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림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출림인은 러시아의 출림강 유역에 거주했던 튀르크계 민족이다. 16세기 시비르 칸국의 멸망 이후 텔레우트족, 예니세이 키르기스족 등과 혼합되어 형성되었다. 러시아 제국 시대에 러시아 정교로 개종되었고, 소비에트 연방 시대에는 집단 농장화와 정착 생활을 강요받았다. 현재는 하카스족과 러시아인에 동화되었으며, 출림어는 소멸 위기에 놓여 있다. 출림인은 샤머니즘, 러시아 정교, 수니파 이슬람교를 혼합한 종교를 믿었으며, 전통적으로 사냥을 생업으로 삼았으나 현대에는 공장 등에서 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톰스크주 - 셀쿠프인
셀쿠프인은 러시아 시베리아 지역에 거주하며 셀쿠프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예니세이어족과 사모예드족의 상호작용으로 기원했으며, 전통적으로 사냥, 낚시, 순록 방목을 생계 수단으로 삼았다. - 톰스크주 - 케티강
죄송합니다. 주어진 정보만으로는 케티강에 대한 한 문장 요약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 아시아의 튀르크족 - 돌간인
돌간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으로, 에벤키, 야쿠트인 등의 영향으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순록을 치는 유목 생활을 하다가 소련 시대에는 집단 농장에서 다양한 산업에 종사했다. - 아시아의 튀르크족 - 토파인
러시아 이르쿠츠크주에 거주하는 소수 민족인 토파인은 "사슴의 사람들"을 의미하는 투르크어에서 유래했으며, 동 사얀 산맥에 정착한 사모예드족 수렵 채집인에서 기원하여 튀르크화 과정을 거쳐 현재의 언어와 문화를 형성했고, 순록 사육, 덫 사냥, 사냥을 통해 유목 생활을 유지해 왔으나 러시아 제국 확장과 소련 집단화 시기를 거치면서 큰 변화를 겪으며 조상의 땅에 대한 권리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 카라해
카라해는 러시아 시베리아 북쪽 해안과 노바야 제믈랴 제도 사이에 있는 북극해의 일부로, 1년 중 대부분 해빙으로 덮여 있고, 오비 강, 예니세이 강 등에서 유입되는 담수의 영향을 받으며, 해빙 감소는 기후 변화와 관련 있고, 과거 핵 폐기물 투기로 인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다. - 크라스노야르스크 변경주 - 돌간인
돌간인은 러시아의 소수 민족으로, 에벤키, 야쿠트인 등의 영향으로 민족 정체성이 형성되었으며, 전통적으로 순록을 치는 유목 생활을 하다가 소련 시대에는 집단 농장에서 다양한 산업에 종사했다.
출림인 | |
---|---|
일반 정보 | |
![]() | |
거주 지역 | 러시아 톰스크주 크라스노야르스크 지방 |
인구 | 382명 |
언어 | 출림어 러시아어 |
종교 |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 |
관련 민족 | 하카스인 푸위 키르기스인 시베리아 타타르인 쇼르인 첼칸인 쿠만딘인 투발라르인 |
2. 역사
출림인의 역사는 시베르 칸국의 멸망과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출림 타타르족은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의 군대에 의해 시비르 칸국에서 쫓겨난 후 출림강에 살았다.[2]
2. 1. 시베르 칸국 시대
예르마크 티모페예비치의 군대에 의해 시비르 칸국에서 쫓겨난 이후 출림강(오비강의 지류) 중·하류 지역에 거주했다.[2] 출림족은 시비르 칸국의 몰락 이후 동쪽으로 이주한 일부 튀르크족 집단, 부분적으로는 텔레우트족, 예니세이 키르기스족, 토볼스크 타타르족 집단이 혼합되면서 16세기에 나타났다.[3]2. 2. 러시아 제국 시대
16세기 러시아는 출림족과 그들이 새로 정착한 땅을 정복했다. 1720년 출림족은 기독교(러시아 정교회)로 강제 개종되었다.[3] 19세기 초, 러시아 당국은 출림족에게 과도한 세금을 부과하고 생산성 향상을 강요하여 이들을 더욱 소외시켰다.[3]2.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소련 통치 아래에서 출림족은 집단 농장화되었고 정착 생활을 강요받았다. 소련 정부의 이념 또한 출림족과 그들의 문화에 강요되었다.[3] 대부분의 출림족 후손들은 하카스족과 러시아인들과 섞였다.2. 4. 현대
대부분의 출림족 후손들은 하카스족과 러시아인에 동화되었다.[3]3. 문화
출림인은 외스라고 알려진 출림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 러시아 정교회, 샤머니즘이 혼합된 종교를 믿는다.
3. 1. 언어
출림어는 튀르크어족 공통 튀르크어파의 시베리아 튀르크어군에 속한다. 출림인의 민족 명칭은 최초로 거주한 출림 강에서 유래했으며, 타타르인의 일파로 간주되어 출림 타타르인이라고 불리기도 한다.[4]출림족의 민화와 문화는 현재까지 계승되고 있으며, 샤머니즘의 전통을 지키고 있다. 하지만 고유 언어인 출림어를 이해하는 사람은 355명 정도의 인구 중 12%에 그치며, 모국어로 완전히 습득한 화자는 14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출림어는 유네스코에 의해 소멸 위기 언어로 지정되어 보호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3. 2. 생활 양식
출림인은 원래 사냥과 덫 사냥을 주업으로 삼았으나, 현대화 이후에는 공장, 무두질 공장, 제재소 등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4]3. 3. 종교
출림인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 신앙을 유지해 왔으나, 러시아 정교회의 영향으로 기독교로 개종한 사람들도 있으며, 일부는 수니파 이슬람을 믿기도 한다.[4]참조
[1]
간행물
Национальный состав населения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 Service
[2]
서적
Peoples of the USSR: An Ethnographic Handbook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웹사이트
The Chulym Tatars
https://www.eki.ee/b[...]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2020-09-05
[4]
서적
An Ethno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ussian and Soviet Empire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5]
웹사이트
ロシアで話されている超希少言語TOP10
https://jp.rbth.com/[...]
2021-09-05
[6]
웹사이트
ロシアの少数民族の暮らし:百年前と今(写真特集)
https://jp.rbth.com/[...]
2020-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