었다.[7]

늘어나는 교통량을 감당하기 위해 왕복 4차선 확장 공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1978년 5월 22일, 동마산 나들목에서 냉정 분기점까지의 왕복 4차선 확장 공사와 함께, 냉정 분기점사상 나들목을 잇는 '''남해고속도로제2지선'''(당시 부마고속도로) 건설이 시작되어 1982년 12월 15일 개통되었다.[8]

남해고속도로 본선의 확장 공사는 다음과 같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1991년 11월 9일에는 하동 나들목을 기점으로 광양까지 연결하는 남해고속도로 제3지선 공사가 시작되어 1995년 12월 27일 개통되었으나, 개통 6개월 만인 1996년 7월 1일 일반 국도로 격하되어 국도 제59호선에 편입되었다.[10][11]

2. 3. 창원 ~ 냉정 구간 왕복 6~8차선 확장 및 선형 개량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반)

기존 왕복 4차선 구간의 전반적인 확장 완료에도 불구하고, 마산 ~ 부산 구간의 교통량이 급증하면서 상습적인 정체가 발생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996년 3월, 왕복 4차선이었던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 냉정 분기점 구간을 왕복 8차선으로 확장하는 공사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마산 시가지가 팽창하면서 기존 노선을 확장하기 어려워졌고, 마산 지역 교통량 분산을 위해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왕복 4차선으로 새로 건설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이 확장 공사의 영향으로 2000년 11월 27일, 기존의 진영 나들목이 원래 위치인 김해시 진영읍에서 창원시 의창구 동읍으로 이전되었다. 나들목 형태도 평면 Y자형에서 이중 트럼펫형으로 변경되었으며, 이름도 현재의 동창원 나들목으로 바뀌었다.[12] 또한, 2001년에는 장지 나들목 ~ 곤양 나들목 구간과 동마산 나들목 부근의 선형 개량 공사도 완료되었다.

확장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던 2001년 8월 25일, 남해고속도로의 노선 번호가 제6호에서 제10호로 변경되었다.[15]

2001년 9월 29일에는 창원 분기점 ~ 냉정 분기점 구간이 왕복 8차로로 확장 개통되었고, 이어서 2001년 11월 8일에는 새로 건설된 산인 분기점 ~ 북창원 나들목 ~ 창원 분기점 구간이 왕복 4차선의 마산외곽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13] 같은 날, 지수 요금소부터 북부산 요금소까지의 구간이 폐쇄형 요금 시스템으로 전환되었고, 산인 요금소가 새로 설치되었다. 기존 마산 요금소는 이후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의 진출입 요금소 역할을 하게 되었다.

시간이 흘러 2008년 11월 17일, 마산외곽고속도로 구간이 남해고속도로 본선으로 편입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 남해고속도로의 산인 분기점 ~ 내서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분리, 격하되었다.[14]

2. 4. 사천 ~ 마산 및 냉정 ~ 부산 구간 확장과 영암 ~ 순천 구간 개통 (2000년대 초반 ~ 현재)

남해고속도로의 미개통 구간이었던 영암 ~ 순천 구간은 2002년 12월 5일 서영암 나들목 ~ 해룡 나들목 구간을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노선으로 지정하면서 공사의 막을 올렸다.[16] 2002년 12월 24일12월 28일에 걸쳐 1~4공구가 착공되었고, 2006년 12월 19일에는 나머지 5~12공구가 착공되었다. 당초 2012년 12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2012 여수 세계박람회 개최 지원을 위해 개통 시기를 앞당겨 2012년 4월 27일에 조기 개통하였다.[17][18] 개통식은 정식 개통 하루 전인 2012년 4월 26일 오후 남순천 요금소에서 김황식 당시 국무총리, 박준영 전라남도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으며,[21][22] 일반 차량 통행은 2012년 4월 27일 0시부터 시작되었다.[23] 다만, 고흥 나들목2009년에 착공되어 2012년 개통 당시에는 포함되지 못했고, 이후 2013년 1월 30일에 개통되었다.[19][20]

한편, 상습 정체를 빚던 사천 ~ 마산 구간의 해소를 위해 2007년 10월 25일 사천 나들목 ~ 산인 분기점 구간의 왕복 6~8차로 확장 공사가 착공되었다. 공사 중 노후된 남강휴게소는 폐쇄되고, 2010년 7월과 9월에 걸쳐 신설된 함안 휴게소로 이전하였다. 확장은 단계적으로 진행되어, 2011년 5월 함안 나들목 ~ 산인 분기점 부산 방향 3차로 개통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차로가 확장되었고, 산인터널도 양방향 개통되었다. 2011년 12월 21일, 사천 나들목 ~ 산인 분기점 전 구간 확장이 완료되어 완전 개통되었다.[24] 이로써 창원, 진주, 사천 간 이동 시간이 단축되었다.

