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첨해 이사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첨해 이사금은 신라의 제12대 왕이다. 247년 7월에 즉위하여, 아버지 석골정을 갈문왕으로 추봉했다. 248년 고구려와 강화 조약을 맺고 백제와의 교전에 집중했으며, 백제의 침공에 맞서 싸웠다. 251년 남당에서 정치를 시작하고, 한기부의 부도를 아찬으로 등용했다. 261년 12월 28일에 급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61년 사망 - 왕기 (백여)
    왕기는 삼국시대 위나라의 청렴하고 공정한 관료이자 장군으로, 왕릉의 치적에 기여하고 조예에게 간언하여 백성을 위한 정치를 촉구했으며, 형주자사로서 오나라를 방비하고 제갈탄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워 사후 사공으로 추증되고 서진 시대에도 청렴함을 인정받았다.
  • 261년 사망 - 양희 (촉한)
    양희는 촉한의 관료이자 문장가로, 제갈량과 장완에게 중용되었으며 《계한보신찬》을 저술했으나 강유와의 불화로 관직에서 물러났고, 솔직하고 신중한 성품으로 알려졌다.
  • 월성 석씨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월성 석씨 - 탈해 이사금
    탈해 이사금은 알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며, 남해 차차웅의 사위가 되어 대보를 지내다가 유리 이사금 사후 왕위에 올라 왜, 백제, 가야 등 주변 세력과 외교 및 군사적 갈등을 겪으며 영토 확장에 힘썼고, 김알지를 발견하여 신라 김씨 왕조의 기원을 마련했으며, 80년에 사망했다.
  • 이사금 - 벌휴 이사금
    벌휴 이사금은 신라의 제9대 이사금으로, 아달라 이사금 사후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활발한 정복 활동과 백제와의 교전, 군주 제도 마련 등의 업적을 남겼고, 그의 후손들은 신라 왕위를 이었다.
  • 이사금 - 아달라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은 신라의 제8대 왕이자 박씨 왕조의 마지막 왕으로, 계립령과 죽령을 개통하여 영토를 확장하고 백제와 긴장 관계를 유지했으며 왜와 평화로운 외교 관계를 맺었고, 연오랑 세오녀 설화와 왕위 계승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첨해 이사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이사금
재위 기간247년 - 261년
즉위 년도247년
퇴위 년도261년
전임조분 이사금
후임미추 이사금
아버지석골정
어머니옥모부인
출생알 수 없음
사망261년
매장지알 수 없음
존호첨해이사금 (沾解尼師今)

2. 가계

첨해 이사금의 아버지는 벌휴 이사금의 아들 석골정이며, 어머니는 구도 갈문왕의 딸 옥모부인 김씨이다. 형은 조분 이사금이다.

2. 1. 조상

2. 2. 부모

2. 3. 형제

조분 이사금

2. 4. 배우자 및 자녀


  • 부인: 김씨
  • 아들: 석복

3. 치세

첨해 이사금은 즉위 직후인 247년 7월에 아버지 골정을 세상신 갈문왕으로 추봉했다. 251년 1월에는 처음으로 남당에서 정치를 행했으며, 한기부의 부도를 아찬(6등관)으로 등용하여 창고 관리를 담당하게 했다.

248년 2월, 고구려와 강화 조약을 맺고 백제와의 교전에 집중했다. 255년 9월, 백제의 침공에 일벌찬[4] 익종이 충청북도 괴곡에서 맞서 싸웠으나 백제군에 살해당했다. 255년 10월, 백제가 경상북도 봉산성에 쳐들어왔지만 함락시키지 못했다.[5] 261년 3월, 백제 고이왕이 화친 사신을 보냈지만, 첨해 이사금은 이를 묵살했다.

재위 15년 만인 261년 12월 28일에 급병으로 사망했으며, 매장지는 전해지지 않는다.

3. 1. 대외 관계

248년 2월, 고구려와 강화 조약을 맺고, 백제와의 교전에 집중하는 정책을 채택했다. 255년 9월에는 백제의 침공에 대해 일벌찬[4] 익종이 백제군을 괴곡(충청북도 괴산군)에서 맞이하여 싸웠지만, 백제군에게 살해당했다. 이어서 10월에는 백제가 봉산(경상북도 영주시)[5] 성에 쳐들어왔지만, 잘 지켜 항복하지 않았다. 261년 3월에는 백제 고이왕이 신라에 화친 사신을 보냈지만, 첨해 이사금은 이를 묵살했다.

3. 2. 내정

247년 7월, 아버지 골정을 세상신 갈문왕으로 추봉했다. 251년 1월, 처음으로 남당에서 정치를 행했다고 전해진다. 또한, 한기부의 부도를 등용하여 아찬(6등관)으로 삼아 창고 관리를 담당하게 했다.[4]

4. 죽음

첨해 이사금은 재위 15년 만인 261년 12월 28일에 급병으로 사망했다. 매장지는 전해지지 않는다.[4]

참조

[1] 뉴스 https://www.su-wan.c[...] 2024-03-20
[2] 웹사이트 첨해이사금 https://terms.naver.[...] 2019-06-03
[3] 문서 regarded city-state: Kueo-ch'il (renamed Dokno), Iseoguk, Chopal(renamed Dara)
[4] 문서 新羅の官位制度には一伐飡の名称は見られず、[[骨品制#表|一吉飡]](7等)か[[骨品制#表|伊伐飡]](1等)かの誤記とみられるが判然としない。なお、[[249年]]に舒弗邯(伊伐飡の別名)の[[昔于老]]が倭人に殺されたことが記されており、1等の伊伐飡の任命記事が見られないことから、7等の一吉飡と見るのが妥当と思われる。
[5] 문서 他に烽山の候補として、『[[新増東国輿地勝覧]]』には[[慶尚南道]][[昌寧郡]]霊山面に烽山烽燧の名称が見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