냉정 ~ 부산 구간 또한 확장이 필요하여 2008년 12월 29일, 냉정 분기점 ~ 대저 분기점 구간의 왕복 6, 8차로 확장 공사가 착공되었다. 공사 중 2014년 11월 11일 동김해 나들목이 이전 개통되었으며,[25] 2014년 12월 16일 해당 구간 확장이 완료되었다.

2012년 7월 13일에는 남해고속도로제3지선이 착공되어 2017년 1월 13일 개통되었다.

이 시기 노선 조정도 이루어졌다. 2001년 11월 8일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이 마산 외곽 고속도로로 개통되었고, 2008년 11월 17일 해당 구간이 남해고속도로 본선에 편입되었다. 동시에 기존 남해고속도로의 산인 분기점 ~ 내서 분기점 ~ 창원 분기점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으로 분리되었다.

3. 구성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영암 기점)을 기점으로 하여 부산광역시 북구 덕천동(덕천IC)을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며, 총 연장은 273.1km이다. 최고 제한 속도는 시속 100km, 최저 제한 속도는 시속 50km이며, 차로 수는 구간별로 왕복 4차로부터 8차로까지 다양하다. 상세한 구간별 차로 수, 연장, 제한 속도 정보는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3. 1. 차로 수

wikitext

구간차로 수
정남 분기점 ~ 사천 분기점왕복 4차로
사천 분기점 ~ 진주 분기점왕복 6차로
진주 분기점 ~ 산인 분기점왕복 8차로
산인 분기점 ~ 창원 분기점왕복 4차로
창원 분기점 ~ 덕천 분기점왕복 8차로


3. 2. 총 연장

총 연장은 273.1km이다. 구간별 연장은 다음과 같다.

  • '''영암 ~ 순천''': 106.8km
  • '''순천 ~ 부산''': 166.3km

3. 3. 제한 속도

남해고속도로의 제한 최고 속도는 시속 100km이고, 제한 최저 속도는 시속 50km이다.

3. 4. 터널

; 영암 ~ 순천 구간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영암1터널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신덕리612m2012년순천 방면
617m영암 방면
영암2터널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신덕리510m2012년순천 방면
497m영암 방면
영암3터널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독천리250m2012년
밤재터널전라남도 영암군 학산면 묵동리655m2012년순천 방면
669m영암 방면
강진1터널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수양리659m2012년순천 방면
667m영암 방면
강진2터널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평기리685m2012년순천 방면
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삼당리675m영암 방면
강진3터널전라남도 강진군 작천면 삼당리1255m2012년순천 방면
1265m영암 방면
강진4터널전라남도 강진군 병영면 삭양리1260m2012년순천 방면
1270m영암 방면
장흥1터널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성불리445m2012년순천 방면
380m영암 방면
장흥2터널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성불리434m2012년순천 방면
428m영암 방면
장흥3터널전라남도 장흥군 장흥읍 연산리464m2012년순천 방면
493m영암 방면
제암산1터널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439m2012년순천 방면
456m영암 방면
제암산2터널전라남도 장흥군 부산면 호계리742m2012년순천 방면
694m영암 방면
장동1터널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용곡리1705m2012년순천 방면
1735m영암 방면
장동2터널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북교리204m2012년순천 방면
191m영암 방면
장동3터널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 조양리519m2012년순천 방면
547m영암 방면
보성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대야리1179m2012년순천 방면
1154m영암 방면
노동1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용호리652m2012년순천 방면
614m영암 방면
노동2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광곡리195m2012년순천 방면
145m영암 방면
미력1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노동면 명봉리730m2012년순천 방면
741m영암 방면
미력2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용정리124m2012년순천 방면
초암산터널전라남도 보성군 겸백면 수남리2211m2012년순천 방면
2213m영암 방면
조성1터널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대곡리666m2012년순천 방면
645m영암 방면
조성2터널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축내리1384m2012년순천 방면
1396m영암 방면
벌교1터널전라남도 보성군 조성면 신월리301m2012년순천 방면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옥전리269m영암 방면
벌교2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옥전리572m2012년순천 방면
499m영암 방면
벌교3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마동리1980m2012년순천 방면
1960m영암 방면
고흥터널전라남도 고흥군 동강면 한천리950m2012년순천 방면
930m영암 방면
호동터널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호동리366m2012년순천 방면
314m영암 방면
별량1터널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금치리864m2012년순천 방면
872m영암 방면
별량2터널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송기리1121m2012년순천 방면
1117m영암 방면
별량3터널전라남도 순천시 별량면 원창리588m2012년순천 방면
596m영암 방면
해룡터널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도롱리1419m2012년순천 방면
1424m영암 방면



; 순천 ~ 부산 구간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광양터널전라남도 광양시 광양읍 죽림리270m1992년부산 방면
240m순천 방면
하동터널경상남도 하동군 금성면 궁항리196m1992년부산 방면
201m순천 방면
진교터널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340m1992년부산 방면
400m순천 방면
사천터널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 송전리168m1973년부산 방면
240m1992년순천 방면
진주1터널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614m2010년부산 방면
572m순천 방면
진주2터널647m2011년부산 방면
760m2010년순천 방면
산인터널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모곡리688m2011년부산 방면
604m순천 방면
함안1터널경상남도 함안군 산인면 신산리877m2001년부산 방면
850m순천 방면
함안2터널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용정리500m2001년부산 방면
520m순천 방면
창원1터널경상남도 함안군 칠원읍 무기리2551m2001년부산 방면
2566m순천 방면
창원2터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동읍 용강리854m2001년
김해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하계리690m2001년부산 방면
643m순천 방면



; 폐 터널

터널 이름소재지길이준공 년도비고
진주터널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상문리719m1989년부산 방면
562m1973년순천 방면
김해터널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하계리432m1980년부산 방면
415m1973년순천 방면


3. 5. 교량

남해고속도로 주요 교량 목록
구간주요 교량
영암 ~ 순천신덕1교, 신덕2교, 독천교, 남해청룡1교, 남해청룡2교, 남해금계1교, 남해금계2교, 남해금계3교, 남해금계4교, 상월1교, 상월2교, 상월천교, 묵동2교, 월평1교, 월평2교, 성전교, 남해수암교, 평기1교, 평기2교, 토마교, 금강천교, 성불교, 내안교, 탐진강교, 부춘1교, 부춘2교, 호계2교, 용곡1교, 용곡2교, 부산천교, 하산교, 배산천교, 남해조양교, 대련교, 용호교, 광곡천교, 노동천교, 명봉교, 보성대교, 화방1교, 화방2교, 화방3교, 화방4교, 도안1교, 남양1교, 남양2교, 수남1교, 수남2교, 보성대곡교, 축내교, 보성신월1교, 보성신월2교, 마동교, 남해한천교, 두평교, 영등교, 벌교대교, 호동교, 금치철교, 동룡천교, 운천교, 봉림교, 덕정1교, 덕정2교, 덕정3교, 순천만1교, 순천만2교, 순천만3교, 해룡교, 검단교, 남해성산교
순천 ~ 부산서천교, 죽평교, 선평1교, 선평2교, 선평3교, 지본교, 압곡교, 압곡1교, 학동교, 동석교, 석사교, 봉강교, 구산교, 구산육교, 목성교, 기두육교, 용강1육교, 억만교, 억만육교, 죽림육교, 쇠문육교, 하선교, 청룡교, 대죽교, 일월교, 원월철육교, 장동교, 금촌교, 수어천교, 진정교, 선소육교, 신아교, 섬진강교, 진정천교, 노량육교, 계천교, 남당교, 성평교, 금당교, 새미교, 안심교, 백련교, 진교교, 관곡천교, 송원교, 맥사육교, 맥사교, 곤양IC육교, 곤양교, 환덕교, 환덕육교, 동천교, 검정교, 가화천교, 구호교, 탑리교, 축동교, 원재교, 예하교, 가좌철육교, 가좌육교, 가호교, 소호2교, 영천강교, 문산육교, 아주교, 상이교, 예음2교, 중촌교, 반성천교, 승내교, 청담1교, 수곡교, 수곡1교, 군북교, 석교천교, 장지교, 장지1교, 도항교, 도항1교, 가야천교, 함안천교, 송정육교, 모곡교, 신산천1교, 신산천2교, 산인교, 신산1교, 오곡교, 칠원대교, 용정1교, 용정2교, 무기1교, 무기2교, 무기3교, 달천교, 구룡교, 남산철교, 덕산1교, 덕산2교, 용잠교, 송정교, 용정교, 서산교, 우동2교, 청천교, 초전1교, 초전2교, 초전3교, 진례천교, 양동육교, 망덕교, 주촌교, 풍유육교, 흥동육교, 봉곡교, 전하육교, 해반천교, 김해육교, 삼정육교, 삼정교, 어방교, 김해IC육교, 신어천교, 안동교, 불암1육교, 불암교, 대사1육교, 대사교, 대사2육교, 대사교, 출두교, 구포낙동강교


4. 나들목 · 분기점


  • 나들목(IC) 및 분기점(JC) 번호는 영암 기점 기준으로 부여되었다.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의미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 영암 ~ 순천 구간 ===

번호이름누적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
국도 제2호선 무영로 직결 (영암 방면)
1서영암0.38국도 제2호선 (에프1경주장로·무영로)전라남도 영암군시점은 0.00km
TG
2
서영암 TG
서호학산
5.34노정길
(지방도 제819호선 (망월천로·영암로))
본선요금소 (나들목, 요금소 일체형)
영암 방면 진입과 순천 방면 진출만 가능
구 학산 나들목
SA영암휴게소12.3양방향 임시 휴게소 (주차장)
3강진무위사19.53국도 제2호선 (녹색로)
지방도 제830호선 (금강로)
(국도 제13호선 (예향로))
전라남도 강진군
4장흥38.26국도 제23호선 (장흥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5호선 (장흥대로)
전라남도 장흥군
SA장흥정남진휴게소40.6양방향 통합형
5보성61.21국도 제18호선 (송재로·화보로)
국도 제29호선 (화보로)
전라남도 보성군
SA보성녹차휴게소65.5양방향
6벌교79.71국도 제2호선 (녹색로)
지방도 제843호선 (녹색로)
7고흥83.91고흥로·채동선로
(국도 제15호선 (우주항공로))
(국도 제27호선 (우주항공로))
(국가지원지방도 제15호선 (우주항공로))
전라남도 고흥군순천 방면 진입과 영암 방면 진출만 가능
TG남순천 TG97.3전라남도 순천시본선요금소
8순천만100.27국도 제2호선 (녹색로)순천 방면 진입, 영암 방면 진출 시 요금 지불
9도롱104.98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엑스포대로)
영암 방면 진입과 순천 방면 진출만 가능
9해룡106.62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충무공로)
국가지원지방도 제22호선 (엑스포대로·충무공로)
순천 방면 진입과 영암 방면 진출만 가능
종점은 106.84km
국도 제17호선 (엑스포대로·충무공로) 직결 (순천 방면)



=== 순천 ~ 부산 구간 ===

번호이름누적 거리 (km)접속 노선소재지비고
25호선 호남고속도로 직결 (순천 방면)
10서순천0.0525호선 호남고속도로
국도 제17호선 (순천로)
국도 제22호선 (순천로)
전라남도 순천시순천 기점은 0.00km
11순천3.81국도 제17호선 (무평로·백강로)
지방도 제840호선 (매천로·백강로)
12순천 JC6.0027호선 순천완주고속도로부산 방면에서 순천완주고속도로 순천 방면 진출 불가
13광양12.58국도 제2호선 (백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백운로)
지방도 제865호선 (백운로)
광양항전용1로
전라남도 광양시
14동광양17.72국도 제2호선 (백운로)
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백운로·옥진로)
광양항전용2로
15옥곡24.20지방도 제861호선 (강변로)
16진월28.62국도 제2호선 (백운1로)
SA섬진강휴게소30.8양방향, 고속버스 환승 가능
17하동35.60국도 제19호선 (섬진강대로)
국도 제59호선 (섬진강대로·산업로)
경상남도 하동군
18진교45.65지방도 제1002호선 (경충로)
19곤양52.05국가지원지방도 제58호선 (곤양로)
지방도 제1005호선 (곤양로)
구고속도로
(지방도 제1002호선 (곤북로))
경상남도 사천시
SA사천휴게소56.8양방향
20축동60.05지방도 제1002호선 (서삼로)구 가산 나들목
21사천65.96국도 제3호선 (사천대로)
국도 제33호선 (사천대로)
(지방도 제1002호선 (서삼로))
22진주 JC68.4735호선 통영대전고속도로경상남도 진주시
23진주71.72가호로·대신로·동부로
SA진주휴게소71.7부산 방면
24문산75.73지방도 제1009호선 (월아산로)
동진로
SA문산휴게소75.0순천 방면
25진성82.57지방도 제1007호선 (동부로·진의로)
26지수88.57용봉로
(지방도 제1037호선 (지수로))
27군북97.76국도 제79호선 (함마대로)경상남도 함안군
28장지100.55지방도 제1029호선 (장백로)
SA함안휴게소100.6양방향
29함안104.24국가지원지방도 제67호선 (함안대로)
지방도 제1011호선 (함안대로)
30산인 JC112.92102호선 남해고속도로제1지선순천 방면에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창원 방면 진출 불가
31칠원 JC115.9645호선 중부내륙고속도로중부내륙고속도로 창원 방면 진출 불가
32북창원124.82국도 제79호선 (정렬대로)
천주로
경상남도 창원시
33창원 JC128.36102호선 남해고속도로제1지선부산 방면에서 남해고속도로제1지선 함안 방면 진출 불가
34동창원133.42김해대로·의창대로구 진영 나들목
SA
34-1
진영휴게소
진영 JC
135.0600호선 부산외곽순환고속도로경상남도 김해시양방향, 휴게소와 분기점 병설
35진례139.70지방도 제1042호선 (서부로)
35-1진례 JC143.1105호선 남해고속도로제3지선
36냉정 JC146.72104호선 남해고속도로제2지선
37서김해151.48국도 제14호선 (동서대로)
국도 제58호선 (금관대로)
(지방도 제1020호선 (칠산로))
38동김해156.03김해대로·인제로구 김해 나들목
38-1김해 JC158.68551호선 중앙고속도로지선순천 방면에서 중앙고속도로지선 양산 방면 진출 불가
TG북부산 TG160.1부산광역시강서구본선요금소
39대저 JC163.4555호선 중앙고속도로
국도 제14호선 (낙동북로)
나들목 역할 병행
40덕천166.36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강변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강변대로·남해고속도로 연결도로)
북구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남해고속도로 직결 (부산 방면)


5. 주요 통과지

6. 교통량

2018년 기준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122].

구간거리
(km)
평균 통행량 (대/일)
12시간24시간
목포 ~ 순천105.011,23613,876
서순천 ~ 순천6.020,72326,005
순천 ~ 진주62.528,62937,221
진주 ~ 산인44.555,05972,347
산인 ~ 창원15.448,98667,926
창원 ~ 진영7.479,188106,402
진영 ~ 진례7.273,05397,349
진례 ~ 냉정3.870,70591,696
냉정 ~ 부산18.654,82574,112



최고 통행량 지점은 창원 분기점에서 동창원 나들목까지의 5.1km 구간으로, 24시간에 109,526대 (8개 차선, 차선당 13,691대)가 통과한다. 차선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대저 분기점부터 부산 종점까지 1.7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선당 19,335대 (4개 차선, 총 77,339대)가 통과한다.

'''연도별 24시간 교통량'''(대/일)은 아래 표와 같다. (교통량 통계연보 참고)

구간1977년1980년1985년1990년1995년2000년2005년2010년2015년2020년2022년
서령암IC - 서호학산IC미개통10,88212,83812,032
서호학산IC - 강진무위사IC8,23810,31612,244
강진무위사IC - 장흥IC7,6318,62710,171
장흥IC - 보성IC8,9339,53411,383
보성IC - 벌교IC13,75116,52718,807
벌교IC - 고흥IC11,62413,38619,772
고흥IC - 순천만IC19,07022,90423,849
순천만IC - 도농IC18,38123,85626,375
colspan="11" |
서순천IC - 순천IC데이터 없음2,4837,46116,76918,80920,02026,92227,43428,63530,408
순천IC - 순천JCT데이터 없음17,55119,04019,14219,58219,44320,942
순천JCT - 광양IC22,24122,21624,714
광양IC - 동광양IC24,63525,29726,16131,92632,59430,264
동광양IC - 옥곡IC20,64422,43226,17326,09826,91029,041
옥곡IC - 진월IC19,90820,65426,47929,73428,97932,206
진월IC - 하동IC16,97820,36525,49728,73928,56333,092
하동IC - 진교IC20,22324,03030,23036,15938,77238,030
진교IC - 군양IC데이터 없음4,54011,77024,87725,97729,18734,35837,38846,12944,221
군양IC - 삽동IC데이터 없음30,28427,95636,32939,87239,55346,340
삽동IC - 사천IC30,84932,18335,75941,38347,12747,585
사천IC - 진주JCT39,89143,54650,66168,17959,36962,936
진주JCT - 진주IC40,11552,64352,37273,31869,03678,146
진주IC - 문산IC42,75247,28047,55758,06652,60569,012
문산IC - 진성IC42,48951,21150,50463,73963,20772,310
진성IC - 지수IC40,68154,17555,11270,48363,28072,209
지수IC - 군북IC데이터 없음6,83616,47634,41738,00351,15254,80463,64162,99673,524
군북IC - 장지IC데이터 없음49,34968,47661,62272,14867,68479,766
장지IC - 함안IC60,41863,87178,27980,03982,477
함안IC - 산인JCT51,72259,47367,60786,96484,14888,601
산인JCT - 칠원JCT미개통41,81443,01449,62252,56858,133
칠원JCT - 북창원IC57,97259,25667,20067,76669,201
북창원IC - 창원JCT55,13155,98367,11468,83968,874
창원JCT - 동창원IC5,5718,25811,76630,22852,52760,13686,49287,124106,518112,102115,455
동창원IC - 진영JCT5,5608,65912,147데이터 없음74,54195,50492,09498,23789,718120,556
진영JCT - 진례IC86,45894,186
진례IC - 진례JCT[1]5,6258,65112,190119,421115,986111,64091,331104,821
진례JCT - 냉정JCT83,68491,671
냉정JCT - 서김해IC47,08065,48961,90873,53159,46364,272
서김해IC - 동김해IC[2]5,8948,8422,61667,78773,13566,11779,96969,42178,546
동김해IC - 김해JCT[3]6,5689,6142,86521,16321,85974,32899,63592,77287,97693,41297,404
김해JCT - 대저JCT70,93060,15263,545
대저JCT - 덕천IC[4]7,62111,5173,010데이터 없음65,44172,94666,86783,30165,36772,145


7. 구간 과속 단속

8.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과거 덕천 나들목부터 구포 나들목까지의 구간은 남해고속도로의 일부였으나, 1978년 6월 22일 고속도로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현재 이 구간은 부산광역시가 관리하고 있으며, 도로명은 여전히 '''남해고속도로'''로 사용되고 있다.

고속도로 지정 해제 이후, 이 구간은 부산 순환도로 계획에 따라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에 편입되었다. 이후 강변대로, 제2만덕터널과 노선을 공유하게 되었으며,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은 황령터널을 지나 대연동 49호 광장까지 이어진다.[123]

종류이름로마자 이름구간
거리
누적
거리
접속 노선소재지비고
남해고속도로 직결
IC덕천Deokcheon-0.00남해고속도로
부산광역시도 제55호선 (강변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강변대로)
부산광역시북구
IC덕천IC 교차로style="text-align: right;" |style="text-align: right;" |부산광역시도 제4105호선 (의성로)덕천방향 진입과 만덕방향 진출만 가능
IC구포
(고속도로입구 교차로)
Gupo1.61.6부산광역시도 제40호선 (만덕대로)
부산광역시도 제66호선 (만덕대로)
만덕방향 진입과 덕천방향 진출만 가능
만덕대로 직결


9. 옛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개통 당시 왕복 2차로 고속도로로 건설되었고, 이후 확장 공사를 거치면서 옛 남해고속도로 구간이 일부 남아있다. 하지만 동해고속도로의 옛 구간과 비교하면 남아있는 구간은 상당히 짧은 편이며, 남아있는 곳도 간선도로로 활용되지 못하고 마을도로 등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옛 남해고속도로 구간은 다음과 같다.

10. 논란

남해고속도로 영암 ~ 순천 구간이 새로 개통된 후, 순천만 나들목의 순천 (광양) 방향 진출입로에 설치된 순천만 요금소에서 통행료를 징수하기 시작했다. 이에 순천시의회는 순천만 나들목에서 도롱 나들목 또는 해룡 나들목까지의 구간에 대한 통행료 징수를 폐지해달라고 국토해양부 (현재의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에 요청하는 건의문을 채택하였다.[126]

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4] 기타
[5]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04호 http://theme.archive[...] 1973-11-10
[6] 뉴스 부산(부산)·마산고속도(마산고속도) 요금(요금)확정 4월부터 유료화(유료화)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6-02-10
[7] 뉴스 6월부터 유료화(유료화)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8-05-31
[8]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96호 http://theme.archive[...] 1981-09-04
[9] 뉴스 남해(남해)고속도 진주(진주)~광양(광양) 50km(km) 4차선 확장 완공(완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93-12-10
[10] 법률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1] 법률 대통령령 제1510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12] 뉴스 새 진영 IC 개통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2000-11-27
[1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5호 http://gwanbo.mois.g[...] 2001-11-07
[14] 법률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15]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8-25
[16] 법률 대통령령 제17794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2-12-05
[17]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2-542호 http://gwanbo.mois.g[...] 2012-04-26
[18] 뉴스 여수엑스포行 영암~순천 간 남해고속도로 27일 조기 개통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2-04-25
[19]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3-53호 http://gwanbo.mois.g[...] 2013-01-29
[20] 뉴스 한국도로공사 전남본부 "30일 고흥나들목 개통" https://news.naver.c[...] 뉴스1 2013-01-28
[21] 뉴스 광양~목포간 고속도로 27일 0시 개통 http://news1.kr/arti[...] 뉴스1 2012-04-26
[22] 뉴스 남해고속도로 영암∼순천 구간 개통 http://www.ytn.co.kr[...] YTN 2012-04-26
[23] 뉴스 이 시각 교통정보 http://imnews.imbc.c[...] MBC 2012-04-27
[24] 뉴스 진주~마산 남해고속도 뻥 뚫렸다..확장 개통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1-12-21
[25] 뉴스 김해서 부산 양산 3개 고속도로 개통으로 교통난 해소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4-12-15
[26] 법률 대통령령 제58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1-12-08
[27] 간행물 건설부공고 제104호 http://theme.archive[...] 1973-11-10
[2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09호 http://theme.archive[...] 1977-06-14
[29] 뉴스 남강(남강)휴계소준공 도로공사(도로공사) http://newslibrary.n[...] 매일경제 1978-01-21
[30] 법률 대통령령 제9059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78-06-22
[3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74호 http://theme.archive[...] 1978-07-04
[3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95호 http://theme.archive[...] 1979-11-07
[33] 법률 대통령령 제10625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87-11-07
[3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3호 http://theme.archive[...] 1982-05-13
[3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64호 http://theme.archive[...] 1982-10-08
[3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79호 http://theme.archive[...] 1983-08-16
[3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30호 http://theme.archive[...] 1983-10-12
[3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46호 http://theme.archive[...] 1984-04-30
[3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17호 http://theme.archive[...] 1984-06-29
[4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86호 http://theme.archive[...] 1984-08-01
[4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414호 http://theme.archive[...] 1984-10-23
[42] 뉴스 辰橋(진교)인터체인지 開通(개통)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84-12-20
[4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70호 http://theme.archive[...] 1987-03-05
[44]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40호 http://theme.archive[...] 1987-04-20
[45]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72호 http://theme.archive[...] 1988-04-18
[46]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241호 http://theme.archive[...] 1988-05-26
[47]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364호 http://theme.archive[...] 1988-07-30
[48]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809호 http://theme.archive[...] 1990-01-04
[49]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634호 http://theme.archive[...] 1991-10-30
[50]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92-21호 http://theme.archive[...] 1992-01-29
[51]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2-232호 http://theme.archive[...] 1992-05-15
[52]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6호 http://theme.archive[...] 1994-01-14
[53] 간행물 건설부고시 제1994-84호 http://theme.archive[...] 1994-03-18
[54] 법률 대통령령 제14486호 http://www.law.go.kr[...] 1994-12-31
[5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96호 http://theme.archive[...] 1995-03-24
[5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179호 http://theme.archive[...] 1995-05-27
[5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369호 http://theme.archive[...] 1995-11-06
[5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399호 http://theme.archive[...] 1995-12-11
[5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5-401호 http://theme.archive[...] 1995-12-11
[6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8호 http://theme.archive[...] 1996-03-22
[6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89호 http://theme.archive[...] 1996-03-22
[6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90호 http://theme.archive[...] 1996-03-22
[6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34호 http://theme.archive[...] 1996-05-11
[6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35호 http://theme.archive[...] 1996-05-11
[6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154호 http://theme.archive[...] 1996-05-28
[66] 뉴스 부산-경남 고속도2곳 개통 http://newslibrary.n[...] 한겨레 1996-06-22
[67] 법률 대통령령 제15102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6-07-01
[6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225호 http://theme.archive[...] 1996-07-11
[6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6-406호 http://theme.archive[...] 1996-12-28
[7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5호 http://theme.archive[...] 1997-01-14
[7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19호 http://theme.archive[...] 1997-04-24
[7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176호 http://theme.archive[...] 1997-06-02
[7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23호 http://theme.archive[...] 1997-07-12
[7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47호 http://theme.archive[...] 1997-07-31
[7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48호 http://theme.archive[...] 1997-07-31
[7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49호 http://theme.archive[...] 1997-07-31
[7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50호 http://theme.archive[...] 1997-07-31
[7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51호 http://theme.archive[...] 1997-07-31
[7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252호 http://theme.archive[...] 1997-07-31
[80] 법률 대통령령 제1546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1997-08-27
[8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7-330호 http://theme.archive[...] 1997-10-21
[8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101호 http://theme.archive[...] 1998-04-03
[83]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430호 http://theme.archive[...] 1998-12-29
[8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60호 http://theme.archive[...] 1999-03-05
[85]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61호 http://theme.archive[...] 1999-03-05
[8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89호 http://theme.archive[...] 1999-04-02
[8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32호 http://theme.archive[...] 1999-10-27
[8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1999-391호 http://theme.archive[...] 1999-12-16
[8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1-141호 http://gwanbo.mois.g[...] 2001-06-01
[90] 법률 대통령령 제17228호 고속국도노선지정령 http://www.law.go.kr[...] 2001-05-24
[91]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5호 http://gwanbo.mois.g[...] 2001-11-07
[92]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6호 http://gwanbo.mois.g[...] 2001-11-07
[93] 간행물 건설교통부공고 제2001-297호 http://gwanbo.mois.g[...] 2001-11-07
[9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35호 http://gwanbo.mois.g[...] 2002-03-09
[95] 법률 대통령령 제17794호 http://www.law.go.kr[...] 2002-12-05
[96]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2-244호 http://gwanbo.mois.g[...] 2002-12-06
[97]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245호 http://gwanbo.mois.g[...] 2003-10-29
[98]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3-254호 http://gwanbo.mois.g[...] 2003-10-29
[99]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95호 http://gwanbo.mois.g[...] 2005-12-29
[100]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9호 http://gwanbo.mois.g[...] 2006-01-06
[101]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432호 http://gwanbo.mois.g[...] 2006-10-17
[102]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6-504호 http://gwanbo.mois.g[...] 2006-12-04
[103] 간행물 부산광역시공고 제2006-824호 https://news.busan.g[...] 2006-11-29
[104] 간행물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332호 http://gwanbo.mois.g[...] 2007-08-29
[105] 법률 대통령령 제20526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01-03
[106]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08-318호 http://gwanbo.mois.g[...] 2008-07-16
[107] 간행물 대통령령 제21123호 고속국도 노선 지정령 http://www.law.go.kr[...] 2008-11-17
[108]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10-84호 http://gwanbo.mois.g[...] 2010-12-28
[109]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156호 http://gwanbo.mois.g[...] 2011-04-25
[110] 간행물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542호 http://gwanbo.mois.g[...] 2011-10-11
[111] 간행물 국토해양부공고 제2013-53호 http://gwanbo.mois.g[...] 2013-01-29
[112]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19호 http://gwanbo.mois.g[...] 2013-04-09
[113]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4-1547호 http://gwanbo.mois.g[...] 2014-12-12
[114]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5-181호 http://gwanbo.mois.g[...] 2015-03-27
[11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284호 http://gwanbo.mois.g[...] 2016-05-23
[116] 뉴스 에스트레픽 "종합 교통 솔루션 기업 도약...2020년 매출 3,000억원 달성" http://www.sporbiz.c[...] 한국스포츠경제 2017-11-20
[117] 공지사항 남해고속도로 학산IC 명칭변경 알림 http://www.ex.co.kr/[...] 한국도로공사 2017-12-11
[11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249호 http://gwanbo.mois.g[...] 2019-05-23
[11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713호 http://gwanbo.mois.g[...] 2019-12-10
[120] 뉴스 영암순천고속도로 '장흥정남진휴게소' 운영 시작 https://www.pressian[...] 프레시안 2020-11-02
[121] 뉴스 경남 47곳에 과속·신호위반 무인단속카메라 설치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3-12-31
[122] 웹사이트 교통량 정보제공 시스템 http://www.road.re.k[...] 2019-06-04
[123] 뉴스 부산 4개 순환도로망 만든다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07-03-28
[124] 일반
[125] 일반
[126] 뉴스인용 순천시의회 "고속도 시내구간 통행료 폐지해야"